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341B1 - 액체 탱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액체 탱크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341B1
KR101919341B1 KR1020120106216A KR20120106216A KR101919341B1 KR 101919341 B1 KR101919341 B1 KR 101919341B1 KR 1020120106216 A KR1020120106216 A KR 1020120106216A KR 20120106216 A KR20120106216 A KR 20120106216A KR 101919341 B1 KR101919341 B1 KR 101919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dy
concave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203A (ko
Inventor
토시유키 타카노하시
히로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67D7/0294Combined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곡된 액체취출관의 선단 위치가 파팅라인을 피하여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설치가능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용기(50)측의 암나사부(58a)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된 결합부(20)와, 결합부(20)와 중심축(CL)을 공유하며 내측에 배설되어,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커넥터 본체(30)와, 커넥터 본체(30)에 장착되어 용기(50)의 저부쪽으로 뻗는 것과 동시에 선단부를 대략 수평방향으로 만곡시킨 액체취출관을 구비하며, 커넥터 본체(30)의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요철부를 결합시켜 서로의 상대적인 회동을 저지하는 고정지그(60)와, 결합부(20)의 상면에 결합시켜 수나사부(22)를 조이는 조임지그(70)를 사용하여, 커넥터 장착시에 결합부(20)가 커넥터 본체(30)로부터 독립적으로 나사결합된다.

Description

액체 탱크용 커넥터{LIQUID-TANK CONNECTOR}
본 발명은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외부로 내보내어 공급하기 위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고순도 약품이나 일반 화학약품 등의 액체는 생산공장에서 폴리에틸렌 탱크 등의 액체 탱크에 충전되어, 이 액체 탱크에 형성된 충전/취출용 개폐부에 덮개를 장착한 상태로 출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체 탱크 안에 수용된 액체를 꺼내는 수단으로서는, 용기 내부에 공기 등의 기체를 도입함으로써 그 기체 압력에 의하여 액체를 용기 밖으로 송출하는 사이폰관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방식은 액체 탱크의 개폐부에 장착되어 있던 덮개를 분리한 후, 개폐부에 액체유로가 되는 사이폰관 및 기체 공급로를 구비한 플러그가 장착된다. 그리고, 액체를 액체 탱크의 외부로 꺼내기 위한 튜브와,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튜브를 각각 서로 연결가능하게 된 소켓을 플러그에 접속함으로써, 액체를 꺼내기 위한 액체유로 및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기체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액체 탱크용 커넥터는 용기(개폐부)와 나사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를 용기에 장착할 때에는 커넥터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사이폰관의 선단을 만곡시켜 용기내의 잔액량(殘液量)을 저감하는 구조에서는 커넥터의 회전으로 인해 선단 개구부를 가장 깊은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그 대책으로써, 결합부와 본체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가능하게 접속하는 구조의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6-182400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액체 탱크는 일반적으로 수지(폴리에틸렌 등)의 블로우 성형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블로우 성형품의 액체 탱크는 원칙적으로 성형시에 제품의 외측형상 밖에 규제할 수 없기 때문에, 용기 내의 저부에 파팅라인(parting line)이 남게 된다. 이 파팅라인은 좌우의 금형 접합부에 형성되어 용기내 저면의 중심선 상에 돌출하는 볼록부이며, 일반적으로는 대략 원형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직선형태로 뻗어 있다.
이 때문에, 블로우 성형품의 액체 탱크에 사이폰관을 삽입하여 장착하면, 파팅라인의 볼록부 상면에 사이폰관의 하단이 닿게 되고, 그 결과, 볼록부보다 하방의 액체를 흡입할 수 없게 되어 잔액이 발생한다. 커넥터를 나사결합시켜 장착하는 용기측의 개폐부는 블로우 성형의 사정상, 중심위치가 금형의 분할위치와 일치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용기측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결합부와, 사이폰관을 고정한 본체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결합부만을 회전시켜 용기에 커넥터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선단부를 만곡시킨 사이폰관은 결합부의 나사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사결합 작업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파팅라인을 피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본체의 상단면에 결합부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완료 위치부근이 되면 본체의 상단면에 결합부의 하단면이 접촉한다. 이 때문에, 결합부에 커다란 조임력을 받으면, 본체는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부와 동시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이폰관도 본체와 일체로 결합부와 동시회전하고, 사이폰관의 선단위치가 파팅라인 위까지 벗어나므로, 이와 같은 위치이탈을 일으키면, 용기 내에는 흡입될 수 없는 잔액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블로우 성형품의 액체 탱크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는 용기 내의 잔액을 없애는 관점에서 볼 때, 만곡된 사이폰관의 선단 위치에 대하여 파팅라인을 피해 용이하면서도 또한 확실하게 설치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만곡된 사이폰관의 선단 위치가 파팅라인을 피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설치가능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는 액체가 저장된 용기의 개폐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안으로부터 액체를 인출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로서, 상기 개폐부에 형성된 용기측의 내측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외측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와, 이 결합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내측에 배설되는 것과 동시에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본체와, 이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의 저부쪽으로 연장하는 것과 동시에 선단부를 대략 수평방향으로 만곡시킨 액체 취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접촉면간에 설치한 요철부의 결합에 의하여 서로의 상대적인 회동을 저지하는 고정지그와,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결합시켜 상기 외측 나사부를 조이는 조임지그를 사용하여, 커넥터 장착시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독립적으로 나사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 의하면,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접촉면간에 구비한 요철부의 결합에 의하여 서로의 상대적인 회동을 저지하는 고정지그와, 결합부의 상면에 결합시켜 외측 나사부를 조이는 조임지그를 사용하여, 커넥터 장착시에 결합부가 본체로부터 독립적으로 나사결합하도록 하였으므로, 액체취출관의 동반회전으로 인하여 선단부의 만곡방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면간에 설치한 요철부의 결합은 예를 들면 본체의 상면 및 고정지그의 하면을 접촉면으로 하여 요철부를 설치한 구성이나, 본체의 오목부 내주면 및 고정지그의 외주면(측면)을 접촉면으로 하여 요철부를 설치한 구성이 있다.
이 경우, 적합한 액체취출관으로서는 사이폰관이나 딥 튜브 등이 있으며, 특히, 액체취출관을 사이폰관으로 할 경우의 고정지그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 중공부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촉면간의 요철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것, 바꾸어 말하면, 본체의 원형 중공부 내주면 및 고정지그의 외주면을 접촉면으로 하여 요철부를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장착시에는 본체 및 액체취출관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지그를 사용하여 홀딩하면서 조임지그에 의하여 결합부를 조일 수 있으므로, 사이폰관이나 딥 튜브와 같은 액체취출관 선단부의 만곡방향이 파팅라인의 볼록부 상면과 겹치지 않도록 원하는 방향을 향하여 용기 내에 삽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간의 요철부는 상기 고정지그의 외주면에 설치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상기 원형중공부의 내주면에 형성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본체 상방으로부터 원형 중공부의 오목부 공간에 고정지그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설치하고, 고정지그로 인한 본체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형 중공부에 설치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종별에 따라 둘레방향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조합이 서로 다르면, 액체의 취출시에 커넥터의 원형 중공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소켓의 오조립 방지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동종의 커넥터 및 소켓에 둘레방향의 배치가 동일한 요철부를 마련해 둠으로써, 이종의 조합에 따른 소켓 삽입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의 외주면에 설치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원형 중공부측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종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고정지그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외주부에 상기 액체취출관의 만곡방향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용기내의 액체취출관 선단부의 만곡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에, 상기 요철부의 결합위치에서 상기 만곡방향 표시부와 둘레방향 위치가 일치하는 삽입위치 표시부를 형성하여 두면, 원형 중공부에 대하여 고정지그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추어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원형 중공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체화하여 장착된 키링(key ring)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본체 및 키링을 별개체의 부품으로 용이하게 성형하고 나서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및 키링은 예를 들면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장착시의 결합부 조임 작업에 의하여, 용기 내에서 소망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만곡된 액체취출관이 본체와 함께 동시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만곡된 액체취출관의 선단위치(방향)가 커넥터 장착의 결합부 조임에 의하여 변동되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블로우 성형품의 액체 탱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일지라도, 액체취출관은 액체를 도입하는 만곡된 선단이 파팅라인을 피한 위치에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설치가능하게 되므로, 용기 내의 잔액량 저감에 현저한 효과를 불러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중요부의 종단면도이고, 액체취출관이 사이폰관인 경우에 대하여, 고정지그 및 조임지그를 사용하여 용기의 개폐부에 장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전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가 적용되는 용기의 개략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용기 내부의 저면형상예를 나타내는 용기 내부 횡단면도이다.
도 6a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용기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지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용기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지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c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용기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지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액체 탱크용 커넥터의 변형예로써, 액체취출관이 딥 튜브인 경우에 대해 중요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의 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이하, '커넥터'라 부른다)(10)가, 반도체 고순도 약품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50)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커넥터(10)는 용기(50)의 저면에 도달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과 동시에, 선단부를 대략 수평방향으로 만곡시킨 사이폰관(액체취출관)(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의 액체취출관으로서는 사이폰관(12)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커넥터(10A)와 같이, 딥 튜브(12A)를 구비한 커넥터 본체(30A)로 하여도 좋다.
용기(50)의 상면에는 2개의 개구부(개폐부)(52A, 52B)가 형성되고, 한쪽 개구부(52A)에는 액체 인출용 커넥터(10)가 장착되어 있으며, 타측 개구부(52B)에는 기체유통용 커넥터(10A)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10, 10A)에는 호스(54)를 가지는 소켓(56)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넥터(10)에 장착된 소켓(56) 및 호스(54)로부터는 용기(50)내의 액체가 끌어 올려지며, 커넥터(10A)에 장착된 소켓(56) 및 호스(54)로부터는 용기(50) 내로 기체가 공급된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58은 용기(50)의 내측 덮개이며, 이 내측 덮개(58)에는 커넥터 장착용 암나사부(내측 나사부)(58a)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5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를 블로우 성형하여 제조된 블로우 성형품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용기내 횡단면도와 같이, 상술한 개구부(52A)의 중심위치는 평면시(平面視)에 있어 성형용 금형의 분할위치(분할선(BL))와 일치하므로, 용기(50)내의 저부에 형성되는 파팅라인(PL)과도 일치한다. 이 파팅라인(PL)은 좌우의 금형 접합부에 형성되어 용기내 저면의 분할선(BL) 위로 돌출하는 볼록부이며, 일반적으로는 대략 원형의 중앙부(Ca)로부터 분할선(BL)을 따라 좌우 양방향으로 직선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분할선(BL)은 용기(50)의 중심선과도 일치하고 있다.
이어서,상술한 커넥터(10)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은 후술하는 고정지그(60) 및 조임지그(70)를 사용하여, 커넥터(10)를 용기(50)의 개구부(52A)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10)는 액체가 저장된 용기(50)의 개폐부인 개구부(52A)에 설치되어, 이 커넥터(10)에 소켓(56) 및 호스(54)를 접속함으로써, 개구부(52B)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 압력을 이용하여 용기(50) 내로부터 액체가 인출된다.
도시한 커넥터(10)는 개구부(52A)에 형성된 용기(50)측의 암나사부(내측 나사부)(58a)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하는 수나사부(외측 나사부)(22)가 형성된 결합부(20)와, 이 결합부(20)와 중심축(CL)을 공유하며 내측에 배설되는 것과 동시에,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커넥터 본체(본체)(30)와, 이 커넥터 본체(30)에 장착되어 용기(50)의 저부 쪽으로 연장하는 것과 동시에 선단부를 대략 수평방향으로 만곡시킨 사이폰관(12)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커넥터(10)의 본체 부분인 커넥터 본체(30)와, 용기(50)의 내측 덮개(58)에 형성된 암나사부(58a)와 나사결합하여 용기(50)에 결합되는 결합부(20)와, 커넥터 본체(30)의 플러그부(32)에 고정하여 연결된 사이폰관(12)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30)의 일부인 플러그부(32)는 상술한 소켓(56)과의 연결부이며, 유통공(32a)을 통하여 용기(50) 안의 액체가 흐르는 부분이다.
결합부(20)는 그 외주면에 내측 덮개(58)의 암나사부(58a)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된 대략 링 형상의 부재이다. 결합부(20)의 내주면 하단에는 원주방향에 걸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커넥터 본체(30)의 본체측 돌기(38)와 결합하는 결합부측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합부(20)의 상단면에는 조임지그(70)와 결합시키기 위한 지그장착구멍(26)이 원주방향으로 등(等)피치로 복수개(도시의 구성에서는 60도 피치에 6개)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30)는 상면에 원형 중공부가 형성된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저면 내부에는 저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30)의 상부 개구단측에는 커넥터 본체(30)의 중심축(CL)을 중심으로, 외주측을 회전가능하게 한 결합부(20)가 동축으로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30)의 원형 중공부가, 본체 상부에 일체화되어 장착된 키링부(Kr)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 본체(30)는 다른 부품으로 성형한 키링부(Kr)를 초음파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하여 일체화한 구조가 바람직하고, 키링부(Kr)의 상단면이 원형 중공부의 주위 상면이 된다. 이는 키링부(Kr)를 별개체의 부품으로 성형하고 나서 일체화하는 편이, 커넥터 본체(3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넥터 본체(3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34)가 형성되고, 플랜지부(34)의 사이폰관(12)측이 되는 면(도면 중 하방의 면)에는 내측 덮개(58)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시일부재인 O링(36)이 배설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30)의 외주면의 개구단측에는 원주방향에 걸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결합부(20)와 결합하는 본체측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부(32)의 상단면 및 외주에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캡(40)이 나사결합방식으로 장착되며, 시일부재로서 O링(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캡(40)은 커넥터(10)에 소켓(56)이 장착될 때에 플러그부(32)로부터 분리되며, 그 이외의 경우는 플러그부(32)에 장착되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캡(40)을 분리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캡 회전용 지그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본체(30)는 용기(50) 내에 사이폰관(12)을 삽입하여 개구부(52A)에 설치된 후, 수나사부(22)를 내측 덮개(58)의 암나사부(58a)와 나사결합하도록 상방으로부터 꽉 조인 결합부(2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 때, 사이폰관(12)의 만곡부 선단은 파팅라인(PL)을 피한 소망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상술한 커넥터(10)는 결합부측 돌기(24)의 내경이 본체측 돌기(38)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측 돌기(24)는 본체측 돌기부(38)에 결합된 상태가 되며, 커넥터 본체(30)는 결합부(20)와 커넥터 본체(30)가 중심축(CL)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랜지부(34)가 결합부(20)의 하면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가압을 받아 고정된다.
용기(50) 내에서의 사이폰관(12)의 선단부 만곡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30)의 적당한 곳에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만곡방향 표시부(Ma)를 설치하여 두면 좋다. 이 만곡방향 표시부(Ma)는 요철부, 착색부 및 화살표 마크 등을 형성하는 것이며, 사이폰관(12)이 플러그부(32)에 고정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원형 중공부의 주위 상면에 대하여 만곡방향과 일치시켜 설치하면 좋다.
상술한 결합부(20)의 조임에는 예를 들면 도 6a~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지그(60) 및 조임지그(70)가 사용되며, 커넥터 장착시에, 결합부(20)가 커넥터 본체(30)로부터 독립적으로 나사결합된다. 즉, 커넥터 장착시에는 인력 등으로홀딩한 고정지그(60)에 의하여 커넥터 본체(30)를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조임지그(70)에 의하여 결합부(20)만 회전시켜 조이게 된다.
고정지그(60)는 원기둥 형상을 한 파지부(61)의 하단부측에 중공 원주형상의 걸림부(62)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넥터 본체(30)의 상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원형 중공부에, 걸림부(62)를 상방에서 삽입하여 사용된다. 즉, 고정지그(60)는 커넥터 본체(30)의 상방으로부터 장착하여 사용한다.
걸림부(62)의 외주면에는 요철부의 오목부(63)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63)와, 커넥터 본체(30)의 원형 중공부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의 볼록부(39)를 결합함으로써, 접촉면간의 요철부가 결합하여 서로의 상대적인 회동을 저지할 수 있다. 도시한 구성예에서는 고정지그(60)를 파지부(61) 및 걸림부(62)로 분할가능한 2부품 구조로 하여, 파지부(61)의 일단에 설치한 우산부(64)와 걸림부(63) 사이에 원형 단면의 연결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조임지그(70)는 토크렌치 등의 공구(80)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결합부(20)의 상면에 결합시켜 외측 나사부(22)를 조이는 것이다. 이 조임지그(70)는 지그 본체(71)에 고정지그(60)를 관통시키는 관통공(72)과, 결합부(20)의 상면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돌기부(73)와, 공구(80)를 결합시키는 공구구멍(74)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72)은 고정지그(60)의 연결부(65)가 조임지그(70)와 간섭하는 일 없이 관통하는 구멍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돌기부(73)는 결합부(20)의 상단면에 설치된 지그장착구멍(26)에 삽입됨으로써, 조임지그(70)를 결합부(20)와 결합시켜 회전력을 전달하는 핀형 부재이다. 이 돌기부(73)는 지그 본체(7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원주방향으로 등(等)피치로 복수개(도시의 구성예에서는 60도 피치로 6개)가 설치되어 있다.
공구구멍(74)은 공구(80)의 결합부를 삽입하여 지그 본체(71)에 토크를 전달하는 부분이며, 지그 본체(71)의 외주방향으로 돌출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30)의 원형 중공부 내주면에 한 쌍의 볼록부(39)를 설치하여 두고, 고정지그(60)의 걸림부 외주면에 동수이상 설치한 오목부(63)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커넥터 본체(30)의 상방으로부터 원형 중공부의 오목부 공간에 고정지그(60)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요철부의 형성은 고정지그(60)에 의한 커넥터 본체(30)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면 요철이 그 반대이어도 좋다. 즉, 커넥터 본체(30)의 원형 중공부 내주면에 한 쌍의 오목부를 구비하여, 고정지그(60)의 걸림부 외주면에 설치한 볼록부와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요철부(39, 63)는 도시한 반원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삼각형상 등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대적인 회전을 저지할 수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10)는 커넥터 본체(30)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 중공부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요철부(39, 63)를 결합시켜 서로의 상대적인 회동을 저지하는 고정지그(60)와, 결합부(20)의 상면에 결합시켜 수나사부(20)를 조이는 조임지그(70)를 이용하여, 커넥터 장착시에 결합부(20)가 커넥터 본체로부터 독립적으로 나사결합되도록 하였으므로, 사이폰관(12)의 동반회전에 의하여 선단부의 만곡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 장착시에는 커넥터 본체(30) 및 사이폰관(1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지그(60)를 이용하여 커넥터 본체(30)를 홀딩하면서 조임지그(70)에 의하여 결합부(20)를 조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이폰관(12)의 선단부 만곡방향이 파팅라인(PL)의 볼록부 상면과 겹치지 않도록, 미리 소망하는 방향을 향하여 용기(50) 내로 삽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 본체(30)의 원형 중공부측에 구비한 볼록부(39) 또는 오목부는 커넥터(10)의 종별에 따라 둘레방향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조합이 서로 다르면, 액체를 꺼낼 때에 커넥터 본체(30)의 원형 중공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소켓(56)의 오조립 방지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동종의 커넥터(10) 및 소켓(56)에 둘레방향의 배치 및 수가 동일한 요철부를 설치해 둠으로써, 다른 조합에서는 요철부가 간섭하는 부분이 생겨 삽입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종(異種)의 조합에 의하여 소켓(56)이 삽입되는 오조립을 저지할 수 있다.
고정지그(60)의 외주면에 설치하는 오목부(63) 또는 볼록부는 커넥터 본체(30)의 볼록부(39) 또는 오목부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다른 종별에 대응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한 고정지그(60)에는 둘레방향의 다른 위치에 총 11개의 오목부(6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한 쌍의 볼록부(39)가 180도의 위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한 개의 고정지그(60)로 복수종의 커넥터 본체(30)에 대응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고정지그(60)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고정지그(60)에는 요철부(39, 63)의 결합위치에서 만곡방향 표시부(Ma)와 둘레방향 위치가 일치하도록, 눈으로 확인하기 쉬운 적당한 장소에 삽입위치 표시부(Mb)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구성예에서는 고정지그(60)를 구성하는 우산부(64)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파지부(61)의 상단면에 설치한 삽입위치 표시부(Mb')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삽입위치 표시부(Mb, Mb')를 구비하여 두면, 고정지그(60)를 원형 중공부에 삽입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방으로부터 육안 확인을 통하여 용이하게 요철부(39, 63)의 위치를 조절하여 맞출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고정지그(60A)는 커넥터(10A)와 같이 딥 튜브(12A)를 구비한 커넥터 본체(30A)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 고정지그(60A)는 커넥터 본체(30A)의 상방으로부터 장착하여 사용한다.
커넥터 본체(30A)의 상단부에 형성된 링 형상의 상면에는 고정지그(60A)의 핀(볼록부)(66)을 삽입하는 핀 삽입구멍(오목부)(37)이 설치되어 있다. 핀(66)은 고정지그(60A)의 파지부(61)와 일체로 설치된 원판형상부(67)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며,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핀 삽입구멍(37)에 대해서도 소정 위치에서 핀(66)을 삽입하여 고정지그(60A)의 장착이 가능해지도록, 커넥터 본체(30A)의 상면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10A)는 커넥터 본체(30A)의 상면으로부터 장착됨으로써 핀(66) 및 핀 삽입구멍(37)의 요철부를 결합시켜 서로의 상대적인 회동을 저지하는 고정지그(60A)와, 결합부(20)의 상면에 결합시켜 수나사부(22)를 조이는 조임지그(70)를 사용하여, 커넥터 장착시에 결합부(20)가 커넥터 본체(30A)로부터 독립적으로 나사결합되도록 하였으므로, 딥 튜브(12A)의 동반회전에 의하여 선단부의 만곡방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커넥터 장착시에는 커넥터 본체(30A) 및 딥 튜브(12A)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지그(60A)를 사용하여 커넥터 본체(30A)를 홀딩하면서 조임지그(70)에 의하여 결합부(20)를 조일 수 있으며, 그 결과, 딥 튜브(12A)의 선단부 만곡방향이 파팅라인(PL)의 볼록부 상면과 겹치지 않도록, 미리 원하는 방향을 향하여 용기(50) 내에 삽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핀(66) 및 핀 삽입구멍(37)의 요철부에 대해서는 커넥터 본체(30A)의 상면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고정지그측의 오목부에 삽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장착시의 결합부 조임 조작에 의하여, 용기(50) 내에서 소망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만곡된 액체취출관(사이폰관(12)이나 딥 튜브(12A))이 커넥터 본체(30)와 함께 동시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만곡된 액체취출관의 선단 위치(방향)가 커넥터 장착의 결합부 조임에 의하여 변동하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블로우 성형품의 용기(5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일지라도, 액체취출관은 액체를 도입하는 만곡된 선단이 파팅라인(PL)을 피한 위치에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설치가능하게 되므로, 용기(50) 내의 잔액량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10, 10A : 액체 탱크용 커넥터(커넥터) 12 : 사이폰관(액체취출관)
12A : 딥 튜브(액체취출관) 20 : 결합부
22 : 수나사부(외측 나사부) 24 : 결합부측 돌기
26 : 지그 장착구멍 30, 30A : 커넥터 본체(본체)
32 : 플러그부 34 : 플랜지부
37 : 핀 삽입구멍(오목부) 38 : 본체측 돌기
39 : 볼록부(요철부) 40 : 캡
50 : 용기 52A, 52B : 개구부(개폐부)
56 : 소켓 58 : 내측 덮개
58a : 암나사부(내측 나사부) 60, 60A : 고정지그
61 : 파지부 62 : 걸림부
63 : 오목부(요철부) 66 : 핀(볼록부)
70 : 조임지그 71 : 지그 본체
72 : 관통공 73 : 돌기부
74 : 공구구멍 Kr : 키링
Ma : 만곡방향 표시부 Mb, Mb' : 삽입위치 표시부
CL : 중심축 BL : 분할선
PL : 파팅라인

Claims (8)

  1. 액체가 저장된 용기의 개폐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안으로부터 액체를 인출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로서,
    상기 개폐부에 형성된 용기측의 내측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외측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와, 해당 결합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내측에 배설되는 것과 동시에,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본체와, 해당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의 저부쪽으로 연장되는 것과 동시에 선단부를 대략 수평방향으로 만곡시킨 액체 취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접촉면간에 설치한 요철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본체와의 상대적인 회동을 저지하는 고정지그와,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결합시켜 상기 외측 나사부를 조이는 조임지그를 사용하여, 커넥터 장착시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독립적으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 중공부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촉면간의 요철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간의 요철부는 상기 고정지그의 외주면에 설치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상기 원형 중공부의 내주면에 형성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중공부에 설치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종별에 따라 둘레방향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조합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원형 중공부측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종별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외주부에 상기 액체취출관의 만곡방향 표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에, 상기 요철부의 결합위치에서 상기 만곡방향 표시부와 둘레방향 위치가 일치하는 삽입위치 표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중공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체화되어 장착된 키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KR1020120106216A 2011-09-29 2012-09-25 액체 탱크용 커넥터 KR101919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4534A JP6001837B2 (ja) 2011-09-29 2011-09-29 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取付装置および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の取付方法
JPJP-P-2011-214534 2011-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203A KR20130035203A (ko) 2013-04-08
KR101919341B1 true KR101919341B1 (ko) 2018-11-19

Family

ID=4843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216A KR101919341B1 (ko) 2011-09-29 2012-09-25 액체 탱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26713B2 (ko)
JP (1) JP6001837B2 (ko)
KR (1) KR101919341B1 (ko)
TW (1) TWI5700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5460A1 (zh) * 2014-03-13 2015-09-17 无锡华瑛微电子技术有限公司 化学液存储瓶及其制造方法
TWI686562B (zh) * 2015-02-20 2020-03-01 日商思美定股份有限公司 長形流路構件及塑膠容器以及黏性液體吐出裝置
JP6642905B2 (ja) * 2015-12-17 2020-02-1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ソケット
JP6653563B2 (ja) * 2015-12-17 2020-02-2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0218A (en) * 1958-06-25 1962-08-21 Copymation Inc Corrosive fluid container fitting
US4212318A (en) * 1979-08-22 1980-07-15 Chrysler Corporation Retainer assembly for fuel tank mounted sending unit
US5048309A (en) * 1987-12-30 1991-09-17 Carlisle Jr Billy M Universal accumulator
JP4458644B2 (ja) * 2000-08-21 2010-04-28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接続器具
JP4717996B2 (ja) * 2000-10-11 2011-07-0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US20020134440A1 (en) * 2001-03-20 2002-09-26 Tony Mandzuk Pressurized fluid tank reserve system
JP4824928B2 (ja) * 2004-12-27 2011-11-3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33002B2 (ja) * 2008-01-21 2012-09-2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
JP5364273B2 (ja) * 2008-01-28 2013-12-1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プラグ構造
JP5461932B2 (ja) * 2009-09-14 2014-04-0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95583B2 (ja) * 2009-09-14 2014-01-2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容器
JP4713676B1 (ja) * 2010-08-11 2011-06-29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26713B2 (en) 2015-09-08
JP6001837B2 (ja) 2016-10-05
TW201326022A (zh) 2013-07-01
JP2013071778A (ja) 2013-04-22
TWI570052B (zh) 2017-02-11
KR20130035203A (ko) 2013-04-08
US20130291958A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341B1 (ko) 액체 탱크용 커넥터
KR101191921B1 (ko) 연결기
CA2909800C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elivering sterile water to an endoscope
CN107440666A (zh) 用于医疗过程的连接器和管组
KR101059660B1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EP3797976A1 (en) Anti-spray joint structure of connection hose of vehicle air compressor
US20130056505A1 (en) Size adapter for liquid dispensing bottles
JP2015224068A (ja) 詰め替え容器
US20210060881A1 (en) Anti-spray joint structure of connection hose of vehicle air compressor
JP2009286471A (ja) 二重容器
RU78773U1 (ru)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JP6533154B2 (ja) 蛇口接続継手
JP2016101709A (ja) 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チューブ容器
JP5461932B2 (ja) コネクタ
JP5395583B2 (ja) 容器
WO2010025740A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096795A (ko) 생수용기 캡, 이와 결합하는 냉온수기 및 이를 제작하는 금형
JP2018048697A (ja) 樹脂管用管継手
CN206191143U (zh) 塑料热水器内胆接口用的金属嵌件
US9919908B2 (en) Centering bell quick change system
KR20170007910A (ko) 분리 결합형 수통
CN103367500A (zh) 接线盒
JP2004285640A (ja) 水栓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