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980B1 -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980B1
KR101924980B1 KR1020180028662A KR20180028662A KR101924980B1 KR 101924980 B1 KR101924980 B1 KR 101924980B1 KR 1020180028662 A KR1020180028662 A KR 1020180028662A KR 20180028662 A KR20180028662 A KR 20180028662A KR 101924980 B1 KR101924980 B1 KR 101924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semicircular
semicircular cylinder
support plate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세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에 설치된 송전선로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노후화되거나 파손된 관로구를 철거 및 교체하고, 관로구를 통해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제1,2변원통체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를 보호하여 안정적인 결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WATERPROOF APPARATUS FOR CABLE PATHWAY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에 설치된 송전선로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노후화되거나 파손된 관로구를 철거 및 교체하고, 관로구를 통해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제1,2변원통체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를 보호하여 안정적인 결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용 맨홀 내에 관로구가 노후화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송전선로를 끊고 노후화되거나 파손된 관로구를 철거한 후에 새 관로구를 설치하면서 관로구를 통해서 맨홀 외부로부터 맨홀 내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송전선로를 끊고 관로구를 설치하는 방법은 전기 수용가구가 장시간 동안 전기를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인해 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과 공사기간의 장기화로 인한 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29796호(2009.12.04.)에는 '송.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관로구 방수장치는 제1,2변원통체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를 보호하지 못하면서 외력 등에 의한 분리와 함께 이물질 등이 쉽게 접근하면서 부식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29796호(2009.12.04.) '송.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에 설치된 송전선로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노후화되거나 파손된 관로구를 철거 및 교체하고, 관로구를 통해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제1,2변원통체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를 보호하여 안정적인 결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외주면에 제1 나사부(12a)가 형성되고 길다란 반원통체 형상을 이루는 제1 반원통체(12)와,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양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1 관통공(14a)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플랜지(14)와,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형성된 제1 나사부(12a)와 상기 제1 플랜지(14) 사이에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반원형 방수턱(16)과, 일측 외주면에 제2 나사부(22a)가 형성되고 길다란 반원통체 형상을 이루는 제2 반원통체(22)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양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2 관통공(24a)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플랜지(24)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제2 나사부(22a)와 상기 제2 플랜지(24) 사이에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2 반원형 방수턱(26)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24a)에 대응해서 관통공(3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4,22)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외부에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 패킹부재(30)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24a)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 사이에 설치된 상기 패킹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30a)을 관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a,22a)와 나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60a)와, 덮개(60) 내측에 제2 패킹부재(50)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안내 돌턱(67) 외측의 오목홈(68)과, 상기 덮개(60) 외측면에 직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64)로 구성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100)는,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체결부재(40)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전,후면부에 구비되는 보호커버(110); 상기 보호커버(110)를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절첩부재(120); 상기 체결부재(4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전,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110)가 안착되는 지지판(130); 상기 지지판(130)을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절첩부재(140); 및 상기 보호커버(110)를 상기 지지판(130)에 결속하는 잠금수단(150)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150)은, 일단부가 상기 보호커버(11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판(151); 하부가 상기 지지판(130)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절판(151)을 통과하는 지지바(152); 상기 조절판(151)과 상기 지지판(13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5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53); 및 상기 조절판(15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52)에 결합되면서 상기 조절판(151)을 상기 지지바(152)에 결속하여 상기 보호커버(110)를 잠금하는 결속부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에 설치된 송전선로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노후화되거나 파손된 관로구를 신속하게 철거 및 교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관로구를 통해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변원통체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를 보호함으로써 안정적인 결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서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사용해서 맨홀을 보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사용해서 맨홀을 보수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송전선로를 끊지 않고 관로구를 보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보호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929796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929796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92979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송.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는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로 대체하고, 제1,2변원통체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92979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는 일측 외주면에 제1 나사부(12a)가 형성되고 길다란 반원통체 형상을 이루는 제1 반원통체(12)와,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양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1 관통공(14a)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플랜지(14)와,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형성된 제1 나사부(12a)와 상기 제1 플랜지(14) 사이에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반원형 방수턱(16)과, 일측 외주면에 제2 나사부(22a)가 형성되고 길다란 반원통체 형상을 이루는 제2 반원통체(22)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양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2 관통공(24a)이 형성된 한쌍의 제2 플랜지(24)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제2 나사부(22a)와 상기 제2 플랜지(24) 사이에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2 반원형 방수턱(26)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24a)에 대응해서 관통공(3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4,22)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외부에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 패킹부재(30)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24a)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 사이에 설치된 상기 패킹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30a)을 관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40)로 구성된다.
관로구 보수공사 시 증설되어 사용하지 않는 관로구에 대하여는,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를 체결부재(40)에 의해 결합된 원통체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의 내주면을 통해서 맨홀 내로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오링 형상의 제2 패킹부재(50)와,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의 제1 및 제2 나사부(12a)(22a)에 결합해서 형성된 원통체의 맨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덮개(60)을 닫아두어 관로구를 통해 맨홀 내로 수분이 들어오지 않도록 밀폐되어 방수가 된다.
상기 덮개(60)는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a,22a)와 나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60a)와, 주름관(70)의 길이방향 내측에 구비된 견인 와이어(2)의 일측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고리(62)와, 외측면에 직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각각 돌출 형성된 한쌍의 돌기(64)와, 상기 패킹부재(50)가 끼워지도록 내측에 형성된 안내 돌턱(67) 외측의 오목홈(68)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킹부재(50)의 안내 돌턱(67)은 돌턱(67) 외측의 오목홈(68)에서 패킹부재(50)의 모양이 찌그러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밀폐에 만전을 기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24a)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 사이에 설치된 상기 패킹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30a)을 관통하는 볼트(40a)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24a)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 사이에 설치된 상기 패킹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30a)을 관통한 상기 볼트(40a)의 선단부의 나사부에 나합되는 너트(40b)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60)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64)는 그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름모형상, 또는 원형 형상을 이루는 것도 좋은데, 상기 덮개(60)에 한쌍의 돌기(64)를 형성하는 것은 렌치 등을 걸어 돌려서 덮개(60)을 개폐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8은 벽체(4)에 드릴로 뚫은 관통공(8)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사용해서 맨홀을 보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맨홀의 벽체에 드릴로 천공하여 관통구멍(8)을 내고 기 설치되어 노후화 되거나 파손된 관로구를 철거하고 송전선로(C)를 노출시킨다(관로구 철거 공정), 상기 천공된 관통구멍(8) 상에 제1 반원형 플랜지(16)를 구비한 제1 반원통체(12)를 재치시킨다(제1 반원통체 재치공정).
상기 제1 반원통체 재치공정 후에 상기 관로구 철거 공정에서 노출된 송전선로를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재치하고(송전선로 재치공정), 상기 제1 반원통체(12) 상에 재치된 송전선로를 덮으면서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제1 플랜지(14)에 형성된 관통공(14a)과 제1 패킹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30a)을 일치시켜서 상기 제1 플랜지(14) 상에 제1 패킹부재(30)를 재치하고(제1 패킹부재 재치공정), 상기 제1 플랜지(14) 상에 재치된 상기 제1 패킹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30a)과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제2 플랜지(24)의 관통공(24a)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제1 패킹부재(30) 상에 상기 제2 플랜지(24)를 당접시키면서 상기 제2 반원통체(22)를 재치시키고(제2 반원통체 재치공정), 상기 제1 반원통체(12)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를 원통체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반원형 플랜지(16)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반원형 플랜지(26)를 당접시켜 체결부재(40)의 볼트(40a)를 관통시켜서 너트(40b)와 나합시켜서 체결한다(체결부재 체결공정).
다음, 상기 제1 반원통체(12)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가 결합된 원통체의 외주면과 천공된 벽체 사이의 공간에 무수축 방수몰탈을 타설하고 양생시킨다(방수 몰탈 타설공정).
다음, 관로구의 후단부를 송전선로가 내설된 주름관(70)의 선단부에 설치된 소켓(72)내에 삽입하여 소켓(72)을 결합시키고, 상기 소켓 결합공정에서 상기 소켓(72)과 맨홀 보수용 관로구 및 상기 소켓(72)과 주름관(70)을 접착테이프(74)로 실링하여 밀봉(소켓결합공정)하면 관로구 보수공사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관로구 보수시 관로를 증설하였으나, 바로 사용하지 않는 관로구에 대하여는, 상기 덮개(60)의 내측에 형성된 고리(64)에 주름관(70)의 길이방향 내측에 구비된 견인 와이어(2)의 일측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고(견인 와이어 고정 공정),
상기 견인 와이어 고정 공정 후에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내주면을 통해서 맨홀 내로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덮개(60) 내에 형성된 안내 돌턱(67) 외측의 오목홈(68)에 오링형상의 제2 패킹부재(50)를 끼운 다음, 상기 덮개(6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62)를 상기 제1 반원통체(12)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나사부(12a,22a)에 나합시켜서 덮개(60)을 설치(덮개 설치공정)하여 두고, 나중에 사용하게 될 때 덮개(60)과 제2 패킹부재(50)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보호부(100)는 외부로부터 상기 체결부재(40)를 보호하여 외력 등에 의한 상기 볼트(40a), 너트(40b)의 분리와 함께 이물질 등이 상기 체결부재(40)로 쉽게 접근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부식 등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부(100)는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체결부재(40)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전,후면부에 구비되는 보호커버(110), 상기 보호커버(110)를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절첩부재(120), 상기 체결부재(4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전,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110)가 안착되는 지지판(130), 상기 지지판(130)을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절첩부재(140) 및 상기 보호커버(110)를 상기 지지판(130)에 결속하는 잠금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커버(110)는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연결되면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2반원통체(22)와 대향되는 일단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제2 반원통체(22)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110)는 일단면이 상기 제2반원통체(22)와 대향되는 면으로 그리고, 타단면이 그 반대되는 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보호커버(110)는 상기 제1,2 반원통체(12,22)가 원통체를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가 상기 제1 플랜지(14)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절첩부재(12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110)의 상부를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상기 제1 절첩부재(120)는 상기 보호커버(110)의 상부를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보호커버(11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40)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110)는 상기 제1절첩부재(12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체결부재(40)에 대한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30)은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1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반원통체(1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호커버(110)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절첩부재(14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130)의 일단부를 상기 제1반원통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상기 제2절첩부재(140)는 상기 지지판(130)의 일단부를 상기 제1반원통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지지판(130)이 수평을 이룬 상태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40)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130)은 상기 제2 절첩부재(14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체결부재(40)에 대한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30)과 상기 보호커버(110) 간에는 밀착패드(미도시)가 구비되면서 상기 지지판(130)과 상기 보호커버(110) 간으로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150)은 일단부가 상기 보호커버(11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판(151), 하부가 상기 지지판(130)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절판(151)을 통과하는 지지바(152), 상기 조절판(151)과 상기 지지판(13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5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53) 및 상기 조절판(15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52)에 결합되면서 상기 조절판(151)을 상기 지지바(152)에 결속하여 상기 보호커버(110)를 잠금하는 결속부재(154)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판(151)은 상기 보호커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판(151)은 일단부가 상기 보호커버(110)의 타단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52)의 상부가 통과하는 중공(151a)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151a)은 상기 지지바(152)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결속부재(154)가 상기 지지바(15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110)의 회전에 따른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바(15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15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지지바(15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부재(154)는 상기 지지바(152)에 결합되면서 상기 조절판(151)을 상기 지지바(152)에 결속하여 상기 보호커버(110)의 일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지지바(152)로부터의 결합해제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1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재(154)의 결합해제는 상기 지지바(152)로부터의 분리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3)은 상기 보호커버(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 상기 보호커버(110)가 상기 지지판(130)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조절판(151)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보호커버(110)와 상기 지지판(130)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충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153)은 상기 보호커버(11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상기 결속부재(154)의 결합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보호커버(110)가 상기 지지판(130)과 일정부분 벌어지도록 하여 인위적인 가압에 따른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53)은 상기 결속부재(154)가 상기 지지바(152)로 불완전하게 결속된 상태에 따른 상기 보호커버(110)의 상하 흔들림에 따라 충격을 완충하면서 상기 보호커버(110)와 함께 상기 지지판(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부(100)는 상기 조절판(151)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패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60)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153)과의 접촉에 의한 상기 스프링(153)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부(100)는 상기 지지판(130)과 상기 스프링(153)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스프링(15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조절부재(170)는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상기 조절판(151)으로의 상기 스프링(153)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스프링(15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호부(100)는 외부로부터 상기 체결부재(40)를 보호하여 외력 등에 의한 상기 볼트(40a), 너트(40b)의 분리와 함께 이물질 등이 상기 체결부재(40)로 쉽게 접근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2: 견인 와이어 12: 제1 반원통체
14: 제1 플랜지 16: 제1 반원형 플랜지
22: 제2 반원통체 24: 제2 플랜지
26: 제2 반원형 플랜지 30: 제1 패킹부재
40: 체결부재 50: 제2 패킹부재
60: 덮개 70: 주름관
100: 보호부 110: 보호커버
120: 제1 절첩부재 130: 지지판
140: 제2 절첩부재 150: 잠금수단
151: 조절판 152: 지지바
153: 스프링 154: 결속부재
160: 미끄럼방지패드 170: 탄성력조절부재

Claims (1)

  1. 일측 외주면에 제1 나사부(12a)가 형성되고 길다란 반원통체 형상을 이루는 제1 반원통체(12)와,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양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1 관통공(14a)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플랜지(14)와,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형성된 제1 나사부(12a)와 상기 제1 플랜지(14) 사이에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반원형 방수턱(16)과, 일측 외주면에 제2 나사부(22a)가 형성되고 길다란 반원통체 형상을 이루는 제2 반원통체(22)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양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2 관통공(24a)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플랜지(24)와,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제2 나사부(22a)와 상기 제2 플랜지(24) 사이에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2 반원형 방수턱(26)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24a)에 대응해서 관통공(3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4,22)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외부에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 패킹부재(30)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24a)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4,24) 사이에 설치된 상기 패킹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30a)을 관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를 결합해서 원통체로 형성하는 체결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체(1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a,22a)와 나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60a)와, 덮개(60) 내측에 제2 패킹부재(50)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안내 돌턱(67) 외측의 오목홈(68)과, 상기 덮개(60) 외측면에 직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64)로 구성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체결부재(40)를 보호하여 외력에 의한 볼트(40a), 너트(40b)의 분리를 방지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100)는,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체결부재(40)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2 반원통체(22)의 전,후면부에 구비되는 보호커버(110);
    상기 보호커버(110)를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절첩부재(120);
    상기 체결부재(4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반원통체(12)의 전,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110)가 안착되는 지지판(130);
    상기 지지판(130)을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절첩부재(140); 및
    상기 보호커버(110)를 상기 지지판(130)에 결속하는 잠금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첩부재(120)는,
    상기 보호커버(110)의 상부를 상기 제2 반원통체(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보호커버(11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40)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절첩부재(140)는,
    상기 지지판(130)의 일단부를 상기 제1 반원통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지지판(130)이 수평을 이룬 상태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40)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잠금수단(150)은,
    일단부가 상기 보호커버(11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판(151);
    하부가 상기 지지판(130)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절판(151)을 통과하는 지지바(152);
    상기 조절판(151)과 상기 지지판(13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5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53); 및
    상기 조절판(15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5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조절판(151)을 상기 지지바(152)에 결속하여 상기 보호커버(110)를 잠금하는 한편, 상기 지지바(152)로부터의 결합해제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1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부재(154)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153)은,
    상기 보호커버(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 상기 보호커버(110)와 상기 지지판(130)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보호커버(11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상기 결속부재(154)의 결합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보호커버(110)가 상기 지지판(130)과 일정부분 벌어지도록 하여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조절판(151)은,
    상기 지지바(152)의 상부가 통과하는 중공(151a)이 형성되되, 상기 중공(151a)는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결속부재(154)가 상기 지지바(15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110)의 회전에 따른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보호부(100)는,
    상기 지지판(130)과 상기 스프링(153)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52)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스프링(15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부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KR1020180028662A 2018-03-12 2018-03-12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KR101924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62A KR101924980B1 (ko) 2018-03-12 2018-03-12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62A KR101924980B1 (ko) 2018-03-12 2018-03-12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980B1 true KR101924980B1 (ko) 2018-12-04

Family

ID=6466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662A KR101924980B1 (ko) 2018-03-12 2018-03-12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9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36B1 (ko) * 2019-08-29 2020-03-10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KR102148312B1 (ko) * 2020-06-05 2020-08-26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누전 감시시스템
CN113437721A (zh) * 2021-07-27 2021-09-24 青岛航保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水下耐压密封接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96B1 (ko) * 2007-05-17 2009-12-04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송ㆍ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
JP4679738B2 (ja) * 2001-02-28 2011-04-27 株式会社アカギ 配管用フロアバン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9738B2 (ja) * 2001-02-28 2011-04-27 株式会社アカギ 配管用フロアバンド
KR100929796B1 (ko) * 2007-05-17 2009-12-04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송ㆍ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36B1 (ko) * 2019-08-29 2020-03-10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KR102148312B1 (ko) * 2020-06-05 2020-08-26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누전 감시시스템
CN113437721A (zh) * 2021-07-27 2021-09-24 青岛航保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水下耐压密封接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980B1 (ko)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CN101672053A (zh) 喷淋器装置
CA2650120A1 (en) An enclosure with a lead-through and a grommet
KR101974917B1 (ko)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US11355904B1 (en) Environmentally sealed enclosure attachable onto pole before or after field installation
KR200405984Y1 (ko) 지중배전용 파형관 삽입형 방수 구조체
KR100881353B1 (ko) 송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KR10196247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KR101414219B1 (ko) 케이블 교량용 고정밀 케이블 고정장치
KR101599464B1 (ko)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US11387596B1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cover
JP2003047142A (ja) 分岐部のケーブル配設部構造およびポールとアダプタ
KR100858461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0806932B1 (ko) 송배전케이블 이설장치
JPH04133613A (ja) 蛇腹状ケーブル管の配管具
CN112531614A (zh) 一种新型线缆管封堵器
KR100929796B1 (ko) 송ㆍ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KR20080086657A (ko) 높이 및 경사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상수도용 맨홀커버
CN218204707U (zh) 一种埋地式消防栓
JP3095025U (ja) ケーブル導管固定装置
JP2003274545A (ja) ケーブル用導管の防水装置とその装置を使用した防水施工方法
JP2791871B2 (ja) 地下ケーブル設置用共同溝路の連結構造
KR20110109334A (ko) 맨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