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830B1 - 공압식 물질 이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압식 물질 이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830B1
KR101931830B1 KR1020137014154A KR20137014154A KR101931830B1 KR 101931830 B1 KR101931830 B1 KR 101931830B1 KR 1020137014154 A KR1020137014154 A KR 1020137014154A KR 20137014154 A KR20137014154 A KR 20137014154A KR 101931830 B1 KR101931830 B1 KR 101931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ipe
pipe
main
branch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261A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4000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8Systems utilising a combination of gas pressure and suction

Abstract

물질 이송 시스템에서의 물질 이송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주입점(60), 주입점(60)과 연결될 수 있는 물질 이송 파이프 및 이송될 물질을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수단(90,90A,90B) 및 적어도 물질이 이송되는 동안 이송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방법에서,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과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과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와, 주입점(60)이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과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물질은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 수단에 의하여 먼저 주입점(60)점에서 운반되어, 분기 이송 파이프(80A,80B)를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으로 운반되며,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은 물질 저장소로 이용되며,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으로 운반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의 수단에 의하여 분리 수단(90,90A,90B)으로 운반된다.

Description

공압식 물질 이송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정의된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에서의 물질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6항에 정의된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분진공 이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 폐기물의 이송과 같은 폐기물의 집하 및 이송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가 파이프 내에서 흡입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시스템은 종래에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쓰레기는 파이프 내에서 흡입에 의하여 장거리를 이동한다. 그중에서도 도심지에서의 생활 폐기물 이송이나 그 밖의 기관에서 쓰레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압력차를 만들 수 있도록 부분진공 장치가 사용되는 시스템에서는 진공 펌프(vacuum pump)나 이젝터(ejector) 장치와 같은 부분진공 생성기로 이송 파이프 내에서 부분진공을 달성한다. 일반적으로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포함하여 이들을 개폐함으로써 이송 파이프 안으로 들어오는 대체 공기(replacement air)를 조절한다. 무엇보다 부분진공 이송 시스템에서는 보통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높은 에너지 소비, 파이프 내에서의 고기류, 소음 문제 및 배출 파이프의 먼지 및 분진 문제 등이 그것이다. 나아가 이송 파이프의 길이가 수천 미터나 될 수 있는 장거리에서는 압력 손실이 증가하므로, 이송 시스템의 만족할만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매우 큰 파이프와 그에 상응하는 효율적인 펌프 장치, 예를 들어 송풍기(fan)가 필요해진다. 이는 비용면에서 보면 무척이나 값비싼 해결방안일 뿐만 아니라 설치시에 있어서 파이프의 크기가 증가하여, 훨씬 큰 공간을 요구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적어도 물질이 이동하는 동안, 이송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로(circuit)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는 이송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서, 그의 흡입부 측이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와 연결되고, 나아가 반환 지점에서 이송 파이프와 연결되어, 펌프가 압력을 생성하는 측에서 이송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이송 파이프의 배출측에서 순환로 안으로 유입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상당히 개선할 수는 있었다. 이러한 방식의 해결방법은 공개특허 FI20085141 및 그의 대응 공개특허 WO2009/08088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시스템을 더욱 개선하고 물질 이송 시스템에 관한 완전히 새로운 해결방안을 제공함에 있고,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 시스템에 적합한 부분진공 이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해결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의 배출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먼지 및 분진의 방출과 악취를 줄일 수 있는 수단에 의하여 해결방안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사항에 따른 주요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5항에 기술된 사항에 따른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청구항 제16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사항에 따른 주요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청구항 제17항 내지 제32항에 기술된 사항에 따른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물질 이송 방법은 다수의 중요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쓰레기 물질 이송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을 두 개의 단계(two phase)로 이용함으로써, 제1 단계(first phase)에서 주입점(input point)이 비워지고 거기에 담긴 쓰레기 물질이 분기 파이프(branch pipe)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main conveying pipe) 내로 운반되고, 제2 단계(second phase)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에서 분리 수단(separating means)으로 운반되며, 이때 메인 이송 파이프는 중간 저장소(intermediate reservoir)로써 이용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물질 이송 방법에서 펌프 유닛은 통로에서 두 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분기 이송 파이프는 동시에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은 분기 이송 파이프들에서 일어나고, 직경 면에서 분기 이송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메인 이송 파이프에 비해 작다. 직경이 더 작은 펌프 유닛의 출력은 적어도 메인 이송 파이프까지 쓰레기를 운반하는데 충분한 크기이다. 따라서 주입점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까지의 이송 거리 중 적어도 일부를 작은 에너지로 운반할 수 있고, 이는 저장소로 이용될 수 있다. 충분한 양의 쓰레기가 주입점에서 분기 파이프를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로 운반되면, 필요시 펌프 장치의 전체 출력이 일부의 메인 이송 파이프로부터 흡입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두 배의 속도까지 낼 수 있어서, 쓰레기는 쓰레기 처리소(waste station)로 운반되어 분리 수단으로 들어간다. 이후의 운반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section)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때 메인 이송 파이프는 비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송풍기(fan)의 출력 에너지가 반으로까지 줄어들 수 있다. 이송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는 순환로로, 예를 들어 링라인 파이프(ring-line piping)로 연결함으로써, 그 구조에서 파이프는 효율적으로 세척되고 건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펌프 장치가 내뿜은 공기는 파이프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제1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 안이나 메인 이송 파이프의 하나의 구획 안의 흡입/부분진공을 두 개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이룸으로써, 비워지게 될 분기 이송 파이프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적어도 교차점 부근에서 분기 이송 파이프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로의 운반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동시에 메인 이송 파이프에 대한 압력 손실이 반으로 줄어든다. 나아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직경도 작아질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이송 공기는 이송 파이프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된 순환로에서 순환될 수 있고, 이미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으로부터 운반된 쓰레기를 쓰레기 처리장의 분리 수단으로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송 공기 순환의 방향은 순환로 안에서 바뀔 수 있고, 이 경우에 최적의 운반 루트, 예를 들어 운반 거리나 에너지 사용 면에서 가장 적합한 운반 루트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 구획들에 대해 더 작은 직경의 이송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파이프의 제2 끝단에서 이송 파이프와 연결되어 순환로를 형성하지만, 이 파이프 구획들에서 이송 공기는 이른바 싱글라인 구획(single line section)으로는 순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이송 파이프의 직경은 종래의 파이프 운반 시스템에 비하여 더 작아질 수도 있다. 이송 파이프가 직경 면에서 더 작고, 물질 이송에 필요한 이송 공기량이 더 적어지므로, 실시예에 따라 상당히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의 일부가 순환로 안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파이프의 공기 세척(air-flushing)이나 습기 제거를 위해 이송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이송 파이프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효율적인 이송 효과가 달성될 수도 있고, 주입 파이프(input pipe)에서 이송 파이프로의 신속한 운반이 달성될 수 있다. 시스템 파이프를 적어도 일부의 이송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로를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배출 공기량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량도 줄어들게 된다. 부분진공과 블로잉(blowing)을 유지함으로써, 순환로 내에서의 효율적인 이송 공기 순환과 이송 파이프 내에서의 효율적인 물질 이송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 이송 방법으로, 하나의 이송 파이프를 가지는 종래의 이른바 싱글라인 시스템(single line system)도 이송 공기가 이른바 링라인 시스템을 순환하는 순환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를 가지는 해결방법과 효율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이송 파이프 내에서 적어도 일부의 운반 거리에서 이송 공기가 순환할 때 총 에너지 소비량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상당한 기술적 효과이고, 특히 도심 지역 전체나 도시를 커버하는 대규모의 쓰레기 이송 시스템에서 매우 유용하다.
필요하다면 싱글라인 시스템이나 링라인 시스템이 서로 연결될 때, 싱글라인 파이프 부분을 더욱 작게 선택할 수 있고, 링라인 파이프 부위의 직경, 예를 들어 이송 공기가 순환로 내에서 순환될 수 있는 파이프 구획의 직경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정도의 공기량은 싱글라인 부위의 파이프 내의 쓰레기를, 이송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순환로를 형성하는 링라인의 파이프 구획으로 운반하기에 충분하다. 요구되는 총 에너지량이 줄어듦으로 인하여 상당한 에너지 절약을 달성하게 된다. 절약되는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30∼5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배출 공기량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배출 파이프에서 먼지나 분진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공압식 쓰레기 이송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악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순환로의 일부로서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펌프 장치에 의해 달성되는 흡입 효과가 이송 파이프와 연결된 밸브 수단(valve means)과 같은 폐쇄 수단(closing means)이나 조절 수단(adjustment means)에 의해 조절 혹은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시스템의 이송 파이프가 완전한 링의 형상이 아니어도 흡입은 시스템 안에서 효율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동시에 파이프 안에서의 물질 이송이 시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이송 파이프 안으로 불어 넣어지는 공기와 시스템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관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소음도 본질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파이프 안에 축적되는 습기가 줄어들고 파이프는 그 안에서 순환되는 순환 공기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흡입될 공기가 줄어들게 되면 에너지 사용량도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주입점 개폐를 통해 물질을 이송 파이프 안으로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이송 파이프에서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며, 그와 동시에 시스템 동작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작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질 이송 시스템의 이송 파이프를 서브 순환로(subcircuit)와 같은 동작 영역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송 파이프 안의 물질 이송이나 주입점에서 이송 파이프로 쓰레기를 비워내는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 공기의 순환 방향을 거꾸로 함으로써, 막힘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송 공기 순환을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은 링 파이프 내에서 쉽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파이프를 건조하거나 가열하는 데 필요한 부가적인 에너지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총 에너지 소비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하에서는 예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1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2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3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4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장치의 출력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1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2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3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4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이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면에는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main conveying pipe)(100A,100B)이 도시되어 있고, 메인 이송 파이프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다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branch conveying pipe)(80A,80B)가 구비되어 있다. 본 도면의 실시예는 두 개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을 포함한다. 쓰레기의 주입점(input point)(60)은 분기 이송 파이프의 측면을 따라 구비된다. 주입점(60)은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될 쓰레기 물질의 피드인 스테이션(feed-in station)으로, 이 스테이션으로부터 물질, 더욱 상세하게 이송될 가정 쓰레기와 같은 쓰레기가 이송 시스템 안으로 주입된다. 본 시스템은 복수의 피드인 스테이션(60)을 포함할 수 있고, 운반될 물질은 이를 통해 이송 파이프 안으로 주입된다. 도면에서 주입점의 구성은 참조 번호와 연결되어 두 개의 주입점(60)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주입점(60)은 피드인 컨테이너(feed-in container)(61)를 포함하고, 이는 주입 파이프(63)에 연결될 수 있다. 주입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62)을 포함하고, 이를 개폐함으로써, 물질이 주입점에서 이송 파이프로 운반될 수 있다. 주입 파이프(63)는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과 연결되며, 계속 나아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으로 연결되어, 결국 복수의 파이프 구성으로 형성된다. 주입 파이프(63)는 복수의 주입점(6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하나의 주입 파이프를 통해 분기 이송 파이프와 연결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대체 공기 커플링(replacement air coupling)이 주입 파이프(63)의 물질 이송 방향에서, 분기 이송 파이프 혹은 메인 이송 파이프의 반대편 끝단에 구비되며, 대체 공기 커플링은 필터 수단(67)과 밸브 수단(66)을 구비하며, 이들 수단을 통해 주입 파이프(63)로의 대체 공기 유입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인 컨테이너(61)를 통해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61)를 비우기 위해 필요한 대체 공기가 들어온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수단(filtering means)을 구비할 수 있는 별도의 대체 공기 분기 커플링(replacement air branch coupling)이 주입점에 더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구동 장치(65)에 의하여 구동되는 물질 셰이퍼(64)도 주입점에 연결될 수 있다. 물질 셰이퍼를 이용하여 쓰레기 물질은 주입 파이프로 들어가기 쉽도록 압축되거나 성형될 수 있다. 주입점은 또한 물질 셰이퍼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에서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61)안에는 참조번호 1 또는 2가 표시되어 있고, 이는 동일한 주입 파이프의 피드인 컨테이너를 연속해서 비우고자 할 때, 주입 파이프(63)의 주입점을 비우는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물질의 이송 방향에서 분리 수단(90A,90B)에 더 가까운 피드인 컨테이너가 먼저 비워지고, 그 다음 연속해서 이송 방향에서 차순으로 가까운 피드인 컨테이너가 비워진다. 물론 분기 이송 파이프의 주입 파이프에 대해서도 이러한 비움 순서는 적용되며, 이때 먼저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에서 물질의 이송 방향에서 더 가까운 주입 파이프의 피드인 컨테이너가 비워지고, 그 다음 물질 이송 방향에서 차순으로 가까운 주입 파이프의 피드인 컨테이너가 비워진다.
주입점(60)에서 이송 파이프(63)로 주입된 물질은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을 따라 메인 이송 파이프로 이송된다.
도 1은 제2 주입점(60)이 제1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 파이프에서 비워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주입 파이프는 물질의 이송 방향에서 분리 수단(90A)에 가장 가까운 주입 파이프이고, 피드인 컨테이너(61)와 주입 파이프(63) 사이에 위치하는 주입 파이프의 밸브 수단(62)은 열림 위치에 있다. 제1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과 메인 이송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 수단(83A)이 열림 위치에 있게 되면, 이송 파이프(111A, 100A) 안에서 분리 수단(90A)을 거쳐 파이프(117A,115A,113A)를 통해 펌프 장치(118A)에 의해 달성되어 그의 흡입측에 작용하는 부분진공은 압력차에 의하여 쓰레기를 피드인 컨테이너(61)에서 주입 파이프(63)를 거쳐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으로 이동시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으로 향하게 한다.
그와 동시에 주입점은 물질의 이송 방향에서 분리 수단(90B)에 가장 가까운 제2 분기 이송 파이프(80B)의 주입 파이프로부터 비워질 수 있고, 피드인 컨테이너(61)와 주입 파이프(63) 사이의 주입점의 밸브 수단(62)은 열림 위치에 있는다. 제2 분기 이송 파이프(80B)와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의 제2 구획(100B) 사이에 존재하는 밸브 수단(80B)이 열림 위치에 있게 되면, 이송 파이프(111B, 100B) 내에서 분리 수단(90B)을 거쳐 파이프(117B,115B,113B)를 통해 펌프 장치(118B)에 의해 달성되어 그의 흡입측에 작용하는 부분진공은 압력차에 의하여 쓰레기를 피드인 컨테이너(61)에서 주입 파이프(63)를 거쳐 분기 이송 파이프(80B)로 이동시켜 메인 이송 파이프(100B)로 향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들(100A,100B)은 순환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들 사이에는 밸브 수단(103)이 존재한다. 도 1의 경우에는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과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밸브 수단(103)이 존재한다.
도 1의 상황에서 비우고자 하는 주입점들이 모두 비워질 때까지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는 분기 이송 파이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로 비워진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비워지게 될 다음 주입점의 밸브는 이미 비워진 그 전 주입점의 밸브가 닫힐 때까지 얼마간 열려 있게 된다. 이 경우 비워낼 때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생기며,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두 개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만 도시되었지만, 그 수는 시스템의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훨씬 많은 분기 이송 파이프가 존재할 수도 있고, 거기에 구비되는 주입점(60)과 주입 파이프(63)의 개수 역시 지역적 요구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주입 파이프와 분기 이송 파이프의 직경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또 다른 상황을 나타내며, 여기서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들(100A,100B)로부터 운반된 쓰레기는 계속해서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들을 따라 분리 수단(90A,90B)으로 이동되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 내의 쓰레기는 각각의 파이프 구획의 고유한 부분진공 발생 장치(partial-vacuum generating apparatus) 및 이송 효과를 수행하는 상기 장치의 펌프 수단(118A,118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분리 수단(90A,90B) 내로 동시에 비워지게 된다. 제1 부분진공 발생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펌프 수단(118A)의 흡입측은 파이프(117A,115A,113A)를 통해 제1 분리 수단(90A)에 연결되며, 이는 파이프라인(111A)을 통해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부분진공 발생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펌프 수단(118B)의 흡입측은 파이프(117B,115B,113B)를 통해 제2 분리 수단(90B)에 연결되며, 이는 파이프라인(111B)을 통해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연결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대체 공기 커플링이 이송 파이프의 구획(100A,100B)에 구비되며, 대체 공기 커플링은 필터 수단(102A,102B) 및 밸브 수단(101A,101B)을 구비한다. 대체 공기 커플링들은 메인 이송 파이프를 두 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폐쇄된 밸브 수단(103)의 양측에 구비된다. 대체 공기 커플링의 밸브 수단(101A,101B)이 열리고(도면에서 백색으로 표시), 이에 대응하여 분기 이송 파이프의 밸브 수단(83A,83B)이 닫히면(도면에서 흑색으로 표시), 대체 공기 커플링에서 분리 수단(90A,90B)을 향한 기류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들(100A,100B) 내에 존재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이송 기류의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기류의 속도는 분기 이송 파이프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로 운반될 쓰레기를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서 제1 분리 수단(90A)으로 운반하고,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서 제2 분리 수단(90B)으로 운반하기에 충분하다.
쓰레기는 이송 파이프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분리 수단(90A,90B)으로 운반되며, 운반된 쓰레기는 감속 및 원심력에 의하여 이송 공기에서 분리된다. 분리된 쓰레기는 필요에 따라 분리 수단(90A,90B)에서 제거되어 쓰레기 컨테이너와 같은 물질 컨테이너(91A,91B)로 들어가거나 향후 처리 단계로 이동한다. 비움 수단(emptying means)(92A,93A;92B,93B)은 분리 수단(90A,90B)과 연결된다. 물질 컨테이너는 쓰레기 압축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압축력에 의해 물질이 작은 크기로 압축되고, 나아가 물질은 압축기에서 쓰레기 컨테이너로 이송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분리 수단(90A,90B)이 도시되어 있고, 제어에 의하여 쓰레기 물질이 분리 수단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각각의 구획들 안의 쓰레기는 이동을 위한 고유의 부분진공 생성기를 이용해 서로 다른 분리 수단(90A,90B)으로 향한다.
이와 달리 하나의 이송 파이프 구획의 쓰레기를 한 번에 분리 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복수의 부분진공 생성기 및 그들의 출력(output power)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이와 같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제1 부분진공 발생 장치의 펌프 장치(118A)의 흡입측은 파이프(117A,115A,132,115B,113B)를 따라 제2 분리 수단(90B)으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제2 부분진공 발생 장치의 펌프 장치(118B)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측은 파이프(117B,115B,113B)를 통해 제2 분리 수단(90B)으로 연결된다.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으로부터 제1 분리 수단(90A)으로의 연결은 밸브(114A)에 의해 닫혀 있다. 제2 분리 수단은 이송 파이프(111B)와 밸브 수단(110B)을 통해 제2 이송 파이프 구획(100B)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도면의 두 개의 부분진공 발생 장치 각각의 펌프 장치(118A,118B)의 출력은 제2 이송 파이프의 쓰레기 물질을 제2 분리 수단(90B)으로 운반시키기 위해 연결된다. 대체 공기 커플링의 밸브(101B)가 열림 위치에 있으면 대체 공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이송 파이프 구획(100B)이 쓰레기를 비워내면, 그 다음 단계로 양 부분진공 생성 장치의 펌프 장치(118A,118B)가 제1 이송 파이프 구획(100A)에서 분리 수단으로 비워내기 위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전 제2 분리 수단(90B)로 쓰레기를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이송 파이프 구획으로 연결되는 쓰리웨이 밸브(three-way)(110B)를 닫고, 제1 이송 파이프 구획(100A)으로부터 파이프(112A,112B)를 따라 파이프(111B)로 향하고 더 나아가 제2 분리 수단(90B)으로 가는 제1 쓰리웨이 밸브(110A)를 열기만 하면 된다. 이 경우 제1 쓰리웨이 밸브(110A)에 의하여 조절되는, 파이프(111A)를 거쳐 제1 분리 수단(90A)으로 이어지는 연결은 닫히게 된다.
이와 달리 만약 각 부분진공 생성 장치들의 펌프 장치(118A,118B)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분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제1 이송 파이프 구획의 쓰레기를 제1 분리 수단(90A)으로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밸브(114A)를 열어서 펌프 장치의 흡입측에서 제1 분리 수단까지의 연결을 열고, 밸브(114B)를 잠가 흡입측에서 제2 분리 수단(90B)까지의 연결을 닫힘으로 한다. 이 경우 파이프들(115A,115B) 사이의 파이프(132)에서 밸브(131)가 열린다. 이때 제1 쓰리웨이 밸브(110A)가 도 3의 위치에 있으면, 제1 이송 파이프 구획(100A)의 쓰레기는 제1 분리 수단(90A) 쪽으로 이동하며, 쓰레기 물질은 이 곳에서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도면들에 따른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제1 분리 수단(90A)이 차 있으면, 운반될 물질들은 제2 분리 수단(90B)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분리 수단(90A,90B)은 물질 제거 수단(92A,93A;92B,93B)을 구비한다. 물질 제거 수단은 배출 개구(output aperture)의 폐쇄 수단(closing means)(92A,92B)과 그의 구동 수단(drive means)(93A,93B)을 포함한다. 이송 공기 덕트(conveying air duct)(113A,115A,117A;113B,115B,117B)는 이송 파이프 내에서 부분진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 수단(90A,90B)에서 각 장치들(118A,119A;118B,119B)로 이어진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부분진공을 형성하는 수단은 복수의 펌프 유닛을 포함한다. 이들 수단에 의하여 물질을 이송하는데 필요한 부분진공이 이송 파이프나 그 일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펌프 유닛은 펌프 장치(118A,118B)를 포함하고, 이는 구동 장치(119A,119B)에 의해 구동된다. 펌프 장치의 흡입측은 분리 수단(90A,90B)을 통해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펌프 장치(118A,118B)의 공기 배출측은 부분적으로 도면의 실시예에 도시된 배선(127A,128A;127B,128B)을 거쳐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 및/또는 배출관(outlet line)(124A,124B)으로 공기를 불어넣도록 연결된다. 본 도면의 다이어그램은 두 개의 펌프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라 더 많은 수의 펌프 유닛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펌프 유닛의 펌프 장치(118A)의 배출측은,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이나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으로 통하는 하나의 배선(127A)과 배출관(122A,124A)으로 된 두 개의 배선을 가지며, 밸브 수단(123A)을 구비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배출관(124A)은 필터 수단을 구비한다. 펌프 유닛의 펌프 장치(118A)에 의하여 생성되는 공기 배출은 밸브(121A,123A)나 밸브 수단(129A,129B)의 개폐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펌프 유닛의 펌프 장치(118A)의 흡입측은 흡입 배관(suction line)(117A)을 통하여 분리 장치(90A 또는 90B)로 향하는 배선(113A 또는 113B)으로 연결된다. 흡입 배관은 밸브 수단(114A,114B)과 밸브 수단(110A,110B)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흡입 배관은 밸브(126A)를 열어서 파이프(125A)를 통하여 배출관(124A)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펌프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B)는 주로 제1 펌프 장치와 연관해, 상기에 대응하는 밸브 수단을 가진다.
도 4에 따르면 이송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들(100A,100B) 사이의 밸브 수단(103)을 개폐함으로써 순환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 공기는 펌프 장치(118A,118B)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측을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 연결하고, 펌프 장치(118A,118B)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측을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연결함으로써 이송 파이프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도 4에서 120A,121A,127A,128B,129B의 연결 구간은 제1 펌프 장치(118A)의 공기 배출측에서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까지 열려 있다. 또한 제2 펌프 장치의 공기 배출측에서 120B,121B,127B,128B,129B의 연결 구간는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까지는 열려 있다.
117A,116A,115A,131,132,114B,113B의 연결 구간은 제1 펌프 장치의 흡입측에서 제2 분리 수단(90B), 이송 파이프(111B) 및 쓰리웨이 밸브(110B)를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까지 열려 있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117B,116B,115B,114B,113B의 연결 구간도 제2 펌프 장치(118B)의 흡입측에서 제2 분리 수단(90B), 이송 파이프(111B) 및 쓰리웨이 밸브(110B)를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까지 열려 있다. 이 경우 이송 공기는 순환로에서 파이프 안을 순환할 수 있고, 순환로의 일부는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들(100A,100B)에 의하여 형성된다.
물론 본 시스템은 이송 공기의 순환을 반대 방향으로 할 수 있고, 이 경우 배출 공기는 제2 구획(100B)으로 향하고,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은 제1 구획(100A)에 연결된다.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의 적어도 일부는 순환로의 일부로서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이송 공기는 펌프 장치로 순환될 수 있고, 그의 흡입측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에서 나아가 그 반환 지점에서 이송 파이프로 연결되므로, 펌프 장치의 흡입측의 적어도 일부의 이송 공기가 이송 파이프의 배출측의 순환로로 이어진다. 시스템의 길이나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가 링 형상이나 복수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이송 공기 순환은 밸브 수단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장치의 출력(output power)은 조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서로 상이한 펌프에 의하여 생기는 흡입력/공기배출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6은 시스템 제어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압력 센서(130A,130B)를 구비하고, 이에 의하여 파이프의 압력(부분진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압력 센서(130A,130B)에 의하여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펌프 장치(118A,118B)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는 주파수 변환기(frequency converter)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압력 센서의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펌프 장치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며 이는 압력과 출력의 곱이 정수(p×Q=정수, 여기서 p=[mbar]이고, Q=[m3/h]임)가 된다. 주파수 변환기나 제어 시스템은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을 연산하며, 압력과 출력의 곱이 정수가 되도록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방법에서, 파이프 안의 압력이 모니터링되고, 펌프 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부분진공 및/혹은 출력이 조절되며, 여기서 펌프 장치의 동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압력과 출력의 곱, 다시 말해 체적유량(volume flow rate)(p×Q)이 정수가 되며, 이때 한계치(limit value)는 달성 가능한 최대 압력과 달성 가능한 최대 체적유량이 되고, 이는 펌프의 최대 회전 속도에 기초한다.
도 6에서는 저출력(예를 들어 0~50%)에서 최대 압력이 달성됨을 보여준다. 제2 한계치는 최대 출력이고, 이는 이미 펌프 장치의 최대 회전 속도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상술한 방법에서 이들 사이의 시스템 동작이 최적화되고, 도면에서는 회전 속도의 한계(대략 50~100%)와 압력의 한계(50~100%)로 도시된다.
상기 동작 단계에서부터, 시스템 동작은 원하는 동작 영역의 주입점을 비우기 위하여, 이송 파이프의 동작 영역과 관련하여 물질의 이송 방향과 흡입측과 같은 배출측의, 적어도 하나의 이송 공기 밸브가 열리고, 이때 흡입은 동작 영역의 이송 파이프 내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주입점(60) 혹은 적어도 그들의 일부는 이송 파이프의 이송 방향에서 전달 끝단에 가장 가까운, 예를 들어 도면의 실시예에서 분리 장치(90,90A,90B)에서 가장 가까운 주입점과 이송 파이프 사이의 연결을 먼저 열고, 이 경우 물질은 제1 주입점에서 이송 파이프로 운반될 수 있다. 이후, 그 다음 주입점과 이송 파이프 사이의 연결이 열리고, 이미 비워진 제1 주입점과 이송 파이프의 연결이 닫힌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들(100A,100B)은 분리 장치에 대해서 양끝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이 경우 연속적으로 동작하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밸브 수단(103)은 닫힌 상태이다. 기본적인 동작과 관련해서, 도 5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대응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면들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은 순환로 내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들의 실시예는 하나의 분리 수단(90)을 도시하며, 거기에 부분진공 생성기의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이 연결될 수 있다. 도면들의 실시예에서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에서 분리 수단(90)까지의 연결은 밸브 수단(110A,110B)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1 구획(100A)에서 분리 수단(90)으로 이어지는 파이프(11)로의 연결에 대한 개폐 여부는 제1 밸브 수단(110A)으로 조절되며, 제2 구획에서 분리 수단으로 이어지는 파이프(111)로의 연결에 대한 개폐 여부는 제2 밸브 수단(110B)으로 조절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펌프 장치(118A,118B)의 공기 배출측이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 중 어느 하나로 열려 있는지는 밸브 수단들(129A,129B)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 7의 실시예 동작 단계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분기 이송 파이프(80B)의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61)의 쓰레기는 분기 이송 파이프(80B)를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로 들어가 그의 한 구획(100B)으로 흡입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들(100A,100B)은 모두 그들의 전달 끝단이, 분리 수단(90)으로 이어지는 파이프(111)로 연결되며, 부분진공 생성기, 그들의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은 분리 수단(90)으로 이어지는 117A,117B,115,113의 통로로 연결되고, 이 경우 부분진공 생성기의 펌프 장치(118A,118B)에 의해 생성되는 흡입/부분진공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10A,110B)에서 작용할 수 있다. 도 7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분진공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와 분기 이송 파이프(80B)의 교차점에 작용한다. 대체 공기는 주입점의 피드인 컨테이너(61)의 밸브(62)가 열리고, 대체 공기 밸브(66)도 그를 통해 열릴 때, 피드인 컨테이너(61)를 통해 주입 파이프(63)로 들어와 분기 이송 파이프(83B)로 향한다. 이때 쓰레기는 분기 파이프(80B)로부터 두 개의 루트, 즉 공급 간선(trunk line)에서 두 개의 방향으로부터, 다시 말해 양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의 방향으로부터 흡입된다. 이때 공급 간선에 대한 압력 손실은 반감된다. 부분진공 생성기의 공기 배출측, 예를 들어 펌프 장치(118A,118B)는 외부 공기배출 파이프(124A,124B)로 공기를 불어넣도록 연결되며, 이때 123A 및 123B의 밸브는 열리고, 121A 및 121B의 밸브는 닫힌다.
도 8은 이에 상응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하나의 다른 주입점(60)이 비워진 분기 이송 파이프(80B)에 연결된다. 주입점은 도 7의 비워질 주입점(60)보다 물질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하여 분리 수단(90)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어서 도 7의 주입점보다 나중에 비워진다.
도 7 및 도 8의 경우에,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드들은 원하는 주입점이 비워질 때까지 분기 이송 파이프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로 비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비워지게 될 다음 주입점의 밸브는 막 비워진 이전 주입점의 밸브 수단이 닫히기 전에 얼마간 열린다. 이 경우 비울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생겨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분기 이송 파이프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로 운반된 쓰레기가 계속해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에서 분리 수단(90)으로 운반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구획(100B)과 분리 수단(90)의 연결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펌프(118A,118B)의 흡입측은 분리 수단(90)에 연결된 채로 있는다. 반면 제1 펌프 장치(118A)의 공기 배출측은 이제 외부 공기배출 파이프 쪽으로 이어지는 밸브(123A)를 닫고, 밸브(121A)와 제2 밸브(129A)를 열어서, 제1 구획(100A)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은 순환로의 일부를 형성하며, 여기서 이송 공기는 순환될 수 있다. 이송 공기는 분기 이송 파이프(80B)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로 전달된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서 분리 수단(90)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순환한다. 제2 펌프 장치(118B)는 그의 공기 배출측에서 외부 공기배출 파이프 내로 공기를 불어넣도록 연결된다. 대체 공기는 분기 이송 파이프(80B)에 연결된 주입 파이프(63)의, 분기 이송 파이프에 대해서 혹은 물질 이송 방향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에 대하여 반대편 끝단에 구비된 대체 공기 커플링을 통해 순환로 내로 들어온다. 대체 공기 커플링은 필터 수단(67) 및 밸브 수단(66)을 구비하며, 이들 수단을 통해 대체 공기가 주입 파이프(63) 혹은 분기 이송 파이프(80B)로의 유입 여부가 조절된다. 도면의 실시예는 분기 이송 파이프나 메인 이송 파이프의 파이프 직경이 서로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는 메인 이송 파이프의 직경을 훨씬 작게 할 수 있다.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을 비울 때의 절차는 마찬가지이지만, 이송 공기의 순환은 메인 이송 파이프 내에서 도 9와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고, 이는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과 파이프(111)를 통해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과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의 교차점으로부터 분리 수단(90)까지의 이송 거리가 제2 구획(100B)을 통해 쓰레기를 순환시키는 것보다 더 짧기 때문이다. 이송 공기의 방향은 밸브(110B)를 닫아 제2 구획(100B)과 분리 수단(90)의 연결, 분리 수단에 이르는 연결을 닫고, 밸브(110A)를 열어 제1 구획(100A)과 분리 수단의 연결을 여는 것으로 바뀔 수 있다. 두 개의 펌프(118A,118B)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측과 제1 구획(100A)의 연결은, 밸브(129B)를 닫고 제2 구획(100B)으로의 밸브(129A)를 열어서 폐쇄한다.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를 따라 분리 수단(90)으로 운반될 때, 도 9에 따르면, 펌프 장치의 공기 배출측으로부터 파이프(128B)를 따라 이송 파이프 구획(100A)를 따라 두 개의 주입 파이프의 공기가 존재하며, 그에 연결된 대체 공기 커플링이 열릴 때 분기 파이프(80B)를 통해 대체 공기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이송 거리에서는, 분기 파이프의 길이가 약 500m이며,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의 길이가 1000m라면 일반적인 파이프의 직경은 350mm와 500mm이다.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보통의 파이프 직경이 허용될 수 있고, 여기서 파이프 직경은 예를 들어 350mm 범위의 종래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이는 두 개의 흡입 파이프와 대체 공기 파이프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직경면에서 이송 파이프가 더 작고 물질 이송을 위해 필요한 이송 공기량이 작기 때문에 본 실시예들의 수단에 의하면 상당한 절약이 가능케 된다.
도 10의 실시예는 순환로 내에서 공기 순환에 의한 파이프의 공기 세척 및 건조를 나타내며, 상기 순환로의 일부는 이송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양 부분진공 생성기의 펌프 장치(118A,118B)의 공기 배출측은 제1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 안으로 공기를 불어넣도록 연결된다. 이에 대응하여, 부분진공 생성기의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은 113,115,117A,117B의 연결을 통해 분리 수단(90)에 연결된다. 제2 이송 파이프 구획(110B)의 주입측은 밸브(110B)가 열릴 때 분리 수단에 연결된다. 이에 대응하여 밸브(110B)는 닫힌다. 이 경우 펌프 장치에 의해 공기는 순환로(100A,100B,111, 90,113,115,117A,117B,127A,127B,128B) 내를 순환할 수 있고, 상기 순환로의 일부는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들 혹은 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펌프의 흡입측에서 순환로의 외측, 예를 들어 외부 공기 배출 파이프(124A,124B)까지의 연결이 존재하며, 필요하다면 거기에서 부가적으로 공기를 얻을 수 있다. 파이프 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서 공기를 회전시켜 파이프를 세척하면 고효율이이라는 우월한 기술적 효과를 가지게 된다. 순환 공기는 펌프 장치의 흡입측으로 돌아오지만 밸브(126A,126B)는 외부 공기 배출 파이프쪽으로 열려 있고, 이 경우 거기에서 대체 공기가 순환로 내로 들어오며, 이때 펌프 장치의 주입압력(feed pressure)은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물질의 주입점(60), 상기 주입점(60)과 연결될 수 있는 물질 이송 파이프, 이송될 물질을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수단(90,90A,90B) 및 적어도 물질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이송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유닛을 구비하는 쓰레기 이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에서의 물질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과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과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과, 주입점(60)이 상기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과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로부터 발생하는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 수단에 의하여 먼저 주입점(60)점에서 운반되어,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을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으로 운반되며,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은 물질 저장소로 이용되며,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으로 운반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에 의해서 발생하는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의 수단에 의하여 분리 수단(90,90A,90B)으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두 개의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100A,100B)으로 나누어지고, 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분리 수단(90A,90B)과 연결되며, 이때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분기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점(60)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과 연결된 제2 분기 파이프(80B)의 주입점(60)이 비워짐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가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의 주입점(60)들의 쓰레기를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으로 운반하는데 이용되며, 이때 제1 펌프 장치(118A)에 의하여, 비워질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 연결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점(60)으로부터 운반되고, 평행하게 구비된 제2 펌프 장치(118B)에 의하여, 비워질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연결된 분기 이송 파이프(80B)의 주입점으로부터 운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에서, 흡입/부분진공은, 비우고자 하는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과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의 적어도 교차점 근방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 혹은 메인 이송 파이프 안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은 제1 구획(100A)의 전달 끝단 및 제2 구획(100B)의 전달 끝단이 하나의 분리 수단(90)으로 연결되며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파이프 구획으로 구비되고, 분기 이송 파이프는 메인 이송 파이프와 연결되며, 이때 물질은, 메인 이송 파이프 내에서 두 개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입/부분진공 효과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공기 주입 개구 및/또는 주입 파이프(63)의 작용에 의하여, 먼저 주입점(60)에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을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으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으로 운반된 쓰레기는 펌프 장치(118A,119B) 중 하나의 흡입측이나 복수의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을 분리 수단에 연결함으로써, 계속하여 분리 수단(90,90A,90B)으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공기는 펌프 장치(118A,118B)를 가진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 적어도 하나의 분리 수단(90,90A,90B)과 연결되는 흡입측, 더 나아가 반환 지점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100A,100B)으로 형성되는 순환로 내에서 순환할 수 있고, 따라서 필요하다면 펌프 장치의 흡입측의 이송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순환로로 유입되어, 배출측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으로 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분진공은 부분진공 생성기 및/혹은 팬(fan)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에 의하여 순환로에 발생되며, 그의 흡입측은 공기 덕트(117A,115A,113A;117B,115B,113B,131;115,113)를 통해, 분리 수단(90,90A,90B)이나, 그로 이어지는 이송 파이프(100A,100B,111A,111B,112BA,112;111)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을 포함하는 순환로 안에서의 공기 순환은 순환로에 구비된 밸브 수단(103, 110A, 110B, 114A, 114B, 131, 116A, 116B, 121A, 121B, 129A, 129B, 114)와 같은 폐쇄 수단/조절 수단에 의해 조절, 제어 혹은 개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61)로부터 주입 파이프(63)를 지나 계속해서 분기 이송 파이프로 안내될 물질은 로터리 셰이퍼(rotary shaper)와 같은 셰이퍼 장치(64)에 의해 처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은 필요하다면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일부의 순환로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은 물질 주입점(60)으로부터 주입되고, 주입점은 쓰레기 용기(waste receptacle)나 쓰레기 슈트(refuse chute)와 같은 쓰레기 주입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체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 공기 덕트를 통해 파이프 안으로 도입되며, 대체 공기 덕트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수단(101A, 101B; 81A, 81B; 66, 126A, 126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내의 압력은 압력 센서(130A,130B)에 의하여 모니터링되어 펌프 장치에 의하여 생성되는 부분진공 및/혹은 출력이 제어되고, 펌프 장치(들)의 동작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서 도달해야할 압력은 펌프 장치(들)와 출력의 곱, 다시 말해 체적 유량(p×Q)이 정수가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물질의 주입점(60), 상기 주입점(60)과 연결될 수 있는 물질 이송 파이프, 이송될 물질을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수단(90,90A,90B) 및 적어도 물질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이송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유닛을 구비하는 쓰레기 이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과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과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과, 주입점(60)이 상기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과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로부터 발생하는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 수단에 의하여 먼저 주입점(60)점에서 운반되어,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을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운반되며,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은 물질 저장소로 이용되며,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으로 운반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에 의해서 발생하는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의 수단에 의하여 분리 수단(90,90A,90B)으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두 개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으로 나누어지고, 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분리 수단(90A,90B)과 연결되며, 이때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분기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점(60)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과 연결된 제2 분기 파이프(80B)의 주입점(60)이 비워짐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가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의 주입점(60)들의 쓰레기를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으로 운반하는데 이용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제1 펌프 장치(118A)에 의하여, 비워질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 연결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점(60)으로부터 운반되고, 평행하게 구비된 제2 펌프 장치(118B)에 의하여, 비워질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연결된 분기 이송 파이프(80B)의 주입점으로부터 운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에서, 흡입/부분진공은, 비우고자 하는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과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의 적어도 교차점 근방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100A,100B) 혹은 메인 이송 파이프 안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은 제1 구획(100A)의 전달 끝단 및 제2 구획(100B)의 전달 끝단이 하나의 분리 수단(90)으로 연결되며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파이프 구획으로 구성되고, 분기 이송 파이프는 메인 이송 파이프와 연결되며, 이때 물질은, 메인 이송 파이프 내에서 두 개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입/부분진공 효과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공기 주입 개구 및/또는 주입 파이프(63)의 작용에 의하여, 먼저 주입점(60)에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80B)을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으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100A,100B)으로 운반된 쓰레기는 펌프 장치(118A,119B) 중 하나의 흡입측이나 복수의 펌프 장치(118A,118B)의 흡입측을 분리 수단에 연결함으로써, 계속하여 분리 수단(90,90A,90B)으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장치(118A,118B)를 가진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 적어도 하나의 분리 수단(90,90A,90B)과 연결되는 흡입측, 더 나아가 반환 지점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100A,100B)으로 형성되는 순환로 내에서 이송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따라서 필요하다면 펌프 장치의 흡입측의 이송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순환로로 유입되어, 배출측의 이송 파이프의 구획(100A,100B)으로 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분진공은 부분진공 생성기 및/혹은 팬(fan)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에 의하여 순환로에 발생되며, 그의 흡입측은 공기 덕트(117A, 115A, 113A; 117B, 115B, 113B, 131; 115, 113)를 통해, 분리 수단(90, 90A, 90B)이나, 그로 이어지는 이송 파이프(100A, 100B, 111A, 111B, 112BA, 112; 111)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을 포함하는 순환로 안에서의 공기 순환은 순환로에 구비된 밸브 수단(103, 110A, 110B, 114A, 114B, 131, 116A, 116B, 121A, 121B, 129A, 129B, 114)와 같은 폐쇄 수단/조절 수단에 의해 조절, 제어 혹은 개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61)로부터 주입 파이프(63)를 지나 계속해서 분기 이송 파이프로 안내될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로터리 셰이퍼(rotary shaper)와 같은 셰이퍼 장치(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이는 필요하다면 공기 순환을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10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일부의 순환로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조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 주입점(60)은 쓰레기 용기(waste receptacle)나 쓰레기 슈트(refuse chute)와 같이 쓰레기의 주입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점(60)과 이송 파이프(10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62)이 구비되며, 상기 밸브 수단의 개폐를 통해 물질의 주입 및/혹은 이송 파이프로의 대체 공기 유입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대체 공기 덕트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대체 공기 덕트가 파이프 내로 대체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밸브 수단(101A, 101B; 81A, 81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장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분진공 및/또는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센서(130A,130B)와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 장치(들)의 동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파이프 내에서 도달해야 할 압력이 펌프 장치(들)와 출력의 곱, 다시 말해 체적 유량(p×Q)이 정수가 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펌프 장치(들)의 동작은 주파수 변환기로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이송 파이프로 사용되는 파이프들은 그 직경이 일반적으로 100~1000mm, 바람직하게는 300~80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50~600mm이다. 분기 이송 파이프에 사용되는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메인 이송 파이프의 파이프 직경보다 작으며, 일반적으로 100~500m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00~50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400mm이다.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직경면에서 상당히 작은 파이프 크기, 일반적으로는 100~500mm, 바람직하게는 200~50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400mm가 메인 이송 파이프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주입점의 배출 밸브는 적당한 크기의 물질 덩어리가 주입점으로부터 이송 파이프로 운반되도록 개폐된다. 쓰레기통이나 쓰레기 슈트(refuse chute)와 같은 주입점으로 주입된 쓰레기가 가득 채워지면 배출 밸브가 자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열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적 특징들의 가능한 결합은 필요하다면 서로 분리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60..........................주입점
61..........................피드인 컨테이너
62..........................밸브 수단
63..........................주입 파이프
64..........................물질 셰이퍼
65..........................구동 장치
66..........................필터 수단
67..........................밸브 수단
80A,80B.....................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
100A,100B...................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

Claims (32)

  1.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에 의해 공압식으로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은,
    순환로의 부분으로서 연결될 수 있는 메인 이송 파이프로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 및 제2 구획(100B)과, 적어도 두 개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사이의 밸브 수단(103)을 포함하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을 또한 포함하는, 메인 이송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의 각각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쓰레기 물질의 주입점(60)과,
    이송될 물질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 수단(90A, 90B)과,
    물질이 이송되는 동안 이송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를 포함하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103)이 폐쇄될 때, 이송 기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의 흡입측이 각각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연결됨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쓰레기 물질의 주입점(60)은 각각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물질은 제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에 의해 발생된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에 의해, 물질의 주입점(60)으로부터 상기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을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안으로 이송되며,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이 물질 저장소로 이용되며,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으로 이송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분리 수단(90, 90A, 90B) 내로 더욱 이송되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적어도 두 개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이 동시에 비워지거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의 물질이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분리 수단(90, 90A, 90B) 중 적어도 하나 안으로 따로따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103)이 개방되면, 이송 기류는 순환로에서 두 개의 반대 방향에 연결될 수 있고, 이송 기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의 흡입측이 적어도 두 개의 분리 수단(90, 90A, 90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연결함에 의해, 순환로에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의 배출측을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 연결함에 의해, 순환로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분리 수단(90A, 90B)과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나누어지고, 이때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점(60)은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의 제2 구획(100B)과 연결된 제2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B)의 주입점(60)이 비워짐과 동시에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가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의 주입점(60)의 쓰레기를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으로 운반하는데 이용되며, 이때 제1 펌프 장치(118A)에 의하여, 비워질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 연결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점(60)으로부터 운반되고, 평행하게 구비된 제2 펌프 장치(118B)에 의하여, 비워질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연결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B)의 주입점으로부터 운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흡입/압력차는, 비우고자 하는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과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의 적어도 교차점 근방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혹은 메인 이송 파이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은 제1 구획(100A)의 전달 끝단 및 제2 구획(100B)의 전달 끝단이 하나의 분리 수단(90)으로 연결되며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의 흡입측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파이프 구획으로 구비되고, 분기 이송 파이프는 메인 이송 파이프와 연결되며, 이때 물질은, 메인 이송 파이프 내에서 두 개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입/압력차 효과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공기 주입 개구 및/또는 주입 파이프(63)의 작용에 의하여, 먼저 주입점(60)에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을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운반된 쓰레기는 펌프 장치(118A, 119B) 중 하나의 흡입측이나 복수의 펌프 장치(118A, 118B)의 흡입측을 분리 수단에 연결함으로써, 계속하여 분리 수단(90, 90A, 90B)으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송 공기는 펌프 장치(118A, 118B)를 가진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 순환로 내에서 순환할 수 있고, 흡입측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 수단(90, 90A, 90B)과, 반환 지점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연결되며, 펌프 장치의 흡입측의 이송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순환로로 유입되어, 배출측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분진공 생성기 및/혹은 팬(fan)인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에 의하여 순환로에 부분진공이 발생되며, 펌프 장치의 흡입측은 공기 덕트(117A, 115A, 113A; 117B, 115B, 113B, 131; 115, 113)를 통해, 분리 수단(90, 90A, 90B)이나, 그로부터 이어지는 이송 파이프(100A, 100B, 111A, 111B, 112BA, 112; 11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을 포함하는 순환로 안에서의 공기 순환은 순환로에 구비된 밸브 수단(103, 110A, 110B, 114A, 114B, 131, 116A, 116B, 121A, 121B, 129A, 129B, 114)에 의해 조절, 제어 혹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61)로부터 주입 파이프(63)를 지나 계속해서 분기 이송 파이프로 안내될 물질은 셰이퍼 장치(64)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 순환이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일부의 순환로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물질이 물질 주입점(60)으로부터 주입되고, 상기 주입점은 쓰레기 주입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체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대체 공기 덕트를 통해 파이프 안으로 도입되며, 대체 공기 덕트는 밸브 수단(101A, 101B; 81A, 81B; 66, 126A, 12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이프 내의 압력은 압력 센서(130A, 130B)에 의하여 모니터링되어 펌프 장치에 의하여 생성되는 부분진공 및/혹은 출력이 제어되고, 펌프 장치(들)의 동작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서 도달해야 할 압력은 펌프 장치(들)와 출력의 곱인, 체적 유량(p×Q)이 정수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방법.
  16.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으로서,
    순환로의 부분으로서 연결될 수 있는 메인 이송 파이프로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 및 제2 구획(100B)과, 적어도 두 개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사이의 밸브 수단(103)을 포함하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을 또한 포함하는, 메인 이송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의 각각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쓰레기 물질의 주입점(60)과,
    이송될 물질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 수단(90A, 90B)과,
    물질이 이송되는 동안 이송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를 포함하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103)이 폐쇄될 때, 이송 기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의 흡입측이 각각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연결됨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쓰레기 물질의 주입점(60)은 각각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물질은 제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에 의해 발생된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에 의해, 물질의 주입점(60)으로부터 상기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을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안으로 이송되며,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이 물질 저장소로 이용되며,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 구획으로 이송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압력차 및/혹은 이송 기류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분리 수단(90, 90A, 90B) 내로 더욱 이송되며,
    상기 공압식 물질 이송 시스템은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적어도 두 개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이 동시에 비워지거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의 물질이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분리 수단(90, 90A, 90B) 중 적어도 하나 안으로 따로따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이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103)이 개방되면, 이송 기류는 순환로에서 두 개의 반대 방향에 연결될 수 있고, 이송 기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의 흡입측이 적어도 두 개의 분리 수단(90, 90A, 90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연결함에 의해, 순환로에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의 배출측을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 연결함에 의해, 순환로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메인 이송 파이프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분리 수단(90A, 90B)과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나누어지고, 이때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점(60)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과 연결된 제2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B)의 주입점(60)이 비워짐과 동시에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가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의 주입점(60)의 쓰레기를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으로 운반하는데 이용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제1 펌프 장치(118A)에 의하여, 비워질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구획(100A)에 연결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의 주입점(60)으로부터 운반되고, 평행하게 구비된 제2 펌프 장치(118B)에 의하여, 비워질 쓰레기가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2 구획(100B)에 연결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B)의 주입점으로부터 운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흡입/압력차는, 비우고자 하는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과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의 적어도 교차점 근방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 혹은 메인 이송 파이프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은 제1 구획(100A)의 전달 끝단 및 제2 구획(100B)의 전달 끝단이 하나의 분리 수단(90)으로 연결되며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 118B)의 흡입측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파이프 구획으로 구성되고, 분기 이송 파이프는 메인 이송 파이프와 연결되며, 이때 물질은, 메인 이송 파이프 내에서 두 개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입/압력차 효과나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공기 주입 개구 및/또는 주입 파이프(63)의 작용에 의하여, 먼저 주입점(60)에서 분기 이송 파이프 구획(80A, 80B)을 거쳐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2.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운반된 쓰레기는 펌프 장치(118A, 119B) 중 하나의 흡입측이나 복수의 펌프 장치(118A, 118B)의 흡입측을 분리 수단에 연결함으로써, 계속하여 분리 수단(90, 90A, 90B)으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3.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펌프 장치(118A, 118B)를 가진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 순환로 내의 이송 공기를 순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흡입측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 수단(90, 90A, 90B)과, 반환 지점에서, 메인 이송 파이프의 구획(100A, 100B)에 연결되며, 펌프 장치의 흡입측의 이송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순환로로 유입되어, 배출측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4.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부분진공 생성기 및/혹은 팬(fan)인 적어도 하나의 펌프 장치(118A,118B)에 의하여 순환로에 부분진공이 발생되며, 펌프 장치의 흡입측은 공기 덕트(117A, 115A, 113A; 117B, 115B, 113B, 131; 115, 113)를 통해, 분리 수단(90, 90A, 90B)이나, 그로부터 이어지는 이송 파이프(100A, 100B, 111A, 111B, 112BA,112; 11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5.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을 포함하는 순환로 안에서의 공기 순환은 순환로에 구비된 밸브 수단(103, 110A, 110B, 114A, 114B, 131, 116A, 116B, 121A, 121B, 129A, 129B, 114)에 의해 조절, 제어 혹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6.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주입점(60)의 피드인 컨테이너(61)로부터 주입 파이프(63)를 지나 계속해서 분기 이송 파이프로 안내될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셰이퍼 장치(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7.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공기 순환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순환은 적어도 일부의 메인 이송 파이프의 제1 및 제2 구획(100A, 10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일부의 순환로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물질의 주입점(60)은 쓰레기의 주입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2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주입점(60)과 이송 파이프(10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62)이 구비되며, 상기 밸브 수단의 개폐를 통해 물질의 주입 및/혹은 이송 파이프로의 대체 공기 유입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3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체 공기 덕트를 포함하며, 대체 공기 덕트는 파이프 내로 대체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밸브 수단(101A, 101B; 81A, 8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3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펌프 장치에 의하여 발생된 부분진공 및/또는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센서(130A, 130B)와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 장치(들)의 동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파이프 내에서 도달해야 할 압력이 펌프 장치(들)와 출력의 곱인, 체적 유량(p×Q)이 정수가 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3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들)의 동작은 주파수 변환기로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이송 시스템.
KR1020137014154A 2010-11-03 2011-10-19 공압식 물질 이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931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06150A FI20106150A0 (fi) 2010-11-03 2010-11-03 Menetelm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106150 2010-11-03
FI20106173A FI122683B (fi) 2010-11-03 2010-11-08 Menetelm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106173 2010-11-08
PCT/FI2011/050910 WO2012059632A1 (en) 2010-11-03 2011-10-19 Method and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261A KR20140000261A (ko) 2014-01-02
KR101931830B1 true KR101931830B1 (ko) 2019-03-13

Family

ID=4326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154A KR101931830B1 (ko) 2010-11-03 2011-10-19 공압식 물질 이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242808B2 (ko)
EP (1) EP2635508B1 (ko)
JP (1) JP6078469B2 (ko)
KR (1) KR101931830B1 (ko)
CN (1) CN103189287B (ko)
AU (1) AU2011325076B2 (ko)
BR (1) BR112013010816A2 (ko)
CA (1) CA2812874C (ko)
DK (1) DK2635508T3 (ko)
ES (1) ES2708359T3 (ko)
FI (2) FI20106150A0 (ko)
MX (1) MX339179B (ko)
MY (1) MY165836A (ko)
PL (1) PL2635508T3 (ko)
RU (1) RU2597861C2 (ko)
SG (1) SG189215A1 (ko)
WO (1) WO2012059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103B (fi) * 2010-03-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CA2979987A1 (en) * 2015-03-19 2016-09-22 Ipeg, Inc. Pressure differential proofing method for pneumatic conveying
CA3010428A1 (en) 2015-11-18 2017-05-26 Drew P. Henry Vacuum laundry chute system
FI20185883A1 (fi) * 2018-10-22 2020-04-23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erotinlaitejärjestely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CN109556123A (zh) * 2018-12-12 2019-04-02 深圳市能源环保有限公司 一种垃圾焚烧炉飞灰输送系统
DE102019001471A1 (de) * 2019-02-27 2020-08-27 Walter Kramer Saugfördersystem für Schüttgut, insbesondere Kunststoffgranulat
CN112460608B (zh) * 2020-11-27 2022-09-16 潮州深能环保有限公司 一种垃圾焚烧发电厂污泥管道输送系统及其输送方法
FI130331B (fi) * 2021-03-08 2023-06-21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iirtämiseksi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y
CN114014019B (zh) * 2021-11-15 2023-10-03 聊城市鲁西化工工程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粉状或粒状物料负压自动化连续输送系统及方法
CN114751200A (zh) * 2022-04-08 2022-07-15 无锡红旗除尘设备有限公司 一种粉料气力输送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0888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080881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10071397A1 (en) 2008-12-18 2010-06-24 Premium Patents Sdn. Bhd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moving solid wast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59961B1 (de) * 1966-06-21 1970-10-22 Centralsug Ab Abwurfschaechte in Gebaeuden zum Abwurf von Abfaellen,Saecken mit verschmutzter Waesche od.dgl.
GB1199917A (en) * 1966-07-29 1970-07-22 Centralsug Ab Conveyance of Material Requiring Hygienic Disposal
US3730884A (en) * 1971-04-02 1973-05-01 B Burn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sewage
GB1393344A (en) * 1973-06-21 1975-05-07 Sp K Bjuro Transneftavtomatika Pneumatic pipeline conveyor for briquetted materials
SE403753B (sv) * 1974-01-31 1978-09-04 Svenska Flaektfabriken Ab Anleggning for sortering av minst tva skilda godsslag
JPS51106361A (en) * 1975-03-15 1976-09-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Toshigomino shinkushushuyusosochi
US4227451A (en) * 1978-11-06 1980-10-14 Slavinsky Valentin N Device for delivery of bulk materials
JPS57170301A (en) * 1981-04-15 1982-10-20 Ebara Mfg Method and device for pneumatically transporting dust
JPS58100002A (ja) * 1981-12-07 1983-06-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都市ごみ空気輸送方法
JP3125027B2 (ja) * 1991-05-14 2001-01-15 株式会社日本シューター 空気輸送によるゴミ収集設備
JPH07309437A (ja) * 1994-05-18 1995-11-28 Kawasaki Steel Corp 空気輸送配管の詰まり解除方法および解除装置
FR2734800B1 (fr) * 1995-06-01 1997-08-01 Snef Cote D Azur Sa Convoyeur pneumatique pour petites pieces metalliques, notamment des pieces de monnaie, pour bornes d'encaissement
SE9900401L (sv) 1999-02-05 2000-04-10 Centralsug Int Ab Sätt och anordning vid tömning av en expanderad lagringsvolym i ett avfallstransportsystem
SE514563C2 (sv) * 1999-07-16 2001-03-12 Centralsug Ab En metod för avfallsuppsamlingssystem
SE520923C2 (sv) 2002-01-09 2003-09-16 Envac Centralsug Ab Metod och system för omhändertagande av köksavfall
RU32768U1 (ru) * 2003-05-21 2003-09-27 Пешалов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Система для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ATE356060T1 (de) * 2003-12-18 2007-03-15 Envac Centralsug Aktiebolag Verfahren zur sammlung und verwaltung von müll
FI20075749L (fi) * 2007-10-24 2009-04-2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alipainesiirtojärjestelmässä
FI123436B (fi) * 2007-11-27 2013-04-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alipainesiirtojärjestelmässä
FI123765B (fi) * 2007-12-21 2013-10-31 Maricap Oy Menetelmä pneum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085145L (fi) *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4408B (fi) * 2007-12-21 2014-08-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4507B (fi) * 2007-12-21 2014-09-30 Maricap Oy Menetelmä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085146L (fi) *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0888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080881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10071397A1 (en) 2008-12-18 2010-06-24 Premium Patents Sdn. Bhd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moving solid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5508A1 (en) 2013-09-11
JP6078469B2 (ja) 2017-02-08
AU2011325076B2 (en) 2015-02-26
AU2011325076A1 (en) 2013-05-02
SG189215A1 (en) 2013-06-28
CN103189287A (zh) 2013-07-03
FI122683B (fi) 2012-05-31
MX2013004063A (es) 2013-05-17
CA2812874A1 (en) 2012-05-10
FI20106173A0 (fi) 2010-11-08
RU2597861C2 (ru) 2016-09-20
BR112013010816A2 (pt) 2016-08-16
MY165836A (en) 2018-05-17
EP2635508A4 (en) 2015-07-01
KR20140000261A (ko) 2014-01-02
DK2635508T3 (en) 2019-02-25
RU2013125441A (ru) 2014-12-10
CN103189287B (zh) 2015-11-25
MX339179B (es) 2016-05-16
EP2635508B1 (en) 2018-12-05
PL2635508T3 (pl) 2019-04-30
CA2812874C (en) 2019-04-02
JP2014500838A (ja) 2014-01-16
WO2012059632A1 (en) 2012-05-10
ES2708359T3 (es) 2019-04-09
US9242808B2 (en) 2016-01-26
FI20106150A0 (fi) 2010-11-03
US20130195563A1 (en)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830B1 (ko) 공압식 물질 이송 방법 및 시스템
AU2008339864B2 (e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FI12378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P6012476B2 (ja) 空気圧式材料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並びに装置、及び廃棄物搬送システム
FI123765B (fi) Menetelmä pneum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EP2227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US20100303559A1 (en) Method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U2008339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US20110002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KR102044569B1 (ko)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 및 방법
JP2023512461A (ja) 空気圧式物質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物質搬送方法及び空気圧式物質搬送システム
FI12487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