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999B1 -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 - Google Patents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999B1
KR101928999B1 KR1020160112014A KR20160112014A KR101928999B1 KR 101928999 B1 KR101928999 B1 KR 101928999B1 KR 1020160112014 A KR1020160112014 A KR 1020160112014A KR 20160112014 A KR20160112014 A KR 20160112014A KR 101928999 B1 KR101928999 B1 KR 10192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fabric
warp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941A (ko
Inventor
신정식
Original Assignee
(주)효원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원섬유 filed Critical (주)효원섬유
Priority to KR102016011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9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5/0027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위사(F)와 경사(W)가 교차하여 제직되는 폴리에스텔 원단(1)에 있어서, 상기 위사(F)는 코트나(Cotna; 11)와 카치온 CD(Cation; 12)를 인터레이스하여 형성된 KO-H사(10)로 구성되되, 상기 KO-H사(10)의 코트나(11)는 카치온 CD(12)보다 큰 데니어 값을 가지도록 제직되며, 위사(F)의 일부분과 경사(W)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ㄱ형상의 제1 굴절조직(13)과 경사(W)의 일부분과 위사(F)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제2 굴절조직(14)이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사선 방향을 따라 접목되도록 제직되는 폴리에스텔 원사의 이점을 살리면서 소프트한 질감과 구김이 없는 면제품과 같은 원단을 제직할 수 있으면서도, 염색 가공시 쓰리톤의 독특한 색상이 발현되는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POLYESTER YARN WITH COTTON PRODUCT TEXTURE AND THREE-TONE COLOR AND THE POLYESTER TEXTILES USED BY THE SAME}
이 발명은 폴리에스텔(Polyester)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종류의 원사들을 인터레이스하여 제직함으로써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에 관한 것이다.
섬유는 그 소재에 따라 천연섬유와 화학섬유로 나눌 수 있고, 천연섬유로는 식물섬유(Vegetable Fiber)인 목면 등이 있으며, 화학섬유로는 합성섬유(Synthetic Fiber)인 폴리에스텔, 나일론, 아크릴 등이 있다.
천연섬유는 천연 그대로의 상태에서 이미 섬유상으로 구성되어, 특히 면섬유는 소프트한 질감과 피부질환 예방 등으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으나, 구김이 잘 가고 신도가 낮으며, 방염처리에 한계가 있는 등 실용적인 면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한 합성섬유 중 하나인 폴리에스텔 섬유는 내구성, 내산성 등 우수한 물성으로 인하여 의류에는 물론 현대의 산업전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폴리에스텔 섬유는 단독은 물론, 방적사나 천연섬유 등과 혼방 및 교직으로 다양한 종류의 직물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단독의 폴리에스텔 섬유의 경우 소프트한 질감이 떨어지는 등 소비자가 선호하는 면제품과 같은 느낌을 주기에 부족하며, 특히 염색 가공시 색상 효과에 한계가 있어 독특한 색상을 구현해내기 어려운 한계가 있고, 방적사 등과 혼방 및 교직된 경우 실용적인 면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폴리에스텔 원사의 이점을 살리면서 소프트한 질감과 구김이 없는 면제품과 같은 원단을 제직할 수 있으면서도, 염색 가공시 쓰리톤의 독특한 색상이 발현되는 원사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경제성 및 활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종래의 코트나(Cotna) 원사를 성분이 다른 폴리에스텔 원사와 합봉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인터레이스사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폴리에스텔 원사의 이점을 살리면서 소프트한 질감과 구김이 없는 면제품과 같은 원단을 제직할 수 있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염색 가공시 쓰리톤의 독특한 색상이 발현되는 원단을 제직할 수 있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는, 코트나(Cotna; 11)와 카치온 CD(Cation; 12)를 인터레이스하여 형성된 KO-H사(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KO-H사(10)의 코트나(11)는 카치온 CD(12)보다 큰 데니어 값을 갖도록 인터레이스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KO-H사(10)의 코트나(11)의 데니어 값은 KO-H사(10)의 데니어 값의 65 ∼ 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은, 위사(F)와 경사(W)가 교차하여 제직되는 폴리에스텔 원단(1)에 있어서, 상기 위사(F)는 코트나(Cotna; 11)와 카치온 CD(Cation; 12)를 인터레이스하여 형성된 KO-H사(10)로 구성되되, 상기 KO-H사(10)의 코트나(11)는 카치온 CD(12)보다 큰 데니어 값을 가지도록 제직되며, 위사(F)의 일부분과 경사(W)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ㄱ형상의 제1 굴절조직(13)과 경사(W)의 일부분과 위사(F)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제2 굴절조직(14)이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사선 방향을 따라 접목되도록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KO-H사(10)의 코트나(11)의 데니어 값은 KO-H사(10)의 데니어 값의 65 ∼ 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사(F)의 데니어 값은 400 ∼ 500이고, 상기 경사(W)의 데니어 값은 200 ∼ 250이 되도록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텔 원단(1)은, 방염물질과 물을 혼합한 방염제가 열에 의하여 원단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강도, 탄력 등이 우수한 폴리에스텔 원사의 이점을 살리면서 소프트한 질감과 구김이 없는 면제품과 같은 원단을 제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염색 가공시 코트나와 카치온 CD의 인터레이스에 의한 쓰리톤의 독특한 색상이 발현되는 원단을 제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텔 원단에 방염제를 고착시켜 영구적 방염처리가 가능해짐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어 안전성이 증대되고, 활용도가 높아지는 원단을 제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제 표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실제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의 일 실시예인 조직도를 반복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의 염색 전후를 비교한 실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를 구성하는 KO-H사의 염색 전후를 비교한 실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의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제 표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실제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발명인 폴리에스텔 원단(1)은 위사(F)와 경사(W)가 교차하여 제직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위사(F) 또는 경사(W)는 KO-H사로 구성된다. 여기서 KO-H사라 함은, 코트나(Cotna; 11)와 카치온 CD(Cation; 12, 이하 '카치온 염료 가염성 사'라고도 한다)를 합봉기를 이용하여 인터레이스(Interlace)시킨 합봉사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코트나(11)가 카치온 CD(12)보다 큰 데니어(Denier) 값을 갖는 인터레이스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인터레이스사인 KO-H사의 명칭은, 이 발명을 최초 개발하여 출원한 주식회사 효원섬유의 모델명에 따른 것이다.
상기 KO-H사의 일 구성인 코트나(11)는 주식회사 효성에서 최초 개발한 폴리에스텔 원사로서, 그 실시예에 따른 물성표는 아래 표 1과 같다.
코트나(Cotna)의 물성표
종류 데니어(D) 강도(g/den) 신도(%) 열수축(%)
COT 320/288 311.0 2.78 28 4.3
COT 160/144 155.9 2.72 29 3.7
한편, KO-H사의 또 다른 구성인 카치온 CD(12)의 실시예에 따른 물성표는 아래 표 2와 같다.
카치온 CD(Cation)의 물성표
종류 데니어(D) 강도(g/den) 신도(%) 열수축(%)
CD 75/36 73.87 3.5 21.63 6.88
CD 150/48 148.69 3.1 21.08 5.85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폴리에스텔 원사인 코트나(11)와, 상기 코트나(11)와 물성과 성분을 달리하는 카치온 CD(12)를 합봉하여 인터레이스사인 KO-H사를 위사 또는 경사로 제직함으로써, 강도, 탄력 등이 우수한 폴리에스텔 원사의 이점을 살리면서, 면제품과 같이 소프트한 질감과 구김이 없는 원단을 제직할 수 있게 되며, 염색 가공시 코트나와 카치온 CD의 인터레이스에 의한 쓰리톤의 독특한 색상이 발현될 수 있다.
상기 KO-H사(10)로 구성된 폴리에스텔 원사를 이용하여 위사(F) 또는 경사(W)로 제직하는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KO-H사(10)는 위사(F)만으로 구성되어 다른 종류의 폴리에스텔 원사로 구성된 경사(W)와 제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KO-H사(10)는 경사(W)만으로 구성되어 다른 종류의 폴리에스텔 원사로 구성된 위사(F)와 제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KO-H사(10)는 위사(F) 및 경사(W)로 구성되어 제직될 수 있다.
위사(F)를 구성하는 KO-H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일 구성인 코트나(11)로는 ‘COT 320/288’사를 사용하고, 카치온 CD(12)로는 ‘CD 150/48'사를 사용하여 인터레이스사로 합봉하면 데니어 값이 470인 KO-H사를 준비할 수 있다.
경사(W)를 구성하는 KO-H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일 구성인 코트나(11)로는 ‘COT 160/144’사를 사용하고, 카치온 CD(12)로는 ‘CD 75/36'사를 사용하여 인터레이스사로 합봉하면 데니어 값이 235인 KO-H사를 준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치온 CD(12)는 목화사(Mokm)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목화사의 실시예에 따른 물성표는 아래 표 3과 같다. 특히, 카치온 CD(12) 중 CD 150/48'사는 유사한 데니어 값을 지닌 아래의 실시예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목화사(Mokm)의 물성표
종류 데니어(D) 강도(g/den) 신도(%) 열수축(%)
MOKM 160/144 152.9 2.86 28.1 4.15
상기 실시예와 같이, 상기 KO-H사(10)의 코트나(11)의 데니어 값은 KO-H사(10)의 데니어 값의 65 ∼ 75%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코트나(11)의 데니어 값이 KO-H사(10)의 데니어 값의 65%보다 작은 경우에는 코트나(11)와 카치온 CD(12)의 인터레이스 영역의 노출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쓰리톤에 의한 독특한 광택을 발현시키기 어렵고, 코트나(11)의 데니어 값이 KO-H사(10)의 데니어 값의 75%보다 큰 경우에는 코트나(11)와 카치온 CD(12)의 인터레이스 영역의 노출이 거의 사라져 마찬가지로 쓰리톤에 의한 독특한 광택을 발현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상기 위사(F)의 데니어 값은 400 ∼ 500이고, 상기 경사(W)의 데니어 값은 200 ∼ 250이 되도록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원단을 이루는 위사(F)의 데니어 값이 경사(W)의 데니어 값보다 크게 제직되어 후술할 조직공정에 따른 면제품과 같은 소프트한 질감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위사(F)의 데니어 값이 400보다 작으면 직물이 대체로 성글게 제직되어 소프트한 질감을 유지하기 어려운 반면, 상기 위사(F)의 데니어 값이 500보다 크면 전체적으로 원단이 고밀화되어 면과 같은 소프트한 질감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W)의 데니어 값이 200보다 작으면 직물이 대체로 성글게 제직되어 소프트한 질감을 유지하기 어렵고, 구김이 쉽게 발생되는 반면, 상기 경사(W)의 데니어 값이 250보다 크면 원단의 고밀화에 기여하여 면과 같은 유연성을 상실하게 된다.
도 3은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의 일 실시예인 조직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위사(F)와 경사(W)의 제직공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물의 단위조직은 위사(F) 및 경사(W)가 4개로 구성되되, 제1 위사(F-1)가 위입될 때에는 제1 경사(W-1) 및 제4 경사(W-4)가 위로 교차하고, 제2 위사(F-2)가 위입될 때에는 제1 경사(W-1) 및 제2 경사(W-2)가 위로 교차하며, 제3 위사(F-3)가 위입될 때에는 제2 경사(W-2) 및 제3 경사(W-3)가 위로 교차하고, 제4 위사(F-4)가 위입될 때에는 제3 경사(W-3) 및 제4 경사(W-4)가 위로 교차함으로써, ㄱ형상의 제1 굴절조직(13)과 ㄴ형상의 제2 굴절조직(14)이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사선 방향을 따라 접목될 수 있게 제직된다.
즉, 제1 굴절조직(13) 및 제2 굴절조직(14) 상호간 잡아주면서 연결되어 하나의 매듭조직(15)을 형성하되, 상기 매듭조직(15)이 사선 방향으로 조여지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되게 제직된다.
이에 따라, 제1 굴절조직(13)과 제2 굴절조직(14)이 서로 당겨주어 구김을 방지하고,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면처럼 부풀어 오르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원단을 이루는 위사(F)의 데니어 값이 경사(W)의 데니어 값보다 크게 제직됨에 따라, 강도, 탄력 등이 우수한 폴리에스텔 원사의 이점을 살리면서, 면제품과 같이 소프트한 질감과 구김이 없는 원단으로 제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직된 원단은 회포 및 정련을 통하여 이물질이나 오염물질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한 뒤, 상기 원단을 터치 조절하면서 코트나 및 카치온용 혼합염료(20)를 투입하여 염색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코트나 및 카치온용 혼합염료(20)로는 6가지의 염료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코트나의 염색을 담당하는 삼원색 염료(3가지)와 카치온 CD의 염색을 담당하는 삼원색 염료(3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단을 구성하는 인터레이스된 KO-H사는, 코트나(11)의 영역과 카치온 CD(12)의 영역 사이에 코트나(11) 및 카치온 CD(12)이 인터레이스된 제3의 영역이 노출되어 상기 코트나 및 카치온용 혼합염료(20)에 의해 쓰리톤의 독특한 색상이 발현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의 염색 가공한 전후를 비교한 실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를 구성하는 KO-H사의 염색 전후를 비교한 실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원단에는 방염물질과 물을 혼합한 방염제가 열에 의하여 원단에 고착될 수 있다.
방염제로는, 일 실시예로 방염물질인 ‘acid, methyl-, bis(5-ethyl-2-methyl-2,2-dioxido-1,3,2-dioxaphosphorinan-5-yl)methyl ester, mixt. with (5-ethyl-2-methyl-2-oxido-1,3,2-dioxaphosphorinan-5-yl)methyl methyl methylphosphonate(CAS No. 170836-68-7)’와 ‘물(Water)’이 47 : 53의 비율(부피)로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면제품은 영구 방염이 어려우며, 일회성 방염처리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이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텔 원단에는 방염제를 고착시켜 영구적 방염처리가 가능해짐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어 안전성이 증대되고, 활용도가 높아지는 원단을 제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방염처리된 원단은 화재 발생시 치명적인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예상되는 호텔, 관공서 등의 커텐, 침장, 소품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이 발명인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의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이 발명은 위사(F)와 경사(W)가 교차하여 제직되는 폴리에스텔 원단(1)의 제조방법으로, 먼저 코트나(Cotna; 11)와 카치온 CD(Cation; 12)을 합봉기를 이용하여 인터레이스시키되, 상기 코트나(11)는 카치온 CD(12)보다 큰 데니어 값을 가지도록 KO-H사를 준비한다(S10).
그 다음, 상기 KO-H사를 위사(F)로 제직하되, 상기 위사(F)는 경사(W)보다 큰 데니어 값을 가지고, 위사(F)의 일부분과 경사(W)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ㄱ형상의 제1 굴절조직(13) 및 ㄴ형상의 제2 굴절조직(14)이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사선 방향을 따라 접목되도록 원단을 제직한다(S20).
그 다음, 상기 제직된 원단을 회포 및 정련을 통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S30).
그 다음, 상기 정련된 원단을 터치 조절하면서 코트나 및 카치온용 혼합염료(20)를 투입하여 염색 가공한다.
그 다음, 상기 염색된 원단에 열을 가하여 셋팅되도록 드라이한다(S50).
이와 같이 제조방법에 따라, 강도, 탄력 등이 우수한 폴리에스텔 원사의 이점을 살리면서 소프트한 질감과 구김이 없는 면제품과 같은 원단을 제직할 수 있으며, 염색 가공시 코트나와 카치온 CD의 인터레이스에 의한 쓰리톤의 독특한 색상이 발현되는 원단을 제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단은 드라이 공정을 거쳐 완성된 후에, 원단의 발화점을 낮추어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어 안전성이 증대되고, 활용도가 높아지도록 방염물질과 물을 혼합한 방염제에 열을 가하여 상기 원단에 고착되도록 방염 처리할 수 있다(S60).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 : 폴리에스텔 원단 10 : KO-H사
11 : 코트나 12 : 카치온 CD
13 : 제1 굴절조직 14 : 제2 굴절조직
F : 위사 W : 경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위사(F)와 경사(W)가 교차하여 제직되는 폴리에스텔 원단(1)에 있어서,
    상기 위사(F)는 폴리에스텔 원사인 코트나(Cotna; 11)와 카치온 CD(카치온 염료 가염성 사, Cation; 12)를 인터레이스하여 형성된 KO-H사(10)로 구성되되,
    상기 KO-H사(10)의 코트나(11)는 카치온 CD(12)보다 큰 데니어 값을 가지도록 제직되며,
    위사(F)의 일부분과 경사(W)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ㄱ형상의 제1 굴절조직(13)과 경사(W)의 일부분과 위사(F)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ㄴ형상의 제2 굴절조직(14)이 상호간 잡아주면서 연결되어 하나의 매듭조직(15)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조직(15)이 사선 방향으로 조여지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되게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KO-H사(10)의 코트나(11)의 데니어 값은 KO-H사(10)의 데니어 값의 65 ∼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F)의 데니어 값은 400 ∼ 500이고, 상기 경사(W)의 데니어 값은 200 ∼ 250이 되도록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텔 원단(1)은,
    방염물질과 물을 혼합한 방염제가 열에 의하여 원단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

KR1020160112014A 2016-08-31 2016-08-31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 KR10192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14A KR101928999B1 (ko) 2016-08-31 2016-08-31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14A KR101928999B1 (ko) 2016-08-31 2016-08-31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941A KR20180024941A (ko) 2018-03-08
KR101928999B1 true KR101928999B1 (ko) 2018-12-13

Family

ID=6172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014A KR101928999B1 (ko) 2016-08-31 2016-08-31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6491B (zh) * 2019-08-21 2021-03-30 红柳纺织科技沭阳有限公司 一种棉感轻薄型防羽面料生产工艺
KR102151063B1 (ko) * 2020-06-25 2020-09-02 (주)효원섬유 암막기능 및 볼륨감과 신축성이 우수한 접결이중직물의 제직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직 된 접결이중직물
KR102458960B1 (ko) * 2022-05-31 2022-10-24 천승희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7805B2 (ja) * 2006-07-31 2013-09-25 株式会社ダイキン ポリエステルの難燃化処理剤とこれを用いた難燃化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7805B2 (ja) * 2006-07-31 2013-09-25 株式会社ダイキン ポリエステルの難燃化処理剤とこれを用いた難燃化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941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4557A (zh) 观感和性能如针织物那样的机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928999B1 (ko)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텔 원단
JP7410218B2 (ja) 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60266B1 (ko) 멜란지형 외관이 우수한 초극세 섬유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초극세 섬유포 및 그의 용도
JP6431637B1 (ja) 柄を有するアウター衣料用編地
JP6191067B2 (ja) 丸編みニット生地からなる学生服
WO2016013995A1 (en) Flat over dye denim fabric
KR101689369B1 (ko) 면제품 질감 및 쓰리톤 색상을 갖는 폴리에스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593199B1 (ko) 린넨직물
KR100888862B1 (ko) 레이온 필라멘트를 사용한 고광택 신축성 직물 및 이의제조방법
WO2018123532A1 (ja) 繊維構造体
KR100981954B1 (ko)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JP7079110B2 (ja) シングル丸編地
KR101402257B1 (ko) 직물용 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직물
WO2016108773A1 (en) Denim fabric with denim front face and towel back face
RU2177516C2 (ru) Трикотажное полотно
JP2003119646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布帛及び繊維製品
KR100853471B1 (ko) 인공피혁 제조용 스웨드 직물
JP7234472B2 (ja) カーテン地
KR100330249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견조(絹調)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JP4202210B2 (ja) 混繊糸及び織編物及び着古し外観を有する縫製品
KR10021121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
KR20030037461A (ko) 폴리에스터 극세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KR100313565B1 (ko) 외관과촉감이우수한이수축혼섬사직물의제조방법
JP4035037B2 (ja) 伸縮性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