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566B1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566B1
KR101922566B1 KR1020160094670A KR20160094670A KR101922566B1 KR 101922566 B1 KR101922566 B1 KR 101922566B1 KR 1020160094670 A KR1020160094670 A KR 1020160094670A KR 20160094670 A KR20160094670 A KR 20160094670A KR 101922566 B1 KR101922566 B1 KR 10192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tting
elastic portio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835A (ko
Inventor
토시히코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강도, 끼워 맞춤 신뢰성, 작업성 등을 유지하면서,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20)이 접속되는 단자(30)와, 케이블(20)이 접속된 단자(30)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단자(30)는, 케이블(20)을 고정하는 압착부(31, 32)와, 기판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71)으로 평면을 갖는 대략 U자 형상의 탄성부(33)와, 탄성부(33)의 양 외측으로부터 끼워 맞춤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립한 기립부(34)와, 탄성부(33)의 내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접점부(35)를 구비하고, 탄성부(33)는,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71)으로 개폐하는 탄성을 갖고, 접점부(35)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탄성부(33)의 내측의 양측면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를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린트 배선 기판 등의 표면에 실장되는 커넥터와 접속되는 박형(薄型)의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블 등의 전선을 프린트 회로 기판 등의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해, 케이블과 기판 배선을 전기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한쪽의 커넥터(기판측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고, 다른 한쪽의 커넥터(케이블측 커넥터)가 케이블에 접속되고, 이들의 커넥터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케이블과 회로 기판의 신호선이 전기 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 등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는, 소켓 콘택트를 하우징에 압입하고, 압접판에 전선을 밀어 넣어 접촉시키는 압접형의 전기 커넥터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158731호
최근, 휴대 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PC), 태블릿형 PC 등의 전자 기기의 개발이 한창이다. 이들의 전자 기기에서는, 휴대성 향상을 위해, 소형화의 요청이 있고, 내부에 조입되는 전자 부품이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소형화·저배화(低背化)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를 저배화하기 위해, 단지, 단자나 하우징 등의 구성 부품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만으로는, 그 강도, 끼워 맞춤 신뢰성, 작업성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기판측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케이블측 커넥터를 가깝게 하여 끼워 맞추는 형식의 커넥터의 경우, 끼워 맞춤시의 단자 사이의 접촉 거리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고, 끼워 맞춤 신뢰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단자를 작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강도, 끼워 맞춤 신뢰성, 작업성 등을 유지하면서,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그 외의 목적과 신규의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記述)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압착부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을 갖는 대략 U자 형상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양(兩) 외측으로부터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립한 기립부와,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단부(端部)에 위치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폐하는 탄성을 갖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양측면에 의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를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전선이 접속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가 삽입되는 제1 하우징을 갖는 제1 전기 커넥터와,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방향으로 평면을 갖는 제2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끼워 맞추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을 갖는 제2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압착부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을 갖는 대략 U자 형상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양 외측으로부터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립한 기립부와,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폐하는 탄성을 갖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양측면에 의해,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평면을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 끼워 맞춤 신뢰성, 작업성을 유지하면서, 전기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블측 커넥터의 단자에 케이블을 압착 고정한 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블측 커넥터의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완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요소의 수 등(개수, 수치, 양, 범위 등을 포함함)으로 언급하는 경우, 특히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분명하게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정한 수 이상이라도 이하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블측 커넥터(전기 커넥터)(10)는, 두께 1㎜ 이하의 초(超)박형의 전기 커넥터이고, 예를 들면, 케이블(전선)(20)의 외피(절연체)(21) 및 심선(芯線)(도전체)(22)(도 3 참조)을 압착에 의해 고정 접속하는 단자(30)와, 케이블(20)이 접속된 단자(30)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 공간(43)이 형성된 하우징(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30)의 수용 공간(43)은, 단자(30)가 배열되는 방향(71) 및 끼워 맞춤 방향(70)의 양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7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40)은, 그 양측 외측에, 기판측 커넥터(50)와의 끼워 맞춤시에, 기판측 커넥터(50)의 로크 돌출부(53)와 걸어 맞춰 로크하기 위한 로크 돌출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로크 돌출부(41)는, 방향(72)을 따라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0)은, 방향(72)을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 랜스(42)를 구비하고, 케이블(20)이 접속된 단자(30)를 하우징(40)의 수용 공간(43) 내에 삽입할 때, 하우징 랜스(42)가 상방으로 변위되고, 삽입 후에 하방으로 되돌아와, 하우징 랜스(42)의 측면에 단자(30)의 걸림부(36)가 걸림으로써, 단자(30)가 빠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판측 커넥터(상대측 커넥터)(50)는, 프린트 배선 기판(60) 등의 부재에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의 하우징(51)과, 금속 등의 도전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52)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51)과 단자(52)는, 예를 들면 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51)은, 그 양측 내측에, 케이블측 커넥터(10)와 기판측 커넥터(50)의 끼워 맞춤시에, 케이블측 커넥터(10)의 로크 돌출부(41)와 걸어 맞춰 로크하기 위한 로크 돌출부(5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로크 돌출부(53)는, 방향(72)을 따라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52)는, 판 형상의 형상을 갖고, 끼워 맞춤 방향(70)을 따른 면으로서 형성되는 단자 접촉면(56)과, 그 하부에 단자 실장부(55)를 갖고, 단자 실장부(55)가,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배선에 접속된다.
케이블측 커넥터(10)를 기판측 커넥터(50)에 끼워 맞출 때, 케이블측 커넥터(10)를, 기판측 커넥터(50)의 상방으로부터 기판측 커넥터(50)로 가깝게 하여, 기판측 커넥터(50)의 끼워 맞춤 오목부(54)에 케이블측 커넥터(10)의 하우징(40) 부분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케이블측 커넥터(10)의 단자(30)가, 기판측 커넥터(50)의 단자(52)의 양 사이드(단자 접촉면(56))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단자(30)와 단자(52)가 접촉되어 고정되고, 단자(30)와 단자(52)가 전기 접속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의해, 케이블측 커넥터(10)의 단자(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케이블측 커넥터의 단자에 케이블(20)을 고정 접속한 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블측 커넥터의 단자(3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케이블을 생략하고 있다. 케이블측 커넥터(10)의 단자(30)는, 예를 들면, 케이블(20)의 외피(21)를 코킹하여 고정하는 압착부(31)와, 심선(22)을 코킹하여 고정하는 압착부(32)와, 방향(72)을 따라 연장되고, 끼워 맞춤 방향(70)과 수직한 방향(71 및 72)으로 평면(39)을 갖는 대략 U자 형상의 탄성부(33)와, 탄성부(33)의 양 외측으로부터 절곡부(81)를 개재하여 끼워 맞춤 방향(70)의 반대 방향으로 기립한 기립부(34)와, 탄성부(33)의 자유단(端)측의 내측의 단부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 접점부(35)와, 하우징 랜스(42)의 측면과 걸어 맞춰 단자(30)를 하우징(40)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하기 위한 걸림부(36)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탄성부(33)는, 케이블(20)의 중심축에 대하여 각각 선대칭인 한 쌍의 탄성편(33a 및 33b)으로 구성된다.
단자(30)는, 예를 들면, 두께 약 0.1㎜ 정도의 도전성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여 형성된다. 탄성부(33)는, 끼워 맞춤 방향(70)과 수직한 방향(71)으로 개폐하는 탄성을 갖는다. 접점부(35)는, 탄성부(33)의 내측의 양측면(파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기판측 커넥터(50)와의 끼워 맞춤시에, 기판측 커넥터(50)의 단자(52)(단자 접촉면(56))를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기립부(34)는, 평판 형상의 금속판을 탄성부(33)로부터 절곡부(81)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케이블측 커넥터(10)의 조립시에는, 우선, 단자(30) 상에서 케이블(20)을 위치 결정하여, 케이블(20)의 외피(21) 및 심선(22)을, 압착부(배럴)(31, 32)에 의해, 코킹하여 압착한다. 다음으로, 케이블(20)을 접속한 단자(30)를 하우징(40)의 수용 공간(43) 내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또한, 탄성부(33)에는, 접점부(35)와 압착부(32)의 사이로서, 탄성부(33)의 내측의 중앙 부근에, 탄성부의 내측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된 변형 규제부(38)가 형성되고, 그 선단(先端) 사이가 맞닿거나 혹은 근접한 상태에 있고, 거리가 대략 제로(예를 들면, 0∼0.03㎜)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31, 32)에 있어서의 케이블(20)의 압착시에, 탄성부(33)에 응력이 가해져, U자 형상의 탄성부(33)의 양측의 탄성편이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지만, 이 변형 규제부(38)를 형성함으로써, 양측의 탄성편이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변형 규제부(38)의 선단 부분끼리의 마찰 또는 맞닿음에 의해, 그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단자(30)의 기립부(34)는, 그 상부에 규제면(37)을 갖고, 커넥터 끼워 맞춤시에, 규제면(37)이 수용 공간(43)의 상방 내벽(44)과 접촉하여, 끼워 맞춤 방향(70)과 반대의 방향(도 5의 윗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우징(40)은, 수용 공간(43)의 내면(상방 내벽(44))에, 기판측 커넥터(50)와의 끼워 맞춤시에, 기판측 커넥터(50)의 단자(52)의 선단이 닿는 부분에, 간섭을 막기 위한 홈(45)을 갖는다. 이 홈(45)에 의해, 단자(52)의 선단 부분이 속까지 인입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 맞춤시에, 케이블측 커넥터(10)의 단자(30)와 기판측 커넥터(50)의 단자(52)가 접촉하기 시작하고 나서 멈출 때까지의 거리(유효 끼워 맞춤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커넥터 끼워 맞춤시 상태로 진동 등이 발생하여 다소 어긋나도, 단자 사이의 접촉이 어긋나는 일이 없어져, 끼워 맞춤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끼워 맞춤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전기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끼워 맞춤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끼워 맞춤 완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도 8에 의해,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10)를 기판측 커넥터(50)의 상방으로부터 위치 맞춤하여 가깝게 한다(끼워 맞춤 방향(70)의 방향).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3)의 접점부(35)의 하측에 가이드 경사면(82)이 형성되고, 단자(52)의 상측에 가이드 경사면(57)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 맞춤시, 이 가이드 경사면(57)과 가이드 경사면(82)이 맞닿고, 그것에 의해, 단자(30)와 단자(52)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도 6은, 기판측 커넥터(50)의 단자(52)의 선단 부분이, 케이블측 커넥터(10)의 단자(30)에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케이블측 커넥터의 하우징(40)의 상방 내벽(44)과, 단자(30)의 규제면(37)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극간이 있기 때문에, 단자(30)가 상방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 극간의 분만큼, 단자(30)의 선단 부분은 이동한다. 그리고, 단자(30)의 규제면(37)이, 케이블측 커넥터의 상방 내벽(44)과 접촉하면, 단자(30)의 선단 부분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지(규제)된다. 그 상태를 도 7에 나타낸다. 그리고,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를 더욱 가깝게 하면, 탄성부(33)가, 단자(52)에 의해, 끼워 맞춤 방향(70)과 수직한 방향(71)으로 벌려 눌려져, 접점부(35)의 간격이 넓어진다. 그리고,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를 더욱 가깝게 하면, 단자(52)의 단자 접촉면(56)을 따라 접점부(35)가 이동하여, 끼워 맞춤이 완료된다. 이때, 케이블측 커넥터(10)의 로크 돌출부(41)와, 기판측 커넥터(50)의 로크 돌출부(53)가 걸어 맞춰져, 양 커넥터의 끼워 맞춤이 로크된다. 끼워 맞춤이 완료된 상태를 도 8에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10)의 단자(30)는, 끼워 맞춤 방향(70)과 수직한 방향(71)으로 평면(39)(방향(71)과 방향(72)으로 구성되는 면)을 갖는 대략 U자 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고, 그 평면의 측면에 있는 접점부(35)가, 기판측 커넥터(50)의 단자(52)와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자(30)의 기립부(34)에 의해, 단자의 강도가 유지되고, 단자(30)의 규제면(37)에 의해, 끼워 맞춤시에 단자의 양측의 탄성부(33)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커넥터 끼워 맞춤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산업용, 업무용, 가정용 등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0 : 케이블측 커넥터(전기 커넥터)
20 : 케이블(전선)
21 : 외피(절연체)
22 : 심선(도전체)
30 : 단자
31, 32 : 압착부
33 : 탄성부
33a, 33b : 탄성편
34 : 기립부
35 : 접점부
36 : 걸림부
37 : 규제면
38 : 변형 규제부
39 : 평면
40 : 하우징
41 : 로크 돌출부
42 : 하우징 랜스
43 : 수용 공간
44 : 상방 내벽
45 : 홈
50 : 기판측 커넥터(상대측 커넥터)
51 : 하우징
52 : 단자
53 : 로크 돌출부
54 : 끼워 맞춤 오목부
55 : 단자 실장부
56 : 단자 접촉면
57 : 가이드 경사면
60 : 프린트 배선 기판
70 : 끼워 맞춤 방향
71 : 방향
72 : 방향
81 : 절곡부
82 : 가이드 경사면

Claims (8)

  1.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압착부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을 갖는 U자 형상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양(兩) 외측으로부터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립한 기립부와,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폐하는 탄성을 갖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양측면에 의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를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의 접점부의 하측에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기립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의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의 선단이 닿는 부분에, 간섭을 막기 위한 홈을 갖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부의 내측에,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그 선단끼리가 맞닿거나 혹은 근접하도록 형성된 변형 규제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5. 전선이 접속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가 삽입되는 제1 하우징을 갖는 제1 전기 커넥터와,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방향으로 평면을 갖는 제2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끼워 맞추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을 갖는 제2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압착부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을 갖는 U자 형상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양 외측으로부터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립한 기립부와,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끼워 맞춤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폐하는 탄성을 갖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양측면에 의해,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평면을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의 접점부의 하측에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기립부는,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의 상기 끼워 맞춤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에,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단자의 선단이 닿는 부분에, 간섭을 막기 위한 홈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부의 내측에, 상기 탄성부의 내측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그 선단끼리가 맞닿거나 혹은 근접하도록 형성된 변형 규제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160094670A 2015-09-15 2016-07-26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922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2181 2015-09-15
JP2015182181A JP6339541B2 (ja) 2015-09-15 2015-09-15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835A KR20170032835A (ko) 2017-03-23
KR101922566B1 true KR101922566B1 (ko) 2018-11-27

Family

ID=5834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670A KR101922566B1 (ko) 2015-09-15 2016-07-26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39541B2 (ko)
KR (1) KR101922566B1 (ko)
CN (1) CN106532299B (ko)
TW (1) TW2017219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8078B1 (en) * 2020-07-20 2021-09-2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urrent carrying retention clip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0842Y2 (ko) * 1973-09-12 1978-12-05
JPH0684682U (ja) * 1993-05-19 1994-12-02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電線用コネクタ
JP4490791B2 (ja) 2003-11-07 2010-06-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TW200518398A (en) * 2003-11-07 2005-06-01 J S T Mfg Co Ltd Socket contact part
JP4020907B2 (ja) * 2004-11-01 2007-12-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2008176956A (ja) * 2007-01-16 2008-07-31 Yazaki Corp 接続端子
CN102204022B (zh) * 2008-11-17 2014-03-12 三菱电机株式会社 连接装置及使用该连接装置的控制中心
JP5247499B2 (ja) * 2009-01-30 2013-07-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及びコネクタ
JP5090509B2 (ja) * 2010-08-27 2012-12-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186627B1 (ko) * 2010-12-30 2012-09-27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전선 접속박스용 커넥터
CN202167647U (zh) * 2011-03-25 2012-03-14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线对板连接器组合
US20130090018A1 (en) * 2011-10-06 2013-04-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ble connector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TWI523347B (zh) * 2014-01-17 2016-02-21 Aces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03932399U (zh) * 2014-05-04 2014-11-05 东莞市语华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器端子及电池导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39541B2 (ja) 2018-06-06
TW201721980A (zh) 2017-06-16
CN106532299A (zh) 2017-03-22
CN106532299B (zh) 2019-04-30
KR20170032835A (ko) 2017-03-23
JP2017059372A (ja)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588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711897B2 (en) UVA battery connector
CN110915068B (zh) 连接器组件
US9831576B2 (en)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JP5615319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40071603A (ko) 전기 커넥터
US9054441B2 (en) Connector
US10056714B2 (en)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ing-off preventing structure
JP2012178248A (ja) 電気コネクタ
JP2014127398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090072963A (ko) 콘택트 부재 및 전기 커넥터
KR100710447B1 (ko)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컨택트, 및 플러그 커넥터의조립방법
JPWO2008001453A1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922566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EP404251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130118258A (ko) 전기 커넥터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US7837512B1 (en) Audio jack connector
JP7086620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20202012A (ja) 端子及びコネクタ
CN215377892U (zh) 电连接器
US8025535B1 (en) Audio socket connector and switch module
KR102503752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JP201015326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