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481B1 - 마스크 스토커 - Google Patents

마스크 스토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481B1
KR101921481B1 KR1020170033819A KR20170033819A KR101921481B1 KR 101921481 B1 KR101921481 B1 KR 101921481B1 KR 1020170033819 A KR1020170033819 A KR 1020170033819A KR 20170033819 A KR20170033819 A KR 20170033819A KR 101921481 B1 KR101921481 B1 KR 10192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module
storage chamber
transfe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145A (ko
Inventor
박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7003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4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6Continuous loading and unloading into and out of a processing chamber, e.g. transporting belts within processing cha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 H01L51/0011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마스크 스토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스토커는, 제1 카세트와 제1 카세트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를 구비하는 카세트모듈이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 챔버와, 보관 챔버에 연결되며 카세트모듈을 제1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카세트 승강유닛고,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제1 카세트를 지지하며 제1 카세트를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제1 카세트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과,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제2 카세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제2 카세트를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제2 카세트를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스토커{A mask stocker}
본 발명은, 마스크 스토커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마스크를 적재하는 마스크 스토커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시장의 팽창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로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빠른 응답속도, 기존의 액정표시장치(LCD)보다 낮은 소비 전력, 경량성, 별도의 백라이트(back light) 장치가 필요 없어서 초박형으로 만들 수 있는 점, 고휘도 등의 매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인 PMOLED와 능동형인 AMOLED로 나눌 수 있다. 특히 AMOLED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디스플레이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며, 색감도 자연스럽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AMOLED는 기판이 아닌 필름(Film) 등에 적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패턴(Pattern) 형성 공정, 유기박막 증착 공정, 에칭 공정, 봉지 공정, 그리고 유기박막이 증착된 기판과 봉지 공정을 거친 기판을 붙이는 합착 공정 등을 통해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에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양극 막, 유기 박막, 음극 막을 순서대로 입히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줌으로써 적당한 에너지의 차이가 유기 박막에 형성되어 스스로 발광하는 원리이다.
다시 말해,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며, 남는 여기 에너지가 빛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유기 물질의 도펀트의 양에 따라 발생하는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풀 칼라(full color)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애노드(anode),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운송층(hole transfer layer), 발광층(emitting layer), 정공 방지층(hole blocking layer), 전자 운송층(electron transfer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캐소드(cathode) 등의 막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애노드로는 면 저항이 작고 투과성이 좋은 ITO(Indium Tin Oxide)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유기 박막은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공 주입층, 정공 운송층, 발광층, 정공 방지층, 전자 운송층, 전자 주입층의 다층으로 구성된다. 발광층으로 사용되는 유기물질은 Alq3, TPD, PBD, m-MTDATA, TCTA 등이 있다.
캐소드로는 LiF-Al 금속막이 사용된다. 그리고 유기 박막이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에 매우 약하므로 소자의 수명(life time)을 증가시키기 위해 봉합하는 봉지막이 최상부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다시 간략하게 정리하면,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 캐소드, 그리고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하며, 구동 시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구현하는 색상에 따라 단색 또는 풀 칼라(full color) 유기전계발광소자로 구분될 수 있는데, 풀 칼라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빛의 삼원색인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별로 패터닝된 발광층을 구비함으로써 풀 칼라를 구현한다.
풀 칼라(full color)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광층을 패터닝해야 하는데,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를 제작하는 방식으로는 FMM(Fine Metal Mask, 이하 마스크라 함)을 이용한 직접 패터닝 방식과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공법을 적용한 방식,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마스크 방식을 적용하여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공정챔버 내부에 기판과 패터닝(patterning)된 금속재질의 마스크를 수평으로 배치시킨 후에 마스크를 향해 증착물질을 분사하여 기판에 증착물질을 증착시키는 수평식 상향 증착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수평식 상향 증착공법은, 공정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된 기판과 마스크를 상호 정렬한 후 합착시켜 수평상태에서 기판에 유기물을 증착하는 방법이다.
한편, 공정 챔버에서 증착 공정에 사용되어 증착물질에 오염된 마스크는 새로운 마스크로 교체되어야 하고 오염된 마스크는 별도의 세정작업장에서 세정된 후 다시 공정 챔버에 투입된다.
종래에는 공정 챔버로의 투입을 대기하는 새로운(세정된) 마스크가 적재된 투입 대기 스토커(stocker)와 공정 챔버에서 배출된 뒤 세정공정으로의 이송을 대기하는 오염된(세정이 필요한) 마스크가 적재된 세정 대기 스토커(stocker)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투입 대기 스토커와 세정 대기 스토커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그 만큼 공장의 풋프린트(footprint)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를 운송하는 운송대차 또는 로봇이 투입 대기 스토커와 세정 대기 스토커로 각각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이송대차 또는 로봇의 이동거리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오염된 마스크를 세정 대기 스토커에 적재하고 새로운 마스크를 투입 대기 스토커에서 꺼내는 일련의 작업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8466호, (2013.05.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증착물질에 오염되어 세정공정으로의 이송을 대기하는 오염된 마스크와 공정 챔버로의 투입을 대기하는 새로운 마스크를 같은 장소에 보관하며, 오염된 마스크와 새로운 마스크를 독립적으로 입고 및 출고하여 전체적인 입출고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마스크 스토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카세트와 상기 제1 카세트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를 구비하는 카세트모듈이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 챔버;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모듈을 제1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카세트 승강유닛;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카세트를 상기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상기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1 카세트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 및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카세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상기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승강유닛은,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되는 승강모듈; 상기 승강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모듈; 및 상기 승강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모듈을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승강 가이드모듈과 상기 승강 구동모듈에 연결되는 승강모듈 프레임부; 상기 승강모듈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카세트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카세트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플레이트용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모듈은,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는 가이드모듈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모듈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승강모듈이 결합되는 볼 부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모듈은, 상기 승강모듈에 결합되는 승강용 이동너트부; 상기 승강용 이동너트부에 치합되는 승강용 볼 스크류부; 및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보관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승강용 서보모터; 및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에 결합되며,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을 관통하고 상기 승강용 서보모터의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에 전달하는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용 피드스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에 결합되는 동력전달용 연결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카세트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 이송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 및 상기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카세트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은, 상기 보관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카세트 이송롤러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 및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에 결합되며,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의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제1 카세트 이송롤러에 전달하는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카세트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가 상기 카세트모듈의 승강궤도에 진입하거나 상기 승강궤도에서 회피되도록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을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 및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은,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본체부;
상기 보관 챔버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본체부용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본체부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은, 상기 보관 챔버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은, 상기 이동 본체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 및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의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에 전달하는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은, 상기 이동 본체부와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보관 챔버가 연결되는 부위를 밀봉하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세트에는 증착공정에 사용된 마스크가 적재되고 상기 제2 카세트에는 증착공정에 사용될 마스크가 적재되며, 상기 제1 카세트의 상측벽에는 카세트용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카세트의 하측벽에는 상기 카세트용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카세트와 제1 카세트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를 내부에 보관하는 보관 챔버와, 제1 카세트 및 제2 카세트 각각을 독립적으로 인입 및 인출하는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과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제1 카세트에 오염된 마스크를 적재하고 제2 카세트에 새로운 마스크를 적재하는 방식을 통해 오염된 마스크와 새로운 마스크를 함께 보관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제1 카세트 및 제2 카세트 각각을 독립적으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어 오염된 마스크와 새로운 마스크의 보관 챔버에 대한 전체적인 입출고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토커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마스크 스토커에 보관되는 카세트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보관 챔버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승강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승강모듈이 상승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2의 마스크 스토커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제1축 방향은 "Z"로 표시하고, 제2축 방향은 "X"로 표시하고, 제3축 방향은 "Y"로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토커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마스크 스토커에 보관되는 카세트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보관 챔버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승강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승강모듈이 상승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도 2의 마스크 스토커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토커는, 제1 카세트(C1)와 제1 카세트(C1)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C2)를 구비하는 카세트모듈(CM)이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 챔버(100)와, 카세트모듈(CM)을 제1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카세트 승강유닛(200)과, 제1 카세트(C1)를 보관 챔버(100)에 인입하고 보관 챔버(100)에서 인출하기 위해 제1 카세트(C1)를 제1축 방향(Z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300)과, 제2 카세트(C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제2 카세트(C2)를 보관 챔버(100)에 인입하고 보관 챔버(100)에서 인출하기 위해 제2 카세트(C2)를 제2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을 포함한다.
제1 카세트(C1)에는 증착공정에 사용된 마스크가 적재된다. 증착공정이 수행되는 공정 챔버(미도시)에 배치된 마스크는 소정 횟수의 증착 공정을 수행한 후 공정 챔버(미도시)에서 배출된다. 이렇게 증착 물질에 오염되어 공정 챔버(미도시)에서 배출된 마스크는 세정공정으로 이동되어 증착물질이 제거되며, 공정 챔버(미도시)에서 배출에서 배출된 마스크는 세정공정으로의 이동 전 제1 카세트(C1)에 적재되어 본 실시예의 마스크 스토커에 보관된다.
또한, 제2 카세트(C2)에는 증착공정에 사용될 마스크가 적재된다. 증착공정에 사용될 마스크는, 오염된 마스크가 세정공정을 거친 마스크 및 아직 증착공정에 사용되지 않은 마스크를 말하여, 이러한 증작공정에 사용될 마스크는 공정 챔버(미도시)에 투입 전 제2 카세트(C2)에 적재되어 본 실시예의 마스크 스토커에 보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카세트모듈(CM)을 형성한다. 카세트모듈(CM)은 카세트들(C1, C2)이 적층되어는 구조로서 제2 카세트(C2) 상부에 제3 카세트(미도시)가 적층되고, 제3 카세트(미도시) 상부에 제4 카세트(미도시)가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카세트들(C1, C2)은 같은 구조를 가지면서 적층되는데, 적층된 카세트들(C1, C2)의 추락을 방지하게 카세트들(C1, C2)에는 카세트들(C1, C2)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약하는 기구가 마련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들(C1, C2)의 상측벽에는 카세트용 걸림돌기(P)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카세트들(C1, C2)의 하측벽에는 카세트용 걸림돌기(P)가 삽입되는 걸림홈(Q)이 형성된다. 이러한 카세트용 걸림돌기(P)와 걸림홈(Q)이 형성된 구조에 의해 카세트들(C1, C2) 간의 상대적인 이동이 제약하는 기구가 마련된다.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카세트(C1)의 상측벽에 마련된 카세트용 걸림돌기(P)가 제2 카세트(C2)의 하측벽에 형성된 걸림홈(Q)에 삽입됨으로써, 제2 카세트(C2)가 제1 카세트(C1)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는 제1 카세트(C1)와 제1 카세트(C1)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C2)가 보관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배치 시, 증착물질에 오염된 마스크가 적재된 제1 카세트(C1)의 상부에 새로운 마스크가 적재된 제2 카세트(C2)가 배치됨으로써, 새로운 마스크에 오염된 마스크에서 이탈된 파티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 챔버(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box)형 구조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관 챔버(100)에는 보관된 새로운 마스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를 미리 결정된 진공압력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보관 챔버(100)에는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크라이오 펌프(cryo pump)}에 연결되는 펌핑 연결부(120)가 마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관 챔버(10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진공 기구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관 챔버(100)의 전방 측벽에는 카세트 인입인출용 도어(110)가 마련된다. 이러한 카세트 인입인출용 도어(110)를 통해 제1 카세트(C1)가 보관 챔버(100)에 인입하고 보관 챔버(100)에서 인출되며, 제2 카세트(C2)가 보관 챔버(100)에 인입하고 보관 챔버(100)에서 인출된다.
카세트 승강유닛(200)은 보관 챔버(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카세트 승강유닛(200)은 카세트모듈(CM)을 제1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킨다. 카세트 승강유닛(200)은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개별적으로 인입 및 인출할 때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물론 독립적으로 인입된 제2 카세트(C2)를 제1 카세트(C1) 위에 적층할 때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의 분리 및 적층은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과의 합동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의 분리 및 적층과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을 설명한 후에 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세트 승강유닛(2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세트(C1)를 지지하며 제1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되는 승강모듈(210)과, 승강모듈(210)에 연결되며 승강모듈(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모듈(220)과, 승강모듈(210)에 연결되며 승강모듈(210)을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모듈(230)을 포함한다.
승강모듈(210)은 제1 카세트(C1)를 지지한다. 이러한 승강모듈(210)은 제1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모듈(210)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모듈(CM)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승강모듈(210)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모듈(220)과 승강 구동모듈(230)에 연결되는 승강모듈 프레임부(211)와, 승강모듈 프레임부(211)에 연결되며 제1 카세트(C1)에 접촉되어 제1 카세트(C1)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부(212)와, 지지 플레이트부(212)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제1 카세트(C1)에 형성된 걸림홈(Q)에 삽입되는 플레이트용 걸림돌기(213)를 포함한다.
승강모듈 프레임부(211)는 승강 가이드모듈(220)과 승강 구동모듈(230)에 연결된다. 승강모듈 프레임부(21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바디부(211a)와 바디부(211a)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11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211a)는 3개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바디부(211a)들은 바디부(211a)들의 승강과정에서 후술할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와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가 바디부(211a)들에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간격으로 이격된다(후술할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와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가 바디부(211a)들 사이에 배치됨).
지지 플레이트부(212)는 승강모듈 프레임부(211)에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부(212)의 상면부는 제1 카세트(C1)에 접촉되어 제1 카세트(C1)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부(212) 상면부에는 플레이트용 걸림돌기(213)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플레이트용 걸림돌기(213)는 카세트들(C1, C2)에 마련된 카세트용 걸림돌기(P)와 거의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즉, 지지 플레이트부(212)에 마련된 플레이트용 걸림돌기(213)가 제1 카세트(C1)의 하측벽에 형성된 걸림홈(Q)에 삽입됨으로써, 승강모듈(210)의 승강과정에서 제1 카세트(C1)가 지지 플레이트부(212)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승강 가이드모듈(220)은 승강모듈(2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 가이드모듈(220)은, 승강모듈(210)의 업/다운(up/down)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 가이드모듈(220)은, 보관 챔버(100)에 연결되는 가이드모듈 프레임부(221)와, 가이드모듈 프레임부(221)에 지지되는 가이드 샤프트(222)와, 가이드 샤프트(22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승강모듈(210)이 결합되는 볼 부쉬(223)를 포함한다.
가이드모듈 프레임부(221)는 보관 챔버(100)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모듈 프레임부(221)는 가이드 샤프트(222)의 상단부 영역과 하단부 영역에 연결된다.
가이드 샤프트(222)는 가이드모듈 프레임부(221)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샤프트(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후술할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볼 부쉬(223)는 가이드 샤프트(22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볼 부쉬(223)에는 승강모듈 프레임부(211)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볼 부쉬(223)에는 가이드 샤프트(222)가 관통되는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되며, 관통구의 내벽에는 복수의 볼(ball) 회전체(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 구동모듈(230)은 승강모듈 프레임부(211)에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 구동모듈(230)는 승강모듈(210)을 업/다운(up/down)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구동모듈(230)은, 승강모듈(210)에 결합되는 승강용 이동너트부(231)와, 승강용 이동너트부(231)에 치합되는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와,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에 연결되며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를 회전시키는 승강 구동부(233)를 포함한다.
승강 구동부(233)는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에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 구동부(233)는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 구동부(233)는, 보관 챔버(100)의 외부에 배치되며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승강용 서보모터(234)와, 보관 챔버(100)의 외벽에 결합되며 보관 챔버(100)의 외벽을 관통하고 승강용 서보모터(234)의 회전동력을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에 전달하는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보관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용 피드스루부(236)와,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에 결합되고 타단이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에 결합되는 동력전달용 연결축(237)을 포함한다.
승강용 서보모터(234)는 보관 챔버(1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승강용 서보모터(234)는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에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승강용 피드스루부(236)는 보관 챔버(100)의 상부벽에 지지된다. 이러한 승강용 피드스루부(236)에는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승강용 피드스루부(236)는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이 관통한 보관 챔버(100)의 상부벽 부위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보관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승강용 피드스루부(236)는, 보관 챔버(100)의 상부벽에 결합되며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용 밀봉몸체(236a)와,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의 외주면과 승강용 밀봉몸체(236a)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유체(Magnetic Fluid, 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성유체(미도시)는 액체 속에 자성분말을 콜로이드 모양으로 안정 분산시킨 다음 침전이나 응집이 생기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유체로서, 이러한 자성유체(미도시)가 승강용 밀봉몸체(236a)와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 사이에 오링과 같은 막을 형성함으로써,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의 회전에 의해 외부 공기가 진공 분위기의 보관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용 피드스루부(236)에는 자성유체 씰(Magnetic Fluid seal)이 사용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도를 유지시키는 다양한 밀봉부재가 본 실시예의 승강용 피드스루부(236)로 사용될 수 있다.
동력전달용 연결축(237)은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용 연결축(237)의 일단은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에 결합되고, 타단은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에 결합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토커는, 일단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235)에 결합되고 타단이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용 연결축(237)을 구비함으로써, 승강용 서보모터(234)와 승강용 볼 스크류부(232) 사이가 먼 경우에도 용이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300)은 보관 챔버(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300)은, 제1 카세트(C1)를 지지하며 제1 카세트(C1)를 보관 챔버(100)에 인입하고 보관 챔버(100)에서 인출하기 위해 제1 카세트(C1)를 제1축 방향(Z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300)은, 도 7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 카세트(C1)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제1 카세트(C1)를 제2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310)과,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310)에 연결되며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를 회전시키는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320)을 포함한다.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310)은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310)은 제1 카세트(C1)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제1 카세트(C1)를 제2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카세트(C1)가 보관 챔버(100)에 보관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세트(C1)는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에 지지된 상태로 보관된다.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320)은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3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320)은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310)에는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320)에 연결되지 않고 단지 회전만 가능한 아이들 롤러(ID)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320)은, 보관 챔버(100)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321)와, 보관 챔버(100)의 외벽에 결합되며 보관 챔버(100)의 외벽을 관통하고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321)의 회전동력을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에 전달하는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32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보관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323)를 포함한다.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321)는 보관 챔버(1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321)는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에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323)는 보관 챔버(100)의 측벽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323)에는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32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323)는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322)이 관통한 보관 챔버(100)의 측벽 부위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보관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323)는, 보관 챔버(100)의 측벽에 결합되며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322)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카세트 이송용 밀봉몸체(323a)와,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322)의 외주면과 제1 카세트 이송용 밀봉몸체(323a)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유체(Magnetic Fluid, 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성유체(미도시)는 액체 속에 자성분말을 콜로이드 모양으로 안정 분산시킨 다음 침전이나 응집이 생기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유체로서, 이러한 자성유체(미도시)가 제1 카세트 이송용 밀봉몸체(323a)와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322) 사이에 오링과 같은 막을 형성함으로써,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322)의 회전에 의해 외부 공기가 진공 분위기의 보관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323)에는 자성유체 씰(Magnetic Fluid seal)이 사용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도를 유지시키는 다양한 밀봉부재가 본 실시예의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323)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은 보관 챔버(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은 제2 카세트(C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제2 카세트(C2)를 보관 챔버(100)에 인입하고 보관 챔버(100)에서 인출하기 위해 제2 카세트(C2)를 제2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은, 도 9 및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2 카세트(C2)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제2 카세트(C2)를 제2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과,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연결되며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가 카세트모듈(CM)의 승강궤도에 진입하거나 승강궤도에서 회피되도록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을 제1축 방향(Z축 방향) 및 제2축 방향(X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420)과,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연결되며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430)을 포함한다.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은,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은 제2 카세트(C2)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제2 카세트(C2)를 제2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430)에 연결되지 않는 아이들 롤러(ID)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420)은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420)은, 도 4,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가 카세트모듈(CM)의 승강궤도에 진입하거나 승강궤도에서 회피되도록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을 제1축 방향(Z축 방향) 및 제2축 방향(X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420)은, 보관 챔버(100)의 외벽을 관통하여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결합되고 보관 챔버(100)의 외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422)을 구비하며 제3축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본체부(421)와, 보관 챔버(100)에 지지되고 이동 본체부(421)에 연결되며 이동 본체부(421)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본체부용 가이드부(423)와, 이동 본체부(421)에 연결되며 이동 본체부(421)를 이동시키는 이동 본체부용 구동부(미도시)와, 보관 챔버(100)에 지지되고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연결되며,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가이드부(426)를 포함한다.
이동 본체부(421)는 제3축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 본체부(421)에는 보관 챔버(100)의 외벽을 관통하여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결합되고 보관 챔버(100)의 외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42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본체부(4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 구조물로 마련된다. 이러한 이동 본체부(421)의 측벽에는 이동 본체부(421)의 내부를 연결관(422)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개구공(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동 본체부용 가이드부(423)는 보관 챔버(100)에 지지된다. 이러한 이동 본체부용 가이드부(423)는 이동 본체부(421)에 연결되어 이동 본체부(421)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본체부용 가이드부(423)는, 보관 챔버(100)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 레일(423a)과,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 본체부(421)에 결합되는 제1 이동블록(423b)을 포함한다.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가이드부(426)는 보관 챔버(100)에 내부에 배치되어 보관 챔버(100)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가이드부(426)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연결되어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가이드부(42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챔버(100)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 레일(426a)과, 제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결합되는 제2 이동블록(426b)을 포함한다.
이동 본체부용 구동부(미도시)는 이동 본체부(421)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동 본체부용 구동부(미도시) 이동 본체부(421)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본체부용 구동부(미도시)는 제1 이동블록(423b)에 결합되는 이동 본체부용 이동너트부(미도시)와, 이동 본체부용 이동너트부에 결합되는 이동 본체부용 볼 스크류부(미도시)와, 이동 본체부용 볼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이동 본체부용 서보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430)은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4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430)은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에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4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본체부(421)에 지지되며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431)와, 연결관(422)에 연결되며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431)의 회전동력을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에 전달하는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미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연결관(4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433)를 포함한다.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431)는 이동 본체부(421)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431)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에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433)는 이동 본체부(421)의 측벽에 지지되어 연결관(422)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433)에는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미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433)는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미도시)이 관통한 이동 본체부(421)의 측벽 부위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연결관(422)을 통해 보관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433)는, 이동 본체부(421)의 측벽에 결합되며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미도시)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카세트 이송용 밀봉몸체(433a)와,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미도시)의 외주면과 제2 카세트 이송용 밀봉몸체(433a)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유체(Magnetic Fluid, 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성유체(미도시)는 액체 속에 자성분말을 콜로이드 모양으로 안정 분산시킨 다음 침전이나 응집이 생기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유체로서, 이러한 자성유체(미도시)가 제2 카세트 이송용 밀봉몸체(433a)와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미도시) 사이에 오링과 같은 막을 형성함으로써,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외부 공기가 연결관(42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433)에는 자성유체 씰(Magnetic Fluid seal)이 사용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도를 유지시키는 다양한 밀봉부재가 본 실시예의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433)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에는, 이동 본체부(421)와 보관 챔버(100)에 연결되며 연결관(422)과 보관 챔버(100)가 연결되는 부위를 밀봉하는 벨로우즈(V)가 마련된다.
이러한 벨로우즈(V)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보관 챔버(10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 본체부(421)의 외벽에 결합된다. 이러한 벨로우즈(V)의 내부에는 연결관(422)이 배치됨으로써, 연결관(422)과 보관 챔버(100)가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공기에 차폐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토커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되 도 11 내지 도 13을 주로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스토커의 내부에는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가 보관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세트(C1)는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에 지지되고 제2 카세트(C2)는 제1 카세트(C1)의 상부에 적층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보관 챔버(100)의 내부에서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각각 인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카세트 승강유닛(200)이 승강모듈(210)을 상승시켜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상승시킨다. 이때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는 제2 카세트(C2)의 승강궤도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모듈(210)의 상승에 의해 제2 카세트(C2)의 하단부가 제2 카세트(C2)의 하단부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될 때 승강모듈(210)의 상승이 멈춘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420)의 동작에 의해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가 제2 카세트(C2)의 승강궤도로 진입하여 제2 카세트(C2)의 하단부 아래에 배치된다.
다음 승강모듈(210)이 하강한다. 승강모듈(210)의 하강과정에서 제2 카세트(C2)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에 접촉되어 제2 카세트 이송롤러(411)에 지지된다.
제1 카세트(C1)는 승강모듈(210)의 하강에 따라 계속 하강하여 최종적으로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에 접촉되어 제1 카세트 이송롤러(311)에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세트(C1)와 제 카세트가 분리된 상태를 이룬다.
이후 카세트 인입인출용 도어(110)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300)과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보관챔버에서 인출한다.
이때, 보관 챔버(100)의 앞에는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전달받는 운송대차 또는 로봇이 준비된 상태이다.
제1 카세트(C1)와 제2 카세트(C2)를 개별적으로 인입받아 제1 카세트(C1)를 제2 카세트(C2)의 상부에 적층하는 과정은 상술한 방법과 반대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스토커는, 제1 카세트(C1)와 제1 카세트(C1)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C2)를 내부에 보관하는 보관 챔버(100)와, 제1 카세트(C1) 및 제2 카세트(C2) 각각을 독립적으로 인입 및 인출하는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300)과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400)을 구비함으로써, 제1 카세트(C1)에 오염된 마스크를 적재하고 제2 카세트(C2)에 새로운 마스크를 적재하는 방식을 통해 오염된 마스크와 새로운 마스크를 함께 보관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제1 카세트(C1) 및 제2 카세트(C2) 각각을 독립적으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어 오염된 마스크와 새로운 마스크의 보관 챔버(100)에 대한 전체적인 입출고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보관 챔버 110: 카세트 인입인출용 도어
120: 펌핑 연결부 200: 카세트 승강유닛
210: 승강모듈 211: 승강모듈 프레임부
211a: 바디부 211b: 연결프레임
212: 지지 플레이트부 213: 플레이트용 걸림돌기
220: 승강 가이드모듈 221: 가이드모듈 프레임부
222: 가이드 샤프트 223: 볼 부쉬
230: 승강 구동모듈 231: 승강용 이동너트부
232: 승강용 볼 스크류부 233: 승강 구동부
234: 승강용 서보모터 235: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
236: 승강용 피드스루부 236a: 승강용 밀봉몸체
237: 동력전달용 연결축
300: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
310: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 311: 제1 카세트 이송롤러
320: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
321: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
322: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
323: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
323a: 제1 카세트 이송용 밀봉몸체
400: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 410: 제2 카세트 이송모듈
411: 제2 카세트 이송롤러
420: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
421: 이동 본체부 422: 연결관
423: 이동 본체부용 가이드부 423a: 제1 가이드 레일
423b: 제1 이동블록
426: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가이드부
426a: 제2 가이드 레일 426b: 제2 이동블록
430: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
431: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
433: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
433a: 제2 카세트 이송용 밀봉몸체
C1: 제1 카세트 C2: 제2 카세트
CM: 카세트모듈 V: 벨로우즈
P: 카세트용 걸림돌기 Q: 걸림홈

Claims (15)

  1. 제1 카세트와 상기 제1 카세트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를 구비하는 카세트모듈이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 챔버;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모듈을 제1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카세트 승강유닛;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카세트를 상기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상기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1 카세트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 및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카세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상기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 승강유닛은,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되는 승강모듈;
    상기 승강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모듈; 및
    상기 승강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모듈을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모듈은,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는 가이드모듈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모듈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승강모듈이 결합되는 볼 부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구동모듈은,
    상기 승강모듈에 결합되는 승강용 이동너트부;
    상기 승강용 이동너트부에 치합되는 승강용 볼 스크류부; 및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보관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승강용 서보모터; 및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에 결합되며,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을 관통하고 상기 승강용 서보모터의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에 전달하는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용 피드스루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승강 가이드모듈과 상기 승강 구동모듈에 연결되는 승강모듈 프레임부;
    상기 승강모듈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카세트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카세트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플레이트용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승강동력 전달용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용 볼 스크류부에 결합되는 동력전달용 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
  8. 제1 카세트와 상기 제1 카세트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를 구비하는 카세트모듈이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 챔버;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모듈을 제1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카세트 승강유닛;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카세트를 상기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상기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1 카세트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 및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카세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상기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카세트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 이송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 및
    상기 제1 카세트 지지 겸용 이송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카세트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세트 이송용 구동모듈은,
    상기 보관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카세트 이송롤러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 및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에 결합되며,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의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제1 카세트 이송롤러에 전달하는 제1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
  9. 삭제
  10. 제1 카세트와 상기 제1 카세트의 상부에 적층된 제2 카세트를 구비하는 카세트모듈이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 챔버;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모듈을 제1축 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카세트 승강유닛;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카세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카세트를 상기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상기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1 카세트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 및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카세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보관 챔버에 인입하고 상기 보관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카세트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카세트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가 상기 카세트모듈의 승강궤도에 진입하거나 상기 승강궤도에서 회피되도록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을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 및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은,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보관 챔버의 외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본체부;
    상기 보관 챔버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본체부용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본체부용 구동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이동모듈은,
    상기 보관 챔버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카세트 이송모듈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 회전모듈은,
    상기 이동 본체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 및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카세트 이송용 서보모터의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제2 카세트 이송롤러에 전달하는 제2 카세트 이송동력 전달용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카세트 이송용 피드스루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세트용 인입인출유닛은,
    상기 이동 본체부와 상기 보관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보관 챔버가 연결되는 부위를 밀봉하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스토커.
  15. 제1항, 제8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세트에는 증착공정에 사용된 마스크가 적재되고 상기 제2 카세트에는 증착공정에 사용될 마스크가 적재되며,
    상기 제1 카세트의 상측벽에는 카세트용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카세트의 하측벽에는 상기 카세트용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스토커.
KR1020170033819A 2017-03-17 2017-03-17 마스크 스토커 KR10192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819A KR101921481B1 (ko) 2017-03-17 2017-03-17 마스크 스토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819A KR101921481B1 (ko) 2017-03-17 2017-03-17 마스크 스토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45A KR20180106145A (ko) 2018-10-01
KR101921481B1 true KR101921481B1 (ko) 2018-11-26

Family

ID=6387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819A KR101921481B1 (ko) 2017-03-17 2017-03-17 마스크 스토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8755B (zh) * 2020-10-20 2024-05-24 江苏高光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掩膜版存储使用一体装载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6411A (ja) 2003-10-28 2005-05-26 Dms:Kk 基板の運搬システム及び運搬方法
KR100645272B1 (ko) 1998-02-04 2006-11-13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노광장치 및 기판수납 카세트의 위치결정장치
JP2007182325A (ja) 2005-12-29 2007-07-19 Lg Philips Lcd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用ストッカー、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用ロー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272B1 (ko) 1998-02-04 2006-11-13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노광장치 및 기판수납 카세트의 위치결정장치
JP2005136411A (ja) 2003-10-28 2005-05-26 Dms:Kk 基板の運搬システム及び運搬方法
JP2007182325A (ja) 2005-12-29 2007-07-19 Lg Philips Lcd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用ストッカー、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用ロー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45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0403B2 (en) Organic thin film deposition device, organic EL element manufacturing device, and organic thin film deposition method
CN111463365B (zh) 发光元件的制造装置和制造方法
KR101511963B1 (ko) 카세트 공급시스템
TW201712921A (zh) 有機發光顯示設備、有機層沉積設備、以及使用有機層沉積設備製造有機發光顯示設備之方法
KR101921481B1 (ko) 마스크 스토커
JP7148587B2 (ja) 成膜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7305560A (ja) 有機発光素子の蒸着装置及び蒸着材料の充填方法
KR20110124429A (ko) 유기박막 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190081602A (ko) 마스크 스토커
KR101897981B1 (ko) 기판 이송시스템
TW201836192A (zh) 用以於一處理系統中依循路線傳送一載體之設備、用以處理載體上之一基板之一系統、及於一真空系統中依循路線傳送一載體之路線之方法
KR101848629B1 (ko) 박막 증착장치
KR101847978B1 (ko) 유기발광소자 제조장비
KR101530318B1 (ko) 증발원 유닛 및 증착 장치
KR101456246B1 (ko) 기판 이송체 교환장치
KR101687303B1 (ko) 기판 증착시스템
KR101005887B1 (ko) 기판 처리 설비
KR101462596B1 (ko) 기판 처리장치
KR102317422B1 (ko) 스토커 장치
KR101289703B1 (ko) 기판 적재장치
KR101473831B1 (ko) 이송장치
KR20130125161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반입 방법
KR102169294B1 (ko) 기판 증착장치
KR101256192B1 (ko) 수직형 증착 시스템
JP7239549B2 (ja) 成膜装置、成膜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