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853B1 -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853B1
KR100545853B1 KR1020020063514A KR20020063514A KR100545853B1 KR 100545853 B1 KR100545853 B1 KR 100545853B1 KR 1020020063514 A KR1020020063514 A KR 1020020063514A KR 20020063514 A KR20020063514 A KR 20020063514A KR 100545853 B1 KR100545853 B1 KR 10054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ooth
hexagonal
head
abutment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874A (ko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주) 코웰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웰메디 filed Critical (주) 코웰메디
Priority to KR102002006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8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음식물을 씹는 저작작용으로 인하여 인공치아에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항상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인공치아가 유동되거나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공치아의 내구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에 육각머리부(12)가 돌출형성되며 상단중앙에 체결공(13)이 형성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와,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 상단에 결합설치되는 중앙에 삽입공(6a)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에 결합되는 육각홈부(10)가 형성된 하부설치대(6)와, 상기 하부설치대(6)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나사부(5)가 형성된 상부설치대(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설치대(6)와 상부설치대(2)가 결합된 상부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인공치아(14)가 설치되는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설치대(6)의 삽입공(6a)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삽입공(6a)의 외측상부에는 상기 인공치아(14)의 내측하부에 접착되는 육각돌출부(7)가 형성되고 외측하부에 지지경사부(8)와 밀착경사부(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설치대(2)의 나사부(5)의 상부에는 일측면에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홈(3a)이 형성된 머리부(3)와 머리부(3)의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6a)과 일치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과, 임플란트, 크라운, 인공치아, 어버트먼트, 상부설치대, 하부설치대

Description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Abutment of a dental implant for a crown}
도 1은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조립한 상태 및 그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조립한 상태 및 그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버트먼트 2 : 상부설치대 3 : 머리부
3a : 체결홈 4 : 삽입부 5 : 나사부
6 : 하부설치대 6a : 삽입공 7 : 육각돌출부
8 : 지지경사부 9 : 밀착경사부 10 : 육각홈부
11 : 인공치아고정체 12 : 육각머리부 13 : 체결공
14 : 인공치아
본 발명은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인공치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인공치아의 내측상부가 접착되는 머리부하단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와, 외측상부에 인공치아의 내측하부가 접착되는 육각돌출부에 형성되며 내측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에 삽입설치되는 육각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다양한 음식물을 씹는 저작작용으로 인하여 인공치아에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항상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인공치아가 유동되거나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공치아의 내구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implant)란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말하거나 또는 나사형상의 인공치아고정체(fixture)를 치조골에 체결하여 일정기간동안 뼈와 융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접합부인 어버트먼트(abutment)와 인공치아 (crown) 등의 보철물을 고정시키므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치과시술을 말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법 중에서 하나의 자연치아가 손상된 경우이를 대체하는 하나의 인공치아를 시술하는 것을 크라운(crown)방식이라 하며, 서로 인접한 2개이상의 자연치아가 동시에 손상되거나 정상적인 자연치아를 사이에 두고 2개이상의 자연치아가 동시에 손상된 경우 이를 대체하는 2개이상의 인공치아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된 보철을 시술하는 것을 브리지(bridge)방식이라고 한다.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어버트먼트(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상하부에 삽입공(22)과 육각홈부(24)가 서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2)과 육각홈부(24)가 맞닿은 부위에 단턱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인공치아지대부(21)와, 상단중앙에 육각렌치홈(26a)이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부(26)의 하단에 나사부(27)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용 스크류(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턱뼈에 매식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12)에 육각홈부(24)가 삽입되도록 인공치아지대부(21)를 설치한 후, 고정용 스크류(25)를 인공치아지대부(21)의 삽입공(22)를 통해 삽입하여 도시되지 않은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고정용 스크류(25)의 나사부(27)가 인공치아고정체 (11)의 체결공(13)에 체결되도록 하여 인공치아지대부(21)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공치아지대부(21)의 상단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인공치아 (14)가 삽입되어 접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는 인공치아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저작작용을 하게 되면 인공치아지대부(21)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용 스크류(25)의 체결상태가 점차 풀리게 되거나 심한 경우 고정용 스크류(25)가 파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구조로 된 어버트먼트(1)에 사용되는 고정 용 스크류(25)의 나사풀림과 파절에 대한 기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에 의해 설치된 인공치아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저작작용을 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공치아 (14)는 인공치아(14)와 상하로 교합하는 다른 치아에 의해 형성된 측방교합력(F)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측방교합력(F)은 연쇄적으로 인공치아고정체(11)와 인공치아지대부(21)가 접하는 A점을 작용점으로 하고 거리 d를 모멘트팔로 하는 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이 모멘트는 인공치아지대부(21)에 삽입되어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용 스크류(25)의 머리부(26)하단과 인공치아지대부(21)의 단턱부(23)상면이 접하게 되는 B점을 작용점으로 하여 반복적으로 고정용 스크류(25)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측방교합력(F)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에 의해 인공치아지대부(21)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용 스크류(25)가 끊임없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써 고정용 스크류 (25)의 체결상태는 점차 느슨해지기 시작하고 고정용 스크류(25)의 체결상태가 느슨해짐에 따라 인공치아지대부(21)가 유동하게 되므로, 인공치아(14)가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심한 경우 고정용 스크류(25)의 머리부(26)와 나사부(27)가 맞닿는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절되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는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체결상태가 풀리거나 파절된 크라운용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재시술하는데에는 임플란트의 초기시술시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인공치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인공치아의 내측상부가 접착되는 머리부하단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와, 외측상부에 인공치아의 내측하부가 접착되는 육각돌출부에 형성되며 내측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에 삽입설치되는 육각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다양한 음식물을 씹는 저작작용으로 인하여 인공치아에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항상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인공치아가 유동되거나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공치아의 내구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육각머리부가 돌출형성되며 상단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인공치아고정체와, 상기 인공치아고정체의 육각머리부 상단에 결합설치되는 중앙에 삽입공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육각머리부에 결합되는 육각홈부가 형성된 하부설치대와, 상기 하부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설치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설치대와 상부설치대가 결합된 상부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인공치아가 설치되는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설치대의 삽입공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삽입공의 외측상부에는 상기 인공치아의 내측하부에 접착되는 육각돌출부가 형성되고 외측하부에 지지경사부와 밀착경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설치대의 나사부의 상부에는 일측면에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머리부와 머리부의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과 일치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조립한 상태 및 그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에 육각머리부(12)가 돌출형성되며 상단중앙에 체결공(13)이 형성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와,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 상단에 결합설치되는 중앙에 삽입공(6a)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에 결합되는 육각홈부(10)가 형성된 하부설치대(6)와, 상기 하부설치대(6)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나사부(5)가 형성된 상부설치대(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설치대(6)와 상부설치대(2)가 결합된 상부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인공치아(14)가 설치되는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설치대(6)의 삽입공(6a)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삽입공(6a)의 외측상부에는 상기 인공치아(14)의 내측하부에 접착되는 육각돌출부(7)가 형성되고 외측하부에 지지경사부(8)와 밀착경사부(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설치대(2)의 나사부(5)의 상부에는 일측면에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홈(3a)이 형성된 머리부(3)와 머리부(3)의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6a)과 일치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4)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대한 조립 및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턱뼈에 매식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12)에 육각홈부(10)가 삽입되도록 하부설치대(6)를 설치한 후, 하부설치대(6)의 삽입공(6a)을 통하여 상부설치대(2)의 머리부(3)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4)와 나사부(5)를 수직으로 바로 삽입하여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에 체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상부설치대(2)를 적정한 토크량으로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부설치대(2)의 머리부(3)에 삽입되는 결합부내측에 머리부(3)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3a)에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전용 체결공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견고하게 체결된 상부설치대(2)는 머리부(3)가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의 상단에 돌출되므로 인공치아(14)의 설치시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인공치아(14)의 내측상부는 상부설치대(2)의 머리부(3)에 접착되며, 인공치아(14)의 내측하부는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의 외주연에 접착되는 동시에 인공치아(14)의 하단부는 하부설치대(6)의 지지경사부(8)에 접착되므로써, 인공치아(14)와 상부설치대(2)와 하부설치대(6)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1)가 하나의 단일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설치대(6)의 상부에 형성된 육각돌출부(7)는 인공치아(14) 의 성형시 인공치아(14)의 내측에 상기 육각돌출부(7)와 결합되는 육각홈부를 형성시키므로써, 성형된 인공치아(14)가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에 용이하게 삽입설치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6)의 밀착경사부(9)는 임플란트의 시술시 잇몸의 두께에 따라 높이의 보상이 가능하며 절개된 잇몸이 아물어가면서 잇몸이 완전히 밀착되므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14)의 내측에 어버트먼트(1)의 상부설치대(2)의 머리부(3)와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가 동시에 접착되어 인공치아고정체(11)와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저작작용에 의한 측방교합력이 인공치아(14)에 작용하여 어버트먼트(1)에 나사풀림의 모멘트가 아무리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인공치아 (14)의 내측에 접착된 하부설치대(6)의 육각홈부(10)와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의 결합에 의해 인공치아(14)의 회전이 억제되어 상부설치대(2)하단에 형성된 나사부(5)와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과의 체결상태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므로써, 인공치아(14)가 접착되는 어버트먼트(1)는 거의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는 하나의 인공치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인공치아의 내측상부가 접착되는 머리부의 하단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일 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와, 외측상부에 인공치아의 내측하부가 접착되는 육각돌출부에 형성되며 내측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에 삽입설치되는 육각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다양한 음식물을 씹는 저작작용으로 인하여 인공치아에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항상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인공치아가 유동되거나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단에 육각머리부(12)가 돌출형성되며 상단중앙에 체결공(13)이 형성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와,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 상단에 결합설치되는 중앙에 삽입공(6a)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에 결합되는 육각홈부(10)가 형성된 하부설치대(6)와,
    상기 하부설치대(6)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나사부(5)가 형성된 상부설치대(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설치대(6)와 상부설치대(2)가 결합된 상부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인공치아(14)가 설치되는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설치대(6)의 삽입공(6a)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삽입공(6a)의 외측상부에는 상기 인공치아(14)의 내측하부에 접착되는 육각돌출부(7)가 형성되고 외측하부에 지지경사부(8)와 밀착경사부(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설치대(2)의 나사부(5)의 상부에는 일측면에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홈(3a)이 형성된 머리부(3)와 머리부(3)의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6a)과 일치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인공치아(14)내에서 상기 상부설치대(2)의 머리부(3)가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상에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인공치아(14)상으로부터 작용되는 측방교합력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상부설치대(2)의 나사부(5)와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과의 체결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20020063514A 2002-10-17 2002-10-17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054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514A KR100545853B1 (ko) 2002-10-17 2002-10-17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514A KR100545853B1 (ko) 2002-10-17 2002-10-17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030U Division KR200303350Y1 (ko) 2002-10-17 2002-10-17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874A KR20040034874A (ko) 2004-04-29
KR100545853B1 true KR100545853B1 (ko) 2006-01-31

Family

ID=3733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514A KR100545853B1 (ko) 2002-10-17 2002-10-17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8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75B1 (ko) 2009-02-06 2011-04-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지대주
KR101210671B1 (ko) 2011-04-19 2012-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CN111093557A (zh) * 2017-09-18 2020-05-01 奥齿泰有限责任公司 牙科用种植体组件及其制造方法
KR20200001794U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KR102598006B1 (ko) * 2023-03-06 2023-11-06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53B1 (ko) * 2005-02-15 2006-06-30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0807289B1 (ko) * 2006-12-15 2008-02-28 주식회사 덴티움 임플란트 조립체
KR101228449B1 (ko) * 2011-07-12 2013-02-01 (주)지르코리아덴탈랩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17179517A1 (ja) * 2016-04-12 2017-10-19 株式会社ナントー フィクスチャー、インプラント
KR102467910B1 (ko) * 2017-09-12 2022-11-16 주식회사 디오 보철결합용 스크류
KR102304407B1 (ko) * 2018-05-18 2021-09-17 주창민 임플란트용 스크류 및 임플란트용 스크류 제거 장비
KR101939215B1 (ko) * 2018-05-18 2019-01-16 주창민 임플란트용 스크류 및 임플란트용 스크류 제거 장비
KR102198233B1 (ko)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4B1 (ko)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7B1 (ko)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20230140056A (ko) 2022-03-29 2023-10-06 (주) 코웰메디 결합홈이 형성된 치아보철물
KR20230162851A (ko) 2022-05-20 2023-11-29 주식회사 덴티스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340A (en) * 1985-02-04 1986-03-11 Lustig Leopold P Precision dental restorative system
JPH0483313U (ko) * 1990-11-30 1992-07-20
JPH07116174A (ja) * 1993-10-26 1995-05-09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用の部材組み合わせ及び雄ネジ
US5829977A (en) * 1995-05-25 1998-11-03 Implant Innovations, Inc. Two-piece dental abutment
KR200231270Y1 (ko) * 2001-02-20 2001-07-03 장경삼 인공치근
KR200286847Y1 (ko) * 2002-05-16 2002-08-27 김만용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340A (en) * 1985-02-04 1986-03-11 Lustig Leopold P Precision dental restorative system
JPH0483313U (ko) * 1990-11-30 1992-07-20
JPH07116174A (ja) * 1993-10-26 1995-05-09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用の部材組み合わせ及び雄ネジ
US5829977A (en) * 1995-05-25 1998-11-03 Implant Innovations, Inc. Two-piece dental abutment
KR200231270Y1 (ko) * 2001-02-20 2001-07-03 장경삼 인공치근
KR200286847Y1 (ko) * 2002-05-16 2002-08-27 김만용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75B1 (ko) 2009-02-06 2011-04-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지대주
KR101210671B1 (ko) 2011-04-19 2012-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CN111093557A (zh) * 2017-09-18 2020-05-01 奥齿泰有限责任公司 牙科用种植体组件及其制造方法
KR20200001794U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93322Y1 (ko) * 2019-01-31 2021-03-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KR102598006B1 (ko) * 2023-03-06 2023-11-06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874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853B1 (ko)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0545852B1 (ko) 브리지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EP1581140B1 (en) Device comprising a fixture holder, a fixture and a dental screwing arrangement
US20100112522A1 (en) Mesh Plat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Having the Same
US4713003A (en) Fixture for attaching prosthesis to bone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JP2005528164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200854185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用の係止用キャップ
RU2005131720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ротеза с цементо-винтовой фиксацией, абатмент и имплантатный модуль для протеза с цементо-винтовой фиксацией
US20230263602A1 (en) Denture attachment
KR20200010977A (ko)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KR10131801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크라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03350Y1 (ko)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AU2011253908A1 (en) Improved screw head
KR200306037Y1 (ko)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스크류 풀림방지장치
WO2009007394A1 (en) A bridge support, a screw and a method
KR200303349Y1 (ko) 브리지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2353580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구조체
KR100839231B1 (ko) 테이퍼 핀으로 체결되는 임플란트 구조
KR100602798B1 (ko)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020095147A (ko)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스크류 풀림방지장치
KR100453728B1 (ko)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US5165892A (en) Neckless blade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