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334B1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334B1
KR101925334B1 KR1020170079269A KR20170079269A KR101925334B1 KR 101925334 B1 KR101925334 B1 KR 101925334B1 KR 1020170079269 A KR1020170079269 A KR 1020170079269A KR 20170079269 A KR20170079269 A KR 20170079269A KR 101925334 B1 KR101925334 B1 KR 10192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rging
display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박미숙
박세진
이고은
장성화
김운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및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으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추천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객체는, 고유의 재생시간을 가지고 있는 동영상에 링크되며, 상기 충전 잔여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VEHICLE CONTROLLING DEVICE MOUNTED AT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차량에는 각종 센서와 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차량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있다.
차량의 기능 중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편의 기능은 차량에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 + entertainment) 기능을 부여하고, 부분적인 자율 주행 기능을 지원하거나, 야간 시야나 사각 지대와 같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등의 운전자 편의와 관련된 개발 동기를 가진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전기차량이나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경우, 차량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 차량 배터리의 충전은 주유와 달리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주유보다 긴 시간이 소모된다. 따라서, 충전되는 대기 시간동안 편의 기능에 대한 정보가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다. 다양한 편의 기능을 차량의 충전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 대기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를 표시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충전 잔여시간, 목적지 정보 등과 다양하게 연계하여 미디어를 추천하는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 및 충전 완료 시에 연속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및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추천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객체는, 고유의 재생시간을 가지고 있는 동영상에 링크되며, 상기 충전 잔여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서로 다른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한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는, 제1충전 방식에 따른 제1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1그룹의 그래픽 객체 및 제2충전 방식에 따른 제2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2그룹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제1충전 방식 및 제2충전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지 않은 충전 방식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충전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목적지에 근거한 동영상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가 검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 중 충전율이 기설정된 기준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자율주행 및 수동주행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알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 적어도 일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수동주행을 선택하면, 상기 차량이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주행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이 일시 중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자율주행을 선택하면, 상기 차량이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주행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이 계속 재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운전자가 상기 충전 잔여시간보다 큰 재생시간을 갖는 동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재생시간이 상기 충전 잔여시간 이하가 되도록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센서, 디스플레이 및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추천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객체는, 고유의 재생시간을 가지고 있는 동영상에 링크되며, 상기 충전 잔여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 대기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충전 잔여시간, 설정된 목적지 정보 등에 연계하여 사용자 맞춤형 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도 8의 차량 제어 장치에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9의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 도 12, 도 13a, 도 13b 및 도 14는 차량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5는 도 8의 차량 제어 장치에서 차량 주행 모드를 선택하여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a 및 16b는 도 15의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여기서, 자율 주행은 가속, 감속, 및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 운전 조작 장치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운전 조작 장치가 자동으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20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무선 통신부'로 호칭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100)에 구비되는 차량 제어 장치(800)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독립된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차량(10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차량(100)의 일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잇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800)를 상기 차량(100)의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차량 제어 장치 장치(800)의 동작 및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100)의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800)의 제어부(804)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 및/또는 제어방법은, 차량(800)의 제어부(17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02), 그리고 제어부(804)를 포함한다.
통신부(802)는, 도 7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통신부(802)는 CAN(controller are network)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통신부(802)는, 차량, 이동 단말기와 서버, 다른 차량과 같이 통신 가능한 모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으로 명명될 수 있다. V2X 통신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기술로 정의될 수 있다.
통신부(802)는 차량(100)에 구비된 대부분의 장치들로부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100)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되는 정보를 '차량 주행 정보'로 호칭한다.
차량 주행 정보는 차량 정보 및 차량의 주변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100)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차량 내부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정보,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주변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 자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방향, 가속도, 각속도, 위치(GPS),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각 바퀴의 공기압,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정보는 차량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다른 물체에 관한 정보 및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정보는,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 정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 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충돌 가능성,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30)는 차량 제어 장치(800)에 구비된 제어부(804)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830)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830)를 상기 차량(100)의 디스플레이부(251)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830)는, 상기 차량(100)의 디스플레이부(251)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4)는 상기 디스플레이(83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4)는 상기 통신부(802)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조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족되는 조건에 따라, 제어부(804)는 상기 디스플레이(830)를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과 관련하여, 제어부(804)는 차량(100)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04)는 통신부(802)를 통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차량(100)에서 구동 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방 추돌 방지(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사각 지대 감지(Blind Spot Detection, BSD), 차선 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 보행자 감지(Pedestrian Detection, PD), 커브 속도 경고(Curve Speed Warning, CSW) 및 턴 바이 턴 길안내(turn by turn navigation, T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은,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시동 온(start on), 시동 오프(start off), 자율 주행 온/오프,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벤트 발생은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서 설정한 경고 발생, ADAS에서 설정한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충돌 경고(forward collision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후측방 경고(blind spot detection)가 발생하는 경우, 차선 이탈 경보(lane departure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주행 조향 보조 경보(lane keeping assist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제동 기능(autonomous emergency braking)이 수행되는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진 기어에서 후진 기어로 변경되는 경우, 소정 값보다 큰 가속이 발생되는 경우, 소정 값보다 큰 감속이 발생되는 경우, 동력장치가 내연기관에서 모터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모터에서 내연기관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차량(100)에 구비된 다양한 ECU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발생한 이벤트가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제어부(804)는 만족되는 조건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830)를 제어한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가 차량(100)의 탑승객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도 9는 도 8의 차량 제어 장치에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기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 제어부(804)는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10).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배터리가 충전 지역에 진입하는 순간에 달성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었을 때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가 직접 상기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4)는 차량이 구비한 각 종 센서들(820)로부터 상기 통신부(802)를 통해 수신한 정보들에 의해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충전 지역에 진입하는지 여부는 카메라 또는 라이다 등의 센서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804)는 상기 통신부(802)로부터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1010)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충전 잔여시간(1010)은 급속 충전, 저속 충전과 같은 서로 다른 충전 방식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수신 받은 충전 잔여 시간은 디스플레이(83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4)는 상기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추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20).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디스플레이(830)에 표시되는 정보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830)에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란, 예를 들어, 형상, 길이, 색상 등이 다른 이미지를 의미한다.
상기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는, 고유의 재생시간(1020)을 가지고 있는 동영상에 링크될 수 있으며, 상기 재생시간은 상기 수신된 충전 잔여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잔여시간이 30분인 경우, 25분에서 35분 내의 재생 시간을 갖는 동영상들이 링크될 수 있다. 상기 링크되는 동영상은, 메모리에 저장된 동영상일 수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차량과 통신하는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동영상이 링크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에는, 링크되는 동영상의 일부 장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일부 장면은 동영상의 일부 정지 화면일 수 있고, 또는 영화의 포스터일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일부 장면을 보고 동영상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그래픽 객체에는 링크되는 동영상의 재생 시간(1020)이 표시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재생 시간과 표시되는 충전 잔여 시간(1010)을 인식하여 충전 중에 동영상을 전부 시청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면, 상기 링크된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S930). 상기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83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디스플레이(830)가 휴대폰 등의 단말기와 통신하고 있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면, 운전자는 배터리 충전 중 대기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 대기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를 표시하는 차량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도 11 및 도 1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도 12, 도 13a, 도 13b 및 도 14는 도 9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상기 배터리는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방식은 급속 충전 방식 및 저속 충전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충전 방식에 따른 실시 예를 우선적으로 살펴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804)는 디스플레이(830)에 상기 충전 방식에 따라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 시간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는 급속 충전 및 저속 충전 방식과 같은 서로 다른 충전 방식에 근거하여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운전자가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충전 방식이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고, 각각 충전 방식에 따른 충전 잔여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충전 잔여 시간을 인식하여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는 제1충전 방식에 따른 제1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1그룹의 그래픽 객체(1120) 및 제2충전 방식에 따른 제2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2그룹의 그래픽 객체(1130)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충전 방식에 따른 제1충전 잔여시간이 30분인 경우, 25분에서 35분 내의 재생 시간을 갖는 동영상들이 제1그룹의 그래픽 객체에 링크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도 13a 및 도 13b는 도 11에서 표시된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때,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4)는 상기 제1충전 방식 및 제2충전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지 않은 충전 방식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급속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급속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의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들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저속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의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들은 더 이상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운전자가 저속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저속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의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들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급속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의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들은 더 이상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충전 방식의 잔여 시간과 함께 잔여 시간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여 그래픽 객체의 링크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4)는 상기 그래픽 객체(1310)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충전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급속 충전 방식에 따른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링크된 동영상이 재생되며, 차량의 배터리는 급속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830)에는 급속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가 충전된다는 메시지와 함께 선택된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운전자는 이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이 어떤 방식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운전자가 저속 충전 방식에 따른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링크된 동영상이 재생되며, 차량의 배터리는 저속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만일, 운전자가 표시된 상기 그래픽 객체의 링크된 동영상 중 특정 동영상을 재생하고 싶으나, 이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충전 방식을 선택하고 싶은 경우 운전자는 다른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충전 방식에 따른 제1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1그룹의 그래픽 객체(1120) 및 제2충전 방식에 따른 제2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2그룹의 그래픽 객체(1130)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을 때, 운전자가 제1충전 방식과 함께 제2그룹의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충전 잔여 시간 30분을 갖는 급속 충전을 하고 싶으나, 재생 시간이 1시간인 동영상을 시청하고 싶은 경우, 급속 충전을 하며 상기 재생 시간이 1시간인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동영상은 후술되는 예시들에 의하여, 충전 잔여 시간 내에 재생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일정 부분까지 재생된 후 나중에 다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3b를 참조하면,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재생 시간을 갖는 동영상들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1330)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시간이 충전 잔여시간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 동영상은 기설정된 기준 속도로 재생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재생 시간이 충전 잔여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동영상은 충전 잔여시간 전에 종료될 수 있도록 재생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4)는 충전 잔여시간이 30분 남았고 이에 근거한 31분의 재생 시간을 갖는 동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동영상이 30분 내에 완전히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830)에는 충전 잔여시간에 맞춰 재생속도가 조절된다는 메시지(1340)와 함께 높여진 재생 속도(135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속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재생 속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충전 완료전에 동영상을 모두 시청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14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에 근거한 동영상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가 검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지에 근거한 동영상은 설정된 목적지가 배경이 된 동영상일 수 있고, 또는 동영상에 등장하는 장소들이 목적지가 된 경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여 차량의 목적지가 '파리'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804)는 파리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를 추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영화에 나오는 카페, 명소 등을 추천하여 목적지 또는 POI(Place of interest)로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시청 중 추천된 장소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목적지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POI를 추천할 때,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매 내역 패턴이나 자주 이용하는 장소들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고, 차량과 통신하는 단말기의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개인 SNS 또는 클라우드와 연동되어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충전 중, 운전자가 상기 목적지나 POI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장소가 도보거리 내에서 벗어나면, 제어부(804)는 충전시간 동안 대신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차량을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같은 시스템에 연결하여, 충전 위치 주위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차량을 호출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차량을 사용할 때, 탑승 시 운전자의 차량 세팅 및 프로필 데이터와 연동하여,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공유 차량을 통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한 경우, 운전자의 차량은 충전이 완료되면 자율 주행을 통해 현재 위치로 돌아오게 할 수 있다. 운전자의 차량이 호출되어 현재 운전자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면, 사용한 공유 차량을 비용을 결제하고 반납되어 자율 주행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15는 도 8의 차량 제어 장치에서 차량 주행 모드를 선택하여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a 및 16b는 상기 제어 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804)는 상기 차량의 충전 중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충전율이 기설정된 기준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10).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준은 운전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충전율일 수 있고, 차량이 배터리의 상태 또는 목적지까지의 거리 등 차량 상황에 따라 충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운전자가 자율주행 및 수동주행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알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 적어도 일부에 표시할 수 있다(S1520). 구체적으로, 동영상 재생 중에 팝업 방식 또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일부분에 사용자에게 주행 모드를 선택하게 하는 알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1610). 운전자는 해당 알림을 선택하여 차량의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주행 상태로 진입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어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운전자가 충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충전을 정지하고 주행 상태를 선택하여 주행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차량이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주행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이 전부 재생되지 않고 잔여 시간이 남아 있으면 주행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림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가 수동 주행을 선택한 경우(S1550), 상기 차량이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주행 상태가 되면, 상기 동영상이 일시 중지된다. 상기 수동 주행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을 일시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에 운전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은 운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의 중지 시점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나중에 운전자에게 해당 시점부터 재생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주행으로 주행 중 차량이 다시 자율 주행에 진입한 경우, 일시 중지된 동영상이 중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되도록 운전자에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운전자가 중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을 선택하면, 차량은 자율 주행으로 주행 되며, 상기 일시 중지된 동영상은 중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또는, 상기 동영상의 중지 시점이 통신부를 통해 공유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시점에 다른 단말기, PC 등에서 중지된 시점부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가 자율 주행을 선택한 경우(S1540), 상기 차량이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주행 상태가 되면, 상기 동영상이 계속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은 자율 주행으로 주행 되며, 동영상은 중지 없이 계속 재생되어 운전자는 충전 전후에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방법은 메모리 등에 저장된 코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및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으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추천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객체는, 고유의 재생시간을 가지고 있는 동영상에 링크되며, 상기 충전 잔여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서로 다른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한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는,
    제1충전 방식에 따른 제1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1그룹의 그래픽 객체 및 제2충전 방식에 따른 제2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2그룹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 방식 및 제2충전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지 않은 충전 방식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충전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목적지에 근거한 동영상이 링크된 그래픽 객체가 검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 중 충전율이 기설정된 기준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자율주행 및 수동주행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알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 적어도 일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수동주행을 선택하면,
    상기 차량이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주행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이 일시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자율주행을 선택하면,
    상기 차량이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주행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이 계속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상기 충전 잔여시간보다 큰 재생시간을 갖는 동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재생시간이 상기 충전 잔여시간 이하가 되도록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0. 센서, 디스플레이 및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완충까지 남은 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추천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객체는, 고유의 재생시간을 가지고 있는 동영상에 링크되며, 상기 충전 잔여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서로 다른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한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는, 제1충전 방식에 따른 제1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1그룹의 그래픽 객체 및 제2충전 방식에 따른 제2충전 잔여시간에 근거한 제2그룹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KR1020170079269A 2017-06-22 2017-06-22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2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69A KR101925334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69A KR101925334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334B1 true KR101925334B1 (ko) 2018-12-05

Family

ID=6474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269A KR101925334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3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403A (ja) * 2003-08-25 2005-03-17 Nissan Motor Co Ltd 車載運転補助装置
JP2012217224A (ja) * 2011-03-31 2012-11-08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充電器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充電器情報通知方法
JP2015230478A (ja) * 2014-06-06 2015-12-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示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403A (ja) * 2003-08-25 2005-03-17 Nissan Motor Co Ltd 車載運転補助装置
JP2012217224A (ja) * 2011-03-31 2012-11-08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充電器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充電器情報通知方法
JP2015230478A (ja) * 2014-06-06 2015-12-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示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184B2 (en) Interface system for vehicle
KR10197969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89523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7487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2200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13080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78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49352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20180036267A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방법과 서버
KR101916728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14263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31050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72235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00095313A (ko) 영상 출력 장치
KR1019342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79277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KR102212777B1 (ko) 영상 출력 장치
KR20220125148A (ko) 영상 출력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90072239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51225A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055559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5142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1673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2001810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38088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