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481B1 - 가축용 방한복 - Google Patents

가축용 방한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481B1
KR101679481B1 KR1020140177156A KR20140177156A KR101679481B1 KR 101679481 B1 KR101679481 B1 KR 101679481B1 KR 1020140177156 A KR1020140177156 A KR 1020140177156A KR 20140177156 A KR20140177156 A KR 20140177156A KR 101679481 B1 KR101679481 B1 KR 101679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main body
opening
closing means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351A (ko
Inventor
정진원
길옥녀
Original Assignee
정진원
길옥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원, 길옥녀 filed Critical 정진원
Priority to KR102014017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4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방한복에 관한 것으로, 송아지와 같은 가축의 추위를 막는 방한복에 신축주름부를 형성하여 착용시 가축의 몸 둘레에 맞게 조여주어 밀착력을 높이고 그로 인해 보온효과를 높일 수 있고 사이즈 조절이 간편하면서 착용기간을 광범위하게 늘릴 수 있도록 한 가축용 방한복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보온재가 내장되도록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앞발 삽입부와 뒷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지퍼를 이용하여 가축의 등 부분에서 개폐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후반부 뒷발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가축의 배 부위에 해당하는 본체 부분을 양분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신축이음부와, 상기 앞발 삽입부 일측에서 개폐수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신축주름부와, 신축이음부의 하단부 일측에서 개폐수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신축주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축용 방한복{winter clothes for animals}
본 발명은 가축용 방한복에 관한 것으로, 송아지와 같은 가축의 추위를 막는 방한복에 신축주름부를 형성하여 착용시 가축의 몸 둘레에 맞게 조여주어 밀착력을 높이고 그로 인해 보온효과를 높일 수 있고 사이즈 조절이 간편하면서 착용기간을 광범위하게 늘릴 수 있도록 한 가축용 방한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송아지와 같은 가축을 키우는 농가에서 생후부터 일정기간 동안 추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방한복을 착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송아지 방한복은 발육정도에 따라 몸의 크기게 맞게 입혀줘야 하는데, 이는 방한복이 너무 작으면 착용자체가 어렵고 너무 클 경우 보온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송아지의 발육속도는 빠르기 때문에 송아지의 몸에 맞게 방한복을 구비하여도 단기간에 더 큰 사이즈의 방한복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989048호(기능성 송아지 방한복)에는 방한복 본체의 폭 방향 일측 선단에 설치된 메인지퍼와, 상기 방한복 본체의 타측 선단에 폭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상기 메인지퍼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조립되는 다수의 사이즈 조절지퍼로 이루어진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사이즈 조절지퍼를 일정간격을 두어 선택적으로 지퍼잠금으로 사이즈 조절을 하도록 되어 있지만, 사이즈 조절지퍼의 설치간격만큼 조절간격이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미세조절이 어렵고, 안쪽에 있는 사이즈 조절지퍼를 사용하게 될 경우 나머지 지퍼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다른 송아지가 긁히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지퍼로 인해 제조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에 의하여 특허 제1289614호(가축 방한용 덮개)가 개시되었으며, 이는 가축의 배 부위에 해당하는 덮개 부분을 양분하는 형태로 신축이음부를 형성하여 덮개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신축력을 갖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가축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보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축 방한용 덮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는바, 본 발명은 상기 기술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또 다른 형태의 가축용 방한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한복 본체에 개폐수단 방향으로 제 1,2신축주름부를 각각 형성하여 착용시 가축의 몸체 전·후방 둘레에 조임력을 발생시켜 보온 효과를 높이면서 신축력에 의한 사이즈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가축용 방한복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보온재가 내장되도록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앞발 삽입부와 뒷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지퍼를 이용하여 가축의 등 부분에서 개폐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후반부 뒷발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가축의 배 부위에 해당하는 본체 부분을 양분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신축이음부와, 상기 앞발 삽입부 일측에서 개폐수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신축주름부와, 상기 신축이음부의 하단부 일측에서 개폐수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신축주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신축주름부는 탄성밴드를 내피에 박음질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탄성밴드는 본체에 설치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탄성밴드 방향으로 본체가 일부 당겨져 주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박음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발 삽입부는 내측으로 앞발 신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의 재질은 쿨맥스(coolmax), 탁텔(tactel), 라이크라(lycra)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오물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피에 가축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 식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부는 일측이 절개된 투명포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제 1,2신축주름부가 가축의 전방과 후방의 몸 둘레 전체에 조임력을 발생시켜 보온 효과를 높이면서 신축력에 의한 사이즈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제 1,2신축주름부 사이에 있는 가축의 주요 내장기관이 위치한 복부와 가슴 쪽에 보온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앞발 삽입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앞발 신축부를 구비하여 착용시 앞발 삽입부가 앞다리에 밀착되게 하여 열손실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체의 테두리부가 통기성이 좋은 직물로서 구비되어 오물이 방한복 내부로 흡수될 경우 외부로 빨리 배출하여 외기온도에 의해 가축의 체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방한복의 본체 외피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방한복의 본체 내피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앞발 삽입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방한복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보온재가 내장되도록 외피(11)와 내피(12)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테두리부(13)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반부(10a)와 후반부(10b)에 각각 앞발 삽입부(14)와 뒷발 삽입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양단부에 지퍼를 이용하여 가축의 등 부분에서 개폐되는 개폐수단(20)과, 상기 후반부(10b) 뒷발 삽입부(16)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18)와, 가축의 배 부위에 해당하는 본체(10) 부분을 양분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신축이음부(30)와, 상기 앞발 삽입부(14) 일측에서 개폐수단(20)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신축주름부(40)와, 상기 신축이음부(30)의 하단부 일측에서 개폐수단(20)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신축주름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송아지와 같은 가축동물이 착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피(11)와 내피(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피(11)는 내피(12)보다 방수성이 좋은 직물로 적용되고 내피(12)는 보온성이 좋은 직물로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외피(11)와 내피(12) 사이에 솜과 같은 보온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둘레부분에는 또 다른 직물로 구비되어 내피(12)와 외피(11)가 고정되도록 테두리부(13)가 형성되어 박음질로 마감처리되어있다.
상기 테두리부(13)는 통기성이 좋은 직물로서 쿨맥스(coolmax), 탁텔(tactel), 라이크라(lycr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이는 오물이 방한복 내부로 흡수될 경우 외부로 빨리 배출하기 위함이다. 만약 오물에 젖어 있는 상태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외기온도에 의해 가축의 체온이 빠른 속도로 낮아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앞발 삽입부(14)와 뒷발 삽입부(16)는 본체(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앞발 삽입부(14)는 가축의 앞다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멍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뒷발 삽입부(16)는 뒷다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구부(18) 양쪽에 각각 신축밴드 형태로 구비되어 내피(12)에 박음질로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앞발 삽입부(14)는 일반적인 신축성이 없는 직물로 마감처리가 될 수 있지만,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앞발 신축부(14a)가 구비되어 이루어질 경우 가축의 보온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앞발 삽입부(14)가 가축의 앞다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축이 움직이면서 구멍 사이로 열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상기 앞발 신축부(14a)를 통해 앞발 삽입부(14)가 앞다리에 밀착되게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신축이음부(30)는 소정의 폭으로 된 주름형태의 신축직물로 구비되어 가축의 배 부위에 해당하는 본체(10) 부분을 양분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보온직물과 일체로 이음 연결하여 본체(10)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신축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가축에게 밀착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가축에게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신축주름부(40)는 앞발 삽입부(14)의 중앙 일측에서 개폐수단(20) 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10)에 주름을 형성하면서 강한 신축력을 갖도록 하여, 착용시 가축 전방의 방한복 둘레에 조임력을 발생시켜 보온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면서 신축력에 의한 사이즈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신축주름부(50)는 신축이음부(30)의 하단부 일측에서 개폐수단(20)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신축주름부(40)와 마찬가지로 본체(10)에 주름을 형성하여 강한 신축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 제2 신축주름부(50)는 착용시 가축의 뒷다리 전방 복부에 위치하고 방한복 둘레에 조임력을 발생시켜 제1 신축주름부(40)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다.
상기 제1,2 신축주름부(40)(50)는 탄성밴드를 내피(12)에 박음질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탄성밴드는 본체(10)에 원래 설치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박음질했을 때 본체(10)의 내피(12)와 외피(11)가 탄성밴드 방향으로 일부 당겨져 주름을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당겨진 본체(10)부분에 의해 양측 개폐수단(20)의 지퍼부분이 일부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가 되는데, 이는 지퍼가 내측으로 들어간 만큼 신축력이 작용하는 것이며 지퍼잠금시에 다시 당겨지면서 잠기기 때문에 착용에 따른 어려움이 전혀 없는 것이다.
상기 제1,2 신축주름부(40)(50)는 앞발 삽입부(14) 일측 및 신축이음부(30) 의 하단부 일측에서부터 개폐수단(20)까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축의 전·후방의 몸 둘레 전체에 조임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제 1,2신축주름부(40)(50) 사이에 있는 가축의 주요 내장기관이 위치한 복부와 가슴 쪽에 보온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송아지의 몸 구조 특성상 굴곡으로 인해 사이즈 선택이 어려운 점이 있는데, 상기 제 1,2신축주름부(40)(50)가 방한복 사이즈의 중요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 보온성을 높이면서 송아지 몸에 맞추어 착용할 수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외피(11)에 가축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 식별부(60)가 더 형성되는 데, 사육사는 이러한 식별부(60)를 보고 가축의 고유넘버나, 나이, 성별, 무게, 해당 가축의 특이사항 등을 메모하여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식별부(60)는 일측이 절개된 투명포켓 형태로 구비되어 방수기능 및 간편한 수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본체 10a: 전반부
10b: 후반부 11 : 외피
12 : 내피 13 : 테두리부
14 : 앞발 삽입부 14a: 앞발 신축부
16 : 뒷발 삽입부 18 : 개구부
20 : 개폐수단 30 : 신축이음부
40 : 제1 신축주름부 50 : 제2 신축주름부
60 : 식별부

Claims (7)

  1. 내부에 보온재가 내장되도록 외피(11)와 내피(12)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테두리부(13)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반부(10a)와 후반부(10b)에 각각 앞발 삽입부(14)와 뒷발 삽입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양단부에 지퍼를 이용하여 가축의 등 부분에서 개폐되는 개폐수단(20)과,
    상기 후반부(10b) 뒷발 삽입부(16)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18)와,
    가축의 배 부위에 해당하는 본체(10) 부분을 양분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신축이음부(30)와,
    상기 앞발 삽입부(14) 중앙 일측에서 개폐수단(20)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신축주름부(40)와,
    상기 신축이음부(30)의 하단부 일측에서 개폐수단(20)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신축주름부(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신축주름부(40)(50)는 탄성밴드를 내피(12)에 박음질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밴드는 본체(10)에 설치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탄성밴드 방향으로 본체(10)가 일부 당겨져 주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박음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방한복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발 삽입부(14)는 내측으로 앞발 신축부(1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방한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3)의 재질은 쿨맥스(coolmax), 탁텔(tactel), 라이크라(lycra)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오물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방한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외피(11)에 가축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 식별부(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방한복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60)는 일측이 절개된 투명포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방한복










KR1020140177156A 2014-12-10 2014-12-10 가축용 방한복 KR101679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156A KR101679481B1 (ko) 2014-12-10 2014-12-10 가축용 방한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156A KR101679481B1 (ko) 2014-12-10 2014-12-10 가축용 방한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351A KR20160070351A (ko) 2016-06-20
KR101679481B1 true KR101679481B1 (ko) 2016-11-24

Family

ID=5635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156A KR101679481B1 (ko) 2014-12-10 2014-12-10 가축용 방한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08U (ko) * 2018-07-04 2020-01-14 윤정남 가축용 방한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378Y1 (ko) * 2006-12-05 2007-08-09 정선경 애완동물용 기능성의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378Y1 (ko) * 2006-12-05 2007-08-09 정선경 애완동물용 기능성의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08U (ko) * 2018-07-04 2020-01-14 윤정남 가축용 방한복
KR200491249Y1 (ko) * 2018-07-04 2020-03-09 윤정남 가축용 방한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351A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194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US20180116306A1 (en) Men's and Women's Active Wear Exercise Apparel
US20210000190A1 (en) Functional panties
US6454735B1 (en) Simplified bandage used for torso
JP2023060313A (ja) 衣類
KR20120094611A (ko) 남성용 건강팬티
KR101679481B1 (ko) 가축용 방한복
US2014035820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evaporative cooling for an animal
KR101808088B1 (ko) 가축용 방한복
KR101007753B1 (ko) 기능성 팬티
KR101888116B1 (ko) 위생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KR101844750B1 (ko) 남성용 팬티
KR200463306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32879Y1 (ko) 방한용 덮개
CN204070591U (zh) 一种男士生理内裤
JP2006299477A (ja) パジャマ
JP3195287U (ja) 通気のパンツ
KR200476293Y1 (ko) 레깅스
KR200425594Y1 (ko) 내복 바지
KR200491249Y1 (ko) 가축용 방한복
KR102259946B1 (ko) 레깅스
KR200467650Y1 (ko) 국부보호용 남성팬티
KR100776990B1 (ko) 통풍기능 속옷
US20160007664A1 (en) Support Towel
KR200491045Y1 (ko) 송아지용 목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