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023Y1 - 임시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임시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023Y1
KR200283023Y1 KR2020020012386U KR20020012386U KR200283023Y1 KR 200283023 Y1 KR200283023 Y1 KR 200283023Y1 KR 2020020012386 U KR2020020012386 U KR 2020020012386U KR 20020012386 U KR20020012386 U KR 20020012386U KR 200283023 Y1 KR200283023 Y1 KR 200283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implant
patient
pubis
perma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삼
Original Assignee
장경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삼 filed Critical 장경삼
Priority to KR2020020012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023Y1/ko

Links

Landscapes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임시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구 임플란트 매식 후 치골이 힐링(healing)되는 기간동안 임시 틀니를 통해 환자가 고형의 음식물을 편하게 씹을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 정상적인 영양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임시 틀니를 지지하며, 또한 치골의 힐링기간이 끝나게 되면 잇몸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임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환자의 잇몸(5) 및 치골(7)에 서로 인접하게 매설되고 나사부가 D의 외경을 갖는 다수의 영구 임플란트(1) 사이에 배치되어 영구 임플란트 매설에 따른 치골의 힐링기간 동안 임시 틀니(3)를 지지하는 임시 임플란트에 있어서, 환자의 잇몸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치골(7)에 매설되도록 선단이 중앙을 향하여 테이퍼 형성되고 0.4D∼0.48D의 직경을 갖는 나사부(10)와, 일단이 상기 나사부(10) 타단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20)와, 상기 연장부(20)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임시 틀니(3)가 고정 결합되는 상부가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역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요홈(31)이 형성된 헤드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시 임플란트{Temporary Implant}
본 고안은 임시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구 임플란트 매식 후 치골이 힐링(healing)되는 기간동안 임시 틀니를 통해 환자가 고형의 음식물을 편하게 씹을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 정상적인 영양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치골의 힐링기간이 끝나게 되면 잇몸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임시 임플란트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썩거나 파손된 자연치를 인공치로 대신하기 위해 잇몸에 영구 임플란트를 매식한 후, 인공치를 영구 임플란트에 결합하는 보철을 행하게된다.
한편 의사는 상기 영구 임플란트를 별도의 렌치와 같은 치공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골에 일정 깊이로 강제 매식 하는데, 이 경우 영구 임플란트는 시술 후 치골에 고정되는 고정력 등을 고려하여 보통 직경이 3.75m∼4mm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영구 임플란트 매식 후, 곧바로 인공치를 보철하지 못하고 상기 매식부위의 치골이 아물면서 영구 임플란트의 표면에 골 유착이 완료되는 소정의 힐링(healing) 기간을 거친 후 보철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힐링 기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금씩 상이하겠으나 대략 4개월 정도가 걸리며, 이 기간 동안 환자는 영구 임플란트가 안정적으로 치골에 고정되도록 고형의 음식물과 같이 씹어서 먹는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고 다만 죽 또는 우유와 같은 유동 음식물만 섭취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환자는 4개월이나 되는 긴 기간동안 유동 음식물만을 통해 자신의 신체에 영양공급을 해야만 하는데, 특히 기력이 쇠한 노인들의 경우 불균형한 영양공급으로 인해 영양실조에 걸리기 쉽고 심하면 환자가 사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영구 임플란트 매식후 치골이 힐링(healing)되는 기간동안 임시 틀니를 통해 환자가 고형의 음식물을 편하게 저작(詛嚼)할 수 있어 환자의 신체에 정상적인 영양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또한 치골의 힐링 완료 후에 잇몸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임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임시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임시 임플란트가 서로 인접한 영구 임플란트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영구 임플란트 3: 임시 틀니
5: 잇몸 7: 치골(齒骨)
10: 나사부 20: 연장부
30: 헤드부 31: 요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환자의 잇몸 및 치골에 서로 인접하게 매설되고 나사부가 D의 외경을 갖는 다수의 영구 임플란트 사이에 배치되어 영구 임플란트 매설에 따른 치골의 힐링기간 동안 임시 틀니를 지지하는 임시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잇몸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치골에 매설되도록 선단이 중앙을 향하여 테이퍼 형성되고 0.4D∼0.48D의 직경을 갖는 나사부와, 일단이 상기 나사부 타단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잇몸과 접촉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임시 틀니가 고정 결합되는 상부가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역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요홈이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자연치를 뽑아낸 후에 매설된 다수의 서로 인접한 영구 임플란트 사이에 소정의 지름을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를 매설한 후, 곧이어 임시 임플란트에 임시 틀니를 결합함에 따라, 치골의 힐링(healing) 기간동안 환자가 고형의 음식물을 편하게 씹을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 정상적인 영양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힐링 기간이 완료되면 간단하게 잇몸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임시 임플란트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임시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임시 임플란트가 서로 인접한 영구 임플란트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임시 임플란트(40)는 도 2와 같이 서로 인접한 다수의 영구 임플란트(1) 사이에 힐링기간 동안 임시 배치되도록 도 3과 같이 하부에 환자의 잇몸(5)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치골(7)에 매설되도록 선단이 중앙을 향하여 테이퍼 형성된 나사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영구 임플란트(1)의 나사부 외경은 대략 3.75mm∼4mm로 이루어지며 도 3과 같이 상기 서로 인접하여 매식된 영구 임플란트(1)간의 거리(L)는 7mm∼9mm이다.
이에 따라 상기 임시 임플란트(40)는 서로 인접 매설된 상기 영구 임플란트 사이(L)에 매설가능 하도록 그 외경은 1.6mm∼1.8mm로 상기 영구 임플란트(1)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영구 임플란트(1)의 나사부 외경을 D로 할 때 임시 임플란트(40)의 외경은 0.4D∼0.48D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임시 임플란트(40)의 외경이 1.6mm 이하이면 환자가 임시 틀니를 이용하여 고형의 음식물을 씹을 수 있을 정도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또한 1.8mm 이상이면 미리 잇몸에 매설되어 있는 서로 인접한 영구 임플란트 사이에 매설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 또한 소정의 임플란트 힐링기간을 거쳐야 하므로 임시 임플란트로서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임시 임플란트의 나사부(10) 상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0)는 나사부(10)의 외경과 유사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나사부(10)를 환자의 치골(7)에 결합 시 도 3과 같이 잇몸(5)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20) 상단에 연장 형성된 헤드부(30)는 상부가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역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30) 상단에는 임플란트 체결용 렌치(도시하지 않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잇몸에 임시 임플란트를 매설하기 위한 요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임시 틀니(3)는 상기 헤드부(3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헤드부(30) 외주 및 요홈(31)에 각각 접착용 시멘트를 도포 및 충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임시 임플란트(40)의 매식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구 임플란트 매식 후, 1.2mm∼1.4mm 직경의 드릴(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환자 잇몸의 서로 인접한 영구 임플란트(1) 사이에 1차 드릴링을 통해 소정의 홀(hole)을 형성한다.
이어서 1.6mm 직경의 드릴(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2차 드릴링을 통해 상기 홀의 직경을 확장시킨 후, 별도의 렌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임플란트(40)를 홀에 나사 결합시켜 매식한다.
그 후, 곧바로 상기 임시 임플란트(40)의 헤드부(30)의 외주 및 상기 요홈(31)에 접착용 시멘트를 도포 및 충진시켜 임시 틀니(3)를 헤드부(33)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환자는 상기 임시 틀니(3)를 이용하여 고형의 음식물을 씹어 먹을 수 있으며, 치골의 힐링 기간이 완료되면 치과용 공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잇몸으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자연치를 뽑아낸 후에 매설된 다수의 서로 인접한 영구 임플란트 사이에 소정의 지름을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를 매설한 후, 곧이어 임시 임플란트에 임시 틀니를 결합함에 따라, 치골의 힐링(healing) 기간동안 환자가 고형의 음식물을 편하게 씹을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 정상적인 영양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힐링 기간이 완료되면 간단하게 잇몸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환자의 잇몸(5) 및 치골(7)에 서로 인접하게 매설되고 나사부가 D의 외경을 갖는 다수의 영구 임플란트(1) 사이에 배치되어 영구 임플란트 매설에 따른 치골의 힐링기간 동안 임시 틀니(3)를 지지하는 임시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잇몸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치골(7)에 매설되도록 선단이 중앙을 향하여 테이퍼 형성되고 상기 영구 임플란트의 직경에 대하여 0.4D∼0.48D의 직경을 갖는 나사부(10)와,
    일단이 상기 나사부(10) 타단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잇몸과 접촉되는 연장부(20)와,
    상기 연장부(20)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임시 틀니(3)가 고정 결합되는 상부가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역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요홈(31)이 형성된 헤드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임플란트.
KR2020020012386U 2002-04-23 2002-04-23 임시 임플란트 KR200283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86U KR200283023Y1 (ko) 2002-04-23 2002-04-23 임시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86U KR200283023Y1 (ko) 2002-04-23 2002-04-23 임시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023Y1 true KR200283023Y1 (ko) 2002-07-25

Family

ID=7312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386U KR200283023Y1 (ko) 2002-04-23 2002-04-23 임시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0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852B1 (ko) * 2002-10-17 2006-01-31 (주) 코웰메디 브리지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200001794U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852B1 (ko) * 2002-10-17 2006-01-31 (주) 코웰메디 브리지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200001794U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93322Y1 (ko) 2019-01-31 2021-03-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720B1 (en) Dental implant system
EP0967931B1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for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US6039568A (en) Tooth shaped dental implants
US5984681A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ing
US6840770B2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US5989028A (en) Non-submergible, one-part, root-form endosseous dental implants
US7708559B2 (en) Dental implant system
US7780447B2 (en) Dental implant system
US20050214714A1 (en) Dental implant system
US20110020767A1 (en) Implant with internal multi-lobed interlock
WO2008120877A1 (en) Dental implant apparatus
KR20060135786A (ko) 뼈에 사용하기 위한 앵커링 요소
KR19990082264A (ko) 치료 접합부와 의치본 코핑이 조합된 융기 프로파일 시스템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US5102336A (en) Neckless blade implant
US20030124487A1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US20050260541A1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KR200283023Y1 (ko) 임시 임플란트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20050078806A (ko) 임시 임플란트
KR100372093B1 (ko) 루우트 스크류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74841Y1 (ko) 치과용 인공 치아 시스템
KR200350464Y1 (ko) 임시 임플란트
JPH0761341B2 (ja) 骨組織に錨止するための錨止部材
RU2118136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дивад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