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49Y1 - 가축용 방한복 - Google Patents

가축용 방한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49Y1
KR200491249Y1 KR2020180003081U KR20180003081U KR200491249Y1 KR 200491249 Y1 KR200491249 Y1 KR 200491249Y1 KR 2020180003081 U KR2020180003081 U KR 2020180003081U KR 20180003081 U KR20180003081 U KR 20180003081U KR 200491249 Y1 KR200491249 Y1 KR 200491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elastic
neck
stretch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08U (ko
Inventor
윤정남
Original Assignee
윤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남 filed Critical 윤정남
Priority to KR2020180003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4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의 몸을 감싸며 보온제로 이루어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 양측에 대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가축의 앞다리가 삽입되는 앞다리부, 상기 몸통부의 제1 측에 형성된 제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몸통부의 제1 측에 대향하는 제2측에 형성되는 제2 신축 주름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제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에 부착되어서, 상기 몸체가 상기 가축의 몸을 감싸면서 고정되게 하는 지퍼;를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축용 방한복 {A WINTER CLOTHES FOR LIVESTOCK}
본 고안은 겨울철 송아지 등과 같은 가축의 방한을 위해 간편하게 착용시키면서 가축의 성장에 상관없이 간편, 신속한 사이즈조절이 가능한 가축용 방한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송아지와 같은 가축을 키우는 농가에서 생후부터 일정기간 동안 추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방한복을 착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송아지 방한복은 발육 정도에 따라 몸의 크기게 맞게 입혀줘야 하는데, 이는 방한복이 너무 작으면 착용자체가 어렵고 너무 클 경우 보온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송아지의 발육속도는 빠르기 때문에 송아지의 몸에 맞게 방한복을 구비하여도 단기간에 더 큰 사이즈의 방한복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 특허 제1679481호, 등록 특허 제989048호 등과 같이 신축 주름부 또는 조절지퍼를 이용하여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하지만, 착용방식에 따라 방한복과 가축의 엉덩이부분 사이에 틈새가 크게 벌어져 있어서, 이 부분을 통해 한기나 바람이 유입되어 방한효과가 크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축의 성장에 따라 몸통둘레가 점점 커지면 지퍼체결이 불가하여 단기간만 사용가능하고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본체가 가축의 몸통둘레를 강하게 조여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아 성장이 저하되거나 방한복이 뜯어져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가축의 몸통보다 큰 방한복을 착용하면 방한복 사이로 한기가 유입되어 보온효과가 크게 떨어짐에 따라 축산농가에서는 크기가 다른 여러 벌의 방한복을 구비하고 가축의 성장에 따라 수시로 교체 착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신축 소재를 이용하여 착용시 사이즈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가축의 성장에 상관없이 보온성을 유지하면서 착용기간을 늘릴 수 있는 가축용 방한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가축의 목 부분을 감싸도록 신축 가능한 넥워머를 구비함으로써, 사이즈 조절이 용이하면서 보온효과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는 가축용 방한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가축용 방한복의 외부 표면에 방수층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면서 보온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가축용 방한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은, 가축의 몸을 감싸며 보온제로 이루어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 양측에 대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가축의 앞다리가 삽입되는 앞다리부, 상기 몸통부의 제1 측에 형성된 제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몸통부의 제1 측에 대향하는 제2측에 형성되는 제2 신축 주름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제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에 부착되어서, 상기 몸체가 상기 가축의 몸을 감싸면서 고정되게 하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퍼는, 상기 제1 신축 주름부의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지퍼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지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퍼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신축 주름부의 일부가 상기 제2 신축 주름부를 덮는 덮개부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축의 목 부분을 감싸는 넥워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넥워머는, 신장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목주름부; 및 상기 목주름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목주름부를 연결하는 목부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넥워머는, 상기 목주름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보온재로 구성되는 적어도 1 개의 보온 워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부분 연결부는, 상기 제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에 부착되는 상기 지퍼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앞다리 삽입부는, 상기 가축의 앞다리가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주변에 설치되어서 삽입홀 자체가 확장 가능하게 하는 앞다리 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앞다리 신축부의 상부에서 상기 넥워머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목주름부와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가슴 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가축의 배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신축 주름부에 맞대응되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복부 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부 신축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가축의 뒷다리가 삽입되도록 각각 신축밴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뒷다리 삽입부; 및 상기 뒷다리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온제는, 내피층; 상기 내피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보온층; 상기 보온층과 공기층을 두고 형성되는 외피층; 및 상기 외피층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방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제 2 신축 주름부 각각은, 수평 방향의 신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 1 서브 신축 주름부; 및 수직 방향의 신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상기 제 1 서브 신축 주름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제 2 서브 신축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장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넥워머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목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에 의하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신장력이 우수한 신축부를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신장력에 의해 보온효과를 유지하면서 착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가축의 목 부분을 감싸도록 신장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넥워머를 구비함으로써, 가축의 목 부분에 밀착되게 착용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보온 효과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가축의 가슴 부분에 신장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가슴 신축부를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신장력에 의해 보온효과를 유지하면서 착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방한복의 외측면에 방수층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면서 보온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한복이 지퍼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지퍼를 덮개부로 덮어 지퍼 사이로 들어오는 한기나 바람의 유입을 막을 수 있어서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퍼를 덮는 덮개부를 방한복에 고정함으로써, 더욱더 외부환경에 영향없이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보온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신축 주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신축 주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가축용 방한복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가축용 방한복(1)이 전개된 상태로 내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가축용 방한복(1)이 전개된 상태로 외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보온제(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신축 주름부(1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신축 주름부(104, 10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하면, 가축용 방한복(1)은 몸체(10), 지퍼(12) 및 넥워머(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1)은 80cm의 길이(L1)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몸체(10)는 몸통부(100), 앞다리 삽입부(101), 앞다리 신축부(102), 뒷다리 삽입부(103), 제1 신축 주름부(104), 제2 신축 주름부(105), 복부 신축부(106), 가슴 신축부(107), 개구부(108) 및 몸체 테두리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축용 방한복(1)이 80cm의 길이(L1)로 형성되는 경우, 몸체(10)는 60cm의 길이(L10)로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100)는 가축의 몸통을 감싸도록 좌우대칭되는 제1 몸통부(1000)와 제2 몸통부(1001)를 포함하고, 보온제(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몸통부(100)의 최대 길이는 몸체(10)의 길이(L10)와 동일하게 예를 들어, 60cm의 길이(L10)로 형성될 수 있다.
보온제(A)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의 몸체에 닿도록 공기에 노출되는 면을 갖는 내피층(A1)과, 공기에 노출되지 않는 내피층(A1) 위에 형성되는 보온층(A2)과, 보온층(A2) 위에 공기층을 두고 형성되는 외피층(A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온층은 보온성이 좋은 직물 예를 들어, 솜이나 합성섬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온제(A)는 누빔 처리되며 몸통부(100)의 끝단을 따라 봉제 처리된 몸체 테두리부(109)에 의해 보온층(A2)이 내피층(A1) 및 외피층(A3)에 고정되어 가축이 착용하는 경우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 테두리부(109)는 본 개시에서 보온제(A)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몸체 테두리부(109)는 신축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 테두리부(109)는 본 실시예에서 5cm의 폭(W19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는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보온층(A2)의 두께가 내피층(A1) 및 외피층(A3)의 두께가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피층(A1), 보온층(A2) 및 외피층(A3)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온제(A)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A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층(A4)은 외피층(A3)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방수층(A4)이 외피층(A3)의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외부 환경에 따른 물 또는 오물 등이 가축용 방한복(1) 내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물 또는 오물 등에 의해 가축용 방한복(1)이 젖는 경우, 겨울철 온도에 의해 가축의 체온이 빠른 속도로 낮아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가축용 방한복(1)의 외부 표면이 방수층(A4)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함과 동시에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다.
앞다리 삽입부(101)는 몸통부(100)의 상부 양측에 대향하게 형성되어 가축의 앞다리가 삽입될 수 있다. 앞다리 삽입부(101)는 가축의 앞다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구 형상으로 제1 몸통부(1000)와 제2 몸통부(1001)에 좌우대칭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다리 삽입부(101)의 외주면을 따라 신축 소재로 이루어지는 앞다리 신축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앞다리 신축부(102)에 의해 가축의 앞다리와 앞다리 삽입부(101) 사이에 공간(빈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축의 앞다리와 앞다리 삽입부(101)가 밀착되므로, 가축이 움직이더라도 가축의 앞다리와 앞다리 삽입부(101) 사이의 공간으로 열이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앞다리 삽입부(101)의 외주면에 앞다리 신축부(102)가 형성됨으로써, 어린 가축의 성장에 따라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경우에도 앞다리의 허벅지부분을 조임 없이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앞다리 삽입부(101)의 개구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앞다리 삽입부(101)는 좌우로 긴 타원형, 좌우로 긴 다각형, 전후로 긴 타원형 또는 전후로 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다리 삽입부(101)는 16cm의 폭(W15)과 13cm 길이(L13)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뒷다리 삽입부(103)는 몸통부(100)의 하부 양측에 대향하게 형성되어 가축의 뒷다리가 삽입될 수 있다.
뒷다리 삽입부(103)는 가축의 뒷다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된 신축밴드가 제1 몸통부(1000)와 제2 몸통부(1001)에 좌우대칭 되도록 내피층(A1)에 봉제처리를 통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신축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가축의 크기에 상관없이 원활한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신축밴드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가축의 피부를 누르지 않아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뒷다리 삽입부(103)는 개구부(108)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개구부(108)로부터 10cm 이격되어 부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신축 주름부(104)는 몸통부(100)의 제1 몸통부(1000)의 외측면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신축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신축 주름부(104)가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갖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신축 주름부(104)는 제1 몸통부(1000)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몸통부(100)의 최대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여 가축용 방한복(1)을 외측면에서 살펴보면, 제1 신축 주름부(104)는 60cm의 길이(L10)와 10cm의 폭(W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신축 주름부(104)가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가짐으로써, 굴곡진 가축의 몸통 부분에 원활한 착용이 가능하고, 몸통 부분에 밀착되게 착용될 수 있다.
제1 신축 주름부(104)의 일부분(10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12)를 중심으로 제2 신축 주름부(105)를 덮는 덮개부로 기능할 수 있다. 덮개부(1040)에 의해 지퍼 틈새 사이로 한기가 유입되어 보온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를 참조하여 가축용 방한복(1)을 내측면에서 살펴보면, 덮개부(1040)는 5cm의 폭(W11)을 갖고, 후술되는 제1 지퍼부(120)의 1cm의 폭(W12)을 갖고, 제1 신축 주름부(104)의 덮개부(1040) 및 제1 지퍼부(120)를 제외한 부분은 4cm의 폭(W1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신축 주름부(105)는 몸통부(100)의 제2 몸통부(1001)의 외측면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신축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신축 주름부(105)가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갖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신축 주름부(105)는 제2 몸통부(1001)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몸통부(100)의 최대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가축용 방한복(1)을 외측면에서 살펴보면, 제2 신축 주름부(105)는 60cm의 길이(L10)와 5cm의 폭(W14)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신축 주름부(105)의 끝단에 부착된 제2 지퍼부(121)는 제1 지퍼부(120)의 폭(W12)과 동일하게 1cm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제2 신축 주름부(105)가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가짐으로써, 굴곡진 가축의 몸통 부분에 원활한 착용이 가능하고, 몸통 부분에 밀착되게 착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신축 주름부(104) 및 제2 신축 주름부(105) 각각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신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 1 서브 신축 주름부 주름부(1041) 및 제3 서브 신축 주름부(1051)와, 수직 방향의 신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 2 서브 신축 주름부(1042) 및 제4 서브 신축 주름부(10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의 신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 1 서브 신축 주름부 주름부(1041) 및 제3 서브 신축 주름부(1051)와, 수평 방향의 신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 2 서브 신축 주름부(1042) 및 제4 서브 신축 주름부(10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축 주름부(104) 및 제2 신축 주름부(105) 각각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신장력이 우수한 제1 내지 제4 서브 신축 주름부(1041, 1042, 1051, 1052)를 구비함으로써, 가축에게 밀착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가축에게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가축의 성장에 관계없이 착용이 가능함으로써, 보온효과를 유지하면서 크기가 다른 여러 벌의 방한복을 구비하고 가축의 성장에 따라 수시로 교체 착용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복부 신축부(106)는 가축의 배 부분에 위치하며 몸통부(100)의 제1 몸통부(1000)와 제2 몸통부(1001)를 연결할 수 있다.
복부 신축부(106)는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가짐으로써, 가축에게 밀착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가축에게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부 신축부(106)는 뒷다리 삽입부(103)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108)가 형성된 위치까지의 길이를 갖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부 신축부(106)는 몸통부(100)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부 신축부(106)의 넥워머(14)와 연결되는 상부는 6cm의 폭(W16)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12cm의 폭(W17)으로 형성되며, 36cm이 길이(L14)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부 신축부(106)에 의해 가축의 몸통 둘레 성장에 관계없이 원활한 착용이 가능하고, 몸통 부분에 밀착되게 착용될 수 있다.
가슴 신축부(107)는 앞다리 신축부(102)의 상부에서 넥워머(14)로 수직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슴 신축부(107)는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가짐으로써, 가축에게 밀착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가축에게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퍼(12)는 제1 신축 주름부에(104)에 부착되는 제1 지퍼부(120) 및 제2 신축 주름부(105)에 부착되는 제2 지퍼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퍼부(120)는 제1 신축 주름부(104)의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지퍼부(120)의 길이는 제1 신축 주름부(104)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지퍼부(120)는 제1 신축 주름부(104)의 길이(L10)와 동일하게 60cm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퍼부(121)는 제2 신축 주름부(105)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2 지퍼부(121)의 길이는 제2 신축 주름부(105)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지퍼부(120)는 제1 신축 주름부(104)의 길이(L10)와 동일하게 60c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축의 등 부분에서 지퍼(12)를 통해 제1 몸통부(1000)와 제2 몸통부(1001)를 연결함으로써, 가축 착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축의 앞다리 및 뒷다리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지 않는 상태에서 제1 몸통부(1000)와 제2 몸통부(1001)에 형성된 앞다리 삽입부(101) 및 뒷다리 삽입부(103)에 각각 가축의 앞다리 및 뒷다리를 삽입한 후, 지퍼(12)를 체결하여 가축에 방한복을 착용함으로써, 원활한 착용이 가능하여 가축의 다리에 맞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넥워머(14)는 몸체(10)의 상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가축의 목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목 주름부(140) 및 목 신축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넥워머(14)는 60cm의 폭(W18)과 20cm의 길이(L1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목 주름부(140)는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갖고, 상부가 가축의 목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목 신축부(141)는 목 주름부(140)의 상부에 형성된 외측면을 따라 신축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목 신축부(141)의 신축성에 의해 가축의 목 부분을 좀더 원활하게 감쌀 수 있다. 이와 달리, 목 신축부(141)는 넥워머(14)의 끝단을 따라 봉제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 신축부(141)는 5cm의 폭(W19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넥워머(14)는 넥워머(14)의 양측 끝단에 부착된 목부분 연결부(140, 1401)에 의해 가축의 목 부분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목부분 연결부(1400, 1401)는 제1 신축 주름부(104)와 동일한 측면의 목 신축부(14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1 연결부(1400)와, 제2 신축 주름부(105)와 동일한 측면의 목 신축부(14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 연결부(14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목 신축부(14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1 목부분 연결부(1400)은 목 신축부(141)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구간 연장되어 제1 신축 주름부(104)의 측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목 신축부(14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 목부분 연결부(1401)은 제2 지퍼부(121)의 측면과 동일한 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 신축부(14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1 연결부(1400)는 목 신축부(141)의 끝단으로부터 5cm 돌출되어 5cm의 폭(W180)과 14cm 길이(L16)로 형성될 수 있다. 목 신축부(14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 연결부(1401)은 제2 지퍼부(121)의 측면과 동일한 선상에 형성되며, 제1 연결부(140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400) 및 제2 연결부(1401)은 암/수벨크로밴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냅단추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넥워머(14)는 목 주름부(140) 및 목 신축부(14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가축의 목 부분에 밀착되게 형성되면서 목부분 연결부(1401)에 의해 목 부분을 감싼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넥워머(14)의 틈새로 바람이나 한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2)은 제1 신축 주름부(104)를 제2 신축 주름부(105)에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신축 주름 고정수단(206, 20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가축용 방한복(2)이 전개된 상태로 내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가축용 방한복(2)이 전개된 상태로 내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도 5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가축용 방한복(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축용 방한복(2)은 제1 신축 주름부(204)의 덮개부(2040)에 부착된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과, 제2 신축 주름부(205)에 부착된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축 주름부(204)의 덮개부(2040)의 내측 부분의 끝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축 주름부(205)의 외측 부분의 제2 지퍼부(121)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은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에 맞대응 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서는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 및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이 각각 3개로 이루어 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3개로 이루어진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 및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은 제1 신축 주름부(204) 및 제2 신축 주름부(205)의 길이(L2)를 3등분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신축 주름부(204) 및 제2 신축 주름부(205)의 길이(L2)가 60cm인 경우,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 및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은 각각 20cm가 되는 부분에 2cm의 폭(W20)과 5cm의 길이(L20)를 갖는 크기로 3개씩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 및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을 암/수벨크로밴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냅단추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 및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에 의해 제1 신축 주름부(204)의 덮개부(2040)가 제2 신축 주름부(205)에 고정됨으로써, 지퍼(22) 틈새로 유입되는 바람이나 한기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3)은 보온 워머부(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가축용 방한복(2)이 전개된 상태로 내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가축용 방한복(2)이 전개된 상태로 내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도 6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가축용 방한복(3)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넥워머(34)는 목 주름부(340), 목 신축부(341) 및 보온 워머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온 워머부(342)는 넥워머(34)의 중심에 형성된 목 주름부(340)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목 주름부(340)는 하부의 일부분이 가슴 신축부(307)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보온 워머부(342)를 2개로 한정하고, 목 주름부(340)를 1개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넥워머(34)가 총 60cm의 길이(L3)로 형성되는 경우, 1개의 목 주름부(340)는 30cm의 폭(W30)과 14cm의 길이(L30)로 형성되고, 2개의 보온 워머부(342) 각각은 15cm의 폭(W31)과 14cm의 길이(L3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온 워머부(342)와 목 주름부(340)의 길이(L30)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넥워머(34)는 넥워머(34)의 양측 끝단에 부착된 목부분 연결부(3400, 3401)에 의해 가축의 목 부분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넥워머(34)가 보온 워머부(342)를 더 포함함으로써, 목 주름부(340)에 의해 사이즈 조절이 용이하면서 보온 워머부(342)에 의해 보온성을 더욱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4)은 몸체(40)의 길이(L4)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지퍼(42), 제1 신축 주름부(404) 및 제2 신축 주름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가축용 방한복(4)이 전개된 상태로 내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도 7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가축용 방한복(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지퍼(42) 및 제1 신축 주름부(404) 및 제2 신축 주름부(405)는 넥워머(42)로 연장되어 몸체(40)의 길이(L4)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40)가 총 80cm의 길이(L4)로 형성되는 경우, 지퍼(42) 및 제1 신축 주름부(404) 및 제2 신축 주름부(405) 역시 80cm의 길이(L4)로 형성될 수 있다.
지퍼(42) 및 제1 신축 주름부(404) 및 제2 신축 주름부(405)가 80cm의 길이(L4)로 형성되는 경우, 넥워머(42)는 45cm의 길이(L40)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목 주름부(440)는 15cm의 폭(W40)과 14cm의 길이(L41)로 형성되고, 2개의 보온 워머부(442) 각각은 15cm의 폭(W41)과 14cm의 길이(L4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넥워머(42)는 1개의 목 주름부(440) 및 2개의 보온 워머부(442)를 갖도록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1개의 목주름(440) 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축용 방한복(4)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신축 주름 고정수단(206, 207)을 포함할 수 있다. 지퍼(42) 및 제1 신축 주름부(404) 및 제2 신축 주름부(405)가 80cm의 길이(L4)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및 제2 신축 주름 고정수단(206, 207)은 각각 4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4개로 이루어진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 및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은 제1 신축 주름부(404) 및 제2 신축 주름부(405)의 길이(L4)를 4등분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신축 주름부(404) 및 제2 신축 주름부(405)의 길이(L4)가 80cm인 경우,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 및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은 각각 20cm가 되는 부분에 2cm의 폭(W20)과 5cm의 길이(L20)를 갖는 크기로 4개씩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신축주름 고정수단(206) 및 제2 신축주름 고정수단(207)을 암/수벨크로밴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냅단추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5)은 길이가 짧은 형태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뒷다리 삽입부(10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방한복(5)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가축용 방한복(5)이 전개된 상태로 내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도 8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가축용 방한복(5)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축용 방한복(5)은 총 60cm의 길이(L5)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50)가 46cm의 길이(L50)로 형성되고, 넥워머(54)가 14cm의 길이(L5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50)는 지퍼(52)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는데, 지퍼(52)가 넥워머(54)까지 부착되어 가축용 방한복(5)의 길이(L5)와 동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퍼(52)가 넥워머(54)를 제외한 몸체(50)까지만 형성되어 몸체(50)의 길이(L5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넥워머(54)는 목부분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가축용 방한복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축용 방한복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와 같이 가축이 상기 가축용 방한복을 착용하는 경우,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갖는 제 1 서브 신축 주름부 주름부(1041), 제 2 서브 신축 주름부(1042) 제3 서브 신축 주름부(1051) 및 제4 서브 신축 주름부(1052)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신축 주름부(104, 105), 수평 방향으로 높은 신장력을 갖는 복부 신축부(106), 가슴 신축부(107), 앞다리 삽입부(1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앞다리 신축부(102)에 의해 가축의 몸통을 밀착되게 감싼 상태를 유지하고, 목주름부(140), 목 신축부(141) 및 보온 워머부(342)를 포함하는 넥워머에 의해 가축의 목 부분에 미착되게 감싼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퍼 틈새 및 가축용 방한복과 가축과의 틈새로 바람이나 한기가 유입되어 보온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축용 방한복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2, 3, 4, 5: 가축용 방한복
10, 40, 50 : 몸체 12, 22, 42, 52 : 지퍼
14, 34, 54 : 넥워머
100 : 몸통부 101 : 앞다리 삽입부
102 : 앞다리 신축부 103 : 뒷다리 삽입부
104 : 제1 신축 주름부 105 : 제2 신축 주름부
106 : 복부 신축부 107 : 가슴 신축부
108 : 개구부 109 : 몸체 테두리부
120 : 제1 지퍼부 121 : 제2 지퍼부
140 : 목 주름부 141 : 목 신축부
342 : 보온 워머부

Claims (15)

  1. 가축의 몸을 감싸며 보온제로 이루어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 양측에 대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가축의 앞다리가 삽입되는 앞다리부, 상기 몸통부의 제1 측에 형성된 제1 신축 주름부, 상기 몸통부의 제1 측에 대향하는 제2 측에 형성되는 제2 신축 주름부, 상기 몸통부의 끝단을 따라 봉체 처리되며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 테두리부, 및 상기 앞다리부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 연장되는 가슴 신축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제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에 부착되어서, 상기 몸체가 상기 가축의 몸을 감싸면서 고정되게 하는 지퍼;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가축의 배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신축 주름부 및 제2 신축 주름부에 맞대응되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복부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부 신축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상기 제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 각각은,
    수평 방향의 신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1 서브 신축 주름부; 및
    수직 방향의 신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상기 제1 서브 신축 주름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서브 신축 주름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는,
    상기 제1 신축 주름부의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지퍼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지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퍼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신축 주름부의 일부가 상기 제2 신축 주름부를 덮는 덮개부로 기능하는, 가축용 방한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축의 목 부분을 감싸는 넥워머;를 더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넥워머는,
    신장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목주름부; 및
    상기 목주름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목주름부를 연결하는 목부분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넥워머는,
    상기 목주름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보온재로 구성되는 적어도 1 개의 보온 워머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분 연결부는, 상기 제1 신축 주름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에 부착되는 상기 지퍼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축용 방한복.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앞다리 삽입부는,
    상기 가축의 앞다리가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주변에 설치되어서 삽입홀 자체가 확장 가능하게 하는 앞다리 신축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신축부는,
    상기 앞다리 신축부의 상부에서 상기 넥워머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목주름부와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가축용 방한복.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가축의 뒷다리가 삽입되도록 각각 신축밴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뒷다리 삽입부; 및
    상기 뒷다리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제2 신축 주름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제는,
    내피층;
    상기 내피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보온층;
    상기 보온층과 공기층을 두고 형성되는 외피층; 및
    상기 외피층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방수층을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14. 삭제
  15. 제 3 항에 있어서,
    신장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넥워머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목신축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방한복.
KR2020180003081U 2018-07-04 2018-07-04 가축용 방한복 KR200491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81U KR200491249Y1 (ko) 2018-07-04 2018-07-04 가축용 방한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81U KR200491249Y1 (ko) 2018-07-04 2018-07-04 가축용 방한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08U KR20200000108U (ko) 2020-01-14
KR200491249Y1 true KR200491249Y1 (ko) 2020-03-09

Family

ID=6915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081U KR200491249Y1 (ko) 2018-07-04 2018-07-04 가축용 방한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4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481B1 (ko) * 2014-12-10 2016-11-24 정진원 가축용 방한복
KR101745389B1 (ko) * 2017-04-17 2017-06-09 성동준 가축용 방한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78Y1 (ko) * 2013-09-06 2015-04-21 임창선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481B1 (ko) * 2014-12-10 2016-11-24 정진원 가축용 방한복
KR101745389B1 (ko) * 2017-04-17 2017-06-09 성동준 가축용 방한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08U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495B2 (en) Cover assembly for protecting a dressing on a dog's leg
US3742679A (en) Stretchable pet suit with boots
US4811429A (en) Unitary sleepwear
JP2006211933A (ja) 獣類用保温ジャケット
KR101808088B1 (ko) 가축용 방한복
KR200491249Y1 (ko) 가축용 방한복
KR20180035326A (ko) 반려동물용 의류
JP4428583B1 (ja) 犬用レインコート
KR200432879Y1 (ko) 방한용 덮개
KR200301274Y1 (ko) 음낭보호팬티
KR101679481B1 (ko) 가축용 방한복
KR20110137002A (ko) 가축용 방한복
KR200318528Y1 (ko) 애완견용 의복
US1886642A (en) Catamenial garment
KR101927774B1 (ko) 애견용 의류의 제조방법
US20080115738A1 (en) Coats For Animals
JP2019216615A (ja) 四足動物用の保温衣料
AU2019101092B4 (en) Ovine Protector
JP6609149B2 (ja) 動物用衣服
KR19990017472U (ko) 음랑보호대
JP4685968B1 (ja) セパレート型犬用レインコート
JP2008029250A (ja) 牛等の四足動物の衣服
KR101289614B1 (ko) 가축 방한용 덮개
KR20220087331A (ko) 변형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의류
SI26115A (sl) Prilagodljivo oblačilo za živ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