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134B1 - 픽스처, 임플란트, 픽스처의 제조 방법,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픽스처, 임플란트, 픽스처의 제조 방법,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134B1
KR101924134B1 KR1020187029036A KR20187029036A KR101924134B1 KR 101924134 B1 KR101924134 B1 KR 101924134B1 KR 1020187029036 A KR1020187029036 A KR 1020187029036A KR 20187029036 A KR20187029036 A KR 20187029036A KR 101924134 B1 KR101924134 B1 KR 10192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shaft portion
taper
abutment
cen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193A (ko
Inventor
데루오 이시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난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난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난토
Publication of KR2018011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poly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39Details of the shape in the form of hollow cylinder with an open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02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91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뼈(H)에 매립되는 픽스처(10)로서, 중심공(13)이 전체길이에 걸쳐 관통하는 픽스처 본체(11)와, 중심공(13)의 근단측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체(21)를 구비한다. 덮개체(21)는, 중심공(13)에 끼워맞춤되는 제1 축부(24)를 가진다. 중심공(13)은, 근단측으로부터 끝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1 테이퍼 구멍부(14)를 가지며, 덮개체(21)는, 제1 테이퍼 구멍부(14)에 끼워맞춤되는 제1 테이퍼 축부(25)를 가진다.

Description

픽스처, 임플란트, 픽스처의 제조 방법,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픽스처,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턱의 뼈에 매립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4월 12일에 일본 출원된 특원 2016-079232호, 특원 2016-079233호, 특원 2016-07923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체내에 매립되는 임플란트가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임플란트는, 충치나 파손에 의해 영구치의 치근이 없어진 경우에 치조골에 마련한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된다.
이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처(인공치근)와, 픽스처에 연결되는 어버트먼트(지지대)로 구성된다. 어버트먼트에는, 임플란트 크라운(인공치관)이 장착된다.
치과용 임플란트(픽스처, 어버트먼트)는,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 등의 금속 외에 알루미나나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픽스처는, 끝단면으로 개구되는 중심공을 가진다. 중심공에는, 테이퍼 구멍부가 형성된다. 어버트먼트에는 테이퍼 축부가 형성되고, 중심공에 삽입되어 테이퍼 구멍부에 끼워맞춤된다.
픽스처의 중심공에 어버트먼트를 끼워넣음으로써, 테이퍼 구멍부에 테이퍼 축부가 쐐기 형상으로 들어간다. 이에 의해, 픽스처와 어버트먼트가 연결된다. 테이퍼 구멍부와 테이퍼 축부는 밀착되어 교합압을 반복하여 받는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4-113718호 공보
임플란트는, 환자(장착자)의 부담 경감을 위해 소형화가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윗앞니용 임플란트는, 상악골(치조돌기)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소형화가 충분하지 않으면 픽스처가 상악동(부비강)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임플란트를 소형화하면, 픽스처의 중심공에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픽스처와 어버트먼트의 연결이 불충분해지거나 픽스처가 파손되거나 한다. 특히, 세라믹은 취성 재료이기 때문에, 금속과 같이 소성 변형되지 않아 중심공에 균열이 발생하여 픽스처가 파손된다.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은 다결정체이기 때문에, 분말 사출 성형하면 각 결정(結晶)이 흐름 방향으로 배향한다. 이 때문에, 픽스처 등의 성형체는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異方性)을 가진다. 금형 내에서 분말이 흐르는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고, 이에 직교하는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진다. 특히, 임플란트를 소형화하면,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이 나타나 픽스처 등의 기계적 강도의 부족이 문제가 된다.
또한,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는 나사 체결되는 경우가 많다. 픽스처에 어버트먼트를 나사결합하여 연결한다.
그러나, 세라믹제 임플란트는 거의 탄성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체결력을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픽스처와 어버트먼트의 연결이 불안정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맞물림시에 천연치와는 다른 소리(맞물림음)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맞물림음은, 환자 자신이 불쾌하게 생각할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도 불쾌하게 한다.
그러나, 치과용 임플란트가 발생시키는 불쾌한 맞물림음에 대해서는 전혀 대책이 강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소형화나 고강도화를 도모할 수 있는 픽스처,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픽스처와 어버트먼트의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불쾌한 맞물림음을 경감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픽스처의 제1 실시형태는, 뼈에 매립되는 픽스처로서, 중심공이 전체길이에 걸쳐 관통하는 픽스처 본체와, 상기 중심공의 근단(根端)측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픽스처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중심공에 끼워맞춤되는 제1 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픽스처의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심공은, 근단측으로부터 끝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1 테이퍼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축부는, 근단측으로부터 끝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1 테이퍼 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픽스처의 제4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 구멍부와 상기 제1 테이퍼 축부는, 테이퍼각이 0.1°부터 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픽스처의 제5 실시형태는, 제3 또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 구멍부와 상기 제1 테이퍼 축부는, 상기 픽스처 본체의 전체길이의 20% 이상 50% 이하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픽스처의 제6 실시형태는, 제2 내지 제5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 본체는, 상기 중심공의 내면에 형성된 피걸어멈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제1 축부에 형성된 걸어멈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걸어멈춤부와 상기 걸어멈춤부가 접촉하여, 상기 픽스처 본체에 대한 상기 덮개체의 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픽스처의 제7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 본체와 상기 덮개체는, 세라믹 분말을 사출 성형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1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7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픽스처와, 상기 픽스처의 중심공에 끼워맞춤되는 제2 축부를 갖는 어버트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심공은, 끝단측으로부터 근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2 테이퍼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축부는, 끝단측으로부터 근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2 테이퍼 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퍼 구멍부와 상기 제2 테이퍼 축부는, 테이퍼각이 0.1°부터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4 실시형태는, 제2 또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퍼 구멍부와 상기 제2 테이퍼 축부는, 상기 픽스처 본체의 전체길이의 40% 이상 70% 이하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5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축부의 근단면은, 상기 중심공의 바닥면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6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세라믹 분말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7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체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8 실시형태는,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양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연결 나사이며, 상기 덮개체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9 실시형태는,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는, 상기 덮개체의 끝단면과 상기 어버트먼트의 근단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10 실시형태는, 제8 또는 제9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11 실시형태는,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임플란트의 제12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11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치조골에 매립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공에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픽스처를 실현할 수 있다. 세라믹제 픽스처에 있어서, 중심공에서의 결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픽스처 및 임플란트를 확실히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처 및 임플란트를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집적체(집성체)로 하였으므로 확실히 고강도화할 수 있다. 세라믹제 픽스처 및 임플란트에 있어서,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을 완화(방향성을 분산)하여 고강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치과용 임플란트(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치과용 임플란트(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픽스처 본체(1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사시도, (b) 정면도, (c) 상면도, (d) 하면도, (e) IIIe-IIIe 단면도이다.
도 4는 덮개체(2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사시도, (b) 정면도, (c) 상면도, (d) IVd-IVd 단면도이다.
도 5는 어버트먼트(3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사시도, (b) 정면도, (c) 하면도, (d) Vd-Vd 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 나사(4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사시도, (b) 정면도, (c) 상면도, (d) 하면도, (e) VIe-VIe 단면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재(90)를 연결한 픽스처(10)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나타내는 각종 치수 등은 일례이다.
〔치과용 임플란트(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치과용 임플란트(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치과용 임플란트(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치과용 임플란트(임플란트)(1)는, 치조골(뼈)(H)에 고정되는 픽스처(10)와, 픽스처(10)에 끼워맞춤되는 어버트먼트(30)를 구비한다. 어버트먼트(30)에는, 임플란트 크라운(6)이 장착된다.
임플란트 크라운(6)보다 근단측은, 잇몸(S)으로 덮인다.
치과용 임플란트(1)의 길이방향(중심축(C)을 따르는 방향)을 Z방향 또는 세로라고 한다.
Z방향 중에서 임플란트 크라운(6) 측을 -Z방향 또는 끝단측이라고 한다. -Z방향의 단부를 끝단(제1단)이라고 한다. Z방향 중에서 픽스처(10) 측을 +Z방향 또는 근단측이라고 한다. +Z방향의 단부를 근단(제2단)이라고 한다. -Z방향에서 보았을 때를 상면도, +Z방향에서 보았을 때를 하면도라고 한다.
Z방향에 직행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고 한다. 중심축(C) 둘레의 방향을 둘레방향이라고 한다.
〔픽스처(10)〕
도 3은 픽스처 본체(1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사시도, (b) 정면도, (c) 상면도, (d) 하면도, (e) IIIe-IIIe 단면도이다.
도 4는 덮개체(2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사시도, (b) 정면도, (c) 상면도, (d) IVd-IVd 단면도이다.
픽스처(10)는, 외주면에 수나사(12)가 형성된 축형 부재로서, +Z방향으로 파 들어간 불관통의 중심공(13)을 가진다. 픽스처(10)는, 외경이 최대 약 4.0mm, 전체길이가 약 10.0mm이다.
픽스처(10)는,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를 구비한다.
픽스처 본체(11)는, 원통형 부재로서,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픽스처 본체(11)는, 외경이 최대 약 4.0mm, 전체길이가 약 9.0mm이다.
픽스처 본체(1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2)가 형성된다.
픽스처 본체(11)의 끝단면(11a)과 근단면(11b)에는, 중심공(13)이 개구된다. 중심공(13)은, 픽스처 본체(11)를 Z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중심공(13)은, 내경이 최소 약 2.1mm이다.
중심공(13)은, 중앙부의 내경이 작고, 근단측과 끝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내경이 서서히 확대(직경 확대)된다. 중심공(13)에는, 근단측으로부터 끝단측으로 향하여 제1 테이퍼 구멍부(14), 제2 테이퍼 구멍부(15)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는, 근단면(11b)으로부터 -Z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내경이 서서히 축소(직경 축소)된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의 테이퍼각은 약 6°이다. 테이퍼각은 0.1°부터 10°가 바람직하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의 길이(깊이)는 약 4.0mm이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의 길이는, 픽스처 본체(11)의 전체길이의 20% 이상(약 1.8mm) 50% 이하(약 4.5mm)가 바람직하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는, 끝단면(11a)으로부터 +Z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내경이 서서히 축소(직경 축소)된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의 테이퍼각은 약 6°이다. 테이퍼각은 0.1°부터 10°가 바람직하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의 길이(깊이)는 약 5.0mm이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의 길이는, 픽스처 본체(11)의 전체길이의 40% 이상(약 3.6mm) 70% 이하(약 6.3mm)가 바람직하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를 제1 테이퍼 구멍부(14)보다 길게 하는 것은, 제2 테이퍼 구멍부(15)에 큰 하중(교합압)이 걸리기 때문이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의 끝단측에는, 육각 구멍부(피걸어멈춤부)(17)가 형성된다. 육각 구멍부(17)는, 제1 테이퍼 구멍부(14)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중심축(C)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6개의 걸어멈춤 후크(18)로 이루어진다. 이 6개의 걸어멈춤 후크(18)에 의해 육각형의 구멍부가 형성된다.
이 육각 구멍부(17)(걸어멈춤 후크(18))에는 덮개체(21)가 걸어멈춤된다.
덮개체(21)는, 픽스처 본체(11)의 근단면(11b)에 장착되는 우산형 부재로서,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덮개체(21)는, 전체길이가 약 4.9mm이다.
덮개체(21)는, 우산부(22)와 제1 축부(24)를 가진다.
우산부(22)는, 원뿔대형 부위이다. 우산부(22)는, 근단면(11b)에 밀착되어 픽스처 본체(11)의 근단측에 노출된다.
우산부(22)는, 외경이 최대 약 3.2mm, 전체길이가 약 1.0mm이다.
제1 축부(24)는, 원기둥형 부위로서, 우산부(22)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축부(24)는, 제1 테이퍼 축부(25)와 육각 축부(27)로 이루어진다.
제1 테이퍼 축부(25)는, 제1 축부(24)의 전체길이에 걸친 부위로서, -Z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외경이 서서히 축소(직경 축소)된다.
제1 테이퍼 축부(25)는, 픽스처 본체(11)의 중심공(13)에 삽입되어 중심공(13)의 근단측 개구(제1 테이퍼 구멍부(14))를 폐색한다.
제1 테이퍼 축부(25)는, 외경이 최대 약 2.4mm이다. 제1 테이퍼 축부(25)의 테이퍼각은 약 6°이다. 테이퍼각은 0.1°부터 10°가 바람직하다. 제1 테이퍼 축부(25)의 길이는 약 3.9mm이다. 제1 테이퍼 축부(25)의 길이는, 픽스처 본체(11)의 전체길이의 20% 이상(약 1.8mm) 50% 이하(약 4.5mm)가 바람직하다.
제1 테이퍼 축부(25)는, 길이와 각도가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동일하고, 제1 테이퍼 구멍부(14)에 밀착(테이퍼 끼워맞춤)된다.
육각 축부(걸어멈춤부)(27)는, 제1 테이퍼 축부(25)의 끝단측에 형성된다. 육각 축부(27)는, 제1 테이퍼 축부(25)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중심축(C)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6개의 걸어멈춤 홈(28)으로 이루어진다. 이 6개의 걸어멈춤 홈(28)에 의해 육각형 축부가 형성된다.
육각 축부(27)에 대해 육각 구멍부(17)가 끼워넣어진다. 육각 구멍부(17)와 육각 축부(27)는, 걸어멈춤 후크(18)와 걸어멈춤 홈(28)을 접촉시킴으로써, 픽스처 본체(11)에 대한 덮개체(21)의 둘레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가 된다.
덮개체(21)(제1 테이퍼 축부(25))의 끝단면(21a)에는 암나사(26)가 마련된다. 암나사(26)는, 끝단면(21a)으로부터 +Z방향으로 파고들어간다. 암나사(26)의 크기는, 예를 들어 M1.4P0.5이다.
픽스처(10)는, 픽스처 본체(11)의 제1 테이퍼 구멍부(14)에 덮개체(21)의 제1 테이퍼 축부(25)를 삽입하고, 육각 구멍부(17)에 육각 축부(27)를 끼워넣음으로써 조립된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1 테이퍼 축부(25)가 밀착(테이퍼 끼워맞춤)되므로,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는 강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걸어멈춤 후크(18)와 걸어멈춤 홈(28)이 접촉하므로, 픽스처 본체(11)에 대해 덮개체(21)가 둘레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가 제1 테이퍼 축부(25)에 의해 거의 완전히 폐색된다. 이에 의해, 덮개체(21)의 끝단면(21a)이 중심공(13)의 바닥면이 되고, 중심공(13)이 제2 테이퍼 구멍부(15)가 된다. 따라서, 중심공(13)이 불관통공이 된다.
〔어버트먼트(30)〕
도 5는 어버트먼트(3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사시도, (b) 정면도, (c) 하면도, (d) Vd-Vd 단면도이다.
어버트먼트(30)는, 축형 부재로서,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어버트먼트(30)는, 근단측이 픽스처(10)의 중심공(13)에 끼워넣어지고, 끝단측이 픽스처(10)의 끝단측에 노출되어, 임플란트 크라운(6)이 장착된다.
어버트먼트(30)는, 본체부(31)와 제2 테이퍼 축부(35)를 가진다.
본체부(31)는, 대략 원뿔대형 부위로서, 픽스처(10)로부터 노출된다. 본체부(31)에는, 접착제나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크라운(6)이 고정된다.
제2 테이퍼 축부(제2 축부)(35)는, 원기둥형 부위로서, 본체부(31)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테이퍼 축부(35)는, Z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외경이 서서히 축소(직경 축소)된다.
제2 테이퍼 축부(35)는, 픽스처 본체(11)의 중심공(13)에 삽입되어 끝단측 개구(제2 테이퍼 구멍부(15))를 폐색한다.
제2 테이퍼 축부(35)는, 외경이 최대 약 2.4mm이다. 제2 테이퍼 축부(35)의 테이퍼각은 약 6°이다. 테이퍼각은 0.1°부터 10°가 바람직하다. 제2 테이퍼 축부(35)의 길이는 약 5.0mm이다. 제2 테이퍼 축부(35)의 길이는, 픽스처 본체(11)의 전체길이의 40% 이상(약 3.6mm) 70% 이하(약 6.3mm)가 바람직하다.
제2 테이퍼 축부(35)는, 길이와 각도가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동일하고, 제2 테이퍼 구멍부(15)에 밀착(테이퍼 끼워맞춤)된다.
어버트먼트(30)(제2 테이퍼 축부(35))의 근단면(30b)에는 암나사(36)가 마련된다. 암나사(36)는, 근단면(30b)으로부터 -Z방향으로 파고들어간다. 암나사(36)의 크기는, 예를 들어 M1.4P0.5이다.
이 근단면(30b)은, 중심공(13)의 바닥면(끝단면(21a))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연결 나사(40)〕
도 6은 연결 나사(4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사시도, (b) 정면도, (c) 상면도, (d) 하면도, (e) VIe-VIe 단면도이다.
연결 나사(탄성 부재)(40)는,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대략 원기둥형 부재이다. 연결 나사(40)는, 이른바 나사축이며,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 수나사(42)가 형성된다.
연결 나사(40)는,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30)에 연결한다. 연결 나사(40)는, 덮개체(21)의 암나사(26)와 어버트먼트(30)의 암나사(36)에 각각 나사결합한다. 덮개체(21)와 어버트먼트(30)가 연결 나사(40)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 나사(40)는, 픽스처 본체(11) 등보다 탄성률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나사(4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나사(40)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특히, 연결 나사(40)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Poly Ether Ether Ketone)이 적합하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내피로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방사선성, 가공성, 치수 안정성이 높다.
연결 나사(40)는, 암나사(26)와 암나사(36)에 각각 나사결합함으로써 탄성 변형된다(늘어난다). 연결 나사(40)는, 암나사(26)와 암나사(36)에 각각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항상 탄성 변형의 복원력(축력)을 발생한다.
연결 나사(40)는, 이 축력에 의해 덮개체(21)와 어버트먼트(30)를 끌어당긴다. 연결 나사(40)는, 덮개체(21)와 어버트먼트(30)를 픽스처 본체(11)로 향하여 끌어당긴다. 이에 의해, 제1 테이퍼 축부(25)가 제1 테이퍼 구멍부(14)에 눌려붙여지고, 제2 테이퍼 축부(35)가 제2 테이퍼 구멍부(15)에 눌려붙여진다.
연결 나사(40)는, 암나사(26)와 암나사(36)에 각각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축력을 발생한다. 이에 의해, 수나사(42)는 암나사(26)와 암나사(36)에 항상 밀착되어 나사의 이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연결 나사(40)의 끝단에는 육각 구멍(43)이, 근단에는 육각 머리(44)가 각각 형성된다.
육각 구멍(43)은, 연결 나사(40)를 어버트먼트(30)에 장착할(조립) 때에 이용된다. 연결 나사(40)를 암나사(36)에 장착할 때에, 육각 구멍(43)에 육각 렌치(도시생략)를 삽입하여 연결 나사(40)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육각 머리(44)는, 연결 나사(40)를 픽스처(10)로부터 분리할(분해) 때에 이용된다. 연결 나사(40)를 암나사(26)로부터 분리할 때에, 육각 머리(44)에 육각 구멍붙이 렌치(도시생략)를 삽입하여 연결 나사(40)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치과용 임플란트(1)의 제조 방법〕
치과용 임플란트(1)의 각 부재는, 지르코니아(산화 지르코늄)를 주성분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세라믹에 의해 형성(성형)된다.
픽스처(10)(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의 제조 공정은 성형 공정, 소결 공정을 가진다. 나아가 각종 가공 공정, 세정 공정, 조립 공정, γ선 살균 공정, 가열 공정을 가진다.
어버트먼트(30)의 제조 공정은 픽스처(10)의 제조 공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성형 공정에서는, 지르코니아 분말을 포함한 펠렛을 사출 성형하여 지르코니아 성형체(세라믹 성형체)를 얻는다. 즉, 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의 성형체를 얻는다.
다음에, 소결 공정에서는, 이 지르코니아 성형체에 대해 예비 소결 처리와 본 소결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1500℃ 이상의 온도로 소결한다. 이에 의해, 지르코니아 소결체(세라믹 소결체)를 얻는다. 즉, 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의 소결체를 얻는다.
그 후에 각종 가공 공정, 세정 공정을 행한다.
각종 가공 공정에서는, 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의 소결체에 대해 조면(粗面)화 처리 등이 실시된다. 조면화 처리는, 예를 들어 레이저 비열 가공이다.
다음에, 조립 공정에서는, 픽스처 본체(11)의 근단측에 덮개체(21)를 장착한다. 중심공(13)의 제1 테이퍼 구멍부(14)에 제1 테이퍼 축부(25)를 삽입하여 육각 구멍부(17)에 육각 축부(27)를 끼워넣는다.
다음에, 마운트 부재(도시생략)를 중심공(13)의 제2 테이퍼 구멍부(15)에 삽입하여 덮개체(21)의 암나사(26)에 나사결합한다.
마운트 부재는, 어버트먼트(30) 대신에 제2 테이퍼 구멍부(15)를 폐색한다(도 7 참조). 마운트 부재는, 축부, 수나사, 그립을 갖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축부는, 제2 테이퍼 축부(35)와 거의 동일 형상을 가진다. 수나사는, 연결 나사(40)와 거의 동일 형상을 가지며, 축부로부터 근단측으로 돌출된다. 그립은, 축부로부터 끝단측으로 돌출된다.
작업자는, 그립을 전용 지그를 이용하여 파지함으로써 픽스처(10)에의 이물 부착을 회피할 수 있다.
마운트 부재를 픽스처(10)에 연결함으로써,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1 테이퍼 축부(25)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γ선 살균 공정, 가열 공정을 행한다.
γ선 살균 공정을 거치면, 픽스처 본체(11) 등은 농갈색화된다. 이 때문에, 가열 공정에서 100℃~300℃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픽스처 본체(11) 등을 색되돌림(백색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픽스처(10)가 제조된다.
또, 어버트먼트(30)의 조립 공정에서는, 연결 나사(40)를 암나사(36)에 나사결합한다.
〔치과용 임플란트 치료의 2회법〕
도 7은, 커버 부재(90)를 연결한 픽스처(10)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환자에 대한 치과용 임플란트(1)의 장착은, 이하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다.
(1회째 수술)
처음에, 픽스처(10)를 환자의 치조골(H)에 매립한다. 마운트 부재를 파지하여 픽스처(10)를 치조골(H)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한다. 수나사(12)를 치조골(H)에 형성한 구멍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픽스처(10)가 치조골(H)에 고정된다.
다음에, 마운트 부재를 분리하여 커버 부재(90)를 픽스처(10)에 장착한다. 커버 부재(90)를 중심공(13)에 삽입하여 덮개체(21)에 나사결합한다.
커버 부재(90)는, 픽스처(10)가 치조골(H)에 골 결합되는 동안에, 어버트먼트(30) 대신에 제2 테이퍼 구멍부(15)를 폐색한다. 커버 부재(90)는, 축부(91), 수나사(92), 플랜지(93)를 갖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축부(91)는, 제2 테이퍼 축부(35)와 거의 동일 형상을 가진다. 수나사(92)는, 연결 나사(40)와 거의 동일 형상을 가지며, 축부(91)로부터 근단측으로 돌출된다. 플랜지(93)는, 축부(91)의 끝단에 마련되어 픽스처 본체(11)의 끝단면(11a)에 밀착된다. 커버 부재(90)의 끝단면(90a)에는, 육각 구멍(94)이 마련된다.
작업자는, 육각 구멍(94)에 육각 렌치(도시생략)를 삽입하여 커버 부재(90)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커버 부재(90)를 픽스처(10)에 연결함으로써,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1 테이퍼 축부(25)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잇몸(S)을 봉합한다. 그 후에, 치조골(H)과 픽스처(10)를 예를 들어 3~6개월 정도에 걸쳐 골 밀착시킨다.
(2회째 수술)
처음에, 잇몸(S)을 절개하고, 환자의 치조골(H)에 매립한 픽스처(10)로부터 커버 부재(90)를 분리한다.
다음에, 픽스처(10)에 어버트먼트(30)를 연결한다. 어버트먼트(30)의 제2 테이퍼 축부(35)를 픽스처(10)의 중심공(13)(제2 테이퍼 구멍부(15))에 삽입한다. 나아가 어버트먼트(30)의 근단에 연결한 연결 나사(40)를 덮개체(21)의 암나사(26)에 나사결합한다. 이에 의해,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제2 테이퍼 축부(35)가 밀착된다.
어버트먼트(30)의 근단면(30b)은, 중심공(13)의 바닥면(끝단면(21a))에 대해 약간의 간극을 두고 근접한다. 따라서, 치과용 임플란트(1)는 거의 간극이 없는 집적체(집성체)가 된다.
마지막으로 잇몸(S)을 봉합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30)의 본체부(31)에 임플란트 크라운(6)을 장착한다. 본체부(31)와 임플란트 크라운(6)의 사이에 접착제나 시멘트 등을 배치한다. 이에 의해, 어버트먼트(30)와 임플란트 크라운(6)이 강고하게 연결된다.
그 후에, 잇몸(S)과 어버트먼트(30)를 예를 들어 2주간 정도에 걸쳐 유착시킨다.
〔치과용 임플란트(1)의 작용〕
픽스처(10)는, 중심공(13)이 전체길이에 걸쳐 관통하는 픽스처 본체(11)와, 중심공(13)의 근단측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체(21)를 구비한다. 중심공(13)은, 픽스처 본체(11)를 관통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결함이 발생하기 어렵다. 중심공(13)의 근단측 개구(제1 테이퍼 구멍부(14))는 덮개체(21)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환자에의 매립에 지장은 없다.
따라서, 픽스처(10)를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고, 균열 등의 결함이 있는 불량품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픽스처(10)는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를 집적(집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높아진다.
덮개체(21)는, 중심공(13)에 끼워맞춤되는 제1 축부(24)를 가진다. 이 때문에, 중심공(13)의 근단측 개구(제1 테이퍼 구멍부(14))를 확실히 폐색할 수 있다.
중심공(13)은, 근단측으로부터 끝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1 테이퍼 구멍부(14)를 가지며, 제1 축부(24)는, 근단측으로부터 끝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1 테이퍼 축부(25)를 가진다. 이 때문에,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1 테이퍼 축부(25)가 밀착(테이퍼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의 연결이 강고해진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1 테이퍼 축부(25)는, 테이퍼각이 0.1°부터 10°로 형성된다. 제1 테이퍼 축부(25)와 제1 테이퍼 구멍부(14)는, 픽스처 본체(11)의 전체길이의 20% 이상 50% 이하의 길이를 가진다. 이 때문에,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1 테이퍼 축부(25)가 확실히 밀착되어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가 강고하게 연결된다.
픽스처 본체(11)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한다. 중심공(13)의 내면에 형성된 육각 구멍부(17)를 구비하고, 덮개체(21)는, 제1 축부(24)에 형성된 육각 축부(27)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육각 구멍부(17)에 육각 축부(27)가 끼워넣어져 걸어멈춤 후크(18)와 걸어멈춤 홈(28)이 접촉하므로, 픽스처 본체(11)에 대한 덮개체(21)의 둘레방향 회전이 억제된다.
종래의 세라믹제 픽스처는, 단일 부재로서, 기계적 강도가 성형 공정에서의 원료(세라믹 분말)의 유동 방향에 의존한다.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은 다결정체이기 때문에, 분말 사출 성형하면 각 결정이 흐름 방향으로 배향한다. 이에 의해, 픽스처 등의 성형체는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금형 내에서 분말이 흐르는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고, 그 직각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종래의 세라믹제 픽스처는,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에 의해 특정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
이에 반해, 픽스처(10)는,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를 조합한 집적체(집성체)이다.
종래와 마찬가지로,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는, 세라믹 분말을 사출 성형하여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을 가진다.
무엇보다도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는 따로따로 성형되므로, 성형 공정에서의 원료의 유동 방향이 다르다. 즉,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는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의 방향이 다르다.
픽스처(10)는,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를 집적(집성)하였으므로, 기계적 강도의 방향성이 분산된다. 다시 말하면, 픽스처(10)는,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의 이방성이 제거되고 등방성에 가까워진다.
이에 따라, 픽스처(10)는, 종래의 픽스처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높다. 또한, 픽스처(10)를 양산하였을 때에 기계적 강도의 불균일이 적다. 픽스처(10)의 기계적 강도를 균일화(안정화)할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1)는, 픽스처(10)와, 중심공(13)(제2 테이퍼 구멍부(15))에 끼워맞춤되는 제2 테이퍼 축부(35)를 갖는 어버트먼트(3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치과용 임플란트(1)는, 중심공(13)이 제1 테이퍼 축부(25)와 제2 테이퍼 축부(35)로 거의 완전히 메워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중심공(13)은, 끝단측으로부터 근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2 테이퍼 구멍부(15)를 가지며, 제2 테이퍼 축부(35)는, 끝단측으로부터 근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된다. 이 때문에,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제2 테이퍼 축부(35)가 밀착(테이퍼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픽스처 본체(11)와 어버트먼트(30)의 연결이 강고해진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제2 테이퍼 축부(35)는, 테이퍼각이 0.1°부터 10°로 형성된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제2 테이퍼 축부(35)는, 픽스처 본체(11)의 전체길이의 40% 이상 70% 이하의 길이를 가진다. 이 때문에,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제2 테이퍼 축부(35)가 확실히 밀착되어 픽스처 본체(11)와 어버트먼트(30)가 강고하게 연결된다.
어버트먼트(30)의 근단면(30b)은, 중심공(13)의 바닥면(끝단면(21a))에 근접한다. 이 때문에, 치과용 임플란트(1)는 내부에 간극이 거의 없고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어버트먼트(30)는, 세라믹 분말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어버트먼트(30)는, 픽스처 본체(11)나 덮개체(21)와는 별도로 성형된다. 이 때문에, 어버트먼트(30)는, 픽스처 본체(11) 등과는 성형 공정에서의 원료의 유동 방향이 다르다. 즉, 어버트먼트(30)는, 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와는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의 방향이 다르다.
치과용 임플란트(1)는, 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 및 어버트먼트(30)를 집적(집성)하였으므로, 기계적 강도의 방향성이 분산된다. 다시 말하면, 치과용 임플란트(1)는, 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 어버트먼트(30)의 이방성이 각각 제거되고 등방성에 가까워진다.
이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1)는,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높다.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1)를 양산하였을 때에 기계적 강도의 불균일이 적다. 치과용 임플란트(1)의 기계적 강도를 균일화(안정화)할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1)는, 덮개체(21)와 어버트먼트(30)의 사이에 배치되어 덮개체(21)와 어버트먼트(30)에 연결하는 연결 나사(40)를 구비한다. 연결 나사(40)는, 양단에 수나사(42)가 형성되어 암나사(26, 36)에 나사결합한다.
연결 나사(40)는, 덮개체(21)와 어버트먼트(30)에 연결하여 늘어난다. 연결 나사(40)의 복원력(축력)에 의해, 제1 테이퍼 축부(25)가 제1 테이퍼 구멍부(14)에 눌려붙여지고, 제2 테이퍼 축부(35)가 제2 테이퍼 구멍부(15)에 눌려붙여진다.
덮개체(21)와 어버트먼트(30)가 중심축(C)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나아가 픽스처 본체(11)에 대해 눌려붙여져 테이퍼 끼워맞춤된다. 이 때문에, 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 어버트먼트(30)가 강고하게 연결된다.
연결 나사(40)의 수나사(42)는, 암나사(26)와 암나사(36)에 밀착된다. 연결 나사(40)는, 암나사(26, 36)의 사이에 항상 큰 마찰력을 발생시키므로 이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 및 어버트먼트(30)를 밀착시킨 견고한 연결 상태가 장기간에 걸쳐 유지된다.
연결 나사(40)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특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로 이루어진다. 연결 나사(40)는, 픽스처(10)나 어버트먼트(30)와는 다른 재료이기 때문에 소리(진동)의 전달 특성이 다르다. 이 때문에, 불쾌한 맞물림음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용 임플란트(1)는, 맞물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하여 불쾌한 맞물림음의 발생을 억제(경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공(13)의 형성이 용이하고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픽스처(10)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세라믹제 픽스처(10)에 있어서, 중심공(13)에서의 결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픽스처(10) 및 치과용 임플란트(1)를 확실히 소형화할 수 있다.
픽스처(10) 및 치과용 임플란트(1)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한 집적체(집성체)이기 때문에 확실히 고강도화할 수 있다. 특히, 세라믹제 픽스처(10) 및 치과용 임플란트(1)는, 각 부재의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이 완화(방향성을 분산)되어 고강도화된다.
치과용 임플란트(1)는,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30)를 연결 나사(40)에 의해 연결하였으므로, 견고한 연결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1)는, 연결 나사(40)가 맞물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하여 불쾌한 맞물림음의 발생을 억제(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든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불과하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인공 고관절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픽스처 및 임플란트는, 인공 고관절의 픽스처 및 임플란트에 이용할 수 있다.
픽스처(10)(픽스처 본체(11), 덮개체(21)), 어버트먼트(30), 임플란트 크라운(6) 등의 부재는,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나 산화이트륨, 산화하프늄, 산화실리콘, 산화마그네슘, 산화세륨 등의 생체 적합성 세라믹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이들 부재는, 지르코니아와 금속이나 합금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금속이나 합금이란, 구리, 티타늄, 티타늄 합금 등이다.
이들 부재는, 지르코니아와 카본이나 수지나 유리 등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이들 부재는,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제1 테이퍼 구멍부(14)는, 테이퍼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스트레이트 형상(원통 형상)의 구멍이어도 된다.
제1 테이퍼 축부(25)와 제2 테이퍼 축부(35)는, 테이퍼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스트레이트 형상(원기둥 형상)의 축이어도 된다.
치과용 임플란트(1)는, 앞니(윗앞니)용 임플란트로 한정되지 않고, 어금니용 임플란트이어도 된다.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인공 고관절 임플란트)는, 사람으로 한정되지 않고,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소나 말 등의 가축에 적용되는 경우이어도 된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1 테이퍼 축부(25)의 사이에 접착제나 시멘트 등을 배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픽스처 본체(11)와 덮개체(21)가 더욱 강고하게 연결된다.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제2 테이퍼 축부(35)의 사이에 접착제나 시멘트 등을 배치(도포)해도 된다. 이에 의해, 픽스처 본체(11)와 어버트먼트(30)가 더욱 강고하게 연결된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1 테이퍼 축부(25), 제2 테이퍼 구멍부(15)와 제2 테이퍼 축부(35)는, 각각 동일한 길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2 테이퍼 구멍부(15)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테이퍼 구멍부(14)와 제2 테이퍼 구멍부(15)의 사이에 비테이퍼 구멍부를 마련해도 된다.
회전 방지 기구는, 육각 구멍부(17)와 육각 축부(27)로 한정되지 않는다. 육각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회전 방지 기구는, 픽스처 본체(11)의 근단과 덮개체(21)의 우산부(22)에 마련해도 된다.
육각 구멍부(17)는, 제1 테이퍼 구멍부(14)의 일부에 형성되는(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육각 축부(27)는, 제1 테이퍼 축부(25)의 일부에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육각 구멍부(17)와 제1 테이퍼 축부(25), 육각 축부(27)와 제1 테이퍼 구멍부(14)는, 각각 분리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연결 나사(40)는, 전체길이에 걸쳐 수나사(42)가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양단에 수나사(42)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연결 나사(40)는, 나사축(수나사)으로 한정되지 않고, 너트(암나사)이어도 된다. 즉, 덮개체(21)의 끝단과 어버트먼트의 근단에 각각 수나사를 형성하고, 이 수나사에 너트형 연결 나사를 나사결합해도 된다.
1 치과용 임플란트(임플란트) 6 임플란트 크라운 10 픽스처 11 픽스처 본체 11a 끝단면 11b 근단면 12 수나사 13 중심공 14 제1 테이퍼 구멍부 15 제2 테이퍼 구멍부 17 육각 구멍부(피걸어멈춤부) 18 걸어멈춤 후크 21 덮개체 21a 끝단면 22 우산부 24 제1 축부 25 제1 테이퍼 축부 26 암나사 27 육각 축부(걸어멈춤부) 28 걸어멈춤 홈 30 어버트먼트 30b 근단면 31 본체부 35 제2 테이퍼 축부(제2 축부) 36 암나사 40 연결 나사(탄성 부재) 42 수나사 43 육각 구멍 44 육각 머리 C 중심축 H 치조골(뼈) S 잇몸

Claims (19)

  1. 뼈에 매립되는, 세라믹 분말 사출 성형품의 픽스처로서,
    중심공이 전체길이에 걸쳐 관통하는 픽스처 본체와,
    상기 중심공의 근단(根端)측 개구에 배치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픽스처 본체와 상기 덮개체는, 각각의 결정(結晶)의 배향에 의한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의 방향이 다른 픽스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중심공에 끼워맞춤되는 제1 축부를 갖는 픽스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심공은, 근단측으로부터 끝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1 테이퍼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축부는, 상기 제1 테이퍼 구멍부에 끼워맞춤되는 제1 테이퍼 축부를 갖는 픽스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 구멍부와 상기 제1 테이퍼 축부는, 테이퍼각이 0.1°부터 10°로 형성되는 픽스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 구멍부와 상기 제1 테이퍼 축부는, 상기 픽스처 본체의 전체길이의 20% 이상 50% 이하의 길이인 픽스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 본체는, 상기 중심공의 내면에 형성된 피걸어멈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제1 축부에 형성된 걸어멈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걸어멈춤부와 상기 걸어멈춤부가 접촉하여, 상기 픽스처 본체에 대한 상기 덮개체의 회전이 억제되는 픽스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픽스처와,
    상기 중심공에 끼워맞춤되는 제2 축부를 갖는, 세라믹 분말 사출 성형품의 어버트먼트를 구비하며,
    상기 픽스처 본체,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어버트먼트는, 각각의 결정의 배향에 의한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의 방향이 다른 임플란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심공은, 끝단측으로부터 근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2 테이퍼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축부는, 상기 제2 테이퍼 구멍부에 끼워맞춤되는 제2 테이퍼 축부를 갖는 임플란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퍼 구멍부와 상기 제2 테이퍼 축부는, 테이퍼각이 0.1°부터 10°인 임플란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퍼 구멍부와 상기 제2 테이퍼 축부는, 상기 픽스처 본체의 전체길이의 40% 이상 70% 이하의 길이인 임플란트.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와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중심공에 있어서 근접하는 임플란트.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와 상기 어버트먼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체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길이방향의 양단에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덮개체와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탄성 부재가 나사결합하는 나사부를 각각 갖는 임플란트.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16. 청구항 7에 있어서,
    치조골에 매립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인 임플란트.
  17. 중심공이 전체길이에 걸쳐 관통하는 픽스처 본체와,
    상기 중심공의 근단측 개구에 배치되는 덮개체를 구비하여 뼈에 매립되는 픽스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픽스처 본체와 상기 덮개체는, 각각의 결정의 배향에 의한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의 방향이 다르도록, 세라믹 분말을 사출하여 성형되는 픽스처의 제조 방법.
  18. 중심공이 전체길이에 걸쳐 관통하는 픽스처 본체와,
    상기 중심공의 근단측 개구에 배치되는 덮개체와,
    상기 중심공에 끼워맞춤되는 제2 축부를 갖는 어버트먼트를 구비하여 뼈에 매립되는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픽스처 본체,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어버트먼트는, 각각의 결정의 배향에 의한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의 방향이 다르도록, 세라믹 분말을 사출하여 성형되는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19. 삭제
KR1020187029036A 2016-04-12 2017-04-10 픽스처, 임플란트, 픽스처의 제조 방법,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KR101924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9232 2016-04-12
JP2016079234 2016-04-12
JPJP-P-2016-079232 2016-04-12
JPJP-P-2016-079234 2016-04-12
JP2016079233 2016-04-12
JPJP-P-2016-079233 2016-04-12
PCT/JP2017/014603 WO2017179517A1 (ja) 2016-04-12 2017-04-10 フィクスチャー、インプラ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193A KR20180117193A (ko) 2018-10-26
KR101924134B1 true KR101924134B1 (ko) 2018-11-30

Family

ID=6004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036A KR101924134B1 (ko) 2016-04-12 2017-04-10 픽스처, 임플란트, 픽스처의 제조 방법,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88719B2 (ko)
EP (1) EP3443931A4 (ko)
JP (3) JP6368929B2 (ko)
KR (1) KR101924134B1 (ko)
CN (1) CN109069232A (ko)
WO (2) WO2017179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9288A1 (it) * 2018-10-09 2020-04-09 Ennio Calabria Sistema di impianto dentale
KR102277887B1 (ko) 2019-11-29 2021-07-14 이태훈 임플란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7607A (ja) 1997-01-07 2001-06-12 レイピュアー・テクノロジー・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インプラントを骨に固定する方法とそのためのインプラント
JP2003525690A (ja) 2000-03-06 2003-09-02 ピル−ホーン チョウング 即固定できる膨張型インプラント
WO2008022635A2 (de) 2006-08-25 2008-02-28 Mehrhof Juergen Zweiteiliges zahnimplantat mit gewindehülse
JP2008541901A (ja) 2005-06-03 2008-11-27 シュトラウマン・ホールディ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多部品からなる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のために改良したカップリング
US20160015483A1 (en) 2014-04-30 2016-01-21 Osseodyne Surgical Solutions, LLC. Osseointegrative surgic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0982A (en) * 1990-06-28 1991-08-20 Stefan Dogar Sorin Dental implant and conversion assembly
US5681167A (en) 1996-01-05 1997-10-28 Lazarof; Sargon Dental assembly and process for preparing a tooth prosthesis
US6102702A (en) * 1998-12-28 2000-08-15 Aubrey Clinton Folsom, Jr. Quick tightening abutment lock
DE19945354C2 (de) * 1999-09-22 2002-01-31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mplantatgetragene Zahnprothese
ES2169689B2 (es) * 2000-10-05 2005-04-01 Impladent, S.L. Implante dental radio-conico anatomico.
SE521327C2 (sv) * 2001-09-19 2003-10-21 Decim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dental restauration som fästs i ett käkben
WO2003047455A1 (en) * 2001-12-03 2003-06-12 Cottrell Richard D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US6878456B2 (en) * 2001-12-28 2005-04-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olycrystalline translucent alumina-based ceramic material, uses, and methods
US6902583B2 (en) * 2002-04-25 2005-06-07 Medicinelodge, Inc. Tripartite attachment mechanism and method for a modular prosthesis
JP2004113718A (ja) 2002-09-20 2004-04-15 Brain Base:Kk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におけ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とアバットメントの接合形態及びアバットメントに関する。
KR100545853B1 (ko) * 2002-10-17 2006-01-31 (주) 코웰메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US20060141418A1 (en) * 2003-03-13 2006-06-29 Young Ku Heo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butment and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DE102004053434B4 (de) * 2004-11-05 2010-01-28 Markus Dold Implantatsystem
KR100575603B1 (ko) * 2005-06-29 2006-05-03 정필훈 팽창형 임플란트
US7281926B2 (en) * 2005-12-23 2007-10-16 Meir Yakir Modular dental implants with extensions
DE202006013585U1 (de) * 2006-08-31 2006-11-02 Mehrhof, Jürgen Verbindungselement für ein zweiteiliges Zahnimplantat aus Nichtmetall
DE102006045187B4 (de) * 2006-08-31 2008-06-19 Mehrhof, Jürgen Verbundsystem für ein zweiteiliges Zahnimplantat
KR100884614B1 (ko) * 2007-05-28 2009-02-23 이규호 치과용 임플란트
EP2011779A1 (de) * 2007-07-06 2009-01-07 Vita Zahnfabrik H. Rauter GmbH & Co. KG Keramischer 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9072561B2 (en) * 2008-03-25 2015-07-07 The Center For Orthopedic Research And Education, Inc. Spinal facet fixation device
US8562348B2 (en) * 2008-07-02 2013-10-22 Zimmer Dental, Inc. Modular implant with secured porous portion
NL2001780C2 (nl) * 2008-07-08 2010-01-11 Accura Holding B V Koppelinrichting en werkwijze voor koppeling in een implantaatsysteem.
WO2010028811A1 (en) * 2008-09-10 2010-03-18 Nobel Biocare Services Ag Device and procedure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ES2375680B1 (es) * 2009-02-04 2013-01-30 Alberto Arruga Artal Implante dental con desplazamiento axial y/o coronal y procedimiento de montaje del mismo.
KR101067668B1 (ko) * 2009-09-01 2011-09-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침하방지 단차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US20110269103A1 (en) * 2010-04-30 2011-11-03 Warsaw Orthopedic, Inc. Expandable implant
EP2618774B1 (en) 2010-09-23 2017-11-15 Biomet 3i, LLC Dental abutment system
JP5891150B2 (ja) * 2012-09-07 2016-03-22 株式会社アドバンス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
US20150037757A1 (en) * 2013-08-05 2015-02-05 Norman Kwan Method for attaching a dental prosthesis having multiple abutments
KR20150134581A (ko) * 2014-05-22 2015-12-02 남창수 이중구조의 맞춤형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AU2016293577A1 (en) * 2015-07-16 2018-02-22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assembly having sealing features at component interfa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7607A (ja) 1997-01-07 2001-06-12 レイピュアー・テクノロジー・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インプラントを骨に固定する方法とそのためのインプラント
JP2003525690A (ja) 2000-03-06 2003-09-02 ピル−ホーン チョウング 即固定できる膨張型インプラント
JP2008541901A (ja) 2005-06-03 2008-11-27 シュトラウマン・ホールディ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多部品からなる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のために改良したカップリング
WO2008022635A2 (de) 2006-08-25 2008-02-28 Mehrhof Juergen Zweiteiliges zahnimplantat mit gewindehülse
US20160015483A1 (en) 2014-04-30 2016-01-21 Osseodyne Surgical Solutions, LLC. Osseointegrative surgic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3958B2 (ja) 2018-09-05
US20190117342A1 (en) 2019-04-25
US10588719B2 (en) 2020-03-17
EP3443931A4 (en) 2019-11-27
JPWO2017179518A1 (ja) 2018-04-19
JPWO2017179517A1 (ja) 2018-05-31
JP2018015596A (ja) 2018-02-01
JP6383957B2 (ja) 2018-09-05
JP6368929B2 (ja) 2018-08-08
EP3443931A1 (en) 2019-02-20
WO2017179517A1 (ja) 2017-10-19
KR20180117193A (ko) 2018-10-26
WO2017179518A1 (ja) 2017-10-19
CN109069232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615B2 (en) Implant, implant body, and abutment body
AU2019203708B2 (en) Dental implant with improved prosthetic interface
US8113835B2 (en) Abutment assembly for dental implant
JP5473003B2 (ja) 歯牙インプラント
US20110306014A1 (en) Component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Temporary Prosthetics
JP5694110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US20090298014A1 (en) Dental Implant
JP2012517861A (ja) インプラントと共に使用される構成要素、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924134B1 (ko) 픽스처, 임플란트, 픽스처의 제조 방법,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US20200121425A1 (en) Dental implant system with at least one tooth implant and separate abutment
US20160008105A1 (en) Dental prostheses cemented onto implants and/or abutments having a reverse margin
JP6676076B2 (ja) 義歯システム
US20100015571A1 (en) Flexible Abutment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KR102048659B1 (ko) 나사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임플란트조립체
KR101800838B1 (ko) 세라믹 픽스츄어를 구비한 치아 임플란트
WO2014083614A1 (ja) インプラントねじ
JP5514972B2 (ja) インプラント
JP2006271767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KR200428099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KR101632612B1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JP2019217180A (ja) 人工歯構造体、及び人工歯構造体用の充填体
EP4295810A1 (en) Dental implant attachment for removable dentures
JP5385777B2 (ja)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アンカー及び歯科矯正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