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319B1 -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319B1
KR102254319B1 KR1020200099886A KR20200099886A KR102254319B1 KR 102254319 B1 KR102254319 B1 KR 102254319B1 KR 1020200099886 A KR1020200099886 A KR 1020200099886A KR 20200099886 A KR20200099886 A KR 20200099886A KR 102254319 B1 KR102254319 B1 KR 10225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abdominal band
band
companion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어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어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어썬
Priority to KR102020009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319B1/ko
Priority to PCT/KR2021/009980 priority patent/WO20220351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 제1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부를 감싸 등허리 부위에서 탈부착되는 복대 형태의 복부밴드(200)가 구비됨으로써, 환부를 보호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수술후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는, 반려동물의 몸체를 감싸는 제1본체(100); 상기 제1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반려동물의 복부를 감싸 등허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부밴드(2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functional clothing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성화 및 광범위한 복부 절개 수술이 필요한 유선종양 수술 및 그 외 기타 복부 수술과, 슬개골 수수을 포함한 뒷다리의 허벅지에서 무릎에 걸치 부위의 수술을 받은 반려동물의 환부를 보호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가족구성원이 핵가족화됨에 따라 적적함을 달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얻는 등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 중에서도 반려견 및 반려묘은 다른 동물에 비해 높은 지능과 적응력을 가지면서 주인과 교감하며 공존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반려견 및 반려묘을 기르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견 및 반려묘을 취미 등으로 키우는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 구성원으로 인식하면서 반려견 및 반려묘으로서의 유대감과 동질감을 느끼는 애견문화가 일반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애견문화의 추세에 따라 애견전용 미용실이나 목욕탕, 애견전용 호텔이나 유치원 등이 생겨나는 것은 물론, 반려견 및 반려묘을 위한 각종 전용음식물이나 장식용품, 옷, 유모차나 침대 등과 같은 다양한 애견전용 물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반려동물을 기르는데 있어서 각종 질병으로 인해 시술이나 수술을 받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반려동물의 생식기능을 제거하는 수술의 중성화수술이 있다.
중성화수술은 반려동물의 자궁,유방암, 난소종양, 전립선염, 고환질환 등의 질병 발생을 줄이고, 발정기 출혈로 인한 위생 문제를 방지하며, 성적 욕구로 인한 공격적 성향이나 자위행위를 줄일 수 있어 많은 반려동물에 시술되고 있다.
또한, 복부의 국소부위 수술을 하는 중성화 수술 이외에도 반려동물의 노령화, 유전적 또는 환경적 영향에 따라 발생하는 자궁축농증, 유선종양과 같은 복부 전체를 절개해야 하는 수술도 늘고 있다.
또 다른 수술로는 슬개골 관련 질환이 있다. 최근 반려동물은 실외가 아닌 실내에서 많이 생활하게 되면서 미끄러운 바닥 환경에 노출된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은 다리가 휘어지고 무릎 슬개골이 탈구되는 등의 질환이 발생되어 치료 받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반려동물의 시술 또는 수술 직후에는 낯선 병원 환경에 노출되어 심리적인 불안을 느끼게 되고, 환부를 보호하기 위해 환부에 붕대를 감고, 반려동물의 목 부위에 넥카라를 착용하게 하여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술후 스트레스를 높혀 수술 부위의 상처 회복에 장애를 주는 원인이 된다. 특히, 넥카라 착용은 음식물 섭취 및 수면을 방해하는 등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을 가져옴과 동시에 넥카라 내부로 음식물 찌꺼기 및 이물질이 끼어 피부염을 유발하거나, 찰과상과 같은 피부트러블 등 추가적인 질병을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극도로 예민한 성격, 특이체형, 대형사이즈의 발려동물들은 넥카라 착용이 어렵거나 쉽게 벗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넥카라는 환부를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안전한 방법으로 볼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49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부를 감싸 등허리 부위에서 탈부착되는 복대 형태의 복부밴드(200)가 구비됨으로써, 수술 후 환부를 위생적이고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2차 감염을 예방하며,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회복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도움을 주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는, 반려동물의 몸체를 감싸는 제1본체(100); 상기 제1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의 복부를 감싸 등허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부밴드(200); 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00)는, 반려동물의 몸체 하부를 덮는 제1덮개부(110); 상기 제1덮개부(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반려동물의 몸체 측부에서 상부까지 감싸고, 반려동물의 몸체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덮개부(120); 를 포함한다.
상기 복부밴드(200)는 누빔원단(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덮개부(110)는 누빔원단(10)와 방수원단(20)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덮개부(120)는 이중골지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부밴드(200)의 양단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탈착시키는 제1결합수단(3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복부밴드(200)의 일단에 구비되며, 복부밴드(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밸크로(310); 상기 복부밴드(200)의 타단에 구비되며, 복부밴드(20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암밸크로(320); 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00)는, 상기 제1덮개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목을 감싸는 목밴드(130); 상기 제1덮개부(110)의 일단 양측에 각각 개방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앞발이 삽입 통과되는 앞발홈(140); 상기 제2덮개부(120)의 타단 양측에 각각 개방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뒷발이 삽입 통과되는 뒷발홈(150); 상기 뒷발홈(150) 사이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의 꼬리와 항문이 배치되는 개구홈(16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덮개부(110)에 상기 복부밴드(22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 을 더 포함한다.
반려동물의 다리를 감싸는 제2본체(400); 상기 제2본체(400)의 외측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슬개골 부위를 덮는 다리보호대(5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2본체(400)는 내측에서 부터 저지원단, 이중골지원단 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보호대(500)는 상기 제2본체(400)의 외측에서 부터 패딩(30), 방수원단(20), 누빔원단(10) 순으로 적층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복부밴드(200)로 반려동물의 몸체 하부를 감싸면서 몸체의 상부에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술이나 시술을 한 환부가 있는 몸체의 하부를 균일하게 압박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부밴드(200)로 치료를 받은 반려동물의 복부를 균일하게 압박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일상생활을 편안하게 할 수 있어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환부의 회복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부밴드(200)의 압박으로 환부를 덮는 소독포가 환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반려동물의 복벽을 벌어지지 않게 잡아주어 환부가 잘 회복되게 하고, 이로 인해 치료의 최종 경과에 긍적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110)는 반려동물의 몸체 하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2단의 누빔원단(10)으로 두께감과 쿠션감을 주어 긁거나 움직임 등으로 인해 환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과, 환부의 2차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2덮개부(120)의 체결부위를 반려동물의 몸체 상부, 즉 등쪽에 배치함으로써, 시술이나 수술을 한 복부 쪽의 자극을 최소화 하고, 안정적으로 복부 전체를 압박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해 상기 복부밴드(20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복부밴드(200)가 반려동물의 몸체를 압박하는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제2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제1덮개부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착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제2본체(400)의 일방향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제2본체(400)의 타방향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제2본체(400)의 단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의 단면 구조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는 제1본체(100), 복부밴드(200), 제1결합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본체(100)는 반려동물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1덮개부(110), 제2덮개부(120), 목밴드(130), 앞발홈(140), 뒷발홈(150), 개구홈(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덮개부(110)는 반려동물의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슴과 배 등을 덮는다.
이러한 상기 제1덮개부(110)는 외측으로 부터 누빔원단(10), 방수원단(20) 순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누빔원단(10)은 100% 면 재질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폴리에스터 솜을 충진한 후 마름모 모양으로 누빔을 넣어 형성된 것이다.
물론, 누빔은 마름모 모양 뿐만 아니라 파형이나 'S'자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누빔원단(10)의 면과 폴리에스터 비율은 65:35:로 이루어진다.
방수원단(20)은 100%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져 반려동물의 몸체 측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한다.
특히, 중성화나 유선종양 또는 기타 복부에 수술이나 시술을 받은 반려동물의 경우 복부 부분을 보호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덮개부(110)는 반려동물의 몸체 하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2단의 누빔원단(10)으로 두께감과 쿠션감을 주어 긁거나 움직임 등으로 인해 환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덮개부(120)는 상기 제1덮개부(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반려동물의 몸체 측부에서 상부까지 감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덮개부(120)는 면 재질이 90%이상 포함된 이중골지원단으로 이루어져, 누빔원단(10)과 더불어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자연스럽게 항균효과를 주며, 신축성이 좋아 의복을 입고 벗기 수월하게 하고, 의복 사이즈별 착용 가능 체중 범위를 좀더 유연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덮개부(120)는 반려동물의 몸체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덮개부(120)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스냅버튼(50)이 구비되며, 상기 스냅버튼(50)은 반려동물의 몸체 상부에서 체결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2덮개부(120)는 반려동물의 몸체 측부나 하부에서 체결되게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위를 반려동물의 몸체 상부, 즉 등쪽에 배치함으로써, 시술이나 수술을 한 복부 쪽의 자극을 최소화 하고, 안정적으로 복부 전체를 압박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목밴드(130)는 상기 제1덮개부(110)의 앞단에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목을 감싸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밴드(130)는 상기 제1덮개부(110)와 제2덮개부(120)의 앞단 테두리를 따라 바인딩 처리된다.
또한, 상기 목밴드(130)에는 주름을 잡아 물결 모양으로 만든 프릴을 부착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상기 앞발홈(140)은 상기 제1덮개부(110)의 앞단 양측에 각각 개방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앞발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상기 앞발홈(140)은 상기 목밴드(130)와 마찬가지로 테두리를 따라 바인딩 처리된다.
또한, 상기 앞발홈(140)은 바인딩 처리되어 상기 제1본체(100)가 반려동물에 더욱 밀착 고정되도록 하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뒷발홈(150)은 상기 제1덮개부(110)의 뒷단 양측에 각각 개방 형성되며, 반려동물의 뒷발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뒷발홈(150)은 상기 목밴드(130)와 마찬가지로 테두리를 따라 바인딩 처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뒷발홈(150)의 바인딩에는 고무줄을 삽입하여 뒷다리 굵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늘어나고 줄어들게 구성된다.
상기 고무줄은 상기 뒷발홈(150)의 바인딩 구간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뒷발홈(150)의 바인딩 구간 중 1/3정도 구간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고무줄은 상기 복부밴드(200)가 상기 제1본체(100)에 더욱 밀착 고정되도록 하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착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의 체중 범위를 좀더 확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개구홈(160)은 뒷발홈(150) 사이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의 꼬리, 항문 및 생식기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복부밴드(200)는 상기 제1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의 복부를 감싸 등허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복부밴드(200)는 직사각형의 긴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운데 부분이 상기 제1덮개부(1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양단이 반려동물의 등허리에서 후술할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복부밴드(200)는 누빔원단(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복부밴드(200)를 일정 길이 내에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탈착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수밸크로(310)와 암밸크로(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밸크로(310)는 밸크로의 거친 부분이며, 상기 복부밴드(200) 일단에 장착되며 복부밴드(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암밸크로(320)는 밸크로의 부드러운 부분이며, 상기 복부밴드(200) 타단에 장착되며 복부밴드(200)의 폭 방향을 따라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암밸크로(320)는 3개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수밸크로(310)와 암밸크로(32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복부밴드(200)가 반려동물의 몸체의 압박하는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는, 상기 복부밴드(200)로 반려동물의 몸체 하부를 감싸면서 몸체의 상부에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술이나 시술을 한 환부가 있는 몸체의 하부를 균일하게 압박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환부 보호 및 2차 감염을 예방하며,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해 상기 복부밴드(20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복부밴드(200)가 반려동물의 몸체를 압박하는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부밴드(200)가 상기 제1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본체(100)와 함게 환부를 이중으로 보호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움직임이나 마찰로 인해 환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의 일상 생활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100)의 상기 제1덮개에 방수원단(20)이 구비됨으로써, 수분, 침, 오물 등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으로 인한 2차감염이나 피부병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발홈(150)에는 반려동물의 다리를 보호하는 제2본체(400) 및 다리보호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400)는 반려동물의 다리, 구체적으로는 뒷다리를 감싸게 착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뒷발홈(150)에서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는 발목밴드부(410)가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본체(400)는 면95%, 스판5% 비율로 구성된 이중골지원단(60)과, 저지(jersey)원단(7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저지원단(70)이 반려동물의 몸체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본체(400)의 외측 표면에는 반려동물의 다리의 환부를 덮는 상기 다리보호대(500)가 구비된다.
상기 다리보호대(500)는 다리의 안쪽에서 바깥쪽 다리 2/3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400)의 외측면에서 부터 패딩(30), 방수원단(20), 누빔원단(10) 순으로 적층되어 상기 제2본체(400)에 부착된다.
상기 패딩(30)은 2~4온스의 두께를 갖으며,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지며, 방수원단(20)은 100%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누빔원단(10)은 면 재질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폴리에스터 솜을 충진하여 누빔 처리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누빔원단(10)의 면과 폴리에스터 비율은 65:3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슬개골 부의 등 다리의 수술 후 환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다리보호대(500)가 상기 제2본체(400)에 구비됨으로써, 수분, 침, 오물 침투를 차단하여 2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외부 마찰과 긁힘 등에 의해 환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2본체(400)의 상단 테두리에는 반려동물의 허벅지 가랑이에서 배와 엉덩이 밑단에 걸쳐 의복이 반려동물의 몸에 밀착되도록 고무줄이 삽입 형성되어,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무릎이 상기 제2본체(400) 밖으로 빠질 위험이 없고, 수술 부위를 핥거나 긁어 발생되는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400)의 하단 발목밴드부(410) 내부에도 고무줄이 삽입되어, 제2본체(400)의 하단부위를 조여주어 반려동물의 다리가 안으로 빠지거나 제2본체(400)이 위로 걷어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환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다리보호대(500)는 상기 제2본체(400)의 전체를 감싸지 않고 양단이 이격되며, 그 사이에는 신축성이 좋은 상기 제2본체(400)만 배치된다.
종래에 반려동물의 다리 치료시 신축성이 적은 붕대를 다리에 감아, 마치 다리에 기부스를 한 것과 같이 뻣뻣해져 움직임이 불편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다리보호대(5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본체(400)의 신축성으로 인해 반려동물이 다리를 굽히고 펼 때 불편함을 감소시키며, 운동 및 활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개골 탈구 수술 후 효과적인 재활이 걷기 등의 운동인데, 본 발명의 상기 제2본체(400)의 신축성으로 인해 반려동물이 자연스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인대와 근육이 강화됨은 물론, 슬개골 탈구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보호대(500)의 폭신한 느낌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어 수술한 다리도 자연스럽게 쓰도록 하며, 이러한 재활운동으로 인해 슬개골 탈구 전에 있던 무릎 염증의 수치를 낮추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부밴드(200)는 상기 제1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부밴드(200)와 상기 제1본체(100)의 제1덮개부(11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한 제2결합수단(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복부밴드(200)를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부밴드(200)를 상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환부에 직접 닿는 상기 복부밴드(200)만 분리하여 자주 세탁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복부밴드(200)에 일회용 기저귀 패드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제1본체
110 : 제1덮개부
120 : 제2덮개부
130 : 목밴드
140 : 앞발홈
150 : 뒷발홈
160 : 개구홈
200 : 복부밴드
300 : 제1결합수단
310 : 암밸크로
320 : 수밸크로
400 : 제2본체
410 : 발목밴드부
500 : 다리보호대
10 : 누빔원단
20 : 방수원단
30 : 패딩
50 : 스냅버튼
60 : 이중골지원단
70 : 저지원단

Claims (7)

  1. 반려동물의 몸체를 감싸는 제1본체(100);
    상기 제1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의 복부를 감싸 등허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부밴드(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100)는,
    반려동물의 몸체 하부를 덮는 제1덮개부(110);
    상기 제1덮개부(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반려동물의 몸체 측부에서 상부까지 감싸고, 반려동물의 몸체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덮개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복부밴드(200)는 누빔원단(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덮개부(110)는 누빔원단(10)과 방수원단(20)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덮개부(120)는 이중골지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부밴드(200)의 양단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탈착시키는 제1결합수단(3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복부밴드(200)의 일단에 구비되며, 복부밴드(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밸크로(310);
    상기 복부밴드(200)의 타단에 구비되며, 복부밴드(20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암밸크로(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100)는,
    상기 제1덮개부(110)와 제2덮개부(120)의 앞단 테두리를 따라 바인딩 처리되어 반려동물의 목을 감싸는 목밴드(130);
    상기 제1덮개부(110)의 일단 양측에 각각 개방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앞발이 삽입 통과되는 앞발홈(140);
    상기 제2덮개부(120)의 타단 양측에 각각 개방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뒷발이 삽입 통과되는 뒷발홈(150);
    상기 뒷발홈(150) 사이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의 꼬리와 항문이 배치되는 개구홈(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앞발홈(140)과 상기 뒷발홈(150)은 테두리를 따라 바인딩 처리되며,
    상기 뒷발홈(150)의 바인딩에는 바인딩 구간 중 1/3 구간에 고무줄이 삽입되며,
    상기 제1덮개부(110)에 상기 복부밴드(2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다리를 감싸는 제2본체(400);
    상기 제2본체(400)의 외측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슬개골 부위를 덮는 다리보호대(5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2본체(400)는 내측에서 부터 저지원단, 이중골지원단 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보호대(500)는 상기 제2본체(400)의 외측에서 부터 패딩(30), 방수원단(20), 누빔원단(10) 순으로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KR1020200099886A 2020-08-10 2020-08-10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KR10225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86A KR102254319B1 (ko) 2020-08-10 2020-08-10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PCT/KR2021/009980 WO2022035106A1 (ko) 2020-08-10 2021-07-30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86A KR102254319B1 (ko) 2020-08-10 2020-08-10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319B1 true KR102254319B1 (ko) 2021-05-21

Family

ID=7615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886A KR102254319B1 (ko) 2020-08-10 2020-08-10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4319B1 (ko)
WO (1) WO202203510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106A1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유어썬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KR102601399B1 (ko) * 2023-05-02 2023-11-13 주식회사 내의미 반려동물용 의류
KR102642508B1 (ko) * 2023-05-02 2024-02-29 박정규 애완동물용 의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0772A (ja) * 2004-12-27 2006-07-13 Radeikku:Kk ペット用衣服
JP2009189248A (ja) * 2008-02-12 2009-08-27 Yoshiko Yamamura 犬の四肢カバー
JP3194079U (ja) * 2014-07-01 2014-11-06 櫻井 慶子 猫用術後服
JP2017060410A (ja) * 2015-09-24 2017-03-30 株式会社すとろーはうす 動物用衣服
KR20170082352A (ko) * 2016-01-06 2017-07-14 주식회사 에스앤테크 착용이 간편한 애완동물용 의류
KR101824913B1 (ko) 2016-04-08 2018-02-02 김민지 척추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JP3224600U (ja) * 2019-09-13 2020-01-09 雪子 鈴木 ペット犬の術後用衣服
JP2020078295A (ja) * 2019-10-08 2020-05-28 株式会社すとろーはうす 動物用衣服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319B1 (ko) * 2020-08-10 2021-05-21 주식회사유어썬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0772A (ja) * 2004-12-27 2006-07-13 Radeikku:Kk ペット用衣服
JP2009189248A (ja) * 2008-02-12 2009-08-27 Yoshiko Yamamura 犬の四肢カバー
JP3194079U (ja) * 2014-07-01 2014-11-06 櫻井 慶子 猫用術後服
JP2017060410A (ja) * 2015-09-24 2017-03-30 株式会社すとろーはうす 動物用衣服
KR20170082352A (ko) * 2016-01-06 2017-07-14 주식회사 에스앤테크 착용이 간편한 애완동물용 의류
KR101824913B1 (ko) 2016-04-08 2018-02-02 김민지 척추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JP3224600U (ja) * 2019-09-13 2020-01-09 雪子 鈴木 ペット犬の術後用衣服
JP2020078295A (ja) * 2019-10-08 2020-05-28 株式会社すとろーはうす 動物用衣服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106A1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유어썬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KR102601399B1 (ko) * 2023-05-02 2023-11-13 주식회사 내의미 반려동물용 의류
KR102642508B1 (ko) * 2023-05-02 2024-02-29 박정규 애완동물용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5106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319B1 (ko) 반려동물용 기능성 의류
US8733296B1 (en) Surgical after-care garment
US9392874B2 (en) Pressure reducing device
US11800852B2 (en) Animal surgery protective sleeve
US6454735B1 (en) Simplified bandage used for torso
US20130030401A1 (en) Hygienic article
US20070277282A1 (en) Support for prevention of decubitus ulcers
JP2006525020A (ja) 愛玩動物用おむつ服
KR200226297Y1 (ko) 낭습방지용 남성 착용대
KR101888116B1 (ko) 위생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US20060009726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body support
US8240311B2 (en) 3D ventilation device for separating body skin from clothes
KR102451773B1 (ko) 반려동물 다리보호대
US20050177084A1 (en) Diabetic toe protectors
US20030120191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body support
KR200287366Y1 (ko) 남성건강팬티
RU224444U1 (ru)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ая попона-штаны для кошек и собак
US6443920B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body support
TWM576392U (zh) 容易穿脫及便於醫療之病人褲
RU224203U1 (ru)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ая попона для кошек и собак
RU173408U1 (ru) Бандаж защитный - штаны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AU2013101406A4 (en) Device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various ailments
CN214630141U (zh) 一种阴茎手术护理裤
CN216165411U (zh) 用于下肢损伤的病号裤
JP3033167U (ja) 脱腸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