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38B1 -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638B1
KR101925638B1 KR1020110135286A KR20110135286A KR101925638B1 KR 101925638 B1 KR101925638 B1 KR 101925638B1 KR 1020110135286 A KR1020110135286 A KR 1020110135286A KR 20110135286 A KR20110135286 A KR 20110135286A KR 101925638 B1 KR101925638 B1 KR 101925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transmission
data
clock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366A (ko
Inventor
카즈아키 토바
겐 이치무라
카즈요시 스즈키
토시히데 하야시
히데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가 기기는 외부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하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전송로 구성 결정부와,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송로 구성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시스템{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본 발명은,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를 다른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는 전자기기 등에 관한 것이다.
근래,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를 접속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가 폭넓게 이용되고 있고, 업계에서는 사실상 표준이 되고 있다. 예를 들면,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pecification Version 1.4, June 5 2009에, HDMI 규격에 관한 기재가 있다. 이 HDMI 규격에서는, 3 데이터 차동 라인 페어(TMDS Channel 0)를 행하고 있다.
종래,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베이스밴드의 비디오 신호의 방 사이에서의 전송을 행하는 AV 시스템(90)이 알려져 있다. 이 AV 시스템(90)은, 거실에 배치된 싱크 기기로서의 텔레비전 수신기(91)와 침실에 배치된 싱크 기기로서의 텔레비전 수신기(92)가, 전송로로서의 케이블(93)에 의해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텔레비전 수신기(91)에는, 예를 들면, HDMI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셋톱 박스(STB : Set Top Box)(94a),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94b), 소형 카메라(handheld camera)(94c) 등의 소스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 AV 시스템(90)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91)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텔레비전 수신기(91)에 송신되고, 또한, 케이블(93)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신기(92)에도 송신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92)에서도,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91)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종래의 베이스밴드의 비디오 신호의 방 사이에서의 전송에서는, 상술한 도 37에 도시하는 AV 시스템(90)과 같이, 비디오 신호의 전송 방향은, 소스 기기가 존재하는 방으로부터의 일방향뿐이다. 즉, 쌍방의 방으로부터 쌍방향으로 자유롭게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그 방 사이에서의 전송에서는, 그 인터페이스를 흐르는 데이터는 하나이거나, 복수라도 픽셀 클록이란 비동기로 패킷화 되어 있거나, 기기 설계의 난이도와 시청자의 편리성의 양면에 있어서, 부적합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를 다른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효율 좋게 전송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외부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하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전송로 구성 결정부와,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송로 구성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외부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의 반송 클록으로서 서로 독립한 반송 클록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차동 신호 레인마다 임의의 전송 비트 레이트에 의한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에, 이 디지털 신호에 반송 클록을 중첩하여 송신하도록 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디지털 신호의 수신측에서는, 이 디지털 신호로부터 추출된 반송 클록에 의거하여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이고, 반송 클록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픽셀 클록에 동기한 반송 클록이 된다. 이에 의해, 수신측에서는, 이 디지털 신호로부터 추출된 반송 클록에 의거하여,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수신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이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외부 기기에, 이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의 주파수 정보를, 쌍방향 통신 라인을 통하여 통지하도록 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수신측에서는,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의 신속한 추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이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외부 기기에, 이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에 동기한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하도록 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수신측이 이 리퍼런스 클록에 동기한 상태가 되고 나서 실제의 송신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수가 있어서, 수신측에서 정확한 디지털 신호 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외부 기기에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쌍방향 통신 라인을 통하여 송신 클록에 동기한 것의 통지가 있은 후에, 외부 기기에의 디지털 신호의 송신을 시작하도록 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수신측이 이 리퍼런스 클록에 완전히 동기한 상태가 되고 나서 실제의 송신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수가 있어서, 수신측에서 보다 정확한 디지털 신호 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이 디지털 신호의 무효 데이터 구간 또는 제어 데이터 송신 구간에서 반송 클록 추출을 위한 고정 패턴을 삽입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수신측이 수신한 고정 패턴으로부터 반송 클록을 적절히 정확하면서 용이하게 추출하고, 항상 동기 상태를 유지하여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수신측에서 정확한 디지털 신호 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송신 디지털 신호에, 사용하는 차동 신호 레인의 수에 응한 패킹 처리를 시행하고, 각 레인으로 송신하여야 할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송신 디지털 신호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소정 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디지털 신호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각 레인으로 송신하여야 할 디지털 신호에 각각 반송 클록을 중첩하여 송신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차동 신호 레인의 수에 응한 패킹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사용하는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한 효율이 좋은 전송이 가능해진다.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 의해,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이 결정된다. 이때, 외부 기기가 기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기기를 기동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이 결정된다. 또한,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되는 전송로 구성에는, 사용 레인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의 반송 클록 주파수가 또한 포함되어도 좋다. 그리고, 전송로 구성 제어부에 의해,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 중, 전송에 필요한 차동 신호 레인만을 이용하여 쌍방향 전송을 행할 수가 있어서,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를 다른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효율 좋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외부 기기로부터, 접속 소스 기기 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취득하는 접속 기기 정보 취득부와, 자신의 접속 소스 기기와 외부 기기의 접속 소스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외부 기기의 접속 소스 기기도, 자신의 접속 소스 기기와 동렬(same basis)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제1의 외부 기기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수신부와,
상기 제1의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의 동작 모드 중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제2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하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제2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전송로 구성 결정부와,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송로 구성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수신부에 의해, 제1의 외부 기기(송신 장치)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가 수신된다. 이 디지털 신호 수신부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제2의 동작 모드를 갖고 있고,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차동 신호의 채널 수는, 제1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1의 수가 되고, 제2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1의 수보다 큰 제2의 수로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동작 모드는 현행(current) HDMI의 동작 모드로서 제1의 수는 3이 되고, 제2의 동작 모드는 신(new) HDMI의 동작 모드로서 제2의 수는 3보다 큰 6이 된다.
정보 수신부에 의해, 제1의 외부 기기로부터, 제1의 동작 모드 및 제2의 동작 모드 중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가 수신된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에 의해,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이 경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 모드를, 제1의 외부 기기의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 모드에 맞추는 것이 용이해지고, 제1의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양호하게 수신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제2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이 행하여진다.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 의해, 제2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이 결정된다. 그리고, 전송로 구성 제어부에 의해,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이 제어된다.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 중, 전송에 필요로 하는 차동 신호 레인만을 이용하여 쌍방향 전송을 행할 수가 있어서,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를 다른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효율 좋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소정 수의 소스 기기가 접속된 복수의 싱크 기기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싱크 기기는,
다른 싱크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하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다른 싱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전송로 구성 결정부와,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송로 구성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 시스템은, 소정 수의 소스 기기가 접속된 복수의 싱크 기기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싱크 기기는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싱크 기기 사이에서는,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이 이용되어서,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이 행하여진다.
각 싱크 기기에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 전송로 구성 결정부 및 전송로 구성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다.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다른 싱크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이 행하여진다.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 의해, 다른 싱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이 결정된다. 그리고, 전송로 구성 제어부에 의해,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각 싱크 기기에서는,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 중, 전송에 필요로 하는 차동 신호 레인만을 이용하여 다른 싱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전송을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싱크 기기 사이에서,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 중, 전송에 필요로 하는 차동 신호 레인만을 이용하여 쌍방향 전송을 행할 수가 있어서,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를 다른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효율 좋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AV 시스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싱크 기기와 그것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 사이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소스 기기, HDMI 케이블 및 싱크 기기의 조합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소스 기기의 데이터 송신부와 싱크 기기의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례(현행 HDMI의 동작 모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소스 기기의 데이터 송신부와 싱크 기기의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례(신 HDMI의 동작 모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TMDS 전송 데이터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현행 HDMI(Type A) 및 신 HDMI의 핀 어사인먼트를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현행 HDMI 및 신 HDMI의 소스 기기,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핀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현행 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신 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신 HDMI 케이블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3A 내지 도 13B는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5는 EDID상에 새롭게 정의되는 플래그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 LSI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신 HDMI 케이블 내 LSI의 EDID 데이터 재기록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 RF 태그 칩(LSI)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A 내지 도 21D는 신 HDMI의 케이블 플러그, 리셉터클의 형상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A 및 도 22B는 현행 HDMI 케이블과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
도 23은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싱크 기기와 싱크 기기 사이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4는 싱크 기기의 한쪽부터 다른 쪽으로 비디오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의 제어부의 제어 시퀀스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싱크 기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6은 데이터 송/수신부를 구성하는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7은 데이터 송/수신부를 구성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8은 데이터 송/수신부를 구성하는 데이터 수신 회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9는 현행 HDMI에서 이용되고 있는 비디오 전송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리패킹에 의한 비디오 전송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리패킹에 의한 비디오 전송 포맷의 예(2스트림분 전송)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의 시청자가,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비디오의 시청을 희망한 경우의 동작례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33은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가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와 함께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UI 표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많은 방 사이 접속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많은 방 사이 접속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방 사이 접속에서 스위치 기기가 개재한 경우의 전송 시작까지의 제어에 관한 시퀀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베이스밴드의 비디오 신호의 방 사이에서의 전송을 행하는 AV시스테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의 형태"라고 한다)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의 형태
2.변형례
1. 실시의 형태
AV 시스템의 구성례
도 1은, 실시의 형태로서의 AV(Audio and Visual) 시스템(10)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AV 시스템(10)은, 거실에 배치된 싱크 기기로서의 텔레비전 수신기(11)와 침실에 배치된 싱크 기기로서의 텔레비전 수신기(12)가, 전송로로서의 케이블(13)에 의해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는, 예를 들면, HDMI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셋톱 박스(STB : Set Top Box)(14a),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14b), 레코더(14c), 게임 콘솔(14d), 소형 카메라(14e) 등의 소스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신기(11)와 각 소스 기기는, 전송로로서의 HDMI 케이블(15)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는, 예를 들면, HDMI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16a),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16b), 레코더(16c) 등의 소스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신기(12)와 각 소스 기기는, 전송로로서의 HDMI 케이블(17)로 접속되어 있다.
이 AV 시스템(10)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11)와 텔레비전 수신기(12) 사이의 케이블(13)에는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비디오 신호 라인)이 준비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서는 이 차동 신호 레인이 이용되어 비디오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신기(11)와 텔레비전 수신기(12)의 사이에서, 케이블(13)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이 행해지고, 필요하다면, 즉 다른 쪽이 기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동하고,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전송 방향 등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이 결정된다. 그리고, 텔레비전 수신기(11, 12)는, 결정된 전송로 구성으로 되어, 비디오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한다.
소스 기기와 싱크 기기 사이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최초에, 텔레비전 수신기(11)와 이것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사이,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12)와 이것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 사이의 디지털 인터페이스(20)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0)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는,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에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접속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111)이 마련되어 있다. 싱크 기기(120)에는, 데이터 수신부(122)가 접속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12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200)의 일단에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201)가 마련되고, 그 타단에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202)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200)의 일단의 플러그(201)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에 접속되고, 이 케이블(200)의 타단의 플러그(202)는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에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는, 제어부(113)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13)는, 소스 기기(110)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 및 신 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신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13)는, 적어도,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에만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또는 케이블(200)이 현행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싱크 기기(120)는, 제어부(123)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23)는, 싱크 기기(120)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현행 HDMI에만, 또는 현행 HDMI 및 신 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다.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 HDMI 및 신 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23)는, 이 데이터 수신부(122)를,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같은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23)는, 소스 기기(110)로부터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보내지는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데이터 수신부(122)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케이블(200)은, 현행 HDMI, 또는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0)에서,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 및 신 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을 때, 신 HDMI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때,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 및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신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0)에서, 도 3(b) 내지(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케이블(200)이 현행 HDMI에 대응하고 있던지, 또는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에만 대응하고 있을 때, 현행 HDMI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때,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현행 HDMI 및 신 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3(b)의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낮게 하는 등으로 케이블(200)이 신 HDMI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때에는, 신 HDMI 모드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는 일이 있다.
데이터 송신부,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례
도 4,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0)에서,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유효 화상 구간("액티브 비디오 구간"이라고도 한다)에서, 비압축의 1화면 분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유효 화상 구간은, 하나의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까지의 구간에서, 수평 귀선 구간 및 수직 귀선 구간을 뺀 구간이다. 또한, 데이터 송신부(112)는, 수평 귀선 구간 또는 수직 귀선 구간에서,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데이터 수신부(122)는,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서,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2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이 데이터 수신부(122)는, 수평 귀선 구간 또는 수직 귀선 구간에서,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 송신부(112)와 데이터 수신부(122)로 이루어지는 HDMI 시스템의 전송 채널에는, 이하의 것이 있다. 우선, 전송 채널로서, 차동 신호 채널(TMDS 채널, TMDS 클록 채널)이 있다.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은, 현행 HDMI에서는 3채널이지만, 신 HDMI에서는 6채널이다.
현행 HDMI에서의 차동 신호 채널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데이터 수신부(122)에 대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픽셀 클록에 동기하여,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로서의, 3개의 TMDS 채널(#0 내지 #2)이 있다. 또한, TMDS 클록을 전송하는 전송 채널로서의, TMDS 클록 채널이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의 HDMI 트랜스미터(81)는, 예를 들면,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3개의 TMDS 채널(#0, #1, #2)로,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HDMI 트랜스미터(81)는,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 필요한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을,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3개의 TMDS 채널(#0, #1, #2)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HDMI 트랜스미터(81)는, 3개의 TMDS 채널(#0, #1, #2)로 송신하는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한 TMDS 클록을, TMDS 클록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22)에 송신한다. 여기서, 하나의 TMDS 채널(#i)(i=0, 1, 2)에서는, TMDS 클록의 1클록의 동안에, 10비트의 비디오 데이터가 송신된다.
데이터 수신부(122)의 HDMI 레시버(82)는, TMDS 채널(#0, #1, #2)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와,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TMDS 클록 채널로 송신되어 오는 픽셀 클록(TMDS 클록)에 동기하여 수신한다.
다음에, 신 HDMI에서의 차동 신호 채널에 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데이터 수신부(122)에 대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픽셀 클록에 동기하여,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로서의,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이 있다. 또한, 이 신 HDMI에서는, TMDS 클록의 전송은 생략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록을 재생하는 셀프 클록 방식이 채용된다.
데이터 송신부(112)의 HDMI 트랜스미터(81)는, 예를 들면,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로,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이 HDMI 트랜스미터(81)는,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 필요한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을,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데이터 수신부(122)의 HDMI 레시버(82)는, TMDS 채널(#0 내지 #5)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와,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HDMI 레시버(82)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픽셀 클록을 재생하고, 그 픽셀 클록(TMDS 클록)에 동기하여 수신한다.
HDMI 시스템의 전송 채널에는, 상술한 TMDS 채널, TMDS 클록 채널 외에, DDC(Display Data Channel)나 CEC 라인이라고 불리는 전송 채널이 있다. DDC는, 케이블(200)에 포함되는 도시하지 않은 2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진다. DDC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데이터 수신부(122)로부터,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판독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데이터 수신부(122)는, HDMI 레시버(82) 외에, 자신의 능력(Configuration/capability)에 관한 능력 정보인 E-EDID를 기억하고 있는, EDID ROM(EEPROM)을 갖고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예를 들면, 제어부(113)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로부터, E-EDID를, DDC를 통하여 판독한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판독한 E-EDID를 제어부(113)에 보낸다. 제어부(113)는, 이 E-EDID를,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 ROM 또는 DRAM에 격납한다. 제어부(113)는, E-EDID에 의거하여, 데이터 수신부(122)의 능력의 설정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데이터 수신부(122)를 갖는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 외에,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을 인식한다. CEC 라인은, 케이블(200)에 포함되는 도시하지 않은 1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송신부(112)와 데이터 수신부(122) 사이에서, 제어용의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HPD(Hot Plug Detect)라고 불리는 핀에 접속된 라인(HPD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소스 기기는, 이 HPD 라인을 이용하여, 싱크 기기의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HPD 라인은 쌍방향 통신로를 구성하는 HEAC- 라인으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원 라인(+5V Power Line)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유틸리티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유틸리티 라인은 쌍방향 통신로를 구성하는 HEAC+ 라인으로서도 사용된다.
도 6은, TMDS 전송 데이터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6은, TMDS 채널(#0 내지 #2), 또는 TMDS 채널(#0 내지 #5)에서, 가로×세로가 B픽셀×A라인의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각종의 전송 데이터의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HDMI의 TMDS 채널로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비디오 필드(Video Field)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응하여, 3종류의 구간이 존재한다. 이 3종류의 구간은, 비디오 데이터 구간(Video Data period),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Data Island period), 및 컨트롤 구간(Control period)이다.
여기서, 비디오 필드 구간은, 어느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active edge)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까지의 구간이다. 이 비디오 필드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horizontal blanking), 수직 블랭킹 기간(vertical blanking), 및, 액티브 비디오 구간(Active Video)으로 나뉘여진다. 이 액티브 비디오 구간은, 비디오 필드 구간부터,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을 뺀 구간인 비디오 데이터 구간은,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 할당된다. 이 비디오 데이터 구간에서는, 비압축의 1화면 분의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B픽셀(화소)×A라인 분의 유효 픽셀(Active pixel)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에 할당된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가 전송된다.
즉,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과 수직 블랭킹 기간의 일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중, 제어에 관계되지 않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 등이 전송된다. 컨트롤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과 수직 블랭킹 기간의 다른 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컨트롤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중의, 제어에 관계되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제어 패킷 등이 전송된다.
여기서, 리셉터클(11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설명한다. 최초에, 현행 HDMI의 핀 어사인먼트(타입 A)를 설명한다. 이 현행 HDMI의 핀 어사인먼트는,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구성한다. 도 7(a)는, 이 현행 HDMI의 핀 어사인먼트를 도시하고 있다. TMDS 채널(#i)(i=0 내지 2)의 차동 신호인 TMDS Data#i+와 TMDS Data#i-는,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핀 번호가 7, 4, 1인 핀)은 TMDS Data#i+에 할당되고, 핀(핀 번호가 9, 6, 3인 핀)은 TMDS Data#i-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8, 5, 2인 핀은, TMDS Data#i Shield(i=0 내지 2)에 할당되어 있다.
TMDS 클록 채널의 차동 신호인 TMDS Clock+와 TMDS Clock-는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0인 핀은 TMDS Clock+에 할당되고, 핀 번호가 12인 핀은 TMDS Clock-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1인 핀은, TMDS Clock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제어용의 데이터인 CEC 신호는, CEC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3인 핀은, CEC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E-EDID 등의 SDA(Serial Data) 신호는, SDA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6인 핀은, SDA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SDA 신호의 송/수신시의 동기에 이용된 클록 신호인 SCL(Serial Clock) 신호는, SCL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5인 핀은, SCL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DDC 라인은, SDA 라인 및 SCL 라인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핀 번호가 19인 핀은, HPD/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4인 핀은, 유틸리티/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7인 핀은, DDC/CEC Ground/HEAC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8인 핀은, 전원(+5V Power)에 할당되어 있다.
다음에, 신 HDMI의 핀 어사인먼트를 설명한다. 이 신 HDMI의 핀 어사인먼트는,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구성한다. 도 7(b)는, 이 신 HDMI의 핀 어사인먼트를 도시하고 있다. TMDS 채널(#i)(i=0 내지 5)의 차동 신호인 TMDS Data#i+와 TMDS Data#i-는,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핀 번호가 1, 4, 7, 10, 2, 8인 핀)은 TMDS Data#i+에 할당되고, 핀(핀 번호가 3, 6, 9, 12, 5, 11인 핀)은 TMDS Data#i-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제어용의 데이터인 CEC 신호는, CEC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3인 핀은, CEC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E-EDID 등의 SDA(Serial Data) 신호는, SDA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6인 핀은, SDA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SDA 신호의 송/수신시의 동기에 이용되는 클록 신호인 SCL(Serial Clock) 신호는, SCL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5인 핀은, SCL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DDC 라인은, SDA 라인 및 SCL 라인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핀 번호가 19인 핀은, HPD/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4인 핀은, 유틸리티/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7인 핀은, DDC/CEC Ground/HEAC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8인 핀은, 전원(+5V Power)에 할당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 HDMI 핀 어사인먼트(도 7(b) 참조)에서는, 현행 HDMI 핀 어사인먼트(도 7(a) 참조)에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핀 번호가 2, 5, 8, 11인 핀)가, 데이터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신 HDMI 핀 어사인먼트에서는, 현행 HDMI 핀 어사인먼트에서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핀 번호가 10, 12인 핀)가, 데이터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도 7(a)에 도시하는 현행 HDMI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신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도 7(b)에 도시하는 신 HDMI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설명하였다.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 HDMI 및 신 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핀 어사인먼트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은,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핀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현행 HDMI의 핀 배치를 도시하고, 도 8(b)는 신 HDMI의 핀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111)의 핀 어사인먼트로서 현행 HDMI 핀 어사인먼트가 선택될 때, 핀 번호가 2, 5, 8, 11인 핀은,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에서, 접지 상태, 또는 싱크 기기(120)에서 접지 상태, 소스 기기(110)에서 하이 임피던스 상태, 또는 싱크 기기(120)에서 하이 임피던스 상태, 소스 기기(110)에서 접지 상태가 된다. 또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 HDMI 및 신 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핀 배치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9(a)는,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현행 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현행 HDMI 케이블은, 3개의 데이터 라인 페어가 각각 특성을 얻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록 라인 페어와, HEAC 기능을 위해 유틸리티 및 HPD의 라인 페어가,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9(b)는,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는, 2개의 전선(3)과, 드레인선(4)이, 실드 부재(5)로 덮인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전선(3)은, 심선(1)이 피복부(2)에 의해 덮여서 구성되어 있다.
현행 HDMI 케이블에서는, 데이터 및 클록의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이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된 플러그의 핀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드레인선은, 상술한 리셉터클(현행 HDMI의 핀 배치)의 각 실드 단자(핀 번호가 2, 5, 8, 11의 실드용 핀)에 대응한 핀(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실드 단자는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에서 접지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 및 클록의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플러그가 리셉터클(현행 HDMI의 핀 배치)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접지된 상태가 된다.
도 10은,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신 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신 HDMI 케이블은, 6개의 데이터 라인 페어가 각각 특성을 얻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HEAC 기능을 위해 유틸리티 및 HPD의 라인 페어가,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신 HDMI 케이블은, 현행 HDMI 케이블(도 9(a) 참조)에 비하여, 접속하여야 할 개개의 구리선의 수가 늘어나 있다. 이 신 HDMI 케이블에서는, 케이블의 양단의 플러그의 전용 핀에 접속되어 있는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플러그의 금속제의 셀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실드용 핀이 개방되고, 플러그의 필요한 핀 수의 증가가 회피되고, 신 HDMI 케이블에서의 플러그는,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와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이 플러그의 금속제의 셀에 접속되는 것에서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리셉터클의 셀이 접지 레벨과 접속되어 있음에 의해, 차동 페어 라인의 실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신 HDMI 케이블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신 HDMI 케이블은, 단면 형상을 평평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인 구조는, 상술한 도 10에 도시하는 신 HDMI 케이블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와 같이 단면 형상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단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기 쉬워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현행 HDMI와 신 HDMI의 동작 모드 제어
다음에,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에 관해 더욱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신 HDMI의 동작 모드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는, 그 이외의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제어한다.
도 12의 플로우 차트는,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13)는, 스텝 ST1에서, 처리를 시작하고, 그 후에, 스텝 ST2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2에서, 제어부(113)는, 소스 기기(110), 즉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13)는, 자신이 존재하는 소스 기기(110)(데이터 송신부(112))의 능력 정보를 미리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판단에 관해서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 소스 기기(110)는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제어부(113)는, 이 스텝 ST2의 판단 처리를 생략하여도 좋다.
소스 기기(11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3에서, 싱크 기기(120), 즉 데이터 수신부(113)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4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4에서,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5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5에서, 제어부(113)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스텝 ST2, 스텝 ST3, 스텝 ST4에서, 각각, 소스 기기(110), 싱크 기기(120),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6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6에서, 제어부(113)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는, 예를 들면, 스텝 ST3에서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최종적인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를, 케이블(200)을 통하여, 싱크 기기(120)에 송신한다. 이 판단 결과의 송신은,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로부터 데이터 전송 전(前)에 인포 프레임 등의 제어 정보로서 보내진다. 싱크 기기(120)에서는, 이 소스 기기(110)로부터의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123)에 의해, 데이터 수신부(122)가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같은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113)는, 스텝 ST5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때, 그 취지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 UI 화면에 의해, 유저는,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가 신 HDMI로 접속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UI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디스플레이)는, 소스 기기(11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디스플레이), 또는, 싱크 기기(12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디스플레이)이다. 이것은, 이하의 각 UI 표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스텝 ST6의 처리로 이동할 때, 그 취지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 UI 화면에 의해, 유저는,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지만, 케이블(200)만이 신 HDMI에 대응하지 않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어서, 케이블(200)을 신 HDMI 케이블로 교환하는 등이 대책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 순서에서는,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곧바로, 스텝 ST5로 진행하여,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부(113)는, 데이터 전송 전에 미리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커맨드를 교환함에 의해,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유저에게, 신 HDMI 또는 현행 HDMI(종래 HDMI)의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 제어부(113)는, 그를 위한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유저는, 이 UI 화면에 의거하여, 신 HDMI 또는 현행 HDMI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도 13B는, "신 HDMI"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13)는, 유저의 선택에 응하여,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 HDMI 또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도 14의 플로우 차트는, 그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14에서, 도 12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스텝 ST7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 스텝 ST7에서, 제어부(113)는, 신 HDMI 또는 현행 HDMI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UI의 표시는 소스 기기(110)가 전송로(200)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하여도 좋고, 싱크 기기(120)가 자신이 표시하도록 지시하여도 좋다.
그 후, 제어부(113)는, 스텝 ST8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8에서, 유저의 리모트 콘트롤 등에 의한 조작을 제어부(123)는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통지함에 의해, 제어부(113)는, 유저가 신 HDMI 또는 현행 HDMI의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유저가 신 HDMI를 선택한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5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유저가 현행 HDMI를 선택한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6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현행 HDMI(종래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싱크 기기의 신 HDMI에의 대응 판단
제어부(113)에서의,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이 판단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1의 판단 방법 및 제2의 판단 방법이 있다.
제1의 판단 방법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케이블(200)의 DDC 라인(SDA 라인 및 SCL 라인)을 이용하여 판독한 EDID에 의거하여,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EDID 자체는, 포맷상에서 규정된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이 EDID의 소정의 장소에, 새롭게,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새로운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새롭게 정의된다고 한다.
도 15는, EDID상에 새롭게 정의되는 플래그 정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래, EDID는 다양한 싱크 기기(120)의 능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체이다. 도 15는,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EDID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이트만을 나타내고, 최저한으로 간소화하고 있다. 제2 비트에,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제1 비트에,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Cable"이 새롭게 정의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2)로부터 판독한 EDID에, 상술한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가 존재할 때,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에만 대응하고 있는 경우, 싱크 기기(122)로부터 판독한 EDID에, 상술한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2의 판단 방법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와의 사이에서, 케이블(200)을 통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CEC 라인을 이용하여, 커맨드 베이스에서,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유틸리티 라인 및 HPD 라인으로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HEAC 기능)를 이용하여 싱크 기기(12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전송이 유효하게 될 때까지는 미사용의 라인, 예를 들면 유틸리티 라인 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신호의 교환을 행하여, 싱크 기기(120)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케이블의 신 HDMI에의 대응 판단
다음에, 제어부(113)에서의,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이 판단 방법에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1 내지 제4의 판단 방법이 있다. 제1 내지 제3의 판단 방법은, 케이블(200)이 신 HDMI 케이블일 때, 이 케이블(200)이 갖는 정보 제공 기능을 이용하여 행하는 판단 방법이다.
제1의 판단 방법
이 제1의 판단 방법의 경우,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 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LSI(Large Scale Integration)가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로부터 +5V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싱크 기기(120)는, HPD를 L로 떨어뜨리고 있는 사이에 CEC 프로토콜에 의해, 이 LSI에, 출력을 요구하다. 또한, 이 경우의 싱크 기기(120)는,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 싱크 기기이다. LSI는, 싱크 기기(120)로부터의 출력 요구에 응하여, 이 LSI 내에 실장된 레지스터값(신 HDMI 대응이라는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케이블 특성 데이터)를, 싱크 기기(120)에, CEC 프로토콜로 보고한다.
싱크 기기(120)는, LSI로부터 보고된 정보를 자신의 EDID에 추기(additional description)한다. 싱크 기기(120)는, 이 추기의 후에, HPD를 H로 함으로써, 소스 기기(110)에 EDID의 판독을 지시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판독한 EDID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 HDMI 대응이라는 취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싱크 기기(120)가 CEC 프로토콜에 의해 LSI에 출력을 요구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소스 기기(110) 자체가, CEC 프로토콜에 의해 LSI에 출력을 요구하고, LSI로부터 레지스터값(신 HDMI 대응이라는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케이블 특성 데이터)의 보고를 직접 받도록 하는 것도 생각된다.
제2의 판단 방법
이 제2의 판단 방법의 경우에도,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 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LSI가 내장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는, 예를 들면 HPD가 L로부터 H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싱크 기기(120)로부터, 그 능력을 나타내는 EDID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이 경우, EDID는, SDA/SCL의 라인을 사용하여, 싱크 기기(120)의 EEPROM 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시리얼 전송함에 의해, 소스측에 통지된다.
LSI는, EDID 전송중에, EDID 정보가 전송되는 라인, 즉 SDA/SCL의 신호를 관찰한다. 그리고, LSI는,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도 15의 소정 바이트의 제1 비트)가 전송될 때에, 그 비트값을,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 상태, 즉 플래그가 온(on)인 상태로 변경한다. 즉, 싱크 기기(120)의 EDID ROM(EEPROM)상의 데이터는 "00000100"이지만, 전송중에 케이블 내의 LSI가 데이터를 재기록하여, 소스 기기(110)가 수신할 때에는 "00000110"이 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판독한 EDID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도 15의 소정 바이트의 제1 비트)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17은, 케이블 내 LSI의 EDID 데이터 재기록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LSI는, SCL 라인상의 클록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이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SDA 라인상의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드라이버를 갖고 있다.
제3의 판단 방법
이 제3의 판단 방법의 경우,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 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신 HDMI 대응이라는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정보를 기억한 RF 태그 칩(LSI)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에, RF 태그 판독 칩(LSI)이 내장된다. 이 경우, 리셉터클(11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해지고, RF 태그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판독된다.
제어부(113)는,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판독된 정보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케이블(200)이 신 HDMI 대응이라는 취지 등의 정보가 판독될 때,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과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해지고, RF 태그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스 기기(110) 측에서 판독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해지고, RF 태그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싱크 기기(120) 측에서 판독되고, 그 정보가 그 후에, 소스 기기(110) 측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제4의 판단 방법
이 제4의 판단 방법의 경우,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는, 핀(2)과 핀(5)에 대해 측정/검출용의 테스트 신호(디지털 신호)를 발신하고, 싱크 기기(120)의 제어부(123)가 그 신호를 수신하다. 또한, 현행 HDMI 케이블에서는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지 않지만, 신 HDMI 케이블에서는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다(도 7(a), (b) 참조).
싱크 기기(120)의 제어부(123)는,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다른 경로(예를 들면, SCL/SDA로 나타나는 HDMI DDC 라인, 또는 CEC 라인이나 유틸리티 라인 등)를 통하여, 소스 기기(110) 측에 통지한다.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통지된 디지털 신호가, 자신이 송신한 디지털 신호와의 일치를 확인함으로써,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13)는, 수신 디지털 신호가 송신 디지털 신호와 일치할 때, 케이블(200)은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현행 HDMI 케이블인 경우,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실드 트위스트 페어선으로 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케이블(200)이 현행 HDMI에 대응하고 있다는 판단에는,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전달할 수가 없다는 것이 이용된다. 이때, 핀(2)과 관련하는 핀(1) 또는 핀(3)에, 핀(2)과는 관계없는 신호를 인가함에 의해, 그 간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간섭에 의해,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보다 전달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신 HDMI 케이블인 경우, 핀(2)과 핀(5)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신호선은, 실드 트위스트 페어선이 된다. 그 때문에, 케이블(200)이 신 HDMI 케이블에 대응하고 있다는 판단에는,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이용된다. 이때, 핀(1) 또는 핀(3)에, 핀(2)과는 관계없는 신호가 인가되고 있어도, 그들은 독립하여 실드 처리가 시행되고 있고, 인가된 신호와 핀(2)이 간섭하는 일은 없고, 테스트 신호의 전달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여기서, 테스트 신호는,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가 출력 가능한 가장 빠른 데이터, 또한 비트 에러 레이트로서 HDMI가 보장하는 10-9를 평가할 수 있을 만큼이 충분히 긴 랜덤한 데이터가 된다. 또한, 싱크 기기(120)에는 통상 비디오 재생을 위한 프레임 버퍼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송 테스트 전용의 메모리는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113)는, 수신 디지털 신호가 송신 디지털 신호와 일치할 때만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하였다. 제어부(113)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느리게 하여 마찬가지의 테스트를 행하고, 일치할 때까지 상술한 판단 프로세스를 반복함에 의해, 케이블의 성능을 확정하고,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지만, 그 전송 스피드 내에서 실행 가능한 만큼의 전송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현행 HDMI 케이블도, 신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핀(2)과 핀(5)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핀 대신에, 현행 HDMI 케이블과 신 HDMI 케이블 사이에서 이들의 핀과 마찬가지의 관계에 있는 핀(8)과 핀(11)을 이용하여도 좋다. 즉, 현행 HDMI 케이블에서는 핀(8)과 핀(11)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신호선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지 않지만, 신 HDMI 케이블에서는 핀(8)과 핀(11)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신호선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다(도 7(a), (b) 참조).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스 기기(110)가 싱크 기기에 보낸 디지털 신호(테스트 신호)를, 그것을 수신한 싱크 기기(120)가 소스 기기(110)에 통지하고, 그 옳고 그름을 소스 기기(110) 측에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테스트 신호)로서 미리 정해진 패턴을 전송함에 의해, 싱크 기기(120)가, 수신 디지털 신호의 옳고 그름의 판정을 행하고, 그 결과만을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소스 기기(110)에 통지하여도 좋고, 자신의 E-EDID에 그 정보를 추기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0)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 외에, 신 HDMI 모드의 동작 모드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은, 현행 HDMI에서는 3채널이지만, 신 HDMI에서는 6채널이다. 그 때문에, 신 HDMI가 이용됨으로써,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싱크 기기(120), 케이블(200)이 신 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현행 HDMI(종래 HDMI)가 이용됨으로써, 후방 호환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이, 현행 HDMI 케이블(종래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과 같은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한쪽이 신 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이들이 신 HDMI 케이블로 접속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1A는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21B는 현행 HDMI만에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21C는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21D는 신 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2A는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22B는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는 볼록부(화살표(P)로 지시함)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신 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는, 플러그의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화살표(Q)로 지시함)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신 HDMI에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은,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에 일치하고,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 및 신 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신 HDMI 케이블은, 신 HDMI에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신 HDMI 케이블은, 현행 HDMI에만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는 접속할 수가 없게 된다. 이에 의해,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한쪽이 신 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이들이 신 HDMI 케이블로 접속되는 일은 없게 된다. 즉,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쌍방이 신 HDMI에 대응하고 있을 때만, 신 HDMI 케이블에 의해, 이들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 HDMI에도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은, 신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에 일치하고,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현행 HDMI 케이블은, 현행 HDMI에만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뿐만 아니라, 신 HDMI에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현행 HDMI에서의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이 3채널인데 대해, 신 HDMI로서 그 차동 신호 채널이 6채널인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의 수는 6채널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4채널, 5채널, 나아가서는 7채널 등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을 5채널로 하고, 클록 주파수를 1.2배 정도로 고속화함으로써, 6채널로 한 경우와 동등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싱크 기기와 싱크 기기 사이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다음에, 싱크 기기로서의 텔레비전 수신기(11)와 싱크 기기로서의 텔레비전(12) 사이의 디지털 인터페이스(30)에 관해 설명한다. 도 23은, 디지털 인터페이스(30)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싱크 기기(130) 및 싱크 기기(140)는, 케이블(3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싱크 기기(130)에는, 데이터 송/수신부(132)가 접속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131)이 마련되어 있다. 싱크 기기(140)에는, 데이터 송/수신부(142)가 접속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14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300)의 일단에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301)가 마련되고, 그 타단에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302)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300)의 일단의 플러그(301)는 싱크 기기(130)의 리셉터클(131)에 접속되고, 이 케이블(300)의 타단의 플러그(302)는 싱크 기기(140)의 리셉터클(141)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300)에는, 복수,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Data0 내지 Data5의 6개의 차동 신호 레인(비디오 전송 레인)이 준비되어 있고, 싱크 기기(130)와 싱크 기기(140)의 사이에서 비디오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싱크 기기(130)와 싱크 기기(140) 사이에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의 전송 데이터가 전송된다. 6개의 차동 신호 레인은, 상술한 신 HDMI의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 라인과 같은 구조가 되고, 각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된다(도 10 참조).
개개의 차동 신호 레인은, 예를 들면, 3.4Gbps 등의 최대 전송 레이트를 가지며, 그 이상의 전송을 필요로 할 때에는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됨에 의해, 최대 3.4×6=20.4Gbps의 전송이 가능한 전송로라고 한다. 이 경우, 취금하는 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비디오 신호로 함에 의해, 송신측, 수신측의 쌍방에서 압축/신장이라는 처리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개개의 차동 신호 레인은, 자신에게 비디오의 픽셀 클록에 동기한 전송 클록이 중첩되고, 수신측에서 그것을 재생함에 의해, 개개의 차동 신호 레인으로 독립하여 수신측에서 비디오 신호를 재생 가능하게 한다. 단, 신속하게 정확한 데이터 수신 가능한 클록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그 반송 클록의 주파수를 리퍼런스로서 송신측부터 수신측에 통지하는 것으로 한다.
케이블(300)에는, 쌍방향 통신 라인이 준비되어 있고, 싱크 기기(130)와 싱크 기기(140) 사이에서 쌍방향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쌍방향 통신 라인은, 예를 들면, HDMI의 CEC 라인과 동등한 쌍방향 제어 라인, 또는, 쌍방향 차동 통신 라인으로서 구성된다.
싱크 기기(130)는, 제어부(133)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33)는, 싱크 기기(130)의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싱크 기기(140)는, 제어부(143)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43)는, 싱크 기기(140)의 전체를 제어한다. 싱크 기기(130, 140)의 사이에서 비디오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때, 제어부(133, 143)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통신이 행해지고, 필요하다면 다른 쪽을 기동하고,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전송 방향,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의 전송로 구성이 서로 확인되어서 결정된다. 그리고, 제어부(133, 143)에 의해, 각각, 데이터 송/수신부(132, 142)의 구성이 제어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30)에서, 싱크 기기(130, 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의 송신, 수신의 양쪽의 기능을 가지며, 개개의 차동 신호 레인(비디오 전송 레인)은 쌍방향 전송에 대응하고 있다. 싱크 기기(130, 140) 사이의 전송로는, 미리, 쌍방에서, 사용 레인, 전송 방향,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이 확인되어서 결정됨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기는, 수신기에 대해, 예를 들면, 상술한 쌍방향 통신 라인을 통하여, 필요하다면 다른 쪽을 기동하고, 사용 레인,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의 정보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송신기는, 현재의 쌍방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상황을 본 다음, 예를 들면 4.4Gbps의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때에는, 차동 데이터 레인(Data 0, 1)을 이용하여, 반송 클록 2.2GHz로 비디오를 전송하는 취지를, 수신기에 통지한다. 커맨드를 수신한 수신기는 자신의 전송로의 구성을 송신기가 소망하는 구성으로 변형하고, 반송 클록의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기 지정의 것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수신기는, 자신의 구성이 완료된 취지를, 상술한 쌍방향 통신 라인을 통하여, 송신기에 통지한다. 수신기의 전송로의 구성이 완료된 취지를 인지한 송신기는 비디오 신호의 전송을 시작한다. 그 때, 동시에 자신이 송신하고 있는 비디오 포맷의 형식을, 최초에, 예를 들면 비디오의 블랭킹 구간에서 InfoFrame 등을 송신함에 의해, 통지하고, 수신기가 올바르게 전송된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4의 시퀀스도는, 싱크 기기(130, 140)의 한쪽부터 다른 쪽으로 비디오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의 제어부(133, 143)의 제어 시퀀스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는 측을 송신기로 하고,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측을 수신기로 하고 있다.
송신기의 제어부는, 전송로 상황을 확인하고, 비디오 레이트에 따라 사용 레인(레인 수, 레인 번호) 및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의 전송로 구성을 결정한다(시퀀스(1)). 또한, 이 전송로 구성에는, 전송 방향도 포함되지만, 여기서는, 송신기로부터 수신기의 방향으로 정해진다. 또한, 반송 클록 주파수에 관해서는, 고정인 경우에는, 결정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송신기의 제어부는, 필요하다면, 쌍방 통신 라인을 통하여 수신기의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보내, 수신기를 기동한다(시퀀스(2)). 그리고, 송신기의 제어부는, 쌍방향 통신 라인을 통하여, 수신기의 제어부에 사용 레인 및 반송 클록 주파수를 통지하고, 전송(송신)을 요구한다(시퀀스(3)).
다음에, 수신기의 제어부는, 요구에 딸랐던 전송로가 구성되도록, 데이터 송/수신부의 전송로 구성을 제어하고, 또한, 반송 클록 추출을 위한 리퍼런스 클록의 주파수를 설정한다(시퀀스(4)). 이 경우, 리퍼런스 클록의 주파수는, 통지된 반송 클록 주파수에 일치한 것으로 된다. 후술하지만, 송신기로부터 수신기에 송신되어 오는 디지털 신호에는 반송 클록이 중첩되어 있고, 수신기측에서는 이 디지털 신호로부터 반송 클록을 추출하고, 추출된 반송 클록을 이용하여 수신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리퍼런스 클록의 주파수가 미리 반송 클록 주파수에 일치한 것으로 됨으로써, 디지털 신호로부터의 반송 클록의 추출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수신기의 제어부는, 데이터 송/수신부의 전송로 구성의 변경이 완료된 취지를, 쌍방 통신 라인을 통하여 수신기의 제어부에 보고한다(시퀀스(5)). 단, 수신기의 제어부는, 구성 변경이 불가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보고한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송신기의 제어부는, 수신기의 제어부에서의 보고에 의거하여, 사용 레인 및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의 전송로 구성을 재결정하고, 상술한 시퀀스를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송신기의 제어부는, 데이터 송/수신부의 전송로 구성의 변경이 완료된 취지의 보고를 받은 후, 자신의 데이터 송/수신부의 전송로 구성을 마찬가지로 변경하고, 그 후에, 사용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전송을 시작한다(시퀀스(6)).
또한, 예를 들면, 송신기가 수신기에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이 디지털 신호의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그 사용 레인을 이용하여, 수신기에, 이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에 동기한 리퍼런스 클록이 송신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수신측이 이 리퍼런스 클록에 동기한 상태가 되고 나서 실제의 송신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수가 있어서, 수신측에서 정확한 디지털 신호 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송신기는, 수신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하고, 수신기로부터 쌍방향 통신 라인을 통하여 송신 클록에 동기한 것의 통지가 있은 후에, 디지털 신호의 송신을 시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수신측이 이 리퍼런스 클록에 완전히 동기한 상태가 되고 나서 실제의 송신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수가 있어서, 수신측에서 보다 정확한 디지털 신호 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송신기가 수신기에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이 디지털 신호의 무효 데이터 구간 또는 제어 데이터 송신 구간 등에 반송 클록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 패턴을 적절히 삽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수신측이 수신한 고정 패턴으로부터 반송 클록을 적절히 정확하게 추출하고, 항상 동기한 상태를 유지하여 수신할 수가 있어서, 수신측에서 보다 정확한 디지털 신호 수신이 가능해진다.
데이터 송/수신부의 구성례
도 25는, 데이터 송/수신부(150)(싱크 기기(130, 140)의 데이터 송/수신부(132, 142))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50)는, 데이터 송신 회로(151)와, 데이터 수신 회로(152)와, 6개의 차동 신호 레인에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0 내지 153-5)를 갖고 있다.
데이터 송신 회로(151)에는, 비디오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인 송신 데이터와 함께, 픽셀 클록이 공급된다. 이 데이터 송신 회로(151)는, 송신 데이터를, 사용 레인 수에 응하여 패킹 처리를 시행하고, 각 레인으로 송신하여야 할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0 내지 153-5)에 공급한다.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0 내지 153-5)는,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로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송신 모드일 때, 데이터 송신 회로(151)로부터 공급되는 송신하여야 할 디지털 신호에 소정의 데이터 코딩, 예를 들면 8B10B 변환을 시행한 후, 반송 클록을 중첩하여, 대응하는 차동 신호 레인에 송출한다. 또한, 수신 모드일 때, 대응하는 차동 신호 레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반송 클록을 추출하고, 그 반송 클록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취출하고,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수신 회로(152)에 공급한다.
데이터 수신 회로(152)는,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0 내지 153-5)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디패킹 처리를 시행하고, 수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데이터 수신 회로(152)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추출된 반송 클록에 의거하여 수신 데이터에 동기한 픽셀 클록도 생성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송/수신 회로(150)의 데이터 송신 회로(151) 및 데이터 수신 회로(152)는, 송신에 사용되는 차동 신호 레인과 수신에 사용되는 차동 신호 레이트가 다른 상태로 함으로써, 병행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비디오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의 송신 동작과, 수신 동작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도 26은,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153-0 내지 153-5)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는, PLL(Phase Locked Loop) 회로(161)와, 인코더(162)와, D래치 회로(D플립플롭 회로)(163)와, 드라이버(164)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는, 입력 앰프(171)와, D래치 회로(D플립플롭 회로)(172)와,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와, PLL 회로(174)와, 디코더(175)를 갖고 있다.
인코더(162)는, 데이터 스트림(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예를 들면 8B10B 등의 수신측에서 클록 추출이 가능해지는 소정의 데이터 코딩을 시행한다. PLL 회로(161)는, 데이터 스트림(송신 데이터 스트림)에 동기한 픽셀 클록을 체배하여, 반송 클록(데이터 반송용 클록)을 생성한다. 체배 정보는, 데이터 송신 회로(151)로부터 통지된다.
D래치 회로(163)는, 인코더(162)의 출력 데이터 스트림의 각 비트를, PLL 회로(161)에서 생성된 반송 클록으로 래치하여, 대응한 차동 신호 레인으로 송신하여야 할, 반송 클록이 중첩된 데이터 스트림을 얻는다. 드라이버(164)는, D래치 회로(163)에서 얻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을 대응한 차동 신호 레인에 송출한다.
입력 앰프(171)는, 대응한 차동 신호 레인으로 보내 오는 데이터 스트림을 등화(equalization), 증폭한다.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는, 입력 앰프(171)에서 증폭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반송 클록을 추출한다. 이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에는, 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된 반송 클록 주파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송신측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전에 제어부에서 리퍼런스 클록 정보가 통지된다.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는, 이 리퍼런스 클록 정보에 의해 반송 클록 추출을 위한 리퍼런스 클록의 주파수를 설정한다.
D래치 회로(172)는, 입력 앰프(171)에서 등화, 증폭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에서 추출된 반송 클록에 동기하여, 데이터 추출을 행한다. 디코더(175)는, D래치 회로(172)에서 추출된, 반송 클록에 동기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상술한 인코더(162)에서의 데이터 코딩과는 반대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스트림(비디오 스트림)을 취득한다. PLL 회로(174)는,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에서 추출된 반송 클록을 분주(frequency dividing)하여, 픽셀 클록을 생성한다. 분주 정보는, 제어부로부터 통지된다.
드라이버(164)는, 데이터 송신 회로(151)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의해 액티브하게 된다. 또한, 입력 앰프(171)는, 데이터 수신 회로(152)로부터의 수신 요구에 의해 액티브하게 된다. 즉, 송신 요구, 수신 요구는, 전송 방향을 정한다. 이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는, 대응하는 차동 신호 레인으로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는, 드라이버(164) 및 입력 앰프(171)의 쌍방이 액티브하게는 되지 않고, 전체가 저소비 전력 모드가 된다.
도 26에 도시하는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에서, 송신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드라이버(164)는 송신 요구에 의해 액티브하게 된다. 전단(previous stage)의 데이터 송신 회로(151)로부터 PLL 회로(161)에 픽셀 클록이 공급된다. PLL 회로(161)에서는, 픽셀 클록이 체배되어, 반송 클록(데이터 반송용 클록)이 생성된다. 또한, 전단의 데이터 송신 회로(151)로부터 인코더(162)에 데이터 스트림(비디오 스트림)이 공급된다. 이 인코더(162)에서는, 소정의 데이터 코딩이 시행된다.
인코더(162)의 출력 데이터 스트림은, D래치 회로(163)에 공급된다. 또한, PLL 회로(161)에서 생성된 반송 클록은, D래치 회로(163)에 래치 클록으로서 공급된다. D래치 회로(163)에서는, 인코더(162)의 출력 데이터 스트림의 각 비트가, 반송 클록으로 래치되어, 대응하는 차동 신호 레인으로 송신하여야 할, 반송 클록이 중첩된 데이터 스트림이 얻어진다. 이 데이터 스트림은, 드라이버(164)를 통하여, 대응하는 차동 신호 레인에 송출된다.
도 26에 도시하는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에서, 수신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입력 앰프(171)는 수신 요구에 의해 액티브하게 된다. 대응한 차동 신호 레인으로 보내 오는 데이터 스트림은 입력 앰프(171)에서 등화, 증폭된 후에 D래치 회로(172) 및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에 공급된다.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에서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반송 클록이 추출된다.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에서 추출된 반송 클록은 D래치 회로(172)에 래치 클록으로서 공급된다. D래치 회로(172)에서는, 입력 앰프(17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반송 클록에 동기하여, 각 비트의 데이터 추출이 행하여진다. D래치 회로(172)의 출력 데이터 스트림은, 디코더(175)에 공급된다. 이 디코더(175)에서는, 반송 클록에 동기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디코드 처리가 행하여져서, 데이터 스트림(수신 데이터 스트림)이 생성된다.
또한, 클록&데이터 리커버리 회로(173)에서 추출된 반송 클록은 PLL 회로(174)에 공급된다. PLL 회로(174)에서는, 반송 클록이 분주되어, 픽셀 클록이 생성된다. 디코더(175)에서 얻어지는 데이터 스트림(비디오 스트림) 및 PLL 회로(174)에서 얻어지는 픽셀 클록은, 후단의 데이터 수신 회로(152)에 보내진다.
도 27은, 데이터 송신 회로(151)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데이터 송신 회로(151)는, 데이터 패킹 방법 결정 회로(181)와, 각 차동 신호 레인에 대응한 데이터 패킹 회로(182)를 갖고 있다. 데이터 패킹 방법 결정 회로(181)는, 제어부로부터 통지되는 비디오 포맷 정보와, 제어부로부터 통지되는 전송로의 상황(빈 레인(empty lane)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패킹 포맷,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을 결정한다. 또한, 데이터 패킹 방법 결정 회로(181)는, 사용 레인의 데이터 패킹 회로(182)를 액티브하게 함과 함께, 그 레인에 대응한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도 26 참조)의 드라이버(164)에 송신 요구를 통지하여 액티브하게 한다.
데이터 패킹 회로(182)는, 데이터 패킹 방법 결정 회로(181)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비디오 스트림)의 데이터를 리패킹한다. 그리고, 데이터 패킹 방법 결정 회로(181)에서 결정된 소정 수의 사용 레인으로 송신되는 형태로 변형한다. 이 데이터 패킹 회로(182)로부터, 사용 레인의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에, 데이터 스트림 및 체배 정보가 보내진다. 또한, 데이터 송신 회로(151)에서는,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픽셀 클록이 추출되고, 이 픽셀 클록이, 사용 레인의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에 보내진다.
도 28은, 데이터 수신 회로(152)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데이터 수신 회로(152)는, 각 차동 신호 레인에 대응한 데이터 디패킹 회로(183)를 갖고 있다. 이 데이터 수신 회로(152)에서는, 제어부로부터 통지된 사용 레인 정보에 의거하여, 필요한 레인의 데이터 디패킹 회로(183)가 액티브하게 된다. 액티브하게 된 데이터 디패킹 회로(183)는, 전단의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제어부로부터 통지되는 비디오 패킹 정보에 의거하여, 디패킹을 시행하고, 데이터 스트림(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형식은, 후단(subsequent stage)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된다.
또한, 데이터 디패킹 회로(183)는, 디패킹 처리할 때에 취득할 수 있는 비디오 포맷 정보도 후단에 전한다. 또한, 이 데이터 수신 회로(152)에서, 픽셀 클록에 관해서는, 이미 전단의 데이터 채널 인터페이스부(153)에서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후단에 전한다.
비디오 전송 패킹례
다음에, 비디오 전송 패킹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9는, 현행 HDMI에서 이용되고 있는 비디오 전송 포맷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현행 HDMI에서는, 데이터 레인을 3개 가지며, 각각에 RGB 신호가 할당되어 전송된다. 각 픽셀의 경계선(수직 파선으로 도시)이 픽셀 클록이 된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송을, 보다 효율 좋게 행하기 위한 리패킹의 예이다. 이 경우는, 2개의 데이터 레인이 이용되고 있다. 전체의 데이터 레이트는 3.55Gbps가 되고, 1개의 데이터 레인의 최대 전송 레이트를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도, 각 픽셀 데이터의 경계선(수직 파선으로 도시)이 픽셀 클록이 된다.
도 31은, 도 30에 이용한 것과 동일한 포맷의 비디오 신호를 2스트림분 전송하고 있는 예이다. 여기서, Data#0와 Data#1로 제1의 비디오 전송이 구성되고, Data#2와 Data#3로 제2의 비디오 전송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은 완전히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2개의 비디오 전송의 방향은 달라도 상관없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비디오 전송이 같은 데이터 레이트로 되어 있지만, 달라도 상관없다. 또한, Data#4와 Data#5는 액티브하게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 모드로 되는 것이 가능하고 여분의 전력 소비를 억제하게 된다.
방 사이 접속의 동작례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에서의 동작례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의 시청자가,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비디오의 시청을 희망한 경우를 생각한다.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는, 그것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비디오 신호를, 텔레비전 수신기(11)와 텔레비전 수신기(12) 사이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 전송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는, 그 접속처인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의 표시 능력 등을, 예를 들면 HDMI의 DDC 라인에 상당하는 다른 계통의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의 EDID 등을 취득함에 의해, 인식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11)와 텔레비전 수신기(12)와의 접속이 확립된 때에, 쌍방은 비디오 전송로 이외의 경로, 예를 들면 HDMI에서 말하는 DDC 라인과 같은 계(system)를 이용하여, 쌍방의 성능을 기록한 EDID를 교환한다. 또한, 접속 확립시에 쌍방의 텔레비전 수신기 사이에서 EDID를 교환하여 미리 격납하여 두는 대신에, 방 사이에서의 전송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마다, 송신측의 텔레비전 수신기가 수신측의 텔레비전 수신기의 EDID의 판독을 행하여도 좋다.
도 32의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동작례를 설명한다. 또한, 이 도 32에서는,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로서 셋톱 박스(14a) 및 DVD 플레이어(14b)만을 나타내고 있다.
침실의 유저(시청자)가, 예를 들면, 거실에 존재하는 소스 기기의 리스트나 그 컨텐츠 등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하나의 소스 기기(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14b))를 선택한다. 이 경우, 유저는 리모트 콘트롤 송신기 등으로부터 텔레비전 수신기(12)에 접속 기기 리스트 표시 요구를 보낸다.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는, 쌍방향 통신 라인 등을 통하여, 필요하다면 기동하고,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접속 기기 리스트 요구를 송신한다.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는,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에 대해, 액세스 선택용 상태 전송 요구를 보낸다. 그에 대해, 각 소스 기기는, 액세스 선택용 상태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11)에 보낸다. 텔레비전 수신기(11)는, 각 소스 기기로부터의 액세스 선택용 상태 데이터에 의거하여 접속 기기 리스트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접속 기기 리스트 데이터를, 쌍방향 통신 라인 등을 통하여,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 송신한다.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는,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와 함께,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리스트 및 그들의 상태를, UI 표시한다. 도 33은, 그 UI 표시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각 기기의 명칭만이 리스트 업되어 있지만, 보다 고도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각 소스 기기의 재생중의 컨텐츠나 선택중의 채널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침실의 유저는, 이 UI 표시에 의거하여, 하나의 소스 기기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거실의 DVD 플레이어(14b)가 선택된 것으로 한다.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는, 거실의 DVD 플레이어(14b)에 대해, 재생을 지시한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신기(12)는, 쌍방향 통신 라인 등을 통하여,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거실의 DVD 플레이어 재생 요구를 송신한다. 이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는, 자신에게 접속된 DVD 플레이어(14b)를 액티브 소스로 하여, 이 DVD 플레이어(14b)에 재생 요구를 보낸다. DVD 플레이어(14b)는,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EDID를 요구한다.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는, 자신의 EDID를 전송하는 대신에, 앞서 취득하여 둔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의 EDID를, DVD 플레이어(14b)에 전송한다. DVD 플레이어(14b)는, 자신의 능력과 취득한 EDID로부터 인식한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의 능력을 비추어 보고, 최적의 송신 방법을 결정한다. 그리고, 그 송신 포맷을 InfoFrame에 격납하고,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함께 HDMI로,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전송한다.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는, 자신에게 접속된 DVD 플레이어(14b)로부터 취득한 전송 비디오 포맷 등으로부터,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와의 사이의 전송에서 이용하여야 할 레인(레인 수, 레인 번호) 및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을 결정하고, 그 정보를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 통지하고, 양자 사이의 전송 인터페이스를 확립한다.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는, 필요하다면, 포맷 변환에 의해, DVD 플레이어(14b)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형식을 변경하고, 케이블(13)을 통하여,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 스트림 전송한다. 여기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형식을 변경이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리패킹을 시행하고, 3개의 전송 레인으로부터 2개의 전송 레인으로의 변경 등이다.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서,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의 수신이 가능해진다. 이들의 제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쌍방의 기기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 라인으로 커맨드 베이스로 실행된다.
또한, 도 32에 도시하는 시퀀스에 있어서, 소스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는 방 사이 접속이 가능할 때에 실현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의 한 예이고, 방 사이 접속 특유의 그 밖의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타접속 기기에의 디코드의 요청, 녹화 예약의 데이터베이스화 등의 실현도 가능하다.
또한, 도 32에 도시하는 시퀀스에 있어서, 예를 들면, 6개의 차동 신호 레인(비디오 전송 레인) 중, 0, 1의 2개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는, 동시에,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의 소스 기기로부터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의 접속(제1의 접속)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11)와 텔레비전 수신기(12)의 사이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는, 이하가 구성으로 된다. 즉, 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차동 신호 레인(0, 1)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1)로부터 텔레비전 수신기(12)에의 방향으로 비디오를 전송하는 구성이 된다.
그 후,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로부터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에의 전송 요구가 있는 경우는, 텔레비전 수신기(11)와 텔레비전 수신기(12)의 사이를 접속한 인터페이스는, 다시, 이하의 구성이 추가된다. 즉, 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차동 신호 레인(2, 3)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2)로부터 텔레비전 수신기(11)에의 방향으로 비디오를 전송하는 구성이 추가된다. 실제의 비디오 재생까지의 프로세스는, 상술한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가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로부터의 비디오 재생을 받는 것과 완전히 같다.
또한, 상술한 동작례는,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의 시청자가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비디오를 시청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때, 이와 동시에,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의 시청자가, 같은 비디오를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에서 시청하고 있는 비디오의 전송을, 다른 방의 텔레비전 수신기가 침실과의 접속에서 요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이른바, 동일한 컨텐츠를 가정 내에서, 다수의 지점에서 시청하는, 즉 하나의 송신기와 복수의 수신기를 접속하는 방법을 본 발명의 접속을 적용함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에서는,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와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의 사이에 케이블(13)이 접속되어 있고, 이 케이블(13)에는, 복수, 예를 들면 6개의 차동 신호 레인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비전 수신기(11)와 텔레비전 수신기(12)의 사이에서는, 이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신기(11)와 텔레비전 수신기(12)의 사이에서는, 케이블(13)에 준비되어 있는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에 의해, 사용 레인(레인 수, 레인 번호),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이 확인 결정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 중, 전송에 필요로 하는 차동 신호 레인만을 이용하여 쌍방향 전송을 행할 수가 있어서,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를 다른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효율 좋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변형례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거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1)와 침실의 텔레비전 수신기(12)가 케이블(13)을 통하여 접속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3방 이상의 사이에서 접속되는 구성도 마찬가지로 생각된다. 도 34 및 도 35는, 많은 방 사이 접속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4의 형태의 경우, 즉 개개의 방 사이 접속을 담당하는 기기가 경로중에 존재하는 경우는, 적어도 인터페이스 부분만 기동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다른 쪽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한다. 도 35의 형태의 경우는, 중심에 위치하는 스위치 기기가, 각 방 사이 접속 기기의 접속시에 행하여지는 데이터 레인의 할당 등을 중개한다.
도 36의 시퀀스도는, 도 35의 형태, 즉 방 사이 접속에서 스위치 기기가 개재하고 있는 경우의 전송 시작까지의 제어에 관한 시퀀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 송신측의 텔레비전 수신기(싱크 기기)를 송신기로 하고, 수신측의 텔레비전 수신기(싱크 기기)를 수신기로 하고 있다.
방 사이 접속에 스위치 기기가 개재하는 경우는, 방 사이 접속에 관해서는 항상 스위치 기기가 관여하게 된다. 송신기측에서는 스위치 기기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 기기는 항상 송신기가 방 사이에서 접속할 수 있는 수신기의 모든 행동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송신기로부터 보내지는 지시에 관해서는 전부 대상의 수신기에 재발송하고, 수신기로부터의 보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송신기가 스위치 기기에 수신기와의 사이의 전송로 상태 확인을 요구할 때, 스위치 기기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양자의 전송로의 상황을 확인한다. 이 경우, 스위치 기기는, 필요하다면, 수신기측의 전송로의 스왑을 행하여, 최대한의 빈 곳을 확보하여도 좋다. 그리고, 스위치 기기는, 송신기에, 수신기와의 사이의 전송로 상태 확인을 보고한다.
송신기는, 전송로 상황을 확인하고, 비디오 레이트에 따라 사용 레인(레인 수, 레인 번호) 및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의 전송로 구성을 결정한다. 또한, 이 전송로 구성에는, 전송 방향도 포함되지만, 여기서는, 송신기로부터 수신기의 방향으로 정해진다. 또한, 반송 클록 주파수에 관해서는, 고정인 경우에는, 결정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송신기는, 스위치 기기에, 사용 레인 및 반송 클록 주파수를 통지하고, 전송(송신)을 요구한다. 이에 대해, 스위치 기기는, 필요하다면 전송로를 스왑한다. 예를 들면, 송신기에서는, Data4, Data5가 사용되고 있지 않고, 수신기에서는, Data0, Data1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스위치 기기는, 수신기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레인을 송신기측에 Data4, Data5라고 통지하고, 스위치 기기 내에서 양 레인을 스왑함에 의해, 보다 효율 좋게 접속이 가능해지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스위치 기기는, 수신기에, 사용 레인 및 반송 클록 주파수를 통지하고, 전송(송신)을 요구함과 함께, 양 기기 사이의 접속 스위치의 구성을 변경한다. 수신기는, 요구에 응한 전송로가 구성되도록, 데이터 송/수신부의 전송로 구성을 제어하고, 또한, 반송 클록 추출을 위한 리퍼런스 클록의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 경우, 리퍼런스 클록의 주파수는, 통지된 반송 클록 주파수에 일치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리퍼런스 클록의 주파수가 미리 반송 클록 주파수에 일치한 것으로 됨으로써, 디지털 신호로부터의 반송 클록의 추출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수신기는, 데이터 송/수신부의 전송로 구성의 변경이 완료된 취지를, 스위치 기기에 보고한다. 단, 수신기는, 구성 변경이 불가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보고한다. 스위치 기기는, 이 수신기로부터의 보고를, 다시, 송신기에 보고한다. 또한, 수신기로부터의 보고가, 구성 변경이 불가라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송신기는, 스위치 기기로부터의 보고에 의거하여, 사용 레인 및 반송 클록 주파수 등의 전송로 구성을 재결정하고, 상술한 시퀀스를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송신기는, 데이터 송/수신부의 전송로 구성의 변경이 완료된 취지의 보고를 받은 후, 자신의 데이터 송/수신부의 전송로 구성을 마찬가지로 변경하고, 그 후에, 사용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전송을 시작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 예를 들면 Data0, 1을 사용하고 있을 때의 Data2 내지 5는 새로운 접속이 구성될 때까지는, 액티브하게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들의 레인을 저소비 전력 모드로 하는지, 또는 전원 공급을 끊음에 의해, 인터페이스로서의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필요 최소한으로 머물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다른 계통의 HDMI의 CEC 라인에 상당하는 쌍방향 통신 라인에 다른 쪽으로부터 기동한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기동될 때까지는 그 라인 이외의 시스템의 전원을 전부 떨어뜨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 각 방의 텔레비전 수신기와 소스 기기의 사이는 현행 HDMI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사이도, 각 방의 텔레비전 수신기 사이의 접속과 마찬가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30)(도 23 참조)로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각 방의 텔레비전 수신기가 케이블 접속되어서 이루어지는 AV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외부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하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전송로 구성 결정부와,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송로 구성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그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외부 기기에, 그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에 동기한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는, 상기 외부 기기가 기동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기동하고,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되는 상기 전송로 구성에는, 사용 레인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의 반송 클록 주파수가 또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의 반송 클록으로서 서로 독립한 반송 클록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에, 그 디지털 신호에 반송 클록을 중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이고,
    상기 반송 클록은, 상기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픽셀 클록에 동기한 반송 클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그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외부 기기에, 그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의 주파수 정보를, 상기 쌍방향 통신 라인을 통하여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쌍방향 통신 라인을 통하여 송신 클록에 동기한 것의 통지가 있은 후에, 상기 외부 기기에의 상기 디지털 신호의 송신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의 무효 데이터 구간 또는 제어 데이터 구간에서 반송 클록 추출을 위한 고정 패턴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송신 디지털 신호에, 사용하는 차동 신호 레인의 수에 응한 패킹 처리를 시행하고, 각 레인으로 송신하여야 할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각 레인으로 송신하여야 할 디지털 신호에 각각 반송 클록을 중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디지털 신호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소정 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사용하여 송신되어 오는 디지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차동 신호 레인으로 송신되어 오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반송 클록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반송 클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접속 소스 기기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취득하는 접속 기기 정보 취득부와,
    자신의 접속 소스 기기와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 소스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외부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하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전송로 구성 결정 스텝과,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송로 구성 제어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그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외부 기기에, 그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에 동기한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17. 제1의 외부 기기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수신부와,
    상기 제1의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의 동작 모드 중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제2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하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제2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전송로 구성 결정부와,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송로 구성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그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의 외부 기기에, 그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에 동기한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소정 수의 소스 기기가 접속된 복수의 싱크 기기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싱크 기기는,
    다른 싱크 기기와의 사이의 전송로에 준비된 복수의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행하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다른 싱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에 준비된 쌍방향 통신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사용 레인 수, 사용 레인 번호 및 전송 방향을 포함하는 전송로 구성을 결정하는 전송로 구성 결정부와,
    상기 전송로 구성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로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송로 구성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차동 신호 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그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외부 기기에, 그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반송 클록에 동기한 리퍼런스 클록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KR1020110135286A 2010-12-28 2011-12-15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시스템 KR101925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2480 2010-12-28
JP2010292480A JP5771986B2 (ja) 2010-12-28 2010-12-28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66A KR20120075366A (ko) 2012-07-06
KR101925638B1 true KR101925638B1 (ko) 2018-12-05

Family

ID=4546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286A KR101925638B1 (ko) 2010-12-28 2011-12-15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07374B2 (ko)
EP (1) EP2472896B1 (ko)
JP (1) JP5771986B2 (ko)
KR (1) KR101925638B1 (ko)
CN (1) CN102547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5919B2 (ja) * 2010-02-12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接続外部機器のデジタルインタフェース判別方法
KR20160132843A (ko) * 2014-03-12 2016-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JP6522643B2 (ja) * 2014-03-13 2019-05-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Hdmiを使用したデータ送受信機器及び方法
JP6182097B2 (ja) 2014-03-27 2017-08-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伝送システムおよび伝送装置
US9549015B2 (en) * 2014-04-15 2017-01-17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Communication of multimedia data streams over multiple communication lanes
JP6231954B2 (ja) 2014-07-23 2017-11-15 株式会社フジクラ 画像送受信システム、アクティブケーブルの監視方法、アクティブケーブルの制御方法、画像送信装置、画像受信装置、及びアクティブケーブル
JP6645435B2 (ja) * 2014-10-17 2020-02-14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SG11201705316QA (en) * 2014-10-31 2017-07-28 Citrine Wireless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data to a mobile device
CN104618677A (zh) * 2015-02-09 2015-05-13 李鑫建 一种信号的tmds双向传输系统
US9554179B2 (en) * 2015-05-19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DMI
JP6549954B2 (ja) * 2015-09-24 2019-07-24 株式会社フジクラ 画像送受信システム、及びアクティブケーブル
TWI547867B (zh) * 2015-10-28 2016-09-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顯示設備的資料傳輸裝置及資訊傳輸方法
US11234045B2 (en) 2016-09-29 2022-01-25 D&M Holdings, Inc. Audio-visual device
JP6993990B2 (ja) * 2017-01-10 2022-01-1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送信制御装置、受信制御装置および送受信制御システム
CN106803914A (zh) * 2017-03-15 2017-06-06 苏州瑞特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平面显示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00058391A (ko) 2017-09-25 2020-05-27 소니 주식회사 케이블, 케이블의 제어 방법, 접속 장치,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11436060B2 (en) * 2019-08-27 2022-09-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active management of inter-GPU network links
CN111339015B (zh) * 2019-12-04 2022-05-24 深圳市朗强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指令传输方法、系统及设备
WO2023182251A1 (ja) * 2022-03-22 2023-09-28 ヌヴォトンテクノロ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リピータ、ケーブル、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8997A (ja) * 2007-09-28 2009-04-23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送信装置、送信装置におけるデータ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328B2 (ja) * 1995-01-09 2001-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と受信装置
US8204076B2 (en) * 2003-05-01 2012-06-19 Genesis Microchip Inc. Compact packet based multimedia interface
US7487273B2 (en) * 2003-09-18 2009-02-03 Genesis Microchip Inc. Data packet based stream transport scheduler wherein transport data link does not include a clock line
KR100766496B1 (ko) * 2005-07-08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치디엠아이 전송 시스템
JP5162845B2 (ja) * 2006-05-16 2013-03-13 ソニー株式会社 伝送方法、伝送システム、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JP4844230B2 (ja) * 2006-05-16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79135A (ja) * 2006-09-22 2008-04-03 Toshiba Corp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8284148B2 (en) * 2007-03-09 2012-10-09 Nec Corporation Clockless transmission system and clockless transmission method
JP4388968B2 (ja) * 2007-03-28 2009-12-2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画像再生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信号処理装置
JP5240492B2 (ja) 2007-06-26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5240491B2 (ja) * 2007-06-26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836223B2 (en) * 2007-07-02 2010-11-16 Silicon Image, Inc. Operation of media interface to provide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US7817586B2 (en) * 2007-08-16 2010-10-19 Mediatek Inc. High-speed digital interface transceiver and method of supply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process on high-speed digital interface device
US8090030B2 (en) * 2008-01-04 2012-01-03 Silicon Image,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facilitating mobile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8098690B2 (en) * 2008-03-18 2012-01-17 Transwi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high-definition multimedia signals over four twisted-pairs
US8112572B2 (en) * 2008-10-29 2012-02-07 Transwitch Corporation Apparatus for swapping high-speed multimedia signals
US8176214B2 (en) * 2008-10-31 2012-05-08 Silicon Image, Inc. Transmission of alternative content over standard device connectors
WO2010057122A2 (en) * 2008-11-16 2010-05-20 Valens Semiconductor Ltd. Self-configurable asymmetric communication link
KR20120018274A (ko) * 2010-08-20 201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37085B1 (ko) * 2010-08-20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인터페이스에 기초해 성립된 네트워크에서 경로 대역폭을 확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5598220B2 (ja) * 2010-09-30 2014-10-0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US9124853B2 (en) * 2010-11-30 2015-09-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HDMI device and interoperability testing systems and methods
JP5655562B2 (ja) * 2010-12-28 2015-01-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8997A (ja) * 2007-09-28 2009-04-23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送信装置、送信装置におけるデータ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66A (ko) 2012-07-06
JP2012142692A (ja) 2012-07-26
US8707374B2 (en) 2014-04-22
US20120167149A1 (en) 2012-06-28
EP2472896B1 (en) 2015-09-02
EP2472896A2 (en) 2012-07-04
US20140176804A1 (en) 2014-06-26
CN102547195B (zh) 2017-03-01
US9277171B2 (en) 2016-03-01
EP2472896A3 (en) 2013-06-05
JP5771986B2 (ja) 2015-09-02
CN102547195A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638B1 (ko)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시스템
US8843679B2 (en) Transmitting device,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cable
KR101824254B1 (ko)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CN102111599B (zh) 通信系统、发送器、接收器和通信方法
JP6031745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CN101563921B (zh) 通信系统、发送器、接收器和通信方法
CN101849413B (zh) 显示设备、用于显示设备的视频信号发送方法、发送设备和视频信号的发送方法
JP7248068B2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信方法
US10255875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5892227B2 (ja) ケーブル
JP5987955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6187651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900552B2 (ja) 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