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884A -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884A
KR20220046884A KR1020200130111A KR20200130111A KR20220046884A KR 20220046884 A KR20220046884 A KR 20220046884A KR 1020200130111 A KR1020200130111 A KR 1020200130111A KR 20200130111 A KR20200130111 A KR 20200130111A KR 20220046884 A KR20220046884 A KR 20220046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ayer
companion animal
velcro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773B1 (ko
Inventor
권민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앤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앤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앤권
Priority to KR102020013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7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00Bandages, poultices, compresses specially adapted to veterinary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는, 반려동물의 다리에 착용되는 다리 보호 의료복에 의해 시니어 펫의 욕창을 방지하고, 슬개골 관련 부위의 수술 후 환부를 보호하며 치료를 보조하고, 피부질환 부위를 보호하고 치료하는 다리보호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는, 바지 형태로 반려동물의 다리가 삽입되며 밀착되는 다리부; 및 다리부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되며 길게 늘어진 머플러 형태로 반려동물의 몸을 권취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되, 몸통부는, 다리부 연결 부위에 인접한 외측면에 구비된 고정부재; 및 선단 내측면에 구비된 착탈부재;를 더 포함하며, 몸통부가 권취된 후 착탈부재가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권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다리부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완충주머니; 및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완충주머니에 대응 삽입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다리보호대{Pet Leg Guard}
본 발명은 반려동물 다리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다리에 착용되는 다리 보호 의료복에 의해 시니어 펫의 욕창을 방지하고, 슬개골 관련 부위의 수술 후 환부를 보호하며 치료를 보조하고, 피부질환 부위를 보호하고 치료할 수 있는 다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는, 다리부와 몸통부로 구성되어 다리부는 바지 형태로 반려동물의 다리에 삽입되며 밀착되고, 몸통부는 다리부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되며 길게 늘어진 머플러 형태로 반려동물의 몸을 권취하면서 반려동물의 신체에 착용이 완료되고, 다리보호대는 통기성이 뛰어난 유기농 원단으로 제작되어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내구성과 위생관리에 좋으며, 다리부의 외측 방향으로 메모리폼과 같은 완충부재가 내삽 될 수 있어 수술 후 환부 보호, 시니어 펫의 약한 관절 보호에 효과적이며, 반려동물의 다리 부위에 흔히 발병되는 피부질환에 대해 반려동물 스스로 긁거나 외부 유해 환경에 노출되는 일이 방지되면서 치료효과가 발생하고, 활동이 힘들어 누워 지내는 빈도가 높은 시니어 펫의 경우 욕창 발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다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 시기는 경제적 수준이 향상되고 인구의 증가율은 감소함에 따라 가족구성원이 핵가족화 되면서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인간의 삶에서 반려견, 반려묘 등 반려동물이 가족과 같은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2019년 12월까지 누적 등록된 반려동물 중 사람의 장년층, 노년층에 해당되는 7~12세의 노령견, 노령묘 등 시니어 펫이 전체 반려동물 중 4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10가구 중 4가구에서는 노령견, 노령묘를 키우는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제는 반려동물 20세 시대로서 시니어 펫의 숫자는 향후 점차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시니어 펫은 활동이 힘들어 누워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인 경우가 많고, 그렇게 되면 야윈 상태로 뼈가 돌출된 부분에 체중이 실리게 되면서 그 부위가 장시간 압박되어 욕창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때 2차 감염의 발생이 더 위험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하반신 마비 동물의 경우 앞다리만 사용하므로 상처가 쉽게 생길 수 있고,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다리가 차가워지거나 근육이 쉽게 굳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한편 동물병원에서 진행되는 수술 중 최다 빈도를 기록하는 것이 슬개골 탈구 교정 수술인데, 이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이 대부분이고 실내생활 위주로 활동범위가 제한되어 있는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국내 반려견의 경우 소형견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소형견은 유전적으로 슬개골이 탈구되는 비율이 높은데 기인한다.
따라서 슬개골 등 다리의 관절 부위에 처치되는 수술 후에는 환부를 감싸주어 2차 감염을 막고, 반려동물 스스로 상처 부위를 핥거나 다른 다리를 이용해 긁어서 상처가 덧나는 것을 예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모든 유형의 반려동물에 있어서 아토피, 지루성 피부염, 습진 등 각종 피부질환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바 보호자들이 반려동물 관리에 있어 상당한 애로사항에 처해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려동물이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는 욕창 방지 베개 타입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반려동물의 신체에 고정이 되지 않아 보호되어야 할 치료부위에서 쉽게 이탈이 되어 치료효과가 현저히 저하되고, 폴리에스테르 소재인 경우가 많아 욕창 방지, 수술 환부 보호, 피부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물론 오히려 상태를 더 악화시킬 우려가 존재한다.
또는 반려동물의 다리를 감싼 후 밴드로 고정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반려동물이 물어뜯기 쉽고, 밴드타입으로써 흘러내리기 용이한데다 통기성이 저하되며,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밴드를 강하게 조이며 고정시킬수록 혈액순환이 원활치 못하고 환부에 압박이 강해져 오히려 환부를 덧나게 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흘러내리지 않고 통기성은 우수하며 욕창 방지, 환부 보호, 피부질환 치료가 모두 가능한 다리 보호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456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반려동물의 다리에 착용되는 다리 보호 의료복에 의해 시니어 펫의 욕창을 방지하고, 슬개골 관련 부위의 수술 후 환부를 보호하며 치료를 보조하고, 피부질환 부위를 보호하고 치료하는 다리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는, 다리부와 몸통부로 구성되어 다리부는 바지 형태로 반려동물의 다리에 삽입되며 밀착되고, 몸통부는 다리부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되며 길게 늘어진 머플러 형태로 반려동물의 몸을 권취하면서 반려동물의 신체에 착용이 완료되고, 다리보호대는 통기성이 뛰어난 유기농 원단으로 제작되어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내구성과 위생관리에 좋으며, 다리부의 외측 방향으로 메모리폼과 같은 완충부재가 내삽 될 수 있어 수술 후 환부 보호, 시니어 펫의 약한 관절 보호에 효과적이며, 반려동물의 다리 부위에 흔히 발병되는 피부질환에 대해 반려동물 스스로 긁거나 외부 유해 환경에 노출되는 일이 방지되면서 치료효과가 발생하고, 활동이 힘들어 누워 지내는 빈도가 높은 시니어 펫의 경우 욕창 발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는, 바지 형태로 반려동물의 다리가 삽입되며 밀착되는 다리부; 및 다리부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되며 길게 늘어진 머플러 형태로 반려동물의 몸을 권취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되, 몸통부는, 다리부 연결 부위에 인접한 외측면에 구비된 고정부재; 및 선단 내측면에 구비된 착탈부재;를 더 포함하며, 몸통부가 권취된 후 착탈부재가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권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완충주머니; 및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완충주머니에 대응 삽입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길이방향의 다수 위치에서 하부가 상부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말려 들어가며 원형의 접힌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다수의 접이층을 이룰 수 있고, 각 접이층은, 반려동물 다리에 접하는 내피층; 접혀진 상태에서 내피층에 접하는 외피내층; 외측면을 향해 구비되는 외피외층;으로 구성되며, 내피층 및 외피내층의 각 접촉면에는 벨크로가 형성된 벨크로부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접이층의 접혀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고, 외피내층을 내피층으로부터 분리하고 접혀있던 외피내측과 외피외층을 펼치면 다리부가 길어질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 재질의 길게 형성된 사각 형상으로 일측면에 벨크로가 부착된 부목부재;를 더 포함하되, 부목부재는, 내피층과 외피내층이 분리되어 펼쳐지면서 외부로 노출된 벨크로에 일측면이 접하면서 다리부의 길이방향으로 탈부착 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한 재질의 길게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일측면에 벨크로가 부착되고 소정의 쿠션이 함유된 완충원형부재;를 더 포함하되, 완충원형부재는, 내피층과 외피내층이 분리되어 펼쳐지면서 외부로 노출된 벨크로에 일측면이 접하면서 다리부를 원형으로 감싸며 탈부착 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다리보호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다리에 입히고 몸에 감싸는 구조로서 누워 있는 활동이 많고 관절이 약한 시니어 펫의 욕창 방지 및 슬개골 탈구 수술, 개복 수술 등 다리 수술 후 환부 보호, 그리고 습진, 아토피 등 피부질환 보호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둘째, 환부에 직접 닿는 부분은 유기농 코튼으로서 퀼팅 엠버싱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과 완충효과가 뛰어나고 세탁에 용이하여 위생관리에 좋다.
셋째, 반려동물의 체형 연구를 통해 환부에 밀착 고정 될 수 있는 패턴 디자인으로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제작되어 장시간 착용에도 편안하고, 체중 변화 및 체격 변화에도 사이즈 조정이 가능하여 실용적이다.
넷째, 다리부의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주머니가 구비되고 메모리폼과 같은 완충부재가 삽입될 수 있어서 수술 후 환부 또는 시니어 펫의 약한 관절 부위에 압박은 최소화 되고 완충효과가 극대화되면서 보호될 수 있고 또한 필요 부위만 집중 케어가 가능하다.
다섯째, 사용은 간단하고 편리하면서도 동시에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을 보유하여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이고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의 정면도, 배면도 및 몸통부가 접힌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를 착용한 측면사시도 및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이층이 구비된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를 착용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의 (a) 내지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의 정면도, 배면도 및 몸통부가 접힌 형상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 내지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를 착용한 측면사시도 및 정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이층이 구비된 반려동물 다리보호대를 착용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는 다리부(100) 및 몸통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리부(100)와 몸통부(200)는 일체형으로 연결된 형태를 지닌다.
다리부(100)는 바지 형태로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어 반려동물의 다리가 삽입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다리에 밀착되도록 반려동물의 다리 형상에 맞는 입체적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100)의 하단부터 상단까지는 반려동물의 발목에서부터 다리와 몸통이 만나는 골반 부위까지 착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200)는 다리부(100)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되며 머플러 형태로 길게 늘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몸통부(200)는 다리부(100)의 상단에서 연장되되 원형의 다리부(100) 입구 전체에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의 다리부(100) 입구 중 원호 일부에서 머플러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다리가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의 다리부(100)에 삽입되고 나면 몸통부(200)는 반려동물의 등 위에 걸쳐지면서 몸을 휘감아 몸통을 권취하게 된다.
몸통부(200)의 일단 시작 부분, 즉 다리부(100) 연결 부위에 인접한 외측면에는 고정부재(220)가 구비되고 선단 내측면에는 착탈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몸통부(200)가 반려동물의 몸을 휘감고 나면 선단의 착탈부재(210)와 일단의 고정부재(220)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고정부재(220)는 벨크로의 걸림고리 형태로써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고, 착탈부재(210)는 벨크로의 갈고리 형태로써 꺼끌꺼끌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착탈부재(210)를 고정부재(220)에 붙였다 떼었다를 반복할 수 있다.
착탈부재(210)는 벨크로의 갈고리와 같은 것이므로 고정부재(220)를 걸림고리로 하여 상호 부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부재(220) 이외 몸통부(200)의 외표면을 걸림고리로 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몸통부(200)가 반려동물의 몸을 권취한 후에는 착탈부재(210)가 몸통부(200) 외측면에 구비된 고정부재(220)에 부착됨으로써 몸통부(200)의 권취 상태가 고정이 되고 부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동시에 다리부(100)를 몸통부(200) 방향으로 끌어당긴 상태에서 고정이 되므로 다리부(10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착탈부재(210)와 고정부재(220)는 벨크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보호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서, 부착과 탈거가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를 반려동물에 착용시킬 때 우선 다리부(100)에 반려동물의 다리를 삽입시키고 나서 다리부(100)가 다리에 잘 밀착되도록 다리부(100)의 매무새를 정리한 후 몸통부(200)을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겨 반려동물의 몸을 휘감되 몸통부(200)가 반려동물의 몸통에 적절한 수준으로 타이트해 지도록 한 후 착탈부재(210)를 몸통부(200) 외측면으로 구비된 고정부재(220)에 부착시키면 몸통부(200)를 반려동물의 몸에 맞게 조정한 타이트한 상태를 고정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수준의 타이트함을 유지하되 반려동물이 작거나 어릴 때에는 몸통부(200)가 반려동물의 몸에 여러 번 감긴 후 착탈부재(210)가 고정부재(220) 또는 몸통부(20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반려동물이 성장되면서 점차 커지게 되면 몸통부(200)는 반려동물의 크게에 맞춰 적절한 횟수로 감겨진 후 착탈부재(210)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체중이 증가하거나 체격이 커지게 되더라도 변화하는 체형에 맞춰 몸통부(200)의 감는 횟수를 조정해 가면서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가 착용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성장기 내내 장시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반려동물에 번갈아 착용시킬 수 있어 높은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의 다리부(100)에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주머니(110)가 구비되고, 완충주머니(110)에는 완충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다.
완충주머니(110)는 상단이 개방되고 나머지 세 개의 면이 폐쇄된 사각 형태로서 다리부(100)에서 신체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다리 관절을 포괄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완충부재(120)는 복원성이 강한 완충 특수 스펀지로서 메모리폼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완충주머니(110)에 삽입되어 맞춤 장착될 수 있는 크기 및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는 일 실시예로서 유기농 퀼팅 엠버싱 원단을 사용할 수 있어 내구성은 물론 완충효과가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는데, 완충부재(120)가 완충주머니(110)에 내삽되어 사용되면 완충효과는 더욱 극대화 될 수 있고 필요 부위에 집중 케어가 이뤄질 수 있다.
즉 슬개골 탈구 수술을 하여 환부에 대한 집중 보호가 필요하다거나, 노령견 또는 노령묘가 뼈가 돌출될 정도로 야윈 상태에서 다리 관절의 보호 및 욕창 방지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경우, 보호자는 반려동물의 해당 부위를 감싸거나 덧대어 지는 위치와 방향으로 하여 완충부재(120)를 완충주머니(110)에 삽입하여 상기 필요 상황에 맞춰 완충 및 케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완충주머니(110)는 다리부(10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1개만 구비되어 완충부재(120) 또한 1개만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완충주머니(110)가 다리부(100)의 둘레를 따라 연속해서 구비된 후 각 완충주머니(110)에 복수의 완충부재(120)가 삽입되어 완충부재(120)가 다리를 둘러싸며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완충주머니(110) 중 집중 보호가 필요한 부위만 골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부재(120)가 해당 부위 위주로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는 다리부(100)에 다수의 접이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접이층(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다리부(100)는, 길이방향으로 하부가 상부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말려 들어가며 원형으로 세 겹 접힌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접이층(130)을 이룰 수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위치에서 형성되므로 접이층(130)이 여러 개 생성될 수 있다.
즉 상부에 위치했던 면은 제일 바깥쪽 겹과 바로 안쪽 겹을 형성하고 하부에 있다가 상부 내측으로 말려 들어간 면이 제일 내측 겹을 형성하면서 총 3겹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형상과 같이 각 접이층(130)은 반려동물의 다리에 접하면서 제일 안쪽 겹을 형성하는 내피층(131), 접혀진 상태에서 두 번째 겹을 형성하면서 내피층(131)에 접하는 외피내층(132), 그리고 외측면을 향하며 제일 외측 겹을 형성하는 외피외층(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피내층(132)과 내피층(131)의 접촉면에는 각각 벨크로부(1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벨크로부(134) 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어, 접이층(130)의 접혀진 상태가 고정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리부(100)는 하나의 원단으로 제작이 되되 접이층(130)을 만들면서 3겹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 만큼 두툼한 형상을 만들게 되고 따라서 각 접이층(130)은 다리부(100)에 완충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런데 다리부(100)에 착용되는 반려동물의 다리가 다리부(100) 보다 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다리부(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이층(130)을 대상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외피내층(132)과 내피층(131)을 분리하고, 접혀져있던 외피내층(132)과 외피외층(133)을 펼치면서 외피내층(132)이 외측을 향하도록 다리부(100)를 상단 방향으로 끌어올리거나 하단 방향으로 끌어내리게 되면 다리부(100)는 접이층(130)의 접혔던 소정 길이만큼 더 길어지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다리 길이와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의 다리부(100) 길이를 고려하여 몇 개의 접이층(130)을 펼칠지, 어떤 접이층(130)을 펼칠지 선택을 한 후 해당 접이층(130)을 펼치고 나서 반려동물의 다리에 착용시키게 되면 다리 길이에 맞춰 다리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다리부(100)를 길게 할 목적으로 접이층(130)을 펼치게 되면 다리부(100)는 접혀있던 상태에서의 접이층(130) 3겹에서 접이층(130)이 없는 1겹으로 얇아지게 되므로 그만큼 다리부(100)의 완충효과는 저하될 수 있다.
이의 보완을 위해 완충원형부재(미도시)가 다리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장착될 수 있다.
완충원형부재는 유연한 재질로 길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두께의 쿠션이 함유되어 완충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일측면에 벨크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접이층(130)이 펼져진 다리부(100)는 내피층(131)과 외피내층(132)이 외측면을 향해 펼쳐진 상태이고, 내피층(131) 및 외피내층(132)에는 각각 벨크로부(1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다리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벨크로부(134)가 구비된 형상이 될 수 있다.
접이층(130)이 펼쳐진 위치에 외부 노출된 벨크로부(134)에 대응되도록 완충원형부재의 일측면이 접하면서 완충원형부재가 다리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장착이 되고, 벨크로 결합에 의해 완충원형부재가 다리부(100)에 고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100)는 반려동물의 다리 길이에 맞춰 접이층(130)이 펼쳐지면서 길어진 반면 그만큼 얇아지게 되어 완충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데, 완충원형부재가 다리부(100)의 외주면에 권취 장착됨으로써 저하된 완충 효과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의 접이층(130) 중 펼쳐진 접이층(130) 모두에 완충보완부재가 각각 권취 장착되어 다리부(100)에 쿠션 완충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는 펼쳐진 접이층(130) 중 특정 접이층(130)에만 선택적으로 완충보완부재가 감겨질 수도 있다.
또는 다수의 접이층(130)이 펼쳐진 상태에서, 펼쳐진 모든 접이층(130)의 내피층(131)과 외피내층(132)을 포괄하는 넓은 완충보완부재 하나가 권취되며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반려동물의 상태와 보호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다리부(100) 접이층(130)의 펼쳐진 외측면 즉 내피층(131)과 외피내층(132)은 완충원형부재의 일측면과 벨크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 언제라도 소정의 힘을 가하여 완충원형부재를 떼어낼 수 있고, 또한 필요에 의해 부착과 탈거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다리부(100)에서 접이층(130)이 펼쳐진 후 외부로 노출된 내피층(131)과 외피내층(132)에는 부목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골절 등의 부상 후 수술하기 전까지 부상 부위에 대한 보호, 또는 수술 후 환부 보호 등의 사유 발생 시 반려동물의 다리를 접지 못하게 하고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100)의 접이층(130)에서 내피층(131)과 외피내층(132)을 분리하여 펼친 상태로 반려동물의 다리에 착용을 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내피층(131) 및 외피내층(132)의 벨크로부(134)에 맞춰 부목부재를 부착하여 부목의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부목부재는 경성 재질의 길게 형성된 사각 형상일 수 있으며, 일측면에는 벨크로가 형성되어 다리부(100) 외측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벨크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부목부재가 다리부(100)에 결합이 되면 반려동물의 다리 관절을 접혀지는 데 제한이 있게 되어 부목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부목부재는 다리부(100)의 벨크로부(134)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소정의 힘으로도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에 의해 반복적으로 착탈이 이뤄질 수 있고 부목의 위치를 바꿔가며 장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리보호대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다리를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의 다리부(100)에 삽입시킨 후 몸통부(200)를 상부로 잡아당기면서 반려동물의 몸을 휘감고 나서 착탈부재(210)를 몸통부(200) 외표면에 구비된 고정부재(220)에 부착하면서 몸통부(200)의 권취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로서 반려동물에 대한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의 일차적인 착용은 완료될 수 있다.
이후 몸통부(200)가 반려동물의 몸에 느슨하게 감겨져 다리부(100)가 흘러내리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하면 착탈부재(210)를 떼어내고 몸통부(200)를 풀은 후 좀 더 타이트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다시 몸통부(200)를 다리부(100)로부터 상부로 끌어당기면서 반려동물의 몸에 권취시킬 수 있다.
몸통부(200)가 적정한 수준의 타이트함으로 반려동물의 몸에 잘 권취가 되었다면 착탈부재(210)를 고정부재(220) 또는 몸통부(200) 외표면에 부착시켜 권취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다리부(100)는 반려동물의 다리에 편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반려동물의 다리 형상에 맞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통부(200)는 반려동물의 다리에서 몸통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맞춰 비스듬하게 연결되며 편하게 권취 될 수 있도록 연결 각도와 폭 및 테두리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는 반려동물의 체형 연구를 통한 입체적인 패턴 디자인으로 형성되므로 쉽게 벗겨지지 않으면서 몸체에 고정될 수 있고 장시간 생활하는 데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반려동물의 체형 변화가 있어도 몸통부(200)의 권취 형태를 조정해 가면서 사이즈를 맞출 수 있어 반려동물이 계속 성장해도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반려동물의 다리가 야위었거나 수술 후 환부 보호가 필요한 상태이거나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해 다리 부분에 추가적인 완충 보호 효과가 필요하다면, 보호자는 완충주머니(110)에 완충부재(120)를 삽입시켜 다리부(100)의 완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완충부재(120)는 메모리폼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완충부재(120)가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반려동물이 눕게 되면 다리의 형상에 따라 완충부재(120)의 변형이 이뤄져 반려동물로 하여금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자세를 바꿔 눕거나 일어서게 되면 다시 해당 자세에 따라 완충부재(120)의 형태가 변할 수 있어서, 반려동물이 어느 자세에 있든 최상의 완충 보호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완충주머니(110)가 다리부(100)에 다수 구비된 경우라면, 보호자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완충부재(120)를 각 완충주머니(110)에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필요 부위만 집중 보호할 수 있고, 또는 각 완충주머니(110) 모두에 완충부재(120)를 삽입시킴으로써 다리부(100)를 빙 둘러싸며 완충부재(120)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리부(100)에는 접이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는 유기농 퀼팅 엠버싱 원단으로 제작되어 그 자체로 완충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접이층(130)은 다리부(100)를 3겹으로 형성하고 다리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접이층(130)이 형성이 되므로 완충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접이층(130)이 형성된 다리부(100)의 길이가 반려동물의 다리보다 짧은 경우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이층(130)에 대하여 내피층(131)과 외피내층(132)을 분리한 후 접혀있던 외피외층(133)과 외피내층(132)을 펼침으로서 다리부(100)를 더욱 길게 할 수 있다.
대신에 접이층(130)의 접힘 부분이 없으므로 다리부(100)는 1겹으로 얇아지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의 보완을 위해 펼쳐진 내피층(131) 및 외피내층(132)을 감싸면서 완충원형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이 성장하면서 다리가 길어지면 그에 맞게 접이층(130)을 분리하여 다리부(100)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고, 대신 얇아진 다리부(100)에는 완충원형부재가 부착되면서 완충효과를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완충원형부재는 다수 구비되어 펼쳐진 각 접이층(130) 마다 각각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다리부(100)의 최상단 접이층(130)과 최하단 접이층(130)이 분리된 후 다리부(100) 전체를 감싸는 완충원형부재가 상기 분리된 최상단 및 최하단 접이층(130)에 부착되면서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완충원형부재 대신 부목부재가 다리부(100) 외측면에 벨크로에 의한 결합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리 골절 후 수술 대기 중이거나, 또는 수술 후 일정기간 동안 관절의 접힘이 방지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다리부(100)의 접이층(130)을 분리하여 내피층(131)과 외피내층(132)을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준비한 후 부목부재의 일측면을 다리부(10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시켜 내피층(131) 및 외피내층(132)의 벨크로부(134)와 부목부재의 일측면 벨크로가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는 반려동물의 체형에 맞는 입체적인 패턴으로 디자인되어 착용감이 편하고 쉽게 벗겨지지 않으면서 몸체에 고정될 수 있고, 체형 변화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해 가면서 지속적으로 착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유기농 퀼팅 엠버싱 원단으로 제작되어 내구성과 완충효과가 뛰어난 것은 물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통기성이 향상되면서 매우 위생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완충부재(120)의 장착으로 시니어 펫의 욕창 방지, 수술 부위의 보호 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접이층(130)의 형성과 분리를 통해 반려동물의 다리 길이에 맞춰 다리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고령화와 빈번한 슬개골 수술 등 치료에 있어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다리보호대(10)는 매우 효과적이며 평상 시 사용은 물론 피부질환, 수술 후 환부 보호 등 특수한 경우에도 확장성 있게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100 : 다리부
110 : 완충주머니
120 : 완충부재
130 : 접이층
131 : 내피층
132 : 외피내층
133 : 외피외층
134 : 벨크로부
200 : 몸통부
210 : 착탈부재
220 : 고정부재

Claims (5)

  1. 바지 형태로 반려동물의 다리가 삽입되며 밀착되는 다리부; 및
    다리부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되며 길게 늘어진 머플러 형태로 반려동물의 몸을 권취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되,
    몸통부는,
    다리부 연결 부위에 인접한 외측면에 구비된 고정부재; 및
    선단 내측면에 구비된 착탈부재;를 더 포함하며,
    몸통부가 권취된 후 착탈부재가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권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다리부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완충주머니; 및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완충주머니에 대응 삽입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다리부는 길이방향의 다수 위치에서 하부가 상부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말려 들어가며 원형의 접힌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다수의 접이층을 이룰 수 있고,
    각 접이층은, 반려동물 다리에 접하는 내피층; 접혀진 상태에서 내피층에 접하는 외피내층; 외측면을 향해 구비되는 외피외층;으로 구성되며,
    내피층 및 외피내층의 각 접촉면에는 벨크로가 형성된 벨크로부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접이층의 접혀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고,
    외피내층을 내피층으로부터 분리하고 접혀있던 외피내측과 외피외층을 펼치면 다리부가 길어질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경성 재질의 길게 형성된 사각 형상으로 일측면에 벨크로가 부착된 부목부재;를 더 포함하되,
    부목부재는, 내피층과 외피내층이 분리되어 펼쳐지면서 외부로 노출된 벨크로에 일측면이 접하면서 다리부의 길이방향으로 탈부착 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5. 제3항에 있어서,
    유연한 재질의 길게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일측면에 벨크로가 부착되고 소정의 쿠션이 함유된 완충원형부재;를 더 포함하되,
    완충원형부재는, 내피층과 외피내층이 분리되어 펼쳐지면서 외부로 노출된 벨크로에 일측면이 접하면서 다리부를 원형으로 감싸며 탈부착 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KR1020200130111A 2020-10-08 2020-10-08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KR102451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11A KR102451773B1 (ko) 2020-10-08 2020-10-08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11A KR102451773B1 (ko) 2020-10-08 2020-10-08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884A true KR20220046884A (ko) 2022-04-15
KR102451773B1 KR102451773B1 (ko) 2022-10-11

Family

ID=8121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111A KR102451773B1 (ko) 2020-10-08 2020-10-08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339B1 (ko) * 2023-03-08 2024-03-13 한상연 반려동물용 슈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95Y1 (ko) *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일체형 구조의 애완견용 옷
JP2008043369A (ja) * 2006-08-10 2008-02-28 Hiroshi Tamakuchi 動物用患部保護脱落防止カバー
US20110017151A1 (en) * 2009-07-24 2011-01-27 Jacquelyn Simoni Wound care system for pets
KR20160000878U (ko) * 2014-09-04 2016-03-14 신현미 신발부가 결합된 애완견용 의류
US20170231193A1 (en) * 2016-02-09 2017-08-17 David Allman Animal surgery protective sleeve
KR200484566Y1 (ko) 2017-02-03 2017-09-26 우진경 애완견용 무릎보호기구
JP6621261B2 (ja) * 2015-08-04 2019-12-18 ダイヤ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動物用足先引上げ装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95Y1 (ko) *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일체형 구조의 애완견용 옷
JP2008043369A (ja) * 2006-08-10 2008-02-28 Hiroshi Tamakuchi 動物用患部保護脱落防止カバー
US20110017151A1 (en) * 2009-07-24 2011-01-27 Jacquelyn Simoni Wound care system for pets
KR20160000878U (ko) * 2014-09-04 2016-03-14 신현미 신발부가 결합된 애완견용 의류
JP6621261B2 (ja) * 2015-08-04 2019-12-18 ダイヤ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動物用足先引上げ装具
US20170231193A1 (en) * 2016-02-09 2017-08-17 David Allman Animal surgery protective sleeve
KR200484566Y1 (ko) 2017-02-03 2017-09-26 우진경 애완견용 무릎보호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339B1 (ko) * 2023-03-08 2024-03-13 한상연 반려동물용 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773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7151A1 (en) Wound care system for pets
US7661152B2 (en) Gastrostomy garment
US20150209194A1 (en) Hygienic article
US8733296B1 (en) Surgical after-care garment
US6431123B1 (en) Protective coverings for animals
US9392874B2 (en) Pressure reducing device
US6454735B1 (en) Simplified bandage used for torso
US10334905B2 (en) Heel-suspending protective boot
US20200281159A1 (en) Animal surgery protective sleeve
US20100087765A1 (en) Build-a-boot
US6659970B1 (en) Adjustable dressing wrap
US20120210951A1 (en) Protective pet garment
KR102254319B1 (ko)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US20150245897A1 (en) Animal Leg Protector
US20070277282A1 (en) Support for prevention of decubitus ulcers
US9049889B2 (en) Protective half sock for use in multi-stage recovery
US20040199092A1 (en) Adjustable protective covers for medical devices and wounds
KR102451773B1 (ko)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US11445703B2 (en) Protective head cover for animals
KR200226297Y1 (ko) 낭습방지용 남성 착용대
US20030159699A1 (en) Patient-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US8382691B2 (en) Orthopedic cast cover anchor assembly and kit for protecting exposed limbs
CN205007123U (zh) 小儿阴茎手术保护罩
CN204501162U (zh) 医用约束床垫
US20210360988A1 (en) Disposable shower and post-surgical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