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06B1 -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06B1
KR101923406B1 KR1020170114954A KR20170114954A KR101923406B1 KR 101923406 B1 KR101923406 B1 KR 101923406B1 KR 1020170114954 A KR1020170114954 A KR 1020170114954A KR 20170114954 A KR20170114954 A KR 20170114954A KR 101923406 B1 KR101923406 B1 KR 10192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adhesive
sticker
adher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869A (ko
Inventor
김동성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는 이형지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는 점착력을 갖는 장식물을 구비한 스티커; 및 본체부와 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면이 가압되는 가압부와 가압부의 하면에 부착되며 이형지에 점착된 장식물의 상면을 접촉 가압하는 경우에 장식물이 점착되는 점착부를 구비하여, 장식물을 점착부에 점착시켜 이형지로부터 박리시키고 장식물을 대상물에 접촉 가압하여 장식물을 대상물에 부착하는 전사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ASSEMBLY SET FOR TRANSFERRING STICKER AND THE METHOD OF TRANSFERRING STICK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커에 점착된 장식물을 대상물에 용이하게 전사시킬 수 있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손톱의 길이나 모양 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에 인조네일 등을 부착한다. 또한 평면 또는 입체 장식물을 인조네일에 부착 또는 점착하여 인조네일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인조네일에 평면 또는 입체 장식물을 부착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스티커에서 장식물을 하나씩 분리하고 분리된 장식물을 하나씩 인조네일에 부착한다. 이러한 경우에 한 명의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량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물을 인조네일에 부착하는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아울러 인조네일의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장식물을 스티커에서 분리하는 동안 장식물에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식물이 인조네일에 원할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능력에 따라 장식물을 부착하는 작업시간 및 인조네일 등에 장식물이 부착되는 위치와 부착강도가 달라져 반복 재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입체형 장식물을 인조네일에 부착하는 경우에 인조네일이 3차원 곡면형상을 가지므로 작업자의 작업능력에 따라 입체형 장식물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홈이 형성된 인조네일을 사출한 뒤 장식물을 수작업으로 홈에 삽입하여 제조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홈의 크기에 맞는 장식물을 선별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다양한 크기의 장식물을 인조네일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매번 인조네일의 금형을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장식물이 부착되고 인조네일 형상으로 재단된 스티커를 인조네일의 상부면에 직접부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인조네일이 3차원 곡면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스티커와 인조네일 사이에 버블층이 형성되거나 인조네일에 부착된 스티커에 주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장식물을 인조네일 등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735호(2013.03.0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식물을 인조네일 등의 대상물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형지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는 점착력을 갖는 장식물을 구비한 스티커;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면이 가압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이형지에 점착된 상기 장식물의 상면을 접촉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장식물이 점착되는 점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점착부에 점착시켜 상기 이형지로부터 박리시키고 상기 장식물을 대상물에 접촉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에 부착하는 전사체를 포함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식물과 상기 대상물 사이의 점착력이 상기 장식물과 상기 점착부 사이의 점착력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의 점착력은 300 ~ 25,000 gf/in 이고,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은 5 ~ 15,000 gf/in 일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은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티커는 상기 장식물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형지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은 300 ~ 25,000 gf/in 일 수 있다.
상기 점착부는 점착력을 가지며,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는 쿠션을 가지는 시트(sheet) 또는 폼(foam)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장식물을 접촉 가압하는 경우에 탄성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식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각각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의 표면장력은 단위폭당 36dyne/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은 입체형 장식물 및 평면형 장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은 상기 대상물의 2차원 평면 또는 3차원 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스티커에 점착된 점착력을 갖는 장식물에 전사체의 점착부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점착부를 상기 장식물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점착부가 하면에 부착된 상기 전사체의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점착부에 점착하는 단계; (c) 상기 전사체를 상승시켜 상기 장식물을 상기 스티커의 이형지로부터 박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장식물이 점착된 상기 전사체를 대상물로 이송한 후, 상기 대상물에 상기 장식물을 접촉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커 전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장식물이 점착된 상기 전사체를 상기 대상물의 상부로 이송하고,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d-2)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물과 상기 대상물 사이의 점착력이 상기 장식물과 상기 점착부 사이의 점착력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의 점착력은 300 ~ 25,000 gf/in 이고,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은 5 ~ 15,000 gf/in 일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은 입체형 장식물 및 평면형 장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은 상기 대상물의 2차원 평면 또는 3차원 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티커의 이형지에 점착된 장식물에 전사체의 점착부를 접촉가압하여 장식물을 점착부에 점착하여 스티커로부터 박리하고 박리된 장식물을 대상물에 접촉 가압함으로써, 장식물을 대상물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히 입체형 장식물을 전사체만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전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티커로부터 장식물을 박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장식물을 대상물에 부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100)는 이형지(111)에 장식물(113)이 박리가능하게 점착된 스티커(110)와, 스티커(110)에 점착된 장식물(113)을 박리하고 박리된 장식물(113)을 대상물(M)에 부착시키는 전사체(130,13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상물(M)은 2차원 평면을 가지는 엽서, 카드, 필름, 시트 등과, 3차원 곡면을 가지는 아동용 완구, 전자제품, 인조네일, 손톱 및 발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100)는 전사체(130,130a)를 이용하여 전사체(130,130a)에 장식물(113)을 점착한 후, 장식물(113)이 점착된 상태에서 전사체(130,130a)를 장식물(113)을 대상물(M)의 상부로 이송한 후 대상물(M)에 장식물(113)을 접촉 가압함으로써, 장식물(113)을 용이하게 대상물(M)에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110)는 이형지(111)의 상면에 장식물(113)이 박리가능하게 점착된다.
이형지(111)는 종이(Paper),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 PET),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PO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및 아크릴(acrylic)계 수지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중합체로 제조된 필름 또는 시트에 실리콘, 테프론, 불소 등을 표면코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형지(111)의 상면에는 장식물(113)이 점착되며, 이형지(111)는 장식물(113)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박리되어 장식물(113)을 박리하는 공정 중에 장식물(113)이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형지(111)의 표면장력을 단위폭당 36dyne/cm 이하로 하여, 이형지(111)에서 장식물(113)을 용이하게 박리함과 동시에 이형지(111)의 파단 및 팝업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이형지(111)의 상면에는 장식물(113)이 부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장식물(113)은 보석과 같은 입체형 장식물(113)과 필름에 디자인이 인쇄된 평면형 장식물(113)을 포함한다. 즉, 이형지(111)의 상면에는 입체형 장식물(113) 및/또는 평면형 장식물(113)이 박리가능하게 점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3)은 그 자체로 점착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3)이 점착력(Tackiness)을 갖도록 장식물(113)은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식물은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에 점착 부여제(Tackifier)가 첨가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착 부여제(Tackifier)의 종류로는 쿠마론인덴 수지, 로딘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등이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110)는 장식물(113)의 하면에 마련되어 이형지(111)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는 점착층(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식물(113)과 점착층(11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식물(113) 자체의 점착력 및 장식물(113)의 하면에 마련된 점착층(115)의 점착력은 300 ~ 25,000 gf/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력 측정은 ASTM D3330 180도 PEEL TEST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장식물(113)을 인조네일(M)에 부착하는 경우에, 장식물(113) 및 점착층(115)의 점착력이 300 gf/in 미만일 경우에는 장식물(113) 및 점착층(115)이 인조네일(M)에서 들뜨게 되어 인조네일(M)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장식물(113) 및 점착층(115)의 점착력이 25,000 gf/in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교체를 위하여 장식물(113) 및 점착층(115)을 인조네일(M)에서 분리시킬 때 인조네일(M)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장식물(113) 및 장식물(113)의 하면에 마련된 점착층(115)의 점착력은 300 ~ 25,000 gf/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130,130a)는 이형지(111)에 점착된 장식물(113)을 이형지(111)에서 용이하게 박리하고, 박리된 장식물(113)을 용이하게 대상물(M)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130)는 본체부(131)와, 본체부(131)에서 연장되고 절곡되게 형성된 가압부(133)와, 가압부(133)의 하면에 부착된 점착부(135)를 포함한다.
본체부(131)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기다란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태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그리고 가압부(133)는 본체부(131)의 일단 또는 양단에서 연장되고 절곡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평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33)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가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가압부(133)의 폭방향 곡률반경(R1)은 10 ~ 360mm이고,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B방향에서 바라본 가압부(133)의 길이방향 곡률반경(R2)은 30 ~ 400 mm 일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33)의 하면에는 후술할 점착부(135)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가압부(133)가 본체부(131)의 양단에 형성되는 경우에, 장식물(113)의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부(135)는 스티커(110)에 점착된 장식물(113)을 점착하여 이형지(111)로부터 장식물(113)을 박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장식물(113)은 점착부(135)에 점착된 상태에서 대상물(M)의 상면으로 이송된다.
구체적으로, 이형지(111)에 점착된 장식물(113)의 상면에 점착부(135)를 접촉하고 가압부(133)를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여 장식물(113)을 점착부(135)에 점착한 후 장식물(113)을 이형지(111)로부터 박리하고, 장식물(113)이 점착부(135)에 점착된 상태에서 장식물(113)을 대상물(M)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가압부(133)를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여 점착부(135)에 점착된 장식물(113)을 대상물(M)에 부착한다.
점착부(135)는 쿠션을 가지는 시트(sheet) 또는 폼(foam)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점착부(135)를 가압하여 장식물(113)을 점착부(135)에 점착하는데 있어서 점착부(135)에 점착되는 장식물(113)의 표면적을 최대로하고 점착부(135)의 가압에 따른 장식물(113)의 파손,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점착부(135)는 가압부(133)의 하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점착부(135)가 점착력을 갖도록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식물(113)을 대상물(M)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장식물(113) 또는 장식물(113)의 하면에 마련된 점착층(115)과 대상물(M) 사이의 점착력이 장식물(113)과 점착부(135) 사이의 점착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점착부(135)의 점착력은 5 ~ 15,000 gf/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장식물(113)을 인조네일(M)에 부착하는 경우에, 점착부(135)의 점착력이 5 gf/in 미만일 경우에는 장식물(113)을 이형지(111)에서 박리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점착부(135)의 점착력이 15,000 gf/in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장식물(113)이 대상물(M)에 부착되는 전사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점착부(135)의 점착력은 5 ~ 15,000 gf/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부(135)에 장식물(113)을 점착하거나 점착부(135)에 점착된 장식물(113)을 대상물(M)에 부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본체부(1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 등으로 가압부(133)를 가압하여 점착부(135)에 장식물(113)을 점착시키거나 장식물(113)을 대상물(M)에 부착한다. 이처럼, 반복하여 장식물(113)을 접촉 가압하는 경우에 가압 후에 본체부(131)가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체부(131)는 탄성 복원이 가능할 재질로 제조된다.
예를들어, 본체부(131)은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130a)는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된 단위 전사체(131a)를 포함한다. 즉 복수 개의 단위 전사체(131a)가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전사체(130a)를 이룬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 전사체(131a)는 본체부(133a)와 본체부(131a)의 하면에 부착된 점착부(135a)를 구비한다.
본체부(133a)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 PET),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PO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및 아크릴(acrylic)계 수지 등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거나 이들의 중합체로 제조된 필름 또는 시트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부(135a)는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부(135)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130a)를 이용한 장식물(113)의 전사공정은 이형지(111)에 점착된 장식물(113)의 상면에 점착부(135a)를 접촉하고 점착부(135a)의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133a)를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여 장식물(113)을 점착부(135a)에 점착한 후 장식물(113) 등을 이형지(111)로부터 박리한다. 그리고 장식물(113)이 점착부(135a)에 점착된 상태에서 장식물(113)을 대상물(M)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본체부(133a)를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여 점착부(135a)에 점착된 장식물(113)을 대상물(M)에 부착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130a)를 구성하는 점착부(135a)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130)를 이용한 장식물(113)의 전사공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점착부(135a)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 점착부(135a)의 점착력은 저하되며, 점착부(135a)의 점착력이 저하된 경우에 해당 점착부(135a)를 구비한 단위 전사체(131a)를 전사체(130a)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단위 전사체(131a)에 구비된 점착부(135a)를 이용하여 디자인층(117) 등을 네일본체(M)에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100)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전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티커로부터 장식물을 박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장식물을 대상물에 부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체(130)를 이용하고, 이형지(111)의 상부에 장식물(113)이 적층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티커(110)의 이형지(111)에 점착된 장식물(113)을 전사체(130)의 점착부(135)에 점착한다(S100).
구체적으로 점착부(135)에 장식물(113)을 점착하는 동작(S100)은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전사체(130)에 구비된 가압부(133)의 하면에 마련된 점착부(135)를 장식물(113)의 상면에 접촉한다(S110). 그리고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부(135)를 장식물(113)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압부(133)의 상면을 가압하여 장식물(113)을 점착부(135)에 점착한다(S130).
그리고,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물(113)이 점착부(135)에 점착된 상태에서 전사체(130)를 상승시켜 장식물(113)을 스티커(110)의 이형지(111)로부터 박리시킨다(S150).
다음으로, 장식물(113)이 점착된 전사체(130)를 대상물(M)로 이송한 후, 대상물(M)에 장식물(113)을 부착한다(S200).
구체적으로 대상물(M)에 장식물(113)을 부착하는 동작(S200)은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장식물(113)이 점착된 전사체(130)를 대상물(M)의 상부로 이송하고 장식물(113)을 대상물(M)의 상면에 접촉시킨다(S210).
그리고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133)의 상면을 가압하여 장식물(113)을 대상물(M)의 상면에 부착한 후 전사체(130)를 상승시킨다(S23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전사방법은 전사체(130)의 점착부(135)에 장식물(113)을 점착시켜 이형지(111)로부터 장식물(113)을 박리한 후, 장식물(113)을 점착부(135)에 점착한 상태에서 대상물(M)로 이송한 후 대상물(M)의 상면에 장식물(113)을 접촉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장식물(113)을 대상물(M)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110: 스티커
111: 이형지 113: 장식물
115: 점착층 130, 130a: 전사체
131: 본체부 133: 가압부
135: 점착부

Claims (18)

  1. 이형지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며 자체로 300~ 25,000 gf/in의 점착력을 갖는 장식물을 구비한 스티커;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면이 가압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이형지에 점착된 상기 장식물의 상면을 접촉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장식물이 점착되는 점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점착부에 점착시켜 상기 이형지로부터 박리시키고 상기 장식물을 대상물에 접촉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에 부착하는 전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물은 자체로 점착력을 가지는 재질인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에 쿠마론인덴 수지, 로딘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점착 부여제가 첨가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2. 이형지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며 자체로 300~ 25,000 gf/in의 점착력을 갖는 장식물을 구비한 스티커;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이형지에 점착된 상기 장식물의 상면을 접촉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장식물이 점착되는 점착부를 구비한 단위 전사체가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되며, 상기 장식물을 상기 점착부에 점착시켜 상기 이형지로부터 박리시키고 상기 장식물을 대상물에 접촉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에 부착하는 전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이 저하된 경우에 점착력이 저하된 상기 점착부를 구비한 상기 단위 전사체를 분리한 후 새로운 상기 단위 전사체에 구비된 상기 점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장식물을 점착하며,
    상기 장식물은 자체로 점착력을 가지는 재질인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에 쿠마론인덴 수지, 로딘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점착 부여제가 첨가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과 상기 대상물 사이의 점착력이 상기 장식물과 상기 점착부 사이의 점착력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은 5 ~ 15,000 gf/in 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는 상기 장식물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형지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은 300 ~ 25,000 gf/in 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점착력을 가지며,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질로 형성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쿠션을 가지는 시트(sheet) 또는 폼(foam) 형태로 제조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식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각각 크기를 달리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의 표면장력은 단위폭당 36dyne/cm 이하인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입체형 장식물 및 평면형 장식물을 포함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상기 대상물의 2차원 평면 또는 3차원 곡면에 부착되는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13. (a) 스티커에 점착되며 자체로 300~25,000 gf/in의 점착력을 갖는 장식물의 상면에 전사체의 점착부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점착부를 상기 장식물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장식물의 상면을 접촉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점착부에 점착하는 단계;
    (c) 상기 장식물이 상기 점착부에 점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사체를 상승시켜 상기 장식물을 상기 스티커의 이형지로부터 박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장식물이 점착된 상기 전사체를 대상물로 이송한 후, 상기 대상물에 상기 장식물을 접촉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물은 자체로 점착력을 가지는 재질인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에 쿠마론인덴 수지, 로딘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점착 부여제가 첨가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되는 스티커 전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장식물이 점착된 상기 전사체를 상기 대상물의 상부로 이송하고,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d-2) 상기 장식물을 접촉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커 전사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과 상기 대상물 사이의 점착력이 상기 장식물과 상기 점착부 사이의 점착력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티커 전사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은 5 ~ 15,000 gf/in 인 스티커 전사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입체형 장식물 및 평면형 장식물을 포함하는 스티커 전사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상기 대상물의 2차원 평면 또는 3차원 곡면에 부착되는 스티커 전사방법.
KR1020170114954A 2017-09-08 2017-09-08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KR101923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54A KR101923406B1 (ko) 2017-09-08 2017-09-08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54A KR101923406B1 (ko) 2017-09-08 2017-09-08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104A Division KR101801962B1 (ko) 2016-12-07 2016-12-07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69A KR20180065869A (ko) 2018-06-18
KR101923406B1 true KR101923406B1 (ko) 2018-11-29

Family

ID=6276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954A KR101923406B1 (ko) 2017-09-08 2017-09-08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56Y1 (ko) * 1999-05-11 2000-05-15 박종호 인조손톱부착용 도구
KR101239735B1 (ko) * 2010-11-26 2013-03-06 장성용 입체형 장식물이 부착된 인조네일 및 인조네일 제조방법
KR101361040B1 (ko) * 2013-01-28 2014-02-0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미용 스티커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661U (ko) * 1999-05-11 1999-08-16 박종호 인조손톱부착용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56Y1 (ko) * 1999-05-11 2000-05-15 박종호 인조손톱부착용 도구
KR101239735B1 (ko) * 2010-11-26 2013-03-06 장성용 입체형 장식물이 부착된 인조네일 및 인조네일 제조방법
KR101361040B1 (ko) * 2013-01-28 2014-02-0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미용 스티커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69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735B1 (ko) 입체형 장식물이 부착된 인조네일 및 인조네일 제조방법
KR101446506B1 (ko) 입체형 장식물이 부착된 인조네일
CN101379156B (zh) 制品支承结构和制品附连套件
US7276272B2 (en) Stretch releasing adhesive article for fragile surfaces
CN101353557B (zh) 粘合带
CN109195479B (zh) 人造指甲和用于人造指甲的转移套件
KR101801962B1 (ko)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EP2957189A1 (en) Nail applique with handle
JP2019193765A (ja) サイズ表示を有する人工爪
JP2009160275A (ja) 二重瞼形成用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5013A (ja) 配送伝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23406B1 (ko) 스티커 전사 조립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전사방법
JP4426750B2 (ja) 吊下具
JP2006305152A (ja) 付け爪接着用テープ、付け爪、付け爪接着用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付け爪の製造方法
CN106113709B (zh) 防滑垫的制法
KR101874543B1 (ko) 인조네일 및 인조네일용 전사 조립세트
KR20230075509A (ko) 속눈썹 연장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2029706A (ja) ネイルフォームとネイルチップ形成方法
US20090242117A1 (en) Bead positioning tool
JP3073915U (ja) 発泡ポリエチレン製保護シート
JPH083418Y2 (ja) 剥離用治具
JP2019038927A (ja) 両面粘着テープ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5170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装飾用粘着シートの転写方法
JP2014180760A (ja) 装飾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51458A (ja) 表皮付きフィニッシャー、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