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299A - 크라운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크라운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299A
KR20230158299A KR1020220057875A KR20220057875A KR20230158299A KR 20230158299 A KR20230158299 A KR 20230158299A KR 1020220057875 A KR1020220057875 A KR 1020220057875A KR 20220057875 A KR20220057875 A KR 20220057875A KR 20230158299 A KR20230158299 A KR 20230158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hole
end mill
milling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니스
Priority to KR102022005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299A/ko
Publication of KR2023015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작방법은, 크라운의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 직경이 변하는 직선형 관통공을 형성하는 크라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의 하측 및 상측에서 볼 엔드 밀을 사용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플랫 엔드 밀을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라운 제작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본 발명은 크라운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임플란트의 크라운에 어버트먼트와 스크루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을 형성하는 크라운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임플란트 시술은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齒根)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는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뼈, 즉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매식하는 수술과정과, 심겨진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연결하여 인공 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쳐(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쳐 상부에 마운트(mount)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쳐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쳐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쳐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픽스쳐의 상부에 덮개 나사(cover screw)를 체결하여 픽스쳐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
덮개 나사는 픽스쳐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쳐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쳐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를 픽스쳐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시술법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을 픽스쳐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아를 기공한 후 픽스쳐 상부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지대주에 보철물 즉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한다.
그런데, 어버트먼트에 인공 치아인 보철물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멘트(cement) 접착 방식과 스크루 체결 방식이 있다.
시멘트 접착 방식의 경우 사후 보정이 필요한 경우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68410호에는 스크루 체결 방식으로 보철물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락킹 링크)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락킹 링크는 보철물에 결합부를 삽입할 때 억지끼움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보철물에 개재되는 락킹 링크의 결합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하되 복수의 세로 절개홈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가로방향의 요홈을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스크루 체결 방식의 어버트먼트에 장착되는 보철물은 내부에 어버트먼트와 스크루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어버트먼트와 스크루의 결합 구조가 복잡할수록 그 결합물의 외형에 따라 보철물에 단차진 형상의 관통공을 단순한 드릴링 또는 밀링에 의해 형성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관통공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직선형의 드릴 날이 닿지 않는 부위가 생겨서 복잡한 형태의 관통공을 정밀하게 가공하기가 더욱 어려웠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68410호
본 발명은 스크루 체결 방식으로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에 복잡한 형태의 관통공을 쉽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크라운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작방법은, 크라운의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 직경이 변하는 직선형 관통공을 형성하는 크라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의 하측 및 상측에서 볼 엔드 밀을 사용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플랫 엔드 밀을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차진 모서리 부위는 측면과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작방법은, 크라운의 내부에 중심이 절곡된 앵글형 관통공을 형성하는 크라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의 하측 및 상측에서 볼 엔드 밀을 사용하여 앵글형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플랫 엔드 밀을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 및 T 컷 툴을 사용하여 상기 볼 엔드 밀이 진입되지 않는 상기 앵글형 관통공의 내주면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차진 모서리 부위는 측면과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T 컷 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앵글형 관통공의 내주면 부위에는 스크루의 머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크라운 제작방법에 의하면, 스크루 체결 방식으로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에 복잡한 형태의 관통공을 쉽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볼 엔드 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플랫 엔드 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T 컷 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직선형 크라운의 관통공 가공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앵글형 크라운의 관통공 가공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크라운은 스크루 체결 방식으로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으로서, 관통공의 가상의 중심선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직선형 크라운(100)이다.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픽스쳐(미도시)와,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 어버트먼트(120)와,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링크(130)와, 베이스 어버트먼트 및 링크에 결합되는 크라운(100)과, 크라운 및 링크를 통과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체결되는 스크루(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쳐는 치조골에 매립되는 인공 치근으로서, 이 픽스쳐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의 내주면 나사부에는 베이스 어버트먼트(120)의 하단 외주면 나사부가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 어버트먼트(120)는 하단 외주면 나사부 위쪽으로 하부 외주면 윤곽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외주면 윤곽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와 하부의 경계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장자리부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크라운(10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어버트먼트(120)의 상부 중심부에는 중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홀의 하부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스크루(140)가 체결될 수 있고, 중심홀의 상부에는 링크(13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다각홈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130)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스크루(140)가 통과하는 중심홀과,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어버트먼트(120)의 다각홈에 장착되는 하부의 식립부와, 중간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어버트먼트(120)의 상면에 지지되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루(140)는 머리부와 중간부와 하단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는 중간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머리부의 하단부는 중간부까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의 상면에는 렌치로 돌릴 수 있는 육각홈이 형성되거나,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는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고, 나사부는 하단부 외주면에만 형성되어 베이스 어버트먼트(120)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다.
크라운(100)은 치아와 같은 외형을 가지되, 중심부에 수평 단면이 원형인 관통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0)은 가상의 중심선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직선형 관통공이다. 구체적으로, 관통공(110)은 스크루(140)의 머리부와 중간부 일부, 링크(130)의 상부 포스트부, 베이스 어버트먼트(120)의 상부 외형에 일치하는 내주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선형 관통공(1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 엔드 밀(300)과 플랫 엔드 밀(400)을 사용하여 드릴링 또는 밀링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크라운(100)은 지르코니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크라운은 스크루 체결 방식으로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으로서, 관통공의 가상의 중심선이 중간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앵글형 크라운(200)이다.
치아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픽스쳐(미도시)와,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와,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링크(230)와, 베이스 어버트먼트 및 링크에 결합되는 크라운(200)과, 크라운 및 링크를 통과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체결되는 스크루(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쳐는 치조골에 매립되는 인공 치근으로서, 이 픽스쳐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의 내주면 나사부에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의 하단 외주면 나사부가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 어버트먼트(220)는 하단 외주면 나사부 위쪽으로 하부 외주면 윤곽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외주면 윤곽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와 하부의 경계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장자리부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크라운(10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의 상부 중심부에는 중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홀의 하부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스크루(240)가 체결될 수 있고, 중심홀의 상부에는 링크(23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다각홈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230)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스크루(240)가 통과하는 중심홀과,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의 다각홈에 장착되는 하부의 식립부와, 중간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의 상면에 지지되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루(240)는 머리부와 중간부와 하단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는 중간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머리부의 하단부는 중간부까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의 상면에는 렌치로 돌릴 수 있는 육각홈이 형성되거나,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는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고, 나사부는 하단부 외주면에만 형성되어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다.
크라운(200)은 치아와 같은 외형을 가지되, 중심부에 수평 단면이 원형인 관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0)은 가상의 중심선이 중간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앵글형 관통공이다. 구체적으로, 관통공(210)의 하부는 스크루(240)의 머리부와 중간부 일부, 링크(230)의 상부 포스트부,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의 상부 외형에 일치하는 내주면 형태로 형성되고, 관통공(210)의 상부는 크라운(200)의 상부 일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앵글형 관통공(2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 엔드 밀(300)과 플랫 엔드 밀(400)과 T 컷 툴(500)을 사용하여 드릴링 또는 밀링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크라운(200)은 지르코니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볼 엔드 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볼 엔드 밀(Ball end mill, 300)은 드릴 날의 상단부 윤곽이 타원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볼 엔드 밀(300)은 밀링 머신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하부와, 작은 직경을 가지고 초경 합금 소재로 성형된 드릴 날을 구비하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엔드 밀(300)은 밀링 머신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직선형 관통공(110)과 앵글형 관통공(210)에서 90도로 절곡된 모서리 내측 부위를 제외한 대략적인 내주면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플랫 엔드 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랫 엔드 밀(Flat end mill, 400)은 드릴 날의 상단부 윤곽이 상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면 테두리와 측면 사이가 90도 미만의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랫 엔드 밀(400)은 밀링 머신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하부와, 작은 직경을 가지고 초경 합금 소재로 성형된 드릴 날을 구비하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엔드 밀(400)은 밀링 머신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직선형 관통공(110)과 앵글형 관통공(210)에서 90도로 절곡된 모서리 내측 부위를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T 컷 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T 컷 툴(T cut tool, 500)은 드릴 날의 상단부가 대략 十자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단부가 T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T 컷 툴(500)은 밀링 머신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하부와, 작은 직경을 가지고 초경 합금 소재로 성형된 드릴 날을 구비하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T 컷 툴(500)은 밀링 머신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앵글형 크라운(200)의 앵글형 관통공(210) 내주면 중에서 볼 엔드 밀(300)이 닿지 않는 절곡된 부위 바로 아래 부위를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직선형 크라운의 관통공 가공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작방법은, 크라운(100)의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 직경이 변하는 직선형 관통공(110)을 형성하는 크라운 제작방법에 있어서, 크라운(100)의 하측 및 상측에서 볼 엔드 밀(300)을 사용하여 관통공(110)을 형성하는 단계와, 플랫 엔드 밀(400)을 사용하여 관통공(110)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지르코니아 소재로 치아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고 하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속이 꽉찬 크라운(1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크라운(100)은 예를 들어 어금니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볼 엔드 밀(300)을 사용하여 크라운(100)의 중심부에 직경이 변하고 단차부를 포함하는 직선형 관통공(110)을 대략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직선형 관통공(110) 중에서 볼 엔드 밀(300)에 의해 밀링되는 부위가 흰 바탕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수평한 점선 아래의 관통공(110) 부위는 크라운(100)의 아래에서 위로 볼 엔드 밀(300)을 밀어올리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도 6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관통공(110)의 내주면 하부 중 수직면, 수평면, 경사면 등을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평면과 수직면이 90도 각도로 만나는 오목한 모서리 부위는 도 6에서 해칭된 부위와 같이 남게 된다.
한편, 베이스 어버트먼트(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평한 플랜지부(마진: margin)와 접촉하는 크라운(100)의 수평한 하면도 볼 엔드 밀(300)에 의해 밀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통 저작 운동에서 교합력으로 인한 하중은 상하방향으로 가해지고, 장기간 반복될 경우 크라운(100)이 교합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절될 수 있다. 특히, 물성적으로 탄성이 거의 없는 지르코니아 소재의 특성상, 형상의 변형 없이 바로 파절되어 2차 위험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방으로 향하는 교합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고, 크라운(100)과 베이스 어버트먼트(120)가 접하는 면적을 넓혀서 교합 하중에 의한 압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라운(100)과 베이스 어버트먼트(120)가 접하는 마진 부분을 플랫하게 밀링함으로써, 저작 운동으로 인한 파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평한 점선 위의 관통공(110) 부위는 크라운(100)의 위에서 아래로 볼 엔드 밀(300)을 내리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도 6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관통공(110)의 내주면 상부 중 수직면, 경사면 등을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직면과 경사면이 약 135도의 각도로 만나는 모서리 내측 부위는 볼 엔드 밀(300)만으로도 충분히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 엔드 밀(400)을 사용하여 관통공(110)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내측 부위를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6의 단면도에서 볼 엔드 밀(300)에 의해 형성할 수 없어서 남게 된 해칭 부위를 플랫 엔드 밀(400)을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플랫 엔드 밀(400)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가 바로 플랫 엔드 밀 밀링 부위(114)로 표시되어 있다.
단차진 모서리 부위는 측면과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단면도에서 내주면 일측부를 기준으로 수평면과 수직면이 90도로 직교하는 오목한 모서리 부위가 3군데 형성되어 있다. 플랫 엔드 밀(400) 드릴 날의 납작한 상면과 측면을 사용해서, 직교하는 평면과 곡면 사이의 내측 모서리 부위를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앵글형 크라운의 관통공 가공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작방법은, 크라운(200)의 내부에 중심이 절곡된 앵글형 관통공(210)을 형성하는 크라운 제작방법에 있어서, 크라운(200)의 하측 및 상측에서 볼 엔드 밀(300)을 사용하여 앵글형 관통공(210)을 형성하는 단계와, 플랫 엔드 밀(400)을 사용하여 관통공(210)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와, T 컷 툴(500)을 사용하여 볼 엔드 밀(300)이 진입되지 않는 앵글형 관통공의 내주면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지르코니아 소재로 치아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고 하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속이 꽉찬 크라운(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크라운(200)은 예를 들어 송곳니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볼 엔드 밀(300)을 사용하여 크라운(200)의 중심부에 직경이 변하고 단차부를 포함하는 앵글형 관통공(210)을 대략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서 앵글형 관통공(210) 중에서 볼 엔드 밀(300)에 의해 밀링되는 부위가 흰 바탕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수평한 점선 아래의 관통공(210) 부위는 크라운(200)의 아래에서 위로 볼 엔드 밀(300)을 밀어올리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도 7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관통공(210)의 내주면 하부 중 수직면, 수평면, 경사면 등을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평면과 수직면이 90도 각도로 만나는 오목한 모서리 부위는 도 7에서 해칭된 부위와 같이 남게 된다. 그리고, 수평한 점선 위에 경사진 관통공과 만나는 부위도 볼 엔드 밀(300)을 크라운(200)의 아래에서 위로 밀어올리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평한 플랜지부(마진: margin)와 접촉하는 크라운(200)의 수평한 하면도 볼 엔드 밀(300)에 의해 밀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통 저작 운동에서 교합력으로 인한 하중은 상하방향으로 가해지고, 장기간 반복될 경우 크라운(200)이 교합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절될 수 있다. 특히, 물성적으로 탄성이 거의 없는 지르코니아 소재의 특성상, 형상의 변형 없이 바로 파절되어 2차 위험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방으로 향하는 교합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고, 크라운(200)과 베이스 어버트먼트(220)가 접하는 면적을 넓혀서 교합 하중에 의한 압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라운(200)과 베이스 어버트먼트(220)가 접하는 마진 부분을 플랫하게 밀링함으로써, 저작 운동으로 인한 파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평한 점선 위의 경사진 관통공(210) 부위는 크라운(200)의 상측방에서 아래로 볼 엔드 밀(300)을 경사지게 내리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도 7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관통공(110)의 내주면 상부 중 경사면 등을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직면과 경사면이 약 135도의 각도로 만나는 모서리 내측 부위는 볼 엔드 밀(300)만으로도 충분히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 엔드 밀(400)을 사용하여 관통공(210)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내측 부위를 밀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7의 단면도에서 볼 엔드 밀(300)에 의해 형성할 수 없어서 남게 된 해칭 부위를 플랫 엔드 밀(400)을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플랫 엔드 밀(400)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가 바로 플랫 엔드 밀 밀링 부위(214)로 표시되어 있다.
단차진 모서리 부위는 측면과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단면도에서 내주면 일측부를 기준으로 수평면과 수직면이 90도로 직교하는 오목한 모서리 부위가 3군데 형성되어 있다. 플랫 엔드 밀(400) 드릴 날의 납작한 상면과 측면을 사용해서, 직교하는 평면과 곡면 사이의 내측 모서리 부위를 밀링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앵글형 관통공(210)의 내주면 중 수평한 점선 위와 경사진 관통공의 하단 사이 부위를 T 컷 툴(500)을 사용하여 밀링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때, T 컷 툴(500)은 앵글형 관통공(210)의 아래에서 위로 삽입하여 밀링함으로써, T 컷 툴 밀링 부위(215)를 형성할 수 있다. T 컷 툴 밀링 부위(215)는 상단 높이가 달라져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T 컷 툴(500)을 움직일 때 위치에 따라 승강 높이도 변화되도록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T 컷 툴(500)에 의해 형성되는 앵글형 관통공(210)의 내주면 부위에는 스크루(240)의 머리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컷 툴 밀링 부위(215)에는 스크루(240)를 앵글형 관통공(210)의 상측에서 삽입하여 링크(230)를 통과해서 베이스 어버트먼트(220)에 체결할 수 있다. 스크루(240)를 조일 때에는 앵글형 관통공(210)의 상측으로 앵글형 렌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앵글형 관통공(210)의 상단 개구부는 스크루(240) 조립 후에 크라운과 같은 소재로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라운 제작방법에 의하면, 스크루 체결 방식으로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에 복잡한 형태의 관통공을 쉽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직선형 크라운
110: 직선형 관통공
114: 플랫 엔드 밀 밀링 부위
120: 베이스 어버트먼트
130: 링크
140: 스크루
200: 앵글형 크라운
210: 앵글형 관통공
214: 플랫 엔드 밀 밀링 부위
215: T 컷 툴 밀링 부위
220: 베이스 어버트먼트
230: 링크
240: 스크루
300: 볼 엔드 밀
400: 플랫 엔드 밀
500: T 컷 툴

Claims (5)

  1. 크라운의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 직경이 변하는 직선형 관통공을 형성하는 크라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의 하측 및 상측에서 볼 엔드 밀을 사용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플랫 엔드 밀을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운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모서리 부위는 측면과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작방법.
  3. 크라운의 내부에 중심이 절곡된 앵글형 관통공을 형성하는 크라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의 하측 및 상측에서 볼 엔드 밀을 사용하여 앵글형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플랫 엔드 밀을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중 단차진 모서리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 및
    T 컷 툴을 사용하여 상기 볼 엔드 밀이 진입되지 않는 상기 앵글형 관통공의 내주면 부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운 제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모서리 부위는 측면과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 컷 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앵글형 관통공의 내주면 부위에는 스크루의 머리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작방법.
KR1020220057875A 2022-05-11 2022-05-11 크라운 제작방법 KR20230158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75A KR20230158299A (ko) 2022-05-11 2022-05-11 크라운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75A KR20230158299A (ko) 2022-05-11 2022-05-11 크라운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299A true KR20230158299A (ko) 2023-11-20

Family

ID=8897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875A KR20230158299A (ko) 2022-05-11 2022-05-11 크라운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2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410B1 (ko) 2017-01-18 2017-08-17 박건제 상부 보철물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형 락킹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상부 보철물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410B1 (ko) 2017-01-18 2017-08-17 박건제 상부 보철물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형 락킹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상부 보철물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JP4531569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10048439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US20020039718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additional methods of attachment
US6733291B1 (en) Implant with internal multi-lobed interlock
US5419702A (en) Dental restoration on artificial root fixtures
EP2699194B1 (en) Healing abutment system for bone contouring
US6325628B1 (en) Temporary implant components, system and method
CA2766927C (en) Modified asymmetrical dental implant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US20150044635A1 (en) Abut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core crowns manufactured at various angles and functioning as a healing abutment having a cap attached thereto,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rostheses using the abutment, and method for implant surgery using the abutment
US20030031981A1 (en) Prosthetic implant
ES2325954T3 (es) Sistema de implante dental.
CN103550002A (zh) 人工牙基台、人工牙多件式种植体系统及种植方法
US20240024081A1 (en) Abutment and healing cuff device for dental implant
KR102369161B1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USRE36126E (en) Dental restoration on artificial root fixtures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EP3067012B1 (en)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 dental prosthesis, and custom dental prosthesis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230158299A (ko) 크라운 제작방법
EP3291759B1 (en) Dental implant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