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756B1 -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756B1
KR101923756B1 KR1020140029850A KR20140029850A KR101923756B1 KR 101923756 B1 KR101923756 B1 KR 101923756B1 KR 1020140029850 A KR1020140029850 A KR 1020140029850A KR 20140029850 A KR20140029850 A KR 20140029850A KR 101923756 B1 KR101923756 B1 KR 10192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ion
transmitting
intensity
sola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275A (ko
Inventor
히로시 마키노
고지 하야시데
마타이치 구라타
히로유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91Intrusion detection systems, i.e. where the body of an intruder causes the interference with the electromagnetic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과제) 전지 용량 및 솔라 패널의 발전 용량의 소형을 유지하면서, 장거리 검출을 실현할 수 있는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검출 유닛 (3) 의 수신부 (2) 는 적외선의 수신 (수광) 레벨을 송신부 (1) 에 송신하는 송신기 (30) 와, 수신 레벨이 미리 정한 규정값이 되도록 송신 적외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요구 신호 (M) 를 송신부 (1) 에 송신하는 요구 신호 출력부 (6) 를 가지며, 송신부 (1) 는 요구 신호 (M) 를 받아, 수신 레벨이 규정값이 되도록 송신 적외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적외선 (검지선) 강도 제어 수단 (15) 을 갖는다. 또, 전원 유닛 (31) 은 솔라 패널과 그 전력을 축전하는 충전 매체를 갖는 솔라 배터리 유닛이다.

Description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SOLAR BATTERY-DRIVEN OBJECT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송신부와 수신부를 갖는 검출 유닛을 솔라 배터리 유닛으로 구동시켜,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검지선을 수신부에서 항상 수신하고, 이 검지선을 물체가 차단했을 때 물체를 검출하는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투광부와 같은 송신부와 수광부와 같은 수신부를 검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시켜 배치한 검출 유닛을 가지며, 투광부로부터 투광하는 적외선 (IR) 과 같은 검지선을 수광부에서 항상 수광하고, 이 적외선을 검출 영역 내에서 물체가 차단했을 때 물체를 검출하는 물체 검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물체 검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물체를 검출하여 경보를 발하는 방범용 센서에 사용된다.
최근, 저소비 전력화나 배선 공사의 수고를 줄이거나 하기 위해, 검출 유닛에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이 많아지고 있다. 이 전원 유닛으로서, 예를 들어 태양광을 이용한 솔라 패널과 그 전력을 축전하는 2 차 전지를 갖는 솔라 배터리 유닛을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61157호
그러나, 종래의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에서는, 검출 거리를 길게 하려고 하면, 검지선의 강도 증가로 인한 소비 전력의 증가에 수반하여 대용량의 전지가 필요해져, 조합하는 솔라 패널이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 경우, 시스템이 대형화됨과 함께 고비용화된다. 한편, 솔라 패널을 소형화하면, 충분한 전지 용량을 확보할 수 없고, 소비 전력도 작아지게 되므로, 검출 거리가 짧아져 장거리 검출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지 용량 및 솔라 패널의 발전 용량의 소형을 유지하면서, 장거리 검출을 실현할 수 있는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구성에 관련된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은, 검출 영역에 검지선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검지선을 수신하고, 상기 검출 영역에 있어서의 물체의 검지선 차단에 의해 물체를 검출하는 수신부를 갖는 검출 유닛과, 상기 검출 유닛에 급전하는 전원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는 검지선의 수신 레벨을 송신부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수신 레벨이 미리 정한 규정값이 되도록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부에 송신하는 요구 신호 출력부를 가지며, 송신부는 상기 요구 신호를 받아, 상기 수신 레벨이 규정값이 되도록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검지선 강도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원 유닛은 솔라 패널과 그 전력을 축전하는 충전 매체를 갖는 솔라 배터리 유닛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부는 수신 레벨이 규정값이 되도록 수신부로부터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요구 신호를 받았을 때,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제어하므로, 예를 들어 일시적인 안개나 비 등의 악환경 상태에서는, 송신 검지선의 강도가 감쇠되어 수신 레벨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 만큼 강도를 높게 제어하고, 대부분의 시간의 통상적인 환경 상태에서는, 송신 검지선의 강도가 감쇠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전원 유닛의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또, 전원 유닛이 솔라 패널과 그 전력을 축전하는 2 차 전지와 같은 충전 매체를 갖는 솔라 배터리 유닛이므로, 상기 소비 전력의 저감에 의해 솔라 패널을 소형화하여 전지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솔라 배터리 유닛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전지 용량 및 솔라 패널의 발전 용량의 소형을 유지하면서, 장거리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거리 검출이라도 소형 솔라 배터리 유닛에 의한 사용을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구 신호 출력부에 대하여, 상기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설정하는 강도 수동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검출 거리에 따라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용이하게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관련된 방범용 센서는, 상기한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을 구비하고, 물체를 검출했을 때 경보를 발한다. 이로써, 옥외에서의 전원 확보가 용이해져, 전지 용량 및 솔라 패널의 발전 용량의 소형을 유지하면서, 장거리 검출 (경계) 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거리 검출이라도 소형 솔라 배터리 유닛에 의한 사용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원 유닛으로서 솔라 배터리 유닛을 사용하고, 송신부는 수신 레벨이 규정값이 되도록 수신부로부터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요구 신호를 받았을 때,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제어하므로, 전원 유닛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지 용량 및 솔라 패널의 발전 용량의 소형을 유지하면서, 장거리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동 시스템의 전지인 솔라 배터리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솔라 배터리 유닛의 일부 파단된 부분 분해도이다.
도 5 는 솔라 배터리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과 같이, 이 물체 검출 시스템은, 검출 (경계) 영역 (D) 에 적외선 빔 (IR) 과 같은 검지선을 투광하는 투광부와 같은 송신부 (1), 및 투광된 적외선 빔 (IR) 을 수광하고, 검출 영역 (D) 에 있어서의 물체의 적외선 차단에 의해 물체를 검출하는 수광부와 같은 수신부 (2) 를 갖는 검출 유닛 (3) 과, 검출 유닛 (3) 에 급전하는 전원 유닛인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검출 유닛 (3) 은 AIR 형 (능동형) 이며, 이 물체 검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옥외에 설치되어, 물체를 검출했을 때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방범용 센서에 사용된다.
투광부 (1) 는 폴 (P) 이나 벽 등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9) 와, 이 베이스 (9) 를 덮는 커버 (10) 를 가지며, 수광부 (2) 도 마찬가지로 베이스 (19) 와, 이 베이스 (19) 를 덮는 커버 (20) 를 갖고 있다.
도 2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투광부 (1) 는, 투광기 (11) 가 도시되지 않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등의 투광 소자와, 투광하는 적외선 빔 (IR) 을 형성하기 위한 투광 렌즈 또는 반사 미러와 같은 투광측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투광 소자가 투광기 구동 회로 (12) 에 의해 소정 주파수로 발광 구동되어, 펄스 변조광으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빔 (IR) 을 투광기 (11) 의 전면 (前面) 을 덮는 커버 (10)(도 1) 를 통하여 투광된다. 이 예에서는, 투광기 (11) 는 예를 들어 상하 1 쌍의 투광 소자 및 투광측 광학계를 가지며, 수광기 (21) 는 상하 1 쌍의 수광 소자 및 수광측 광학계를 갖는다.
투광부 (1) 에는 또한, 후술하는 수광 레벨 표시 신호를 무선 신호 (r) 에 의해 수신하는 수신기 (13) 와, 수광 레벨이 미리 정한 규정값이 되도록 투광기 구동 회로 (12) 를 제어하여 투광기 (11) 로부터의 투광 적외선의 강도 (투광 파워) 를 자동적으로 증감 제어하는 적외선 (검지선) 강도 제어 수단 (적외선 강도 제어 회로)(15) 이 형성되어 있다. 적외선 강도 제어 수단 (15) 은, 수동에 의한 투광 파워의 조정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의 베이스 (9) 에는, 투광기 (11), 투광기 구동 회로 (12), 수신기 (13) 및 적외선 강도 제어 수단 (15) 의 회로 요소가 장착되고, 이 회로 요소가 커버 (10) 에 의해 덮여 있다.
한편, 도 2 의 수광부 (2) 는, 수광기 (21) 가 도시되지 않은 수광 렌즈 또는 집광 미러와 같은 수광측 광학계와, 포토 다이오드 등의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광 소자가 수광기 (2) 의 전면을 덮는 커버 (20)(도 1) 를 통하여 입사된 적외선 빔 (IR) 을 수광하고, 그 수광량에 따른 수광량 신호 (A) 를 출력한다.
이 수광량 신호 (A) 는, 증폭기 (22) 에 의해 증폭되어 검파기 (23) 에 입력되고, 미광 (迷光) 성분을 제거한 펄스 변조광의 레벨에 따른 신호 (B) 가 출력된다. 한편, 수광량 신호 (A) 는, 수광 레벨·노이즈 검출 회로 (24) 에 입력되어, 신호가 수광 레벨인지 노이즈인지가 검출됨과 함께, 수광 레벨의 신호가 기준 전압 설정 회로 (25) 에 입력된다. 검파기 (23) 로부터의 출력 신호 (B) 는, 기준 전압 설정 회로 (25) 에서 설정되는 기준 전압 (Vref) 과 비교기 (27) 에 의해 비교되어, 기준 전압 (Vref) 보다 높은 레벨의 신호 (B) 만이 판별 회로 (28) 에 출력된다. 판별 회로 (28) 에서는, 신호 (B) 가 미리 설정된 불법 침입자 검지 레벨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별되어, 상기 검지 레벨 이하일 때 검지 신호 (C) 가 경보 회로 (25) 에 출력되고, 경보 회로 (25) 로부터 경보 신호가 출력되어, 검출 (경계) 영역 (D) 내에 불법 침입자가 있는 것을 알린다.
수광부 (2) 는, 추가로 상기 수광 레벨·노이즈 검출 회로 (24) 에서 검출된 수광 레벨이 미리 정한 규정값이 되도록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요구 신호 (M) 를 송신기 (30) 로부터 투광부 (1) 로 송신하는 요구 신호 출력부 (26) 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기 (30) 는, 이 요구 신호 (M) 및 수광 레벨을 무선 신호 (r) 로 수신기 (13) 에 송신한다. 투광부 (1) 은, 수광부 (2) 로부터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요구 신호 (M) 를 수신기 (13) 에 수신했을 때, 수광 레벨이 규정값이 되도록 상기 적외선 강도 제어 수단 (15) 에 의해 투광기 구동 회로 (12) 를 구동시켜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도 1 의 베이스 (19) 에는, 수광기 (21), 증폭기 (22), 검파기 (23), 수광 레벨·노이즈 검출 회로 (24), 기준 전압 설정 회로 (25), 요구 신호 출력부 (26), 비교기 (27), 판별 회로 (28), 경보 회로 (29) 및 송신기 (30) 의 회로 요소가 장착되고, 이 회로 요소가 커버 (20) 에 의해 덮여 있다.
그런데, 물체 검출 시스템에서는, 설치 장소의 환경 조건이 악화되어도 검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검지 감도의 감도 여유를 설정하고 있다. 상기 적외선 강도 제어 수단 (15) 은, 이 감도 여유를 일정하게 하도록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증감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즉, 안개나 비 등의 악환경 상태에서, 투광 적외선의 감쇠를 고려하여 검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높게 제어하는 데에 반하여, 통상적인 환경 상태에서는 투광 적외선의 감쇠가 없기 때문에 강도가 낮아도 검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경계시에 있어서 악환경 상태가 통상 일시적이고 단시간에 종료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시간은 통상적인 환경 상태인 것에 주목하여, 악환경 상태에서 수광부 (2) 의 요구 신호 출력부 (26) 로부터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요구 신호를 투광부 (1) 에 송신하고, 투광부 (1) 의 적외선 강도 제어 회로 (15) 에 의해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증가시켜 일시적으로 높게 하고, 그 밖의 대부분의 시간은 통상적인 환경 상태에서 낮게 유지하여, 환경 상태에 따라 검지 감도를 최적화하고 있다.
또한, 도 2 의 강도 수동 조작부 (34) 에 의해 요구 신호 출력부 (26) 에 대하여, 투광 적외선 (송신 검지선) 의 강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강도 수동 조작부 (34) 는, 예를 들어 검출 거리에 따라 H (고), M (중), L (저) 과 같은 3 단계의 강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설정하도록 되어 있고, 그 요구 신호가 송신기 (30) 로부터 투광부 (1) 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검출 거리가 짧을 때에는 L (저) 의 강도가 수동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검출 거리에 따라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용이하게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강도 수동 조작부 (34) 를 필요에 따라 생략해도 된다.
상기 검출 유닛 (3) 에 급전하는 전원 유닛에는, 예를 들어 솔라 패널과 그 전력을 축전하는 2 차 전지와 같은 충전 매체를 갖는 솔라 배터리 유닛이 사용된다. 충전 매체에는 캐패시터도 포함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의 배면측에서 본 일부 파단된 부분 분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의 측면도이다. 도 3 의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은, 부착부 (41) 에 의해 도 1 의 검출 유닛 (3) 이 부착된 폴 (P) 의 상단에 장착된다.
도 3 의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은, 솔라 패널 (32), 본체 케이스 (33), 및 본체 케이스 (33) 의 바깥 주위를 덮도록 형성된 외주벽 (35) 을 갖는 본체 (3lA) 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와 같이, 본체 케이스 (33) 는 대략 상자 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케이스 상면 (33a) 을 포함하는 상반체 케이스 (33A) 와, 케이스 저면 (33b) 을 포함하는 하반체 케이스 (33B) 로 이루어진다. 하반체 케이스 (33B) 에, 솔라 패널 (32) 로부터의 예를 들어 직류 전력을 축전하는 2 차 전지 (45) 및 유닛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제어 기판) (46) 가 수납되어 있다. 2 차 전지 (45) 에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가 사용된다. 솔라 패널 (32) 의 저면 (32a) 과 본체 케이스 (33) 의 상면 (33a)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공 (38) 에 의해 케이스 본체 (33) 외부와 후술하는 공간부 (36) 가 삽입 통과되고 있다.
외주벽 (35) 은 그 벽면에 의해 본체 케이스 (33) 를 차광시킴으로써, 본체 케이스 (33)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2 차 전지 (45) 의 수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외주벽 (35) 의 벽면은 본체 케이스 (33) 의 바깥 주위를 덮고 있으므로, 본체 케이스 (33) 내부에 대한 방수성 및 방충성을 높이는 효과도 갖는다.
솔라 패널 (32) 의 저면 (32a) 과 본체 케이스 (33) 의 케이스 상면 (33a) 사이에 공간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부 (36) 에 의해 솔라 패널 (32) 이 갖는 열로부터 본체 케이스 (33) 를 단열시킬 수 있다. 또, 솔라 패널 (32) 의 저면 (32a) 과 본체 케이스 (33) 의 상면 (33a) 사이에 복수의 통기공 (38)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와 같이, 외주벽 (35) 에는 공간부 (36) 에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통기공 (37)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공간부 (36) 에 있어서의 공기의 대류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외주벽 (35) 의 사면에 통기공 (37)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공 (37) 에 의해, 통기공 (38) 을 통하여 공간부 (36) 로 외기가 유입되어 공간부 (36) 를 환기시킴으로써 그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외주벽 (35) 은 솔라 패널 (32) 의 저면 (32a) 에 고정되고, 본체 케이스 (33) 의 측면과 외주벽 (35) 사이에 형성된 간극 (39) 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간극 (39) 에 의해, 간극 (39) 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의 공간부 (36) 및 외주벽 (35) 의 통기공 (37) 으로 공기의 대류가 가능해져, 보다 본체 케이스 (33)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 의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은, 추가로 본체 (31A) 를 R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40) 와 유닛 고정용 부착부 (41) 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 (40) 의 나사 (42) 로 이루어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 (31A) 는 R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솔라 패널 (32) 의 솔라면 각도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다.
도 5 와 같이, 이 예에서는, 본체 케이스 (33) 의 내부는 구획되어 있지 않지만, 2 차 전지 (45) 나 제어 회로 (46) 와 같은 전자 부품 등을 개별적으로 수납하도록 복수로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2 차 전지 (45) 나 제어 회로 (46) 등을 구획판 (61) (2 점 쇄선) 으로 구획함으로써, 구획판 (61) 에 의해 각 부가 단열되어, 본체 케이스 (33) 의 단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공간부 (36) 에서, 솔라 패널 (32) 의 저면 (32a) 과 본체 케이스 (33) 의 상면 (33a) 의 적어도 일방에 단열재 (62) (2 점 쇄선) 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본체 케이스 (33) 에 대한 단열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로써, 솔라 패널 (32) 로부터의 전력을 축전하는 2 차 전지 (45) 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 (33) 내의 온도 상승을 단열 효과에 의해 억제하여, 2 차 전지 (45) 의 수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원 유닛으로서 솔라 배터리 유닛을 사용하고, 투광부 (송신부) 는 수광 레벨이 규정값이 되도록 수광부 (수신부) 로부터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요구 신호를 받았을 때,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증가시키므로, 일시적인 안개나 비 등의 악환경 상태에서는, 투광 적외선의 강도가 감쇠되어 수광 레벨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 만큼 강도를 높게 제어하고, 대부분의 시간의 통상적인 환경 상태에서는, 투광 적외선의 강도가 감쇠되지 않기 때문에 투광 적외선의 강도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전원 유닛의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이로써, 전지 용량 및 솔라 패널의 발전 용량의 소형을 유지하면서, 장거리 검출 (경계) 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거리 검출이라도 소형의 솔라 배터리 유닛에 의한 사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솔리 배터리 유닛의 소형화에 의해 시스템을 저가격화할 수 있다.
또, 옥외의 방범용 센서에 사용되는 물체 검출 시스템에서는, 구동용 전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의 단열 효과가 높고, 2 차 전지 (45) 의 수명 성능이 높기 때문에, 솔라 배터리 유닛 (31) 을 물체 검출 시스템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선으로서 적외선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전혀 한정되지 않으며, 가시광선, 마이크로 웨이브, 레이저 등을 사용해도 된다.
1 : 송신부 (투광부)
2 : 수신부 (수광부)
3 : 검출 유닛
11 : 투광기
15 : 적외선 강도 제어 회로 (검지선 강도 제어 수단)
21 : 수광기
26 : 요구 신호 출력부
30 : 송신기
31 : 전원 유닛 (솔라 배터리 유닛)
32 : 솔라 패널
34 : 강도 수동 조작부
IR : 적외선 (검지선)
D : 검출 영역
M : 요구 신호
r : 무선 신호

Claims (3)

  1. 검출 영역에 검지선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검지선을 수신하고, 상기 검출 영역에 있어서의 물체의 검지선 차단에 의해 물체를 검출하는 수신부를 갖는 검출 유닛과, 상기 검출 유닛에 급전하는 전원 유닛을 구비하고,
    수신부는 검지선의 수신 레벨을 송신부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수신 레벨이 미리 정한 환경 상태에 대한 검출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규정값이 되도록 환경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부에 송신하는 요구 신호 출력부를 가지며,
    송신부는 악환경 상태일 때 상기 요구 신호를 받아, 상기 수신 레벨이 상기 규정값이 되도록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높게 하고, 상기 요구 신호가 없을 때 이보다 강도를 낮게 하여,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제어하는 검지선 강도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원 유닛은 솔라 패널과 그 전력을 축전하는 충전 매체를 갖는 솔라 배터리 유닛이고,
    상기 솔라 배터리 유닛은,
    상기 솔라 패널에 부착된 상기 충전 매체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바깥 주위를 덮는 외주벽과,
    상기 본체 케이스와 상기 솔라 패널의 사이에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공을 가지는,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요구 신호 출력부에 대하여, 상기 송신 검지선의 강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설정하는 강도 수동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
  3. 제 1 항에 기재된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을 구비하고, 물체를 검출했을 때 경보를 발하는, 방범용 센서.
KR1020140029850A 2013-03-21 2014-03-13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 KR101923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8050A JP6255161B2 (ja) 2013-03-21 2013-03-21 ソーラーバッテリーユニット駆動式の物体検出システム
JPJP-P-2013-058050 2013-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75A KR20140117275A (ko) 2014-10-07
KR101923756B1 true KR101923756B1 (ko) 2018-11-29

Family

ID=5153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850A KR101923756B1 (ko) 2013-03-21 2014-03-13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76456B2 (ko)
JP (1) JP6255161B2 (ko)
KR (1) KR101923756B1 (ko)
AU (1) AU2014201662B2 (ko)
FR (1) FR3003651B1 (ko)
TW (1) TWI6364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8819S1 (en) * 2012-11-02 2015-09-15 Chicago Display Company Battery housing for a solar light fixture
EP3150932A1 (en) * 2015-09-30 2017-04-05 Arndt, Paul Riis Solar aircooler
US10148760B2 (en) * 2016-08-26 2018-12-04 John E Barragan Railroad crossing warning system
WO2018170501A1 (en) * 2017-03-17 2018-09-20 Renew Group Private Limited Power pack
DE102018109215A1 (de) * 2018-04-18 2019-10-24 Logicdata Electronic & Software Entwicklungs Gmbh Sensorbaugruppe, Aktuator, Steuerung, elektrisch verstellbares Möbelstück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 verstellbaren Möbelstüc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539A (ja) * 1999-11-09 2001-05-18 Funai Electric Co Ltd レーダ探知システム
JP2002367045A (ja) * 2001-06-11 2002-12-20 Optex Co Ltd 赤外線ビーム出射量可変の防犯用センサ装置
JP2006039984A (ja) * 2004-07-28 2006-02-09 Optex Co Ltd 防犯用セン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9612A (en) * 1969-11-19 1971-11-09 Caterpillar Tractor Co Monitoring device for rotating systems
JPH0821142B2 (ja) * 1986-08-07 1996-03-04 オ−テツク電子株式会社 光線式警戒装置
US4882567A (en) * 1988-09-29 1989-11-21 C & K Systems, Inc.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JPH0363284U (ko) * 1989-10-17 1991-06-20
US4982176A (en) * 1990-01-17 1991-01-01 Frank Schwarz Solar powered lighting and alarm systems activated by motion detection
US5552767A (en) * 1994-02-14 1996-09-03 Toman; John R. Assembly for, and method of, detecting and signalling when an object enters a work zone
JP3091406B2 (ja) 1995-12-12 2000-09-25 宮田工業株式会社 防災設備の点灯表示装置
US6118375A (en) * 1999-06-03 2000-09-12 Duncan; David Portable intruder detection system for campsites
US20080074259A1 (en) * 2000-09-21 2008-03-27 Robert Houston Solar powered security system
JP2005175890A (ja) * 2003-12-11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2710063Y (zh) * 2004-07-27 2005-07-13 张文新 互射式多束红外栅栏探测器
US20070205904A1 (en) * 2006-03-06 2007-09-06 Jeremy Froehner Solar Powered Goose Repellant Automated Laser System- (GRS UNIT)
US20080136914A1 (en) * 2006-12-07 2008-06-12 Craig Carlson Mobile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ystem for monitoring activities at a remote protected area
US20090140848A1 (en) * 2007-11-29 2009-06-04 Richard Rollins Systems and methods for a property sentinel
DE202008001122U1 (de) * 2008-01-25 2009-06-18 Marantec Antriebs- Und Steuerungstechnik Gmbh & Co. Kg Lichtschranke
US8035514B2 (en) * 2008-12-10 2011-10-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to improve white light immunity of infrared motion detectors
AU2009248422A1 (en) * 2008-12-12 2010-07-01 Mark Phillip Hawkins Safety or alert device
US20100194564A1 (en) * 2009-01-30 2010-08-05 Bosch Security Systems, Inc. Security system including photobeam carrying status information
CN102096976A (zh) * 2011-01-20 2011-06-15 毛振刚 太阳能无线红外报警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539A (ja) * 1999-11-09 2001-05-18 Funai Electric Co Ltd レーダ探知システム
JP2002367045A (ja) * 2001-06-11 2002-12-20 Optex Co Ltd 赤外線ビーム出射量可変の防犯用センサ装置
JP2006039984A (ja) * 2004-07-28 2006-02-09 Optex Co Ltd 防犯用セン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55161B2 (ja) 2017-12-27
US9576456B2 (en) 2017-02-21
US20140285342A1 (en) 2014-09-25
AU2014201662B2 (en) 2017-08-24
FR3003651A1 (fr) 2014-09-26
FR3003651B1 (fr) 2019-05-17
AU2014201662A1 (en) 2014-10-09
KR20140117275A (ko) 2014-10-07
JP2014182723A (ja) 2014-09-29
TWI636433B (zh) 2018-09-21
TW201501085A (zh)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756B1 (ko) 솔라 배터리 유닛 구동식의 물체 검출 시스템
ES2286023T3 (es) Sensor de lluvia para detectar gotas de humedad.
US8963086B2 (en) Shielding of an IR detector
CN110708445B (zh) 用于减少内部反射的摄像机外壳
US11092479B2 (en) Sensor assembly and a device comprising such sensor assembly
US10070501B2 (en) Lighting system and support apparatus
JP5982615B2 (ja) 赤外線防犯センサ
JP2014182723A5 (ko)
JP4748736B2 (ja) 防霜用段差を有する防犯用センサ装置
JP6427772B2 (ja) 電池駆動式の防犯用センサ装置
CN110955105B (zh) 激光投影设备
KR101225057B1 (ko) 자동문 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 방법
JP2013062096A (ja) 照明装置
CN202150889U (zh) 一种高速球机
JP2010039937A (ja) 煙感知器
US11940534B2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unit
JP2008008042A (ja) シャッター装置
JP2004259540A (ja) 屋外用照明器具
KR20190038076A (ko) 가시광통신 수신기
JP2014238392A (ja) 反射モード検出装置で使用される反射体
JP2013062095A (ja) 照明装置
JPH03161895A (ja) 火災報知設備における光伝送信号の送受信方法
JP2014150665A (ja) ソーラーバッテリーユニット
KR20100127362A (ko)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KR19990085347A (ko) 통행차량 감지시스템의 동작 및 광원 직선성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