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336B1 -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336B1
KR102087336B1 KR1020190106678A KR20190106678A KR102087336B1 KR 102087336 B1 KR102087336 B1 KR 102087336B1 KR 1020190106678 A KR1020190106678 A KR 1020190106678A KR 20190106678 A KR20190106678 A KR 20190106678A KR 102087336 B1 KR102087336 B1 KR 10208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 memory
memory alloy
protective plate
press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원
Original Assignee
(주)한승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승이엔씨 filed Critical (주)한승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0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내의 수도파이프 또는 난간에 설치하여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이나 낙뢰 등이 발생할 때 접지시키는 한편, 햇빛 등으로부터 형상기억합금압박링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여름철 등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에 따라 이동이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GROUNDING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ELECTRICITY}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내의 수도파이프 또는 난간에 설치하여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이나 낙뢰 등이 발생할 때 접지시키는 한편, 햇빛 등으로부터 형상기억합금압박링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여름철 등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에 따라 이동이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지란 전자기기, 전기가 통하는 기계장치나 전기설비장치 등을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것을 말하며, 이와 같은 접지는 장비와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발생된 고전압의 정전기나 장비에 작용하는 과부하 등으로 인한 서지전압을 대지로 흘려 보냄으로써 감전사고 또는 과부하에 의한 장비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낙뢰로 인해 수억에서 수십억 볼트의 서지전압이 발생하게 되면 화재로 이어져 장비의 파손 및 인명사고가 일어날 염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전기의 누전이나 낙뢰 등이 발생할 경우 난간이나 수도관과 같은 금속파이프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와 같은 전류는 고전압으로서 인명사고나 단지내에 설치된 장비의 파손 등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공동주택에는 전기의 누전이나 낙뢰로 인한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난간이나 수도관에 접지선을 연결하고 있으나 사각으로 된 금속파이프에 비해 원형으로 된 금속파이프는 접속이 곤란하여 접속부의 저항이 크게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14920호(2006.08.28.)에는 '공동주택용 접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주택용 접지장치는 햇빛 등으로부터 형상기억합금압박링을 보호할 수 없기 때문에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에 따라 이동이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14920호(2006.08.28.) '공동주택용 접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설치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 내의 수도파이프 또는 난간에 설치하여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이나 낙뢰 등이 발생할 때 접지시키는 한편, 햇빛 등으로부터 형상기억합금압박링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여름철 등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에 따라 이동이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의 접지가 필요한 금속파이프(1)를 감싸며 열융착되는 솔더층(10); 상기 솔더층(10) 위에 부착되고 원추형의 모따기부(23)를 갖는 다수의 홀(21)을 구비하며 일측단부에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22)가 형성된 메쉬부재(20); 및 일측을 벌려서 메쉬부재(20) 위로 끼울 수 있도록 일측면에 축방향으로 터진 절개부(31)가 형성되며, 몸체에 등각도로 형성된 복수의 사각관통구멍(32)을 구비하는 "C"형 단면의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에 있어서, 햇빛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보호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하며, 햇빛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보호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100)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금속파이프(1)로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110);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햇빛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보호하는 보호판(120); 상기 클램프(110)로부터 상기 보호판(120)을 지지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바(130);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판(1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보호판(120)을 상기 지지바(130)에 결속하는 상,하결속부재(140,150); 외부로부터 상기 보호판(120)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160);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 전,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확장판(170); 및 상기 확장판(170)을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확장판(170)이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80)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120)은, 상기 상,하결속부재(140,150)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 내의 수도파이프 또는 난간에 설치하여 접지시킴으로써 누전이나 낙뢰 등으로 인한 감전사고나 장비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햇빛 등으로부터 형상기억합금압박링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으로써 여름철 등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에 따라 이동이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를 접지가 필요한 금속파이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메쉬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를 금속파이프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단면도로써, 도 3(a)는 설치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설치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에서 형상기억합금압박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형상기억합금압박링이 금속파이프에 설치되는 초기의 상태와 설치된 후의 상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보호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보호판에 확장판 및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보호판에 확장판 및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서 확장판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는 금속파이프에 열융착되는 솔더층(10), 상기 솔더층(10)의 상부에 부착된 장방형의 메쉬부재(20), 그리고 상기 메쉬부재(20) 위에 설치되며 축방향으로 일측면이 터진 원통형의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포함한다.
상기 솔더층(10)은 접지가 필요한 금속파이프(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가열에 의해 용해되어 상기 금속파이프(1)에 열융착된다. 상기금속파이프(1)는 수도관, 난간 등과 같은 금속재금속파이프를 말하며,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이나 낙뢰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와 시설물의 파괴 등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공동주택 내에 설치된 금속파이프이다.
상기 솔더층(10)을 이루는 솔더(solder)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땜납을 사용하며, 이는 녹는점과 경도에 따라 연납과 경납으로 나뉘는데, 어느 것이나 납땜 대상금속의 녹는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녹아야 하며 대상금속에 잘 밀착되어야 한다. 연납은 보통 납-주석계 합금의 총칭으로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땜납은 이것을 말한다. 또한, 납땜은 보통 사용하는 납의 녹는점이 450 ℃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구별하여, 이것보다 고온이 아니면 녹지않는 납을 사용하는 것을 경(硬)납땜이라 하고, 녹는점이 이보다 낮은 납을 사용하는 것을 연(軟)납땜이라 한다. 대표적인 연납은 납-주석의 합금인 땜납이며, 그 이외의 연납에는 자기(磁器)를 접합시키는 납-주석-아연 합금, 납-카드뮴, 아연-카드뮴납이 있고, 보다 녹는점이 낮은 납-주석-비스무트계(系) 땜납도 있다.
본 발명의 솔더층(10)에 이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납-주석계의 연납을 사용하면 되지만, 설치시의 편의성을 고려할 때 녹는 점이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메쉬부재(20)는 상기 솔더층(10)위에 부착되며, 본체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다수의 홀(21)이 종방향으로 다수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 접지연결을 위한 접지단자(22)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홀(21)의 상부 외주 부분에는 모따기부(23)가 형성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의 솔더층(10)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킬 경우 용융된 땜납이 홀(21)을 통해 상부로 유출되고 상기 모따기부(23) 위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냉각시키면 땜납은 메쉬부재(2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쉬부재(20)는 구리선을 엮어서 만든 망상조직으로서, 구리로 형성한 것은 전기전도성을 높여서 접지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은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는 부재로서, 일측면을 벌려서 메쉬부재(20) 위로 끼울 수 있도록 일측에 축방향으로 터진 절개부(31)가 형성되며, 끼운 후에는 상기 메쉬부재(20)를 외부에서 감싸며 복원력에 의해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은 몸체에 다수의 사각관통구멍(3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구멍으로서, 용융된 땜납이 상기 메쉬부재(20)의 홀(21) 위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은 가공된 물체가 망가지거나 변형되어도 열을 가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이러한 효과를 형상 기억 효과라고 하는데, 이는 합금이 주어진 형상을 원자 배열로서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생기며, 이는 확산에 의하지 않고 변태하는 합금에서 나타나는데, 고온의 모상원자배열이 저온에서 변형된 때에도 기억되고 있다가 다시 고온이 되면 원래의 원자 배열로 재배열하는 것이다.
이 경우 형상 회복과 동시에 큰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형상 기억 합금은 감지 소자로서의 용도만이 아니라, 기계 부품을 죄는 데 쓰거나, 열 엔진으로서 열 에너지를 위치 에너지나 운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데도 이용된다.
현재까지 이런 효과가 확인된 합금은 20여 가지인데 금은처럼 귀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13족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티타늄-니켈로 대표되는 금속 간 화합물로 대별된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이 다시 고온이 될 때 원래의 형태로 재배열함에 의해 발생하는 조임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래의 형태가 직경이 작은 원통이었다가 인위적인 힘에 의해 직경을 확대하여 상기 메쉬부재(20)위에 끼운 다음, 가열수단으로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은 원래의 작은 직경으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상기 메쉬부재(20)를 압박하게 된다.
이때, 가열수단에 의해 용융된 솔더층(10)의 땜납이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에 의해 압박되어 메쉬부재(20)의 홀(21)을 통해 상부로 유출되어 상기 모따기부(23) 위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게 되며, 그러한 상태에서 냉각시키면 압박을 유지한 채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빛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보호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100)는 햇빛 등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여름철 등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에 따라 금속파이프(1)로부터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부(100)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금속파이프(1)로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110),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햇빛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보호하는 보호판(120), 상기 클램프(110)로부터 상기 보호판(120)을 지지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바(130)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판(1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보호판(120)을 상기 지지바(130)에 결속하는 상,하결속부재(140,15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10)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금속파이프(1)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110)는 상기 금속파이프(1)를 중심으로 한 쌍의 클램프유닛(111)으로 분기되면서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112)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110)는 내주면에 압착패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클램프(110)가 상기 금속파이프(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이 없이 안정된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판(120)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하부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차양필름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판(120)은 중앙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반구 형태를 이루는 곡면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우수 등이 상기 보호판(120)에 고이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낙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으로 비춰지는 햇빛이 분산되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판(120)은 외측 둘레가 상기 클램프(110)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클램프(110)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1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각 클램프(1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130)는 하부가 상기 클램프(110)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보호판(120)을 통과한다.
상기 보호판(120)은 양측에 상기 지지바(130)의 상부가 통과하는 통공(122)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바(13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바(1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결속부재(140,15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판(1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상,하부결속부재(140,150)는 회전에 따라 상기 보호판(120)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보호판(120)을 상기 지지바(130)에 결속한다.
상기 상,하결속부재(140,150)는 상기 지지바(13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대향되는 방향 즉, 상기 보호판(12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보호판(1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상,하결속부재(140,150)는 상기 지지바(13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풀림 회전에 따라 배향되는 방향 즉, 상기 보호판(12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보호판(1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판(120)은 상기 상,하결속부재(140,150)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100)는 계절의 변화나, 햇빛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보호판(12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100)는 외부로부터 상기 보호판(120)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160)은 상기 하결속부재(1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완충판(161) 및 상기 보호판(120)과 상기 완충판(161)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62)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162)은 상기 보호판(120)으로 낙하하는 하수 등에 의한 상기 보호판(120)의 가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완충수단(160)은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상기 보호판(120)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62)은 상기 하결속부재(15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62)은 상기 상결속부재(14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120)이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과 적정 높이로 이격된 경우에는 상기 하결속부재(150)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스프링(162)의 탄성력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100)는 도 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 전,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확장판(170) 및 상기 확장판(170)을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이드수단(1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확장판(170)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곡면부(121)의 하부 전,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수단(180)은 기후변화나 해의 위치변화에 따라 상기 확장판(170)이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180)은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면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확장판(170)이 인입,인출되는 유출입구(181a)를 형성하고 양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181b)이 형성되는 하우징(181) 및 상기 확장판(170)의 양측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가이드공(181b)을 통해 상기 하우징(18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82)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판(170)은 상기 하우징(181)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공(181b)을 통해 상기 하우징(181)으로 돌출되면서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81)은 일단부 하측이 상부보다 짧게 형성되면서 상기 확장판(170)이 전부 인출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한편, 우수 등이 확장판(170)에 고이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낙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수단(180)은 상기 가이드돌기(182)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확장판(170)의 전후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부재(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8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18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돌기(182)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판(170)은 상기 잠금부재(183)을 조임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181)으로 인입 또는 상기 하우징(18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판(170)은 상기 잠금부재(183)를 풀림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81)으로 인입 또는 상기 하우징(18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호부(100)는 햇빛 등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여름철 등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에 따라 금속파이프(1)로부터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금속파이프 10 : 솔더층
20 : 메쉬부재 30 : 형상기억합금압박링
32 : 사각관통구멍 100 : 보호부
110 : 클램프 120 : 보호판
130 : 지지바 140 : 상결속부재
150 : 하결속부재 160 : 완충수단
170 : 확장판 180 : 가이드수단

Claims (1)

  1. 공동주택 내의 접지가 필요한 금속파이프(1)를 감싸며 열융착되는 솔더층(10);
    상기 솔더층(10) 위에 부착되고 원추형의 모따기부(23)를 갖는 다수의 홀(21)을 구비하며 일측단부에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22)가 형성된 메쉬부재(20); 및
    일측을 벌려서 메쉬부재(20) 위로 끼울 수 있도록 일측면에 축방향으로 터진 절개부(31)가 형성되며, 몸체에 등각도로 형성된 복수의 사각관통구멍(32)을 구비하는 "C"형 단면의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에 있어서,
    햇빛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보호하여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에 따라 상기 금속파이프(1)로부터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100)는,
    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금속파이프(1)로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110);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의 상측에 위치되며, 차양필름이 부착되면서 햇빛으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을 보호하는 보호판(120);
    하부가 상기 클램프(110)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보호판(120)을 통과하는 지지바(130);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판(1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보호판(120)을 상기 지지바(130)에 결속하는 상,하결속부재(140,150);
    외부로부터 상기 보호판(120)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160);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 전,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확장판(170); 및
    상기 확장판(170)을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확장판(170)이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8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110)는,
    상기 금속파이프(1)를 중심으로 한 쌍의 클램프유닛(111)으로 분기되면서 체결구(112)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내주면에 압착패드가 구비되면서 상기 금속파이프(1)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상,하결속부재(140,150)는,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보호판(12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보호판(1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보호판(12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보호판(1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보호판(120)은,
    중앙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반구 형태의 곡면부(121)가 형성되면서 우수가 상기 보호판(120)에 고이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낙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으로 비춰지는 햇빛이 분산되도록 하며, 계절의 변화나, 햇빛의 위치 변화시, 상기 상,하결속부재(140,150)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압박링(3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완충수단(160)은,
    상기 하결속부재(1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완충판(161); 및
    상기 보호판(120)과 상기 완충판(161)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1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62)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162)은,
    상기 보호판(120)으로 낙하하는 하수에 의한 상기 보호판(120)의 가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기 하결속부재(15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되며,
    상기 가이드수단(180)은,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면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확장판(170)이 인입,인출되는 유출입구(181a)를 형성하고 양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181b)이 형성되는 하우징(181);
    상기 확장판(170)의 양측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가이드공(181b)을 통해 상기 하우징(18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82); 및
    상기 가이드돌기(182)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확장판(170)의 전후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부재(183)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판(170)은,
    상기 잠금부재(183)를 조임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181)으로 인입 또는 상기 하우징(18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잠금부재(183)를 풀림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81)으로 인입 또는 상기 하우징(18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KR1020190106678A 2019-08-29 2019-08-29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KR102087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78A KR102087336B1 (ko) 2019-08-29 2019-08-29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78A KR102087336B1 (ko) 2019-08-29 2019-08-29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336B1 true KR102087336B1 (ko) 2020-03-10

Family

ID=6980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78A KR102087336B1 (ko) 2019-08-29 2019-08-29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07B1 (ko) * 2021-08-27 2021-12-28 주식회사 동도이엔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공동주택 전기의 접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48Y1 (ko) * 2006-06-08 2006-08-25 한각수 햇빛가리개가 장치된 2인용 허리돌리기 운동기구
KR100614920B1 (ko) 2006-06-03 2006-08-28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접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설치방법
KR101924980B1 (ko) * 2018-03-12 2018-12-04 은세기술 주식회사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20B1 (ko) 2006-06-03 2006-08-28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접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설치방법
KR200424848Y1 (ko) * 2006-06-08 2006-08-25 한각수 햇빛가리개가 장치된 2인용 허리돌리기 운동기구
KR101924980B1 (ko) * 2018-03-12 2018-12-04 은세기술 주식회사 지중 송전선로의 관로구 방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07B1 (ko) * 2021-08-27 2021-12-28 주식회사 동도이엔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공동주택 전기의 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336B1 (ko) 공동주택의 형상기억합금 이용 전기 접지장치
JP6247402B2 (ja) 直流高電圧型温度ヒューズ
US5722709A (en) Separation device using a shape memory alloy retainer
US9941691B2 (en) Arrangement for overload protection for overvoltage protection equipment
JP2002525861A (ja) バリスタ材料のウェーハを有する過電圧保護装置
EP0516922B1 (de) Thermische Überlast-Schutzeinrichtung für elektronische Bauelemente
JP5763763B2 (ja) 電気機械式の過剰温度保護要素
JPH01279532A (ja) スイッチ装置
US4866563A (en) Transient suppressor device assembly
KR100614920B1 (ko) 공동주택용 접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설치방법
US3476979A (en)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for establishing a short circuit in response to the appearance of a low level overvoltage
US4516182A (en) Current limiting apparatus
JP2016181497A (ja) 変動電界平衡装置
US5410596A (en) Station protector module for network interface device
DE102017113256B4 (de) Überspannungsschutzgerät
EP2912675B1 (en) Fuse with at least one melting member
DE1614281A1 (de) Thermoelektrischer Generator
US20220148839A1 (en) Surge protective device including bimetallic fuse element
JPH07211431A (ja) 通信サージサプレッサと共に使用されるフェールセーフ装置
KR102343807B1 (ko)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공동주택 전기의 접지장치
US9992911B1 (en) Controllable conductance thermal interface
US3401317A (en) Fused semiconductor device
CN104242283A (zh) 电路保护装置
EP4062440B1 (en) Electric fuse with a melting member
CN204155890U (zh) 塑壳断路器的新型接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