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94U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94U
KR20200001794U KR2020190000487U KR20190000487U KR20200001794U KR 20200001794 U KR20200001794 U KR 20200001794U KR 2020190000487 U KR2020190000487 U KR 2020190000487U KR 20190000487 U KR20190000487 U KR 20190000487U KR 20200001794 U KR20200001794 U KR 202000017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dental implant
fixture
rotation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322Y1 (ko
Inventor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2020190000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2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외벽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부가 마련되는 픽스츄어부와, 픽스츄어부에 연결되는 어버트먼트 몸체를 구비하며 보철물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보철물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부와,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고 결합홈의 측벽에 연결되어 보철물의 어버트먼트부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며 어버트먼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공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
본 고안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지대주가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한 구성품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단단한 고정을 위해 픽스츄어의 외벽 둘레에는 나선형으로 나사부가 마련된다.
상술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여 치과용 반영구적 임플란트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치과용 반영구적 임플란트는 대부분 치조골에 식립 후 2개월 내지 4개월 가량의 골융착(osseointegration)을 위한 치료기간을 요구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소정의 치료기간을 가지지 않고서 식립 후 즉시 기능을 시행하게 하더라도 치과용 반영구적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90%이상이라는 보고가 있지만, 실패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 그리고 환자의 고통으로 인한 신뢰감 상실 등의 불이익이 너무 크므로 실제로 이러한 치료기간을 갖는 게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료기간 동안에 환자는 무치악 상태로 지내게 되는데 환자의 입장에서는 기능적인 문제, 심미적인 문제, 그리고 발음상의 문제로 상당히 고통스러운 기간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치과용 반영구적 임플란트의 식립 후 치과용 반영구적 임플란트의 표면에 골융착이 완료되는 소정의 치료기간 동안에도 임시 보철물(예를 들어, 임시 틀니)을 통해 환자가 고형의 음식물을 편하게 씹을 수 있도록, 자연치를 뽑아낸 후 식립된 복수의 서로 인접한 치과용 반영구적 임플란트 사이에 소정의 지름을 갖는 임시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곧이어 이 임시 임플란트에 임시 보철물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023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고정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지대치부의 외형 단면이 원형으로서, 식립 시에는 지대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 내에 형성된 요홈에 체결용 렌치를 결합하여 식립한 뒤 지대치부의 외주면과 요홈에 접착용 시멘트를 도포 및 충진시켜 임시 보철물을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여러 가지 문제점이 가지고 있다.
첫째, 임시로 사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거를 위하여 임시보철물을 임플란트에서 분리하더라도 요홈에 접착용 시멘트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렌치를 요홈에 삽입할 수 없어 임플란트를 치조골로부터 제거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 임플란트의 식립 시에도 요홈에 대응되는 외형을 갖는 치과용 공구만이 사용가능하므로 사용가능한 치과용 공구의 형상이 제한된다.
셋째. 지대치부에 임시 보철물이 장착된 후에는 지대치부와 임시 보철물의 결합면이 회전에 유리한 원형 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혹 임시 보철물이 임플란트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283023호(2002.07.10.)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조골에 식립 및 치조골에서 제거 시 회전용 공구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장착된 보철물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벽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부가 마련되는 픽스츄어부; 상기 픽스츄어부에 연결되는 어버트먼트 몸체를 구비하며, 보철물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보철물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보철물의 상기 어버트먼트부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며, 상기 어버트먼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공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육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는, 상기 픽스츄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보철물에 마련된 걸림턱이 걸림결합되는 걸림 결합용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결합용 그루브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보철물의 상기 어버트먼트부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는 슬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부는,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며, 치은과 접촉되는 치은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은 접촉부는, 상기 픽스츄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은 접촉부는, 상기 걸림 결합용 그루브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은 접촉부는, 치은 접촉 본체; 및 상기 치은 접촉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픽스츄어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나사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의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식립 깊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부는, 외벽 둘레를 따라 상기 나사부가 마련된 픽스츄어 몸체; 및 상기 픽스츄어 몸체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는 커팅 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보철물의 결합홈의 측벽에 연결되어 보철물의 어버트먼트부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며, 어버트먼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공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치조골에 식립 및 치조골에서 제거 시 회전용 공구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장착된 보철물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잇몸에 식립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나사부가 제거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잇몸에 식립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서 나사부가 제거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1)는 피시술자에 식립되어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1)가 임시로 사용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는, 서로 인접하여 식립된 반영구적 픽스츄어(5) 사이에서 반영구적 픽스츄어(5)의 표면에 골융착이 완료되는 치료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식립되어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는 식립 직후 즉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임시 보철물(미도시)이 장착되면 바로 저작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기간이 지나 반영구적 픽스츄어(5)가 치조골에 골융착된 후 어버트먼트(미도시)를 어버트먼트 나사(미도시)를 통하여 반영구적 픽스츄어(5)에 결합시킨다. 이후, 어버트먼트(미도시)에 인공치관(미도시)을 결합하여야 할 때,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1)는 회전용 공구에 의해 환자의 잇몸(M)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1)는, 통상 순수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 또는 다른 인체 거부반응이 없는 금속이나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부(112)가 마련되는 픽스츄어부(110)와, 상기 픽스츄어부(110)에 연결되는 어버트먼트 몸체(121)를 구비하며 임시 보철물(미도시)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임시 보철물(미도시)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부(120)와, 어버트먼트 몸체(121)의 외측벽에 마련되고 결합홈(미도시)의 측벽에 연결되어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며 어버트먼트부(120)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공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픽스츄어부(110)는 치조골에 식립된다. 이러한 픽스츄어부(110)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봉 형상으로 마련되는 픽스츄어 몸체(111)와, 픽스츄어 몸체(111)의 외벽 둘레를 따라 마련된 나사부(112)를 포함한다.
픽스츄어 몸체(111)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픽스츄어 몸체(111)는 2.2mm, 2.6mm, 3.0mm 등의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사부(112)는 픽스츄어 몸체(111)의 외벽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홈(미도시)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1)는 임시 보철물(미도시)을 일정기간 유지한 뒤 제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치조골에의 식립 및 치조골에서의 제거가 용이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1)가 식립 및 제거 시에 적은 저항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픽스츄어 몸체(111)의 하단부 영역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픽스츄어부(110)의 하단부에는 치조골의 드릴 홈(미도시)에 삽입될 때 셀프 탭핑(tapping)을 위해 소정 길이로 가공된 커팅 에지부(113)가 마련된다. 이러한 커팅 에지부(113)는 픽스츄어 몸체(111)의 가상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커팅 에지부(113)는 픽스츄어 몸체(111) 및 나사부(112)가 소정 깊이로 절삭 가공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커팅 에지부(113)가 가공되어 있으나, 이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팅 에지부(113)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부(120)는 픽스츄어부(1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어버트먼트부(120)에는 임시 보철물(미도시)에 결합된다. 즉, 외측벽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된 어버트먼트부(120)를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결합홈(미도시)에 삽입하여 임시 보철물(미도시)을 어버트먼트부(120)에 장착한다.
이러한 어버트먼트부(120)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 몸체(111)에 연결되어 픽스츄어 몸체(111)와 일체로 마련되는 어버트먼트 몸체(121)와, 어버트먼트 몸체(121)의 외측벽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 걸림 결합용 그루브(140), 슬립부(150) 및 치은 접촉부(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 몸체(121)의 외측벽에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미도시)의 측벽에 연결되어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며 어버트먼트부(120)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공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가 마련된다.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에는 어버트먼트부(120)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공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는 어버트먼트 몸체(1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육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술한 형상을 가지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는, 픽스츄어부(110)를 치조골의 골조직 내에 식립할 때 결합되는 회전용 공구(예를 들어, 렌치 등)와 견고하고도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여 식립을 위한 회전력 전달이 용이하게 하며, 제거 시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또한,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는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한다. 즉, 픽스츄어부(110)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부(120)에 임시 보철물(미도시)이 장착되는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는 육각 형상의 각진 형상의 외형을 가지므로 임시 보철물(미도시)이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는 픽스츄어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가 픽스츄어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가 결합홈(미도시)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결합홈(미도시)의 크기에 따라 결합홈(미도시)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 몸체(121)의 외측벽에는, 도 2 내지 도 7에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보철물(미도시)에 마련된 걸림턱(미도시)이 걸림결합되는 걸림 결합용 그루브(140)가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 결합용 그루브(140)는, 도 7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 몸체(121)의 외측벽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되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결합용 그루브(140)는, 도 7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부(110)에서 어버트먼트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경사진 픽스츄어측 경사측벽(141)과, 픽스츄어측 경사측벽(141)에 연결되며 픽스츄어부(110)에서 어버트먼트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경사진 어버트먼트측 경사측벽(1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측 경사측벽(142)의 기울기(C1)가 픽스츄어측 경사측벽(141)의 기울기(C2)보다 더 크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측 경사측벽(142)의 기울기(C1)가 픽스츄어측 경사측벽(141)의 기울기(C2)보다 더 크게 마련됨으로써,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걸림턱(미도시)이 어버트먼트측 경사측벽(142)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걸림턱(미도시)이 걸림 결합용 그루브(14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 몸체(121)의 외측벽에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미도시)에 삽입되고 결합홈(미도시)의 측벽에 연결되어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는 슬립부(150)가 마련된다.
이러한 슬립부(150)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립부(150)는 결합홈(미도시)에 삽입되고 결합홈(미도시)의 측벽에 연결되어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한다.
이러한 슬립부(15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에 가까운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임시 보철물(미도시)이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 몸체(121)의 외측벽에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치은과 접촉되는 치은 접촉부(160)가 마련된다. 이러한 치은 접촉부(160)는 걸림 결합용 그루브(14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여기서 치은은 치조골을 감싸는 비교적 연한 조직으로 잇몸(gingiva)의 한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치은 접촉부(160)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부(1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치은 접촉부(160)가 픽스츄어부(1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피시술자의 이물감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치은 접촉부(160)는, 도 3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치은 접촉 본체(161)와, 치은 접촉 본체(161)에 연결되고 픽스츄어 몸체(111)의 상부에 배치되며 나사부(11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의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식립 깊이 조절부(162)를 포함한다.
치은 접촉 본체(161)와 식립 깊이 조절부(1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픽스츄어부(1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식립 깊이 조절부(162)는 나사부(112)의 외경의 크기보다 작은 외경의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식립 깊이 조절부(162)가 나사부(11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의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1)의 식립 과정에서 치은이 치과용 임플란트(1)의 회전을 방해하는 정도가 약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립 깊이 조절부(162)가 치은 접촉 본체(161)와 마찬가지로 픽스츄어부(1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1)의 식립과정에서 식립 깊이 조절부(162)가 치은에 접촉되어 치과용 임플란트(1)의 식립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1)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반영구적 픽스츄어(5)가 식립되어 있는 치조골에 드릴을 사용하여 소정의 드릴 홈(미도시)을 형성한다. 다음, 회전용 공구를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에 결합시킨 뒤 픽스츄어부(110)에 형성된 나사부(112)를 이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1)를 치조골에 식립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육각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치과용 공구(예를 들어, 렌치)와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가 잘 맞물리게 되며 회전용 공구(미도시)에 의한 회전력이 어버트먼트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픽스츄어부(110)에 전달된다.
이후, 어버트먼트부(120)의 외벽에 치과용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고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결합홈(미도시)에 어버트먼트부(120)를 삽입하여 임시 보철물(미도시)을 어버트먼트부(120)에 장착한다.
어버트먼트부(120)에 장착된 임시 보철물(미도시)은, 결합홈(미도시)의 측벽에 연결되며 육각 형상의 각진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와, 결합홈(미도시)의 측벽에 연결되며 사각 형상의 각진 외형을 가지는 슬립부(150)에 의해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한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치과용 임플란트(1)에 장착된 임시 보철물(미도시)을 통해 반영구적 픽스츄어(5)에 하중을 부가하지 않고서도 피시술자는 고형의 음식물을 즉시 씹어 먹을 수 있다.
한편, 반영구적 픽스츄어(5)의 골융합이 이루어지는 소정의 치료기간이 완료되면 피시술자에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트(1)는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는,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결합홈(미도시)의 측벽에 연결되어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어버트먼트부(120)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며, 어버트먼트부(120)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공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치조골에 식립 및 치조골에서 제거 시 회전용 공구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장착된 임시 보철물(미도시)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픽스츄어부 111: 픽스츄어 몸체
112: 나사부 113: 커팅 에지부
120: 어버트먼트부 121: 어버트먼트 몸체
130: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 140: 걸림 결합용 그루브
141: 픽스츄어측 경사측벽 142: 어버트먼트측 경사측벽
150: 슬립부 160: 치은 접촉부

Claims (12)

  1. 외벽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부가 마련되는 픽스츄어부;
    상기 픽스츄어부에 연결되는 어버트먼트 몸체를 구비하며, 보철물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보철물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보철물의 상기 어버트먼트부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며, 상기 어버트먼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공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육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는,
    상기 픽스츄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보철물에 마련된 걸림턱이 걸림결합되는 걸림 결합용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용 그루브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보철물의 상기 어버트먼트부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는 슬립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는,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저지 겸용 공구 결합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외측벽에 마련되며, 치은과 접촉되는 치은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 접촉부는,
    상기 픽스츄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 접촉부는,
    상기 걸림 결합용 그루브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 접촉부는,
    치은 접촉 본체; 및
    상기 치은 접촉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픽스츄어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나사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의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식립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부는,
    외벽 둘레를 따라 상기 나사부가 마련된 픽스츄어 몸체; 및
    상기 픽스츄어 몸체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는 커팅 에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190000487U 2019-01-31 2019-01-31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93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87U KR200493322Y1 (ko) 2019-01-31 2019-01-31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87U KR200493322Y1 (ko) 2019-01-31 2019-01-31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94U true KR20200001794U (ko) 2020-08-10
KR200493322Y1 KR200493322Y1 (ko) 2021-03-11

Family

ID=7203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87U KR200493322Y1 (ko) 2019-01-31 2019-01-31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2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023Y1 (ko) 2002-04-23 2002-07-25 장경삼 임시 임플란트
US6655962B1 (en) * 1999-08-17 2003-12-02 Nobel Biocare Usa, Inc. Immediate provisional implant
KR100545853B1 (ko) * 2002-10-17 2006-01-31 (주) 코웰메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1089069B1 (ko) * 2010-05-28 2011-12-05 주식회사 덴티스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KR101881421B1 (ko) * 2018-04-13 2018-07-24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180002942U (ko) * 2017-04-04 2018-10-15 디자인치과기공소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5962B1 (en) * 1999-08-17 2003-12-02 Nobel Biocare Usa, Inc. Immediate provisional implant
KR200283023Y1 (ko) 2002-04-23 2002-07-25 장경삼 임시 임플란트
KR100545853B1 (ko) * 2002-10-17 2006-01-31 (주) 코웰메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1089069B1 (ko) * 2010-05-28 2011-12-05 주식회사 덴티스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KR20180002942U (ko) * 2017-04-04 2018-10-15 디자인치과기공소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KR101881421B1 (ko) * 2018-04-13 2018-07-24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22Y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5962B1 (en) Immediate provisional implant
Hahn Single-stage, immediate loading, and flapless surgery
US5564921A (en) Method of forming an abutment post
EP0473262B1 (en) Dental implant collar and post system
JP3948749B2 (ja) 人工歯根用治療キャップ
Andersson et al. A new Brånemark single tooth abutment: handling and early clinical experiences.
US7341453B2 (en) Dental implant method and apparatus
JP4531569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US6325628B1 (en) Temporary implant components, system and method
US20030186187A1 (en) Positioning device for fitting implant-supported dental prostheses
US20030087217A1 (en) Dental implant method & apparatus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AU2002236309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US2017002063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AU2015311605B2 (en) A dental implant
KR200493322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20100120178A (ko) 유니버설 이행 지대주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230145309A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230158299A (ko) 크라운 제작방법
Chiche et al. 3i-Implant Innovations® system and aesthetic implant surgery: the rationale for selection
TWM519950U (zh) 牙植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