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774B1 -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774B1
KR101927774B1 KR1020170016084A KR20170016084A KR101927774B1 KR 101927774 B1 KR101927774 B1 KR 101927774B1 KR 1020170016084 A KR1020170016084 A KR 1020170016084A KR 20170016084 A KR20170016084 A KR 20170016084A KR 101927774 B1 KR101927774 B1 KR 10192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woven
cut
knee
cutt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214A (ko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펫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펫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펫스타
Priority to KR102017001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774B1/ko
Priority to PCT/KR2017/002526 priority patent/WO2018143507A1/ko
Priority to JP2017515824A priority patent/JP2019508011A/ja
Publication of KR2018009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리스공법을 사용하여 직조되며,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품에 탄력성이 서로 다른 부분이 각각 나누어져 형성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제선이 없으면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직조되는 하나의 중간제품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를 거쳐 직조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Clothes manufacturing method for pet}
본 발명은 애견용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리스공법을 사용하여 직조되며,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품에 탄력성이 서로 다른 부분이 각각 나누어져 형성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가족 구성원이 핵가족화되므로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각종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속도로 늘고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을 친가족이나 자식처럼 생각하여 대부분 실내에서 자라게 되므로 일정한 주기마다 운동을 시켜주거나 주인이 산책시에 함께 데리고 나가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요즘과 같은 바쁜 현대 생활속에서는 그마저도 여유가 없어 시켜주지 못한다. 때문에 애완동물은 한정적인 곳에서 생활하면서 움직임이 제한되어 비만으로 발전해 척추에 문제가 생긴다.
또한, 아파트나 주택에 설치된 마루나 장판은 애완동물이 생활하기에 미끄러워 미끄러지면서 애완동물의 다리가 휘어지고 무릎 슬개골이 탈구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상기 애완동물이 사람처럼 일어나는 자세를 취하거나, 비만이 원인이되어 고관절이 탈구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애완동물은 한정적인 곳에서 생활하면서 자세가 흐트러지고, 비만이 되어가며 무릎과 고관절이 탈구되는 문제점이 생겼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71498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이 상기 애견용 의류를 착용하였을 경우, 상기 애견용 의류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애견용 의류의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척추를 보호하는 척추보호부 및 상기 척추보호부를 고정시키는 척추고정부를 두고 이들 척추보호부와 척추고정부를 다른 부분와 탄력성에서 차이 나도록 형성함으로써, 비만으로 인해 척추에 무리가 가는 애완동물의 척추를 압박 및 고정시켜 애완동물의 척추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애견용 의류의 하부에는 탄력성이 다르게 형성되는 무릎보호부와 고관절부를 형성시켜, 상기 애완동물의 무릎과 고관절을 압박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애완동물의 무릎과 고관절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심리스공법을 사용하여 직조되며,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품에 탄력성이 서로 다른 부분이 각각 나누어져 형성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제선이 없으면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직조되는 하나의 중간제품이 직조되는 단계,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봉제선이 없으면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직조된 하나의 상기 중간제품이 직조 단계는, 애완견의 등과 배를 감싸는 상의부가 직조되는 단계와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고 무릎과 고관절을 감싸는 하의부가 직조되는 단계로 구분되어 직조된다.
상기 하나의 중간제품은 애완견의 등과 배를 감싸는 상의부로 구분되어 직조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척추를 기준으로 일정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 척추보호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척추보호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척추보호부를 양 옆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키는 척추고정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앞발을 넣을 수 있게 형성된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되, 상기 척추보호부와 척추고정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탄력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직조한다.
또한, 상기 애완견의 심장을 보호하기 위한 심장마사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심장마사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복부 부분에 복부를 보호하기 위한 복부마사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고, 상기 심장마사지부 및 복부마사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심장마사지부 및 상기 복부마사지부에 마사지 기능이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도록 직조한다.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고 무릎과 고관절을 감싸는 하의부가 직조되는 단계에는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꼬리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 무릎을 감싸 무릎인대를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고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고관절을 감싸는 고관절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되, 상기 무릎보호부와 상기 고관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탄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직조한다.
더불어,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 전에,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고 무릎과 고관절을 감싸는 하의부가 직조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꼬리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 무릎을 감싸 무릎인대를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고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고관절을 감싸는 고관절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되, 상기 무릎보호부와 상기 고관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탄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직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에는 상기 상의부의 제1 컷팅라인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하의부의 제2 컷팅라인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하의부의 제3 컷팅라인이 재단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에는 별도의 신축성 있는 섬유소재의 밴드가 구비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밴드는 상기 재단된 각각의 제1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각각 위치되어,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에는 상기 밴드는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밴드는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 전에, 상기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에서 길이방향의 중간위치를 기점으로하여 하단부의 좌측라인과 우측라인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별도의 표식이 더 구비되도록 직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구비된 각각의 표식 이전부분까지만 봉제되어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를 감싸는 다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밴드는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 후에, 상기 하나의 개구부의 양측에 위치된 각각의 다리부가 각각 봉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애완견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척추를 기준으로 일정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 척추보호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에는 상기 척추보호부는 상기 애완견의 척추를 중심으로 좌, 우 방향으로 동일한 넓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척추보호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척추보호부를 양 옆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키는 척추고정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에는, 상기 척추고정부는 상기 형성된 척추보호부의 소정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후면부까지 이어져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도록 직조한다.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 무릎을 감싸 무릎인대를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는, 상기 무릎보호부는 상기 애완견 뒷다리의 무릎 부분에 상기 무릎을 둘러싼 마름모 형상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도록 직조되되, 상기 형상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한쪽 무릎보호부를 펼치면 엑스자 형상이 이어져 가운데에 상기 마름모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마름모 형상을 양측에서 잡아당겨 상기 무릎을 압박한다.
또한,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 무릎을 감싸 무릎인대를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는 상기 무릎보호부는 상기 애완견 뒷다리의 무릎 부분에 상기 무릎을 둘러싸는 복수의 일자형상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도록 직조하되, 상기 일자 형상이 형성되는 방향은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자 형상을 양측에서 잡아당겨 상기 무릎을 압박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견용 의류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소재로 직조되되, 탄력성의 강도가 각각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척추를 보호하는 척추보호부와 척추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척추를 압박 및 고정시켜 유지시킬 수 있고,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무릎보호부를 형성하여 애완동물의 무릎을 압박함으로써 슬개골의 탈구를 예방하고 보정하며, 고관절을 압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실내에서 생활하는 애완동물이 상기 애견용 의류를 입고 있는 것만으로도 자세를 똑바로 잡아주어 애완동물의 척추와 무릎 및 고관절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스 공법에 의해 직조된 애견용 의류의 중간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상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하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스 공법에 의해 직조된 애견용 의류의 중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스 공법에 의해 직조된 애견용 의류의 중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스 공법에 의해 직조된 애견용 의류의 중간제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상의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하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스 공법에 의해 직조된 애견용 의류의 중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스 공법에 의해 직조된 애견용 의류의 중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애견용 의류는 심리스공법을 사용하여 직조되며,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품에 탄력성이 서로 다른 부분이 각각 나누어져 형성되도록 직조한다.
상기 심리스 공법이란 봉제선이 없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한 번에 직조 가능한 방법으로, 주로 스타킹이나 보정속옷 등에 주로 사용되는 공법이다.
상기 애견용 의류는 봉제선이 없으면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직조되는 하나의 중간제품이 형성되는 단계(S100),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S110),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S120)를 거쳐 애견용 의류가 제조된다.
이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은 도 4에 순서도 형식으로 도시되어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봉제선이 없으면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직조된 하나의 중간제품(101)이 직조되는 단계는, 애완견의 등과 배를 감싸는 상의부(110)가 직조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중간제품은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고 무릎과 고관절을 감싸는 하의부(120)가 직조되는 단계로 구분되어 직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애견용 의류의 중간제품이 직조되는 단계를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 2에 (a)는 애완견의 등을 감싸는 전면부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애완견의 배를 감싸는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도 3의 (a)는 애완견의 고관절에 위치되는 전면부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애완견의 무릎을 감싸는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나의 중간제품(101)은 애완견의 등과 배를 감싸는 상의부(110)로 구분되어 직조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척추를 기준으로 일정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 척추보호부(111)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 상기 척추보호부(11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척추보호부(111)를 양 옆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키는 척추고정부(112)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앞발을 넣을 수 있게 형성된 끼움부(113)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척추보호부(111)와 척추고정부(11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탄력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애완견의 심장을 보호하기 위한 심장마사지부(114)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심장마사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복부 부분에 복부를 보호하기 위한 복부마사지부(115)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직조되고, 상기 심장마사지부(114) 및 복부마사지부(115)는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심장마사지부(114) 및 상기 복부마사지부(115)에 마사지 기능이 가능하도록 돌출부(116)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애완견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척추를 기준으로 일정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 척추보호부(111)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는 상기 척추보호부(111)는 상기 애완견의 척추를 중심으로 좌, 우로 동일한 넓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척추보호부(111)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직조되고, 상기 척추보호부를 양 옆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키는 척추고정부(112)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척추보호부(111)의 소정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심장마사지부(114)와 복부마사지부(115)까지 이어져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고 무릎과 고관절을 감싸는 하의부가 직조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꼬리부(124)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 무릎을 감싸 무릎인대를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부(121)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고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고관절을 감싸는 고관절부(122)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무릎보호부(121)와 상기 고관절부(122)의 탄력성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꼬리부(124)는 탄력성이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무릎보호부(121)와 상기 고관절부(12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탄력성은 상기 무릎보호부(121) 및 고관절부(122)의 탄력성보다 약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 무릎을 감싸 무릎인대를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부(121)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에서, 상기 무릎보호부는 상기 애완견 뒷다리의 무릎 부분에 상기 무릎을 둘러싼 마름모 형상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거나 상기 무릎보호부(121)는 상기 애완견 뒷다리의 무릎 부분에 상기 무릎을 둘러싸는 복수의 일자형상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무릎보호부(121)는 상기 애완견 뒷다리의 무릎 부분에 상기 무릎을 둘러싼 마름모 형상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마름모 형상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한쪽 무릎보호부(121)를 펼치면 엑스자 형상이 이어져 가운데에 상기 마름모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마름모 형상을 양측에서 잡아당겨 상기 무릎을 압박함으로써, 슬개골의 탈구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무릎보호부(1121)는 상기 애완견 뒷다리의 무릎 부분에 상기 무릎을 둘러싸는 복수의 일자형상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일자 형상이 형성되는 방향은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자 형상을 양측에서 잡아당겨 상기 무릎을 압박함으로써, 슬개골의 탈구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애완견의 고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고관절을 감싸는 고관절부(122)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에서, 상기 고관절부(122)는 상기 애완견의 양쪽 고관절 부분에 엑스자 형상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상기 애완견의 고관절을 압박하여 벌어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중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 전에, 상기 중간제품(101)에는 컷팅라인(130)이 더 형성되어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상의부(110)에 애완견의 앞발을 넣을 수 있게 형성된 양쪽 끼움부(130) 각각의 소정의 위치에 제1 컷팅라인(131)이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 상기 하의부(120)의 양쪽에 형성된 각각의 무릎보호부(121)의 경계를 따라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각각의 경계를 따라 제2 컷팅라인(132)이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 상기 하의부(120)에 형성된 꼬리부(124)의 형상으로 제3 컷팅라인(133)이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직조된다.
상기 중간제품(101)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에는 상기 상의부(110)의 제1 컷팅라인(131)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하의부(120)의 제2 컷팅라인(132)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하의부(120)의 제3 컷팅라인(133)이 재단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의류의 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제품(101)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 후에,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에는 별도의 신축성 있는 섬유소재의 밴드(150)가 구비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밴드(150)는 상기 재단된 각각의 제1 컷팅라인(131)의 재단선을 따라 각각 위치되도록 직조되고,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때, 좌, 우로 각각 형성되는 개구부는 애완견의 앞발이 끼워지는 끼움부(113)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에서, 상기 밴드(150)는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132)과 제3 컷팅라인(133)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하나의 개구부(a)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때, 형성되는 개구부(a)는 상기 애완견의 꼬리와 엉덩이 부분을 함께 개방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여, 애완동물의 대, 소변을 보기에 용이하게 직조된 것이다.
이때, 상기 밴드(150)는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하나의 개구부(125)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 전에, 상기 제2 컷팅라인(132)과 제3 컷팅라인(133)에서 길이방향의 중간위치를 기점으로하여 하단부의 좌측라인과 우측라인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별도의 표식(140)이 더 구비되도록 직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구비된 각각의 표식(140) 이전부분까지만 봉제되어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를 감싸는 다리부(123)가 형성되도록 직조된다.
이때, 상기 표식(140)은 상기 제2 컷팅라인(132)과 제3 컷팅라인(133)에 각각 두 개씩 표시된다.
더불어, 상기 밴드(150)는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132)과 제3 컷팅라인(133)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 후에, 상기 하나의 개구부(125)의 양측에 위치된 각각의 다리부(123)가 각각 봉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부분별로 탄력성이 다르게 직조된 완제품(100)이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애견용 의류 101 : 중간제품
110 : 상의부 120 : 하의부
130 : 컷팅라인 140 : 표식
150 : 밴드

Claims (12)

  1. 심리스공법을 사용하여 직조되며,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품에 탄력성이 서로 다른 부분이 각각 나누어져 형성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제선이 없으면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직조되는 하나의 중간제품이 직조되는 단계;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 를 통해 애견용 의류를 직조하고,
    봉제선이 없으면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직조된 하나의 상기 중간제품이 직조 단계는,
    애완견의 등과 배를 감싸는 상의부가 직조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고 무릎과 고관절을 감싸는 하의부가 직조되는 단계; 로 구분되어 직조되며,
    상기 애완견의 등과 배를 감싸는 상의부로 구분되어 직조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척추를 기준으로 일정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 척추보호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척추보호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척추보호부를 양 옆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키는 척추고정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앞발을 넣을 수 있게 형성된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되,
    상기 척추보호부와 척추고정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탄력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의 심장을 보호하기 위한 심장마사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심장마사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복부 부분에 복부를 보호하기 위한 복부마사지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도록 직조하고,
    상기 심장마사지부 및 복부마사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심장마사지부 및 상기 복부마사지부에 마사지 기능이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고 무릎과 고관절을 감싸는 하의부가 직조되는 단계는,
    상기 애완견의 꼬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꼬리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 무릎을 감싸 무릎인대를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애완견의 고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고관절을 감싸는 고관절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되,
    상기 무릎보호부와 상기 고관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탄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 전에,
    상기 중간제품에는 컷팅라인이 더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어 직조하되,
    상기 상의부에 애완견의 앞발을 넣을 수 있게 형성된 양쪽 끼움부 각각의 소정의 위치에 제1 컷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하의부의 양쪽에 형성된 각각의 무릎보호부의 경계를 따라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각각의 경계를 따라 제2 컷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하의부에 형성된 꼬리부의 형상을 따라 제3 컷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제품에 구간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부분들이 재단되는 단계는,
    상기 상의부의 제1 컷팅라인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하의부의 제2 컷팅라인이 재단되는 단계;
    상기 하의부의 제3 컷팅라인이 재단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는,
    별도의 신축성 있는 섬유소재의 밴드가 구비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되,
    상기 밴드는 상기 재단된 각각의 제1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각각 위치되어,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재단된 부분들이 봉제되는 단계는,
    상기 밴드를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시켜,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를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시켜,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에서 길이방향의 중간위치를 기점으로하여 하단부의 좌측라인과 우측라인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별도의 표식이 더 구비되도록 직조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구비된 각각의 표식 이전부분까지만 봉제되어 상기 애완견의 뒷다리를 감싸는 다리부가 형성되도록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재단된 제2 컷팅라인과 제3 컷팅라인의 재단선을 따라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봉제되는 단계 후에,
    상기 하나의 개구부의 양측에 위치된 각각의 다리부가 각각 봉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170016084A 2017-02-06 2017-02-06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KR10192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084A KR101927774B1 (ko) 2017-02-06 2017-02-06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PCT/KR2017/002526 WO2018143507A1 (ko) 2017-02-06 2017-03-08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JP2017515824A JP2019508011A (ja) 2017-02-06 2017-03-08 愛犬用衣類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084A KR101927774B1 (ko) 2017-02-06 2017-02-06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214A KR20180091214A (ko) 2018-08-16
KR101927774B1 true KR101927774B1 (ko) 2019-01-08

Family

ID=6303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084A KR101927774B1 (ko) 2017-02-06 2017-02-06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508011A (ko)
KR (1) KR101927774B1 (ko)
WO (1) WO2018143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588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펫닥 고관절 및 무릎 슬개골 보호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402B2 (ja) 1993-05-17 2001-05-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ブラスト用グリットの除染方法
KR200398212Y1 (ko) * 2005-04-28 2005-10-12 신용윤 애완견 전용 견인줄 부착방식의 애완견용 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0557A (en) * 1997-12-11 2000-06-06 Hibbert; Bette S.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ing animal wounds
US20040031448A1 (en) * 2002-08-13 2004-02-19 Trepanier Diana M. Post-surgical care bandage cover for pets
WO2006090861A1 (ja) * 2005-02-25 2006-08-31 Three Arrows Inc. 愛玩動物用衣服
AT9245U1 (de) * 2006-08-04 2007-07-15 Freitag Norbert Dr Schutzbekleidung für tiere
JP2009050299A (ja) * 2007-08-23 2009-03-12 Teijin Fibers Ltd 動物用創傷保護衣料
KR20100011440U (ko) * 2009-05-15 2010-11-24 이종근 애완동물용 양말
JP3162137U (ja) * 2010-06-11 2010-08-19 株式会社アイコンズ 動物用衣服
KR101324520B1 (ko) 2010-12-23 2013-11-01 주식회사 엘티전자 광섬유 발광장치를 구비한 애완동물용 의류
AU2012101893A4 (en) * 2011-01-14 2013-06-20 Hidez Pty Limited A Compression Garment for Animals
KR20160003189U (ko) * 2015-03-11 2016-09-22 신갑선 애완동물용 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402B2 (ja) 1993-05-17 2001-05-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ブラスト用グリットの除染方法
KR200398212Y1 (ko) * 2005-04-28 2005-10-12 신용윤 애완견 전용 견인줄 부착방식의 애완견용 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8011A (ja) 2019-03-28
KR20180091214A (ko) 2018-08-16
WO2018143507A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7829C (en) Anti-rub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orse's coat from damage from a horse blanket
JP2006525020A (ja) 愛玩動物用おむつ服
KR101925908B1 (ko) 고관절 및 무릎인대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WO2011025707A1 (en) Animal garment
KR101927774B1 (ko)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JP5400994B2 (ja) 動物用コルセット
JP2007296309A (ja) 動物用コルセット
KR101777118B1 (ko) 반려견의 관절 보호 장치
KR20200086588A (ko) 고관절 및 무릎 슬개골 보호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JP3177632U (ja) ペットの手術後の着衣
JP2005154917A (ja) 腰部保護衣類
KR20220046884A (ko)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KR20170115886A (ko) 척추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KR19990021959U (ko) 음낭보호팬티
KR101927773B1 (ko) 애견용 관절 보정 서포터
CA3141083A1 (en) Animal back support apparatus
KR200491249Y1 (ko) 가축용 방한복
JP6609149B2 (ja) 動物用衣服
KR20150109024A (ko) 다리 교정복
US20200390067A1 (en) Pet clothing for body correction
KR102096670B1 (ko) 기능성 신체 보정 치마레깅스
KR100387084B1 (ko) 안전 포대기
JP2004137666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8011780A (ja) 環境汚染防止用四足歩行動物用衣服
JP2004156199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