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165B1 -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165B1
KR101309165B1 KR1020130056871A KR20130056871A KR101309165B1 KR 101309165 B1 KR101309165 B1 KR 101309165B1 KR 1020130056871 A KR1020130056871 A KR 1020130056871A KR 20130056871 A KR20130056871 A KR 20130056871A KR 101309165 B1 KR101309165 B1 KR 10130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oling water
hot press
cov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한
임옥동
조용구
이종구
문형진
고아도
Original Assignee
(주)코링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링텍 filed Critical (주)코링텍
Priority to KR102013005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은, 냉각수 공급유로 및 냉각수 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 및 냉각수 배출유로의 일측이 상면으로 연통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안착되어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바디와 결합되되, 상기 바디의 상면과 대응되는 부위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바디의 상면과 이격되어 냉각수 유로를 마련하는 캡; 상기 바디의 외측벽 하단과 상기 캡의 내측벽 하단 사이에 장착되는 패킹; 상기 바디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을 상기 바디와 상기 캡에 압착시키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냉각수 유로를 다양한 패턴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 냉각수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손상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며, 열전달효율이 개선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Cap type hot press forming mold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본 발명은 고온의 소재를 금형 내에서 급랭시켜 고강도의 부품을 얻기 위한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바디와 캡 사이에 냉각수 유로를 마련하되 바디와 캡 간의 접촉부위를 브레이징 방식으로 결합시킨 후 밀폐용 패킹을 추가로 장착시킴으로써 냉각수 유로 성형 편의성 및 냉각수 유로 실링효과가 향상되는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자동차 부품을 개발 및 생산함에 있어 환경보호를 위한 연비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연비절감과 차체의 경량화를 위한 고강도 소재의 사용을 확대 적용하고 있다. 특히 완성차 업계에서는 자동차 충돌안전 법규의 강화와 배기가스 규제강화에 따른 차량 경량화를 위하여 차량용 구조재로 고장력 강판의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강도 소재의 성형은 성형 이후 과도한 스프링백 문제와 함께 성형 후 치수가 변동되는 치수 동결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고장력강을 고온에서 성형과 동시에 금형 내에서 소재를 급랭하여 고강도의 부품을 얻는 방식인 핫프레스 성형(Hot Press Forming 이하 HPF)을 이용한 공정기술 개발로 자동차 차체의 가공성 향상, 치수 정도 향상 등을 실현하고 있어 현재 우수한 성형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핫프레스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냉각수 유로가 매설 형성된 상측 가열판 및 하측 가열판과, 상기 상측 가열판 및 하측 가열판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펌프와, 상측 가열판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핫프레스 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378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상측 가열판 및 하측 가열판에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상측 가열판 및 하측 가열판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경우 다양한 패턴으로 냉각수 유로를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가열판을 바디와 캡으로 구분하여 제작한 후 바디와 캡 사이에 냉각수 유로가 마련되도록 상기 바디와 캡을 결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바디와 캡 사이를 지나는 냉각수가 바디와 캡의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바디와 캡 사이에 패킹을 장착시키면 냉각수 누수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바디와 캡 사이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이 매우 높아 패킹의 수명이 짧아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15771 B1 KR 10-2012-0122890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각수 유로를 다양한 패턴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 냉각수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손상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냉각효율이 높은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은, 냉각수 공급유로 및 냉각수 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 및 냉각수 배출유로의 일측이 상면으로 연통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안착되어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바디와 결합되되, 상기 바디의 상면과 대응되는 부위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바디의 상면과 이격되어 냉각수 유로를 마련하는 캡; 상기 바디의 외측벽 하단과 상기 캡의 내측벽 하단 사이에 장착되는 패킹; 상기 바디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을 상기 바디와 상기 캡에 압착시키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은, 저면 중 상기 냉각수 유로가 마련되는 면 전체와, 상기 바디와 접촉되는 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가 구비되어,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바디와 결합된다.
상기 캡은, 상기 냉각수 유로가 마련되는 부위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 및 냉각수 배출유로는 상기 바디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의 하측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냉각수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배출유로의 하측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냉각수 배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핫프레스 금형 제조방법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바디의 상면과 대응되는 부위가 상기 바디의 상면과 이격되는 캡과, 상면이 상기 바디의 저면과 형합되는 커버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기 캡의 내측면에 브레이징 용가재를 마련하는 제2 단계; 상기 캡의 내측에 바디를 삽입시킨 후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캡과 바디를 결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바디의 저면과 상기 캡의 저면 사이에 패킹을 장착시키고, 상기 커버를 상기 바디의 저면에 장착시키는 제4 단계;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바디의 저면에 결합시켜, 상기 패킹을 상기 바디 및 캡의 저면에 압착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캡을 뒤집은 후 상기 캡의 내측면에 판상 또는 페이스트의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를 안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캡과 바디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브레이징 공정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냉각수 유로를 다양한 패턴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 냉각수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손상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며, 열전달효율이 개선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캡과 바디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핫프레스 금형은 바디(100)와 캡(200) 사이의 이격 공간이 냉각수 유로(700)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캡 타입의 핫프레스 금형으로서, 바디(100)와 캡(200) 사이로 유입된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아니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700)를 통해서만 흐를 수 있도록 바디(100)와 캡(200) 사이의 공간 중 가장자리 부위가 오링과 같은 패킹(400)으로 밀폐된다. 그러나 바디(100)와 캡(200) 사이의 공간이 하나의 패킹(400)에 의해서만 밀폐되도록 구성되면, 바디(100)와 캡(200) 사이로 유입된 냉각수의 압력이 크거나 매우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어 패킹(400)이 손상되었을 때 바디(100)와 캡(200) 사이의 틈을 통해 냉각수가 누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바디(100)와 캡(200) 사이의 가장자리 부위가 패킹(400)에 의해 밀폐됨은 물론, 바디(100)와 캡(200)이 상호 마주보는 면 중에서 냉각수 유로(700) 역할을 하지 아니하는 부위가 브레이징 공정에 의해 접착되어 냉각수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실링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가 내부에 형성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결합되되 상기 바디(100)의 상면과 대응되는 부위(도 1 및 도 2에서는 저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바디(100)의 상면과 이격되어 냉각수 유로(700)를 마련하는 캡(200)과, 바디(100)의 외측벽 하단과 캡(200)의 내측벽 하단 사이에 장착되는 패킹(400)과, 바디(100)의 저면에 결합되어 패킹(400)을 바디(100)와 캡(200)에 압착시키는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00)와 캡(200)의 저면 중 패킹(400)이 안착되는 지점에는, 패킹(400)의 상측 일부가 인입되어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끝단이 커버(300)를 관통한 후 바디(100)의 저면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500)에 의해 상기 커버(300)가 바디(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커버(300)는 바디(100)의 저면에 압착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0)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는 일측이 바디(100)의 상면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므로, 냉각수 공급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는 바디(100)와 캡(200) 사이의 냉각수 유로(700)를 지나면서 캡(200)을 냉각시킨 후, 냉각수 배출유로(120)를 통해 바디(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바디(100)와 캡(200)이 상호 맞닿는 부위는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결합되므로 냉각수 유로(700)로 유입된 물은 캡(200)의 내벽과 바디(100)의 외벽 사이로 누수되지 못하고 모두 냉각수 배출유로(120)를 따라 흐르게 된다. 가령, 본 발명에 의한 핫프레스 금형이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어 바디(100)와 캡(200)이 결합된 브레이징 부위가 손상되어 냉각수가 누수되더라도, 캡(200)의 내벽 하단과 바디(100)의 외벽 하단 사이는 패킹(400)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바, 바디(100)와 캡(200) 사이를 통해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핫프레스 금형은, 캡(200)의 저면 형상과 바디(100)의 상면 형상 조정을 통해 다양한 패턴의 냉각수 유로(700)를 매우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캡(200) 방식 핫프레스 금형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도, 바디(100)의 외측벽과 캡(200)의 내측벽 사이가 1차적으로 브레이징 용가재(600)에 의해 밀폐되고 2차적으로 패킹(400)에 의해 밀폐되는바, 냉각수 유로(700)의 실링효과가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냉각수 유로(700)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냉각수 유로(700)의 밀폐성이 향상되면, 핫프레스 금형의 제조공정 단순화 및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디(100)의 외측벽과 캡(200)의 내측벽은 상호 형합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되, 바디(100)와 캡(200) 간의 브레이징 접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냉각수 누수 방지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캡(200)의 측벽 부위가 브레이징 용가재(600)에 의해 밀폐되도록 접합되고, 바디(100) 상면과 캡(200) 저면 사이에 안착된 패킹(400)이 커버(300)를 바디(100)의 저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500)의 체결력에 의해 바디(100) 및 캡(200)에 압착되도록 구성되면, 바디(100)와 캡(200) 간의 블레이징 접합 부위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캡(200)만을 탈거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패킹(400)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체결볼트(500)를 풀어 커버(300)만을 탈거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캡(200) 방식의 핫프레스 금형은 캡(200)의 상면이 고온으로 가열되며 저면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되는바, 캡(200)이 상면과 하면 간의 온도차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바디(100)와 캡(200)을 브레이징 방식으로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바디(100)와 캡(200) 사이에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추가적으로 공급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캡(200) 방식 핫프레스 금형은 상기와 같은 캡(200) 파손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바디(100)와 캡(200) 사이에 공급되는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로 사용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는, 바디(100)와 캡(200)이 접합되어야 하는 영역에서는 바디(100)와 캡(200) 사이의 간격을 밀실하게 채워 실링되도록 하고, 바디(100)와 캡(200)이 상호 이격되어야 하는 영역 즉, 바디(100)와 캡(200) 사이 중 냉각수 유로(700)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캡(200)의 저면에 부착된다.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는 일반 브레이징 용가재(600)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캡(200)의 저면에 부착되면 캡(200)이 파손되는 현상을 일정 수준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는 열전도성이 매우 높으므로, 캡(200) 저면 중 냉각수 유로(700)가 되는 부위에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가 부착되면 냉각수 유로(700)를 지나는 냉각수와 캡(200) 간의 열교환이 모든 냉각수 유로(700) 영역에서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캡(200)은, 상기 냉각수 유로(700)가 마련되는 부위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냉각수 유로(700)가 마련되는 부위의 캡(200)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부위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냉각되므로, 열응력 발생 우려가 매우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냉각수 유로(700)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유로(110)와, 냉각수 유로(700)를 지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수 배출유로(120)는, 냉각수 유로(700)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반드시 바디(100)의 상면에 형성되어야 하지만, 길이방향 타단은 바디(10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면 바디(100)의 어느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공급유로(110)와 냉각수 배출유로(120)는 길이방향 타단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바디(100)의 측벽 및 캡(20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중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의 중단을 절곡하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2회 이상의 드릴링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므로,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는 한 번의 드릴링 공정으로 제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이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의 길이방향 타단이 바디(100)의 저면에 위치되고 커버(300)가 바디(100)의 저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300)는 냉각수 공급유로(110)의 하측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냉각수 공급구(310)가 형성되고, 냉각수 배출유로(120)의 하측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냉각수 배출구(320)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캡과 바디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핫프레스 금형 제조방법은 바디(100)와 캡(200) 사이의 이격공간이 냉각수 유로(700)로 활용되도록 구성되는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100)와 캡(200)을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1차적으로 접합시킨 후 바디(100)와 캡(200) 사이에 패킹(400)을 추가적으로 압착시킴으로써, 바디(100)와 캡(200) 사이를 통해 냉각수가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캡(200) 및 커버(300)를 제작하는 제1 단계(S10)와, 캡(200)의 내측면에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마련하는 제2 단계(S20)와, 캡(200)의 내측에 바디(100)를 삽입시킨 후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캡(200)과 바디(100)를 결합시키는 제3 단계(S30)와, 바디(100)의 상면과 상기 캡(200)의 저면 사이에 패킹(400)(도 1에서는 오링)을 장착시키고, 커버(300)를 바디(100)의 저면에 장착시키는 제4 단계(S40)와, 체결볼트(500)를 이용하여 커버(300)를 바디(100)의 저면에 결합시킴으로써 패킹(400)을 바디(100) 및 캡(200)의 저면에 압착시키는 제5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0)이 바디(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캡(200)의 저면으로 제공하여 브레이징을 하게 되면, 브레이징 용가재(600)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냉각수 유로(700)를 막을 수도 있고, 바디(100)와 캡(200) 간의 브레이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캡(200) 내측면에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마련하는 제2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0)을 뒤집은 후 상기 캡(200)의 내측면에 판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안착시키도록 구성되고, 브레이징을 하는 제3 단계는 브레이징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캡(200)과 바디(100)를 뒤집어 놓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서는 이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캡(200)을 브레이징 시킨 이후에는, 패킹(400) 및 커버(300)를 안착시킨 후, 체결볼트(500)를 체결하여 커버(300)를 바디(100)에 결합시켜, 도 1에 도시된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볼트(500)를 체결할 때에는 바디(100)와 캡(200) 간의 브레이징 공정이 완료된 이후이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0)이 바디(1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원위치시킨 후 커버(300)를 바디(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바디 110 : 냉각수 공급유로
120 : 냉각수 배출유로 200 : 캡
300 : 커버 310 : 냉각수 공급구
320 : 냉각수 배출구 400 : 패킹
500 : 체결볼트 600 : 브레이징 용가재
700 : 냉각수 유로

Claims (6)

  1.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의 일측이 상면으로 연통되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안착되어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바디(100)와 결합되되, 상기 바디(100)의 상면과 대응되는 부위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바디(100)의 상면과 이격되어 냉각수 유로(700)를 형성하는 캡(200);
    상기 바디(100)의 외측벽 하단과 상기 캡(200)의 내측벽 하단 사이에 장착되는 패킹(400);
    상기 바디(10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400)을 상기 바디(100)와 상기 캡(200)에 압착시키는 커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캡(200)에는, 저면 중 상기 냉각수 유로(700)가 마련되는 면 전체와, 상기 바디(100)와 접촉되는 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가 구비되어,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바디(1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0)은, 상기 냉각수 유로(700)가 마련되는 부위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110) 및 냉각수 배출유로(120)는 상기 바디(1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300)는 상기 냉각수 공급유로(110)의 하측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냉각수 공급구(310)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배출유로(120)의 하측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냉각수 배출구(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5.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바디(100)의 상면과 대응되는 부위가 상기 바디(100)의 상면과 이격되는 캡(200)과, 상면이 상기 바디(100)의 저면과 형합되는 커버(300)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기 캡(200)의 내측면에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마련하는 제2 단계;
    상기 캡(200)의 내측에 바디(100)를 삽입시킨 후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캡(200)과 바디(100)를 결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바디(100)의 상면과 상기 캡(200)의 저면 사이에 패킹(400)을 장착시키고, 상기 커버(300)를 상기 바디(100)의 저면에 장착시키는 제4 단계;
    체결볼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300)를 상기 바디(100)의 저면에 결합시켜, 상기 패킹(400)을 상기 바디(100) 및 캡(200)의 저면에 압착시키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캡(200)을 뒤집은 후 상기 캡(200)의 내측면에 판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니켈계 브레이징 용가재(600)를 안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캡(200)과 바디(100)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브레이징 공정을 완료하도록 구성되는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30056871A 2013-05-21 2013-05-21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10130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871A KR101309165B1 (ko) 2013-05-21 2013-05-21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871A KR101309165B1 (ko) 2013-05-21 2013-05-21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165B1 true KR101309165B1 (ko) 2013-09-23

Family

ID=4945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871A KR101309165B1 (ko) 2013-05-21 2013-05-21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1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836A (ko) * 2017-04-13 2018-10-24 (주)오토젠 캡 타입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어셈블리
KR101933930B1 (ko) * 2017-02-06 2018-12-31 (주)탑아이엔디 핫 스탬핑 금형
KR101933928B1 (ko) * 2017-02-06 2018-12-31 (주)탑아이엔디 핫 스탬핑 금형
CN109909379A (zh) * 2019-03-29 2019-06-21 重庆大学 热冲压成形模具镶块结构及其加工方法
KR20230102570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핫스탬핑 금형
EP4129517A4 (en) * 2020-03-26 2023-09-06 Nippon Steel Corporation SHAP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71B1 (ko) * 2006-08-22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71B1 (ko) * 2006-08-22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930B1 (ko) * 2017-02-06 2018-12-31 (주)탑아이엔디 핫 스탬핑 금형
KR101933928B1 (ko) * 2017-02-06 2018-12-31 (주)탑아이엔디 핫 스탬핑 금형
KR20180115836A (ko) * 2017-04-13 2018-10-24 (주)오토젠 캡 타입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어셈블리
KR101961745B1 (ko) * 2017-04-13 2019-07-18 (주)오토젠 캡 타입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어셈블리
CN109909379A (zh) * 2019-03-29 2019-06-21 重庆大学 热冲压成形模具镶块结构及其加工方法
EP4129517A4 (en) * 2020-03-26 2023-09-06 Nippon Steel Corporation SHAPE
KR20230102570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핫스탬핑 금형
KR102639044B1 (ko) 2021-12-30 2024-02-21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핫스탬핑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65B1 (ko) 캡 타입 핫프레스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101761678B1 (ko) 배터리용 냉각장치의 제조방법
CN101733949B (zh) 层板压力机及冲压板-加压衬垫单元
CN103084474A (zh) 用于热冲压的模具
CN1915574A (zh) 不锈钢薄板箱盖与箱体的焊接加工工艺
CN103143627A (zh) 用于热冲压的模具以及制造该模具的方法
KR101943614B1 (ko) 접착제로 결합된 3차원 냉각 사출금형 및 그 제작방법
CN105300141A (zh) 热交换器
CN203769919U (zh) 铝质型管汽车散热器
KR101365195B1 (ko) 열전달 성능이 개선된 핫프레스 금형
CN201159094Y (zh) 汽车发动机油底壳
KR101742630B1 (ko) 차량용 조인트 플랜지
ITAN20080050A1 (it) Radiatore alettato in profilati di alluminio di peso ridotto ed elevato rendimento termico
CN209094523U (zh) 含有冷却槽密封结构的模具
CN204128398U (zh) 一种汽车全铝水箱散热器
CN103742249A (zh) 铝质型管汽车散热器
KR20140032411A (ko) 연료 분배기
CN220761527U (zh) 一种均温板焊接治具
KR102639044B1 (ko) 핫스탬핑 금형
KR20160120514A (ko) 냉간단조에 의한 차량 엔진 연료레일용 보스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9163798A (ja) 金属製ガスケット
CN212577441U (zh) 一种用于铸造模具的冷却水道
CN205445767U (zh) 一种高牢固度低泄漏率的汽车散热器
CN204647251U (zh) 一种车用机油冷却器
CN204976927U (zh) 用于热压合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