KR100815771B1 -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 Google Patents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771B1
KR100815771B1 KR1020060079486A KR20060079486A KR100815771B1 KR 100815771 B1 KR100815771 B1 KR 100815771B1 KR 1020060079486 A KR1020060079486 A KR 1020060079486A KR 20060079486 A KR20060079486 A KR 20060079486A KR 100815771 B1 KR100815771 B1 KR 10081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die
passage
coo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080A (ko
Inventor
최병근
박성호
강수영
김홍기
손현성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7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7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6Heating or cooling methods 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forging or press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밍 성형과 동시에 소재를 급속히 냉각하여 고강도의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
포밍 성형과 동시에 소재를 급속히 냉각하여 고강도의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되는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에서, 상기 금형을 이루는 하형은, 상하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받고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통로와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통로가 구비된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냉각수 공급통로에서 제공된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재를 냉각시킨 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냉각수 배출통로로 배출시키는 냉각수 순환통로가 구비된 센터 다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079486
열간, 프레스, 성형, 금형, 냉각

Description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Hot Press Forming Tool for Forming Operation}
도1은 종래의 드로잉 공법에 이용되는 열간 프레스 금형의 하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간 프레스 금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열간 프레스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금형을 이루는 하형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하형을 이루는 센터 다이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및 냉각수 통로 상세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하형을 이루는 고정 다이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및 냉각수 통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형
20 : 하형
21 : 배킹 플레이트
22 : 디스턴스 플레이트
23 : 서포트 플레이트
24 : 링크 플레이트
25 : 마운팅 플레이트
25a : 관통홈
26 : 센터 다이
27 :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
28 : 고정 다이
31, 32, 41, 42 : 냉각수 공급통로
33, 34, 43, 44 : 냉각수 배출통로
35, 36, 45, 46 : 냉각수 순환통로
본 발명은 포밍 공법을 이용하기 위한 열간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간 상태에서 포밍(Forming) 성형과 동시에 가공 소재를 급속히 냉각하여 고강도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에 사용되는 금형은 냉간 프레스 금형과 열간 프레스 금형으로 대별된다.
먼저, 냉간 프레스 금형은 별도의 냉각 구조가 불필요하며, 단지 성형에 필요한 성형력을 유압 프레스의 쿠션핀을 통해서 하형 금형에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예컨대, 자동차용 범퍼 빔을 제조하기 위한 냉간 프레스 포밍 금형은 하형과 상형으로 구성되며, 특히 하형 금형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다이와, 프레스의 유압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쿠션핀의 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센터 다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블랭크가 이송되면 상형이 하강하면서 제품이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금형을 설계할 때에는 쿠션핀과의 체결 방법에 대한 고려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다음, 열간 프레스 금형, 특히 드로잉 공법을 이용하기 위한 하형의 구조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성형 및 냉각을 위해 구비된 펀치(1)와, 블랭크 홀더(2)를 지지하기 위한 마운팅 플레이트(3)를 포함하는데, 하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중 성형 공정 중 냉각수가 흐르지 않는 블랭크 홀더(2)만 상하 이동을 한다. 즉, 하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중 냉각이 필요한 부품들은 모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마운팅 플레이트(3)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금형은, 별도의 냉각수 공급에 대한 구조적인 검토가 불필요하여, 포밍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금형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단순하다.
최근, 열간 상태에서 포밍(Forming) 성형과 동시에 가공 소재를 급속히 냉각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에 의해 고강도의 물성을 확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포밍 공법을 이용하기 위한 열간 프레스 금형의 경우, 소재의 표면과 접촉 하는 부위에 냉각수가 고르게 또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하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중 상하 운동하는 부품들에 대한 냉각수 공급 구조는 종래의 것과는 달라야 한다.
이와 같이 포밍 공법을 이용하기 위한 종래의 열간 프레스 금형은, 전체적으로는 드로잉 공법을 이용하기 위한 열간 프레스 금형과 유사하며, 일부 부위는 프레스의 유압을 쿠션핀에 의해 전달받아 센터 다이가 상하 이동하는 냉간 프레스 금형의 구조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밍 공법에 사용되는 열간 프레스 금형은, 마운팅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형태를 취함으로써 상하 운동하는 하형의 부품들에 대한 냉각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요구하는 냉각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였던 문제점과, 복잡한 구조의 유압 쿠션핀이 적용되어 금형 설계의 자유도가 크게 제약을 받았던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밍 성형과 동시에 소재를 급속히 냉각하여 고강도의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열간 프레스 금형의 상,하형 중 하형의 상하 이동 부품에 대한 냉각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게 한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 쿠션핀을 적용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금형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다 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포밍 성형과 동시에 소재를 급속히 냉각하여 고강도의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된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을 이루는 하형은,
상하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받고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통로와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통로가 구비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냉각수 공급통로에서 제공된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재를 냉각시킨 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냉각수 배출통로로 배출시키는 냉각수 순환통로가 구비된 센터 다이;
베이스를 이루는 베킹 플레이트;
상기 베킹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디스턴스 플레이트;
상기 디스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센터 다이 사이에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가 상하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홈을 가지며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통로와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통로가 구비된 마운팅 플레이트; 및
상기 센터 다이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냉각수 공급통로에서 제공된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재를 냉각시킨 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냉각수 배출통로로 배출시키는 냉각수 순환통로가 구비된 고정 다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신축성이 있는 호스를 통해 냉각수를 공급받고 배출시키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상기 센터 다이와 고정 다이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멀티 커플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열간 프레스 금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좌측에 도시된 도면은 상형(10)과, 하형(2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며, 우측에 도시된 도면은 상형(10)과 하형(2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상형(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열간 프레스 금형의 상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형(10)을 이루는 부품들은 상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소재와 접촉하는 부위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충분한 냉각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상형(10)의 냉각 구조에 대한 별도의 구조를 제시하지는 않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상형(10)과 하형(20)은 프레스의 장착성 등을 고려하여 사이즈가 적정하게 결정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열간 프레스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금형을 이루는 하형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특히, 도4a는 하형을 이루는 구성부품들 중 마운팅 플레이트(25)가 제거된 상태로서, 우측의 도면은 센터 다이(26)가 고정 다이(28)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였을 때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4b는 도4a에 마운팅 플레이트(25)가 장착된 상태일 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금형은 자동차의 범퍼 빔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금형을 이루는 상기 하형(20)은 실질적인 베이스를 이루는 배킹 플레이트(21)를 갖는다.
상기 배킹 플레이트(21)의 상부에는 디스턴스 플레이트(2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디스턴스 플레이트(22)는 예컨대 여러 개의 블록이 도면의 좌, 우 및 중앙에 배치된 형태로서, 이들 블록의 사이에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이 위치되어 상기 배킹 플레이트(21)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상기 디스턴스 플레이트(22)는 일체로 형성된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이 배치될 수 있도록 홈을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은 고압질소의 공급에 의해 센터 다이(26)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턴스 플레이트(22)의 상단에는 중앙에 관통홈(25a)이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25)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마운팅 플레이트(25)의 상부에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관통홈(25a)의 전방 및 후방 쪽에 위치되도록 고정 설치된 고정 다이(2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의 상단에는 서포트 플레이트(23)를 매개로 링크 플레이트(24)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24)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 다이(28)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도록 센터 다이(2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턴스 플레이트(22)에는 센터 다이(26) 및 고정 다이(28)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멀티 커플링(40)이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하형(20)에는 프레스 작업시 이동하지 않는 부품인 고정 요소와 상하 이동되는 부품인 이동 요소로 구분되며, 전자는 배킹 플레이트(21), 디스턴스 플레이트(22), 마운팅 플레이트(25) 및 고정 다이(28)이며, 후자는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에 연결된 서포트 플레이트(23), 링크 플레이트(24) 및 센터 다이(26)이다.
이들 중, 프레스되는 소재의 냉각에 실질적으로 관련되는 부위는 센터 다이(26)와 고정 다이(28)이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센터 다이(26)와 고정 다이(28)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통로의 구조에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a는 본 발명의 하형을 이루는 센터 다이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5b는 센터 다이의 냉각수 통로(공급,배출 및 순환 통로들)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6a는 본 발명의 하형을 이루는 고정 다이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고정 다이의 냉각수 통로(공급,배출 및 순환 통로들)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한편, 상기 도 5b 및 도 6b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이해를 돕기 위하여 컬러도면으로 나타내었는데, 예를 들어 짙은 파란색-> 냉각수 공급통로, 빨간색 ->냉각수 배출통로, 옅은 파란색->순환통로, 초록색->냉각수 인,출입구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3)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통로(31)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센터 다이(26)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통로(32)를 통해 상기 센터 다이(26)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다이(26)에 제공된 냉각수는 프레스 소재를 냉각시키는데 적절한 경로를 갖도록 상기 센터 다이(26)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통로(35)(36)를 통해 순환함으로써 프레스 소재를 간접 열교환에 의해 급속 냉각시킨 후, 상기 센터 다이(26)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통로(34)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3)에 형성된 냉 각수 배출통로(33)를 통해 하형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플레이트(23)측의 냉각수 공급통로(31)와 배출통로(33)에는 냉각수 인입 및 배출을 위한 냉각수 입,출구(31a)(33a)들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냉각수 순환통로중 부호 35는 수평방향의 순환통로이고, 부호 36은 수직방향의 순환통로를 나타낸다.
또한, 이와 같은 순환통로들은 적정하게 공급통로와 배출통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서포트 플레이트(23)의 냉각수 공급통로(31)와 냉각수 배출통로(34)는 신축성이 있는 호스(미도시됨)를 통해 멀티 커플링(40)(도 4b참조)에 연결됨으로써 냉각수가 공급되고 또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렇게 신축성이 있는 호스를 통한 냉각수 공급 및 배출 구조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3) 및 이에 연결 설치된 센터 다이(26)가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다음, 도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5)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통로(41)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고정 다이(28)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통로(42)를 통해 상기 고정 다이(28)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다이(28)에 제공된 냉각수는 프레스 소재를 냉각시키는데 적절한 경로를 갖도록 상기 고정 다이(28)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통로(45)(46)(도 5b와 마찬가지로 상기 냉각수 순환통로중 45는 수평방향 순환통로이고, 46은 수직방향 순환통로이며, 이와 같은 순환통로들은 적정하게 공급통로와 배출통로와 연결된다.)를 통해 순환됨으로써 프레스 소재를 간접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킨 후, 상기 고정 다이(28)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통로(44) 및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5)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통로(43)를 통해 하형의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5)의 냉각수 공급 및 배출은 멀티 커플링(40)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특의 각 냉각수 공급통로(41)와 배출통로(43)에는 도 5b와 마찬가지로 냉각수 인입 및 배출을 위한 냉각수 입,출구(41a)(43a)들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센터다이(26)와 고정다이(28)는 도 5a 및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구성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공되는 내측의 냉각수 공급 및 배출통로와 순환통로들은 구성부재들을 돌려가면서 양측에서 가공하여 냉각수 통로들이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냉각수 공급통로와 순환통로 및 배출통로는 각 구성부재에 가공 형성되기 때문에, 도 5b 및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통로 끝은 막음볼트(B)를 통하여 밀폐되어 냉각수 누수를 차단하며, 이와 같은 막음 볼트(B)는 알려진 것이다.
이와 같은 냉각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금형의 하형은 프레스 작업이 수행될 때, 각각 센터 다이(26)와 고정 다이(28)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프레스 소재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서포트 플레이트(23), 링크 플레이트(24) 및 센터 다이(26)가 서로 연결 설치됨으로써 동시에 상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는 냉각수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물론, 상기 센터 다이(26)는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을 통해 제공되는 힘에 의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상태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이러한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은 센터 다이(26)의 어느 일측이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이 센터 다이(26)의 상하 운동원으로 사용하면, 종래의 쿠션핀 구조에 비하여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프레스의 쿠션 유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수의 안정적인 공급은, 전술한 것처럼, 서포트 플레이트(23)와 링크 플레이트(24)가 실질적으로 일체화되는 구조에 의해 가능하며, 금형의 상형이 전체적으로 하강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면, 센터 다이(26), 링크 플레이트(24) 및 서포트 플레이트(23)가 하강함과 동시에,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27)이 하강하면서 소재에 성형력을 부여하여 센터 다이(26) 면의 제품 형상이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가 상기한 통로들을 통해 신속하게 유입 및 유출되면서 금형 내에서 소재가 급속 냉각되며, 이에 의해 고강도의 부품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센터 다이(26)가 고정 부품들과의 간섭이 없이 지속적으로 상하 운동을 반복할 수 있고, 소재 냉각을 위한 냉각수의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바, 이는 각각의 분할된 부품들에 냉각수를 직접 제공하는 구조와 비교할 때 냉각수 공급 및 배출라인의 연결 작업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이들 부품의 상호 간섭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냉각수를 센터 다이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통로를 통해 순환함으로써 가열된 소재를 간접 열교환에 의해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금형의 구성 부품들 중, 특히 하형의 구성 부품들 중, 상하 이동하는 센터 다이가 서포트 플레이트 및 링크 플레이트를 통해 냉각수를 공급받음으로써 냉각수가 개별적으로 공급될 때의 부품 상호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조립이 비교적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유압 쿠션핀을 사용하지 않고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금형 설계시 프레스 구조에 대한 제한 조건이 완화되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포밍 성형과 동시에 소재를 급속히 냉각하여 고강도의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되는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을 이루는 하형은,
    상하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받고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통로와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통로가 구비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냉각수 공급통로에서 제공된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재를 냉각시킨 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냉각수 배출통로로 배출시키는 냉각수 순환통로가 구비된 센터 다이;
    베이스를 이루는 베킹 플레이트;
    상기 베킹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디스턴스 플레이트;
    상기 디스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센터 다이 사이에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가 상하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홈을 가지며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통로와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통로가 구비된 마운팅 플레이트; 및
    상기 센터 다이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냉각수 공급통로에서 제공된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재를 냉각시킨 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냉각수 배출통로로 배출시키는 냉각수 순환통로가 구비된 고정 다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신축성이 있는 호스를 통해 냉각수를 공급받고 배출시키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질소 충전 가스 스프링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상기 센터 다이와 고정 다이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냉각수 공급통로 및 냉각수 배출통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냉각수 공급통로 및 냉각수 배출통로와 연결된 멀티 커플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KR1020060079486A 2006-08-22 2006-08-22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KR10081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486A KR100815771B1 (ko) 2006-08-22 2006-08-22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486A KR100815771B1 (ko) 2006-08-22 2006-08-22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080A KR20080019080A (ko) 2008-03-03
KR100815771B1 true KR100815771B1 (ko) 2008-03-20

Family

ID=3939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486A KR100815771B1 (ko) 2006-08-22 2006-08-22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165B1 (ko) * 2013-05-21 2013-09-23 (주)코링텍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4607A (zh) * 2013-09-26 2013-12-25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模块化差温成形热冲压模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229U (ko) 1996-12-30 1998-10-07 오상수 프레스 금형의 냉각장치
JP2002282951A (ja) * 2001-03-22 2002-10-02 Toyota Motor Corp 金属板材の熱間プレス成形方法及び熱間プレス成形装置
KR20030005631A (ko)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KR20040007962A (ko) 2002-07-15 2004-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KR20060054479A (ko) * 2003-10-02 2006-05-22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금속 판재의 열간 프레스 성형 장치 및 열간 프레스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229U (ko) 1996-12-30 1998-10-07 오상수 프레스 금형의 냉각장치
JP2002282951A (ja) * 2001-03-22 2002-10-02 Toyota Motor Corp 金属板材の熱間プレス成形方法及び熱間プレス成形装置
KR20030005631A (ko)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KR20040007962A (ko) 2002-07-15 2004-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KR20060054479A (ko) * 2003-10-02 2006-05-22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금속 판재의 열간 프레스 성형 장치 및 열간 프레스 성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165B1 (ko) * 2013-05-21 2013-09-23 (주)코링텍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080A (ko) 200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9858B2 (ja) 熱成形プレス
KR101281740B1 (ko) 엠보스가 형성된 강판의 가압성형방법
CN101342559A (zh) 热成型方法和装置
KR100815771B1 (ko)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KR101384310B1 (ko) 사출성형용 금형 복합 냉각장치
KR100608481B1 (ko) 라디에이터 조립장치에 설치되는 조립유닛
JP6758710B2 (ja) プレス装置
KR101581940B1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핫스템핑 금형
US10065228B2 (en) Collapsible spacer and spacing method for forming
KR200170475Y1 (ko) 신발의 중창제조용 금형장치
CA2468123A1 (en) Modular die for forming pre-heated metal blank
KR20160074247A (ko) 핫스탬핑 부품 제조용 금형장치
CN111918730B (zh) 热压加工方法及加工装置
JPH08103826A (ja) 絞り成形用金型装置及びプレス機械及び絞り成形方法
KR100579307B1 (ko) 피어싱 펀치
KR101979899B1 (ko) 패드 냉각형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JP7368778B2 (ja) 金型
KR20110097524A (ko) 프레스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 방법
KR100534762B1 (ko) 냉각장치가 장착된 프레스 금형
KR102488355B1 (ko) 바이메탈 이젝터가 적용된 열간성형 금형
KR19980051229U (ko) 프레스 금형의 냉각장치
KR102345596B1 (ko) 핫스탬핑 부품의 고정밀 열간 피어싱을 위한 실린더 모듈 통합 복합금형
CN213530444U (zh) 一种热成型模具下模座以及热成型模具
KR19980082818A (ko) 냉각 회로가 구비된 프레스 다이
KR102086559B1 (ko) 핫 프레스 성형용 다수의 수직 판 타입 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