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976B1 -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976B1
KR101917976B1 KR1020180017680A KR20180017680A KR101917976B1 KR 101917976 B1 KR101917976 B1 KR 101917976B1 KR 1020180017680 A KR1020180017680 A KR 1020180017680A KR 20180017680 A KR20180017680 A KR 20180017680A KR 101917976 B1 KR101917976 B1 KR 10191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tester
roller
rope tes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화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Priority to KR102018001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61D15/08Railway inspection trolleys
    • B61D15/12Railway inspection trolleys power propelled
    • B61D15/125Railway inspection trolleys power propelled for cabl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9/00Railway vehicle profile gauges; Detecting or indicating overheating of components; Apparatus on locomotives or cars to indicate bad track sections; General design of track recording vehicles
    • B61K9/08Measuring installations for surveying permanent 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와이어로프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가 이동하면서 와이어로프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 테스터를 안내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와이어로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몸체;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와이어로프 상에서 몸체를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일측이 와이어로프 테스터에 결합되고 타측이 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APPARATUS FOR GUIDING WIRE ROPE TESTER}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고정식 와이어로프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가 이동하면서 와이어로프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 테스터를 안내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로프는 1~3 mm 의 강선을 여러가닥 꼬아서 굵은 하나의 선으로 만든 것이다. 와이어로프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와이어로프는 짚 라인(zip line), 크레인(예를 들어, 타워, 기중기, 항만 등), 케이블카(예를 들어, 스키장, 놀이공원 등), 교량(예를 들어, 현수교, 사장교 등) 등에서도 주로 이용된다.
와이어로프에 노후화, 또는 내부 소선 파단, 마모 부식 등이 발생하여 와이어로프가 끊어질 경우,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의 끊어짐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로프의 상태를 검사하는 테스터가 개발되고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는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통한 영상, 레이저 광 또는 자속밀도 변화 측정 등을 통해 와이어로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장치이다. 다만, 와이어로프 테스터는 그 자체적으로 이동 기능이 없어 케이블카와 같이 외부 장치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이동하는(이하, 이동식 와이어로프)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와이어로프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이하, 고정식 와이어로프) 운용되는 곳의 경우, 검사원이 직접 와이어로프 주변을 이동하면서, 와이어로프 테스터를 통해 와이어로프를 진단해야 한다. 와이어로프가 설치된 현장 특성상 이 작업은 검사원에게 상당히 위험할 수 있고, 와이어로프의 전체 구간을 올바르게 검사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와이어로프 테스터의 활용성을 확대하고, 고정식 와이어로프 검사 시 검사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이 요구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132010호
본 발명은 일반적인 와이어로프 테스터로도 고정식 와이어로프에 대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로프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와이어로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몸체;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와이어로프 상에서 몸체를 와이어로프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일측이 와이어로프 테스터에 결합되고 타측이 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부는 와이어로프의 표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및 제1 롤러에 연동되어,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와 접촉하는 제1 롤러의 접촉면은 미끄럼 방지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제1 롤러 측으로 와이어로프를 가압함으로써 제1 롤러와 함께 와이어로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의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제1 롤러와 와이어로프의 접촉면의 반대측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몸체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지지부의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실린더에 연동되어 몸체의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어부는 지지부가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제1 롤러 측으로 와이어 로프를 가압할 때, 실린더에 포함된 압력 측정 센서로부터, 지지부에 가해지는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며, 압력 신호를 기초로 지지부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산출하고,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제1 롤러 측으로의 실린더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와이어로프의 재료, 길이 및 직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정보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 압력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 압력값 중 검사원으로부터 입력된 와이어로프 정보에 대응하는 임계 압력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임계 압력값과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실린더의 이동의 정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 제1 롤러의 전측과 후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제1 롤러와 함께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거리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몸체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몸체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이동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며, 몸체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이동 속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몸체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이동 속도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와이어로프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관통부의 상측이며 몸체의 전면과 후면의 외측에 결합되는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되,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는 몸체의 전면과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하측 단부에서 양 갈래로 갈라지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좌우 방향에 있어 두 개의 연장부 사이의 거리는 관통부의 폭보다 짧고,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입력부를 통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기동 신호가 입력될 때, 제어부를 통한 동작을 제1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는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된 제1 몸체; 및 힌지부를 통해 제1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와이어로프는 제2 몸체가 회전 개방된 상태에서 몸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에 연결되어 고정식 와이어로프 상에서도 와이어로프 테스터가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고정식 와이어로프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를 자동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가 고정식 와이어로프를 진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와이어로프 테스터의 진단 정밀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와이어로프를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몸체가 제거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쉽고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을 돕기 위함이며 기준을 정하는 바에 따라 각 방향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10)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w)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어로프(w)는 고정식 와이어로프와 이동식 와이어로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w)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미도시)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g)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w)의 삽입을 위해 몸체(b)의 네 개의 측면들 중 두 개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관통부(o), 힌지부(h1, h2) 및 결합 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선택적으로 카메라(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미도시)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몸체(b) 내부에 배치된다. 이동부는 와이어로프(w)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w)의 표면에 접촉(또는 지지)하는 제1 롤러와, 제1 롤러와 연동되어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예시에서 제1 롤러는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제1 롤러는 1개, 3개, 4개 등과 같이 다양한 개수의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예를 들어, BLDC 모터(Brushless DC electric motor)일 수 있다. 이동부는 도 5를 참조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가이드부(g)는 이동부를 통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로프 테스터(10)가 함께 이동하도록, 와이어로프 테스터(10)와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g)는 일측이 와이어로프 테스터(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몸체(b)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와 와이어로프 테스터(10)의 연결을 위해, 가이드부(g)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와이어로프 테스터(10)와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걸릴 수 있도록 고리 형태의 걸림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가이드부(g)는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고정 부재를 몸체(b)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삽입함으로써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 또는 와이어로프 테스터(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 및 와이어로프 테스터(10)와 가이드부(g)간 결합은 상술한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가이드부(g)는 두 개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가이드부(g)는 몸체(b)와의 연결 위치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몸체(b)는 와이어로프(w)의 삽입을 위해 두 개의 부분(예를 들어, 제1 몸체(b1) 및 제2 몸체(b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몸체(b1)의 일측에 힌지부(h1, h2)가 구비될 수 있다. 힌지부(h1, h2)는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과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경첩의 형태일 수도 있다. 제2 몸체(b2)는 힌지부(h1, h2)를 통해 제1 몸체(b1)에 대해 회전 결합 또는 회전 분리가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또한, 제1 몸체(b1)와 제2 몸체(b2)의 연결 부분은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b1)와 제2 몸체(b2)의 연결 부분에 대한 방수 처리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관통부(o)는 와이어로프(w)가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고,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관통부(o)를 통해 와이어로프(w)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w)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부(o)는 몸체(b)를 구성하는 표면들 중 예를 들어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o)는 제1 몸체(b1)에 의해 상면, 하면 및 제1 측면이 형성되고 제2 몸체(b2)에 의해 제2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부(o)는 제1 몸체(b1)와 제2 몸체(b2)가 결합될 때 제1 몸체(b1)와 제2 몸체(b2)에 의해 상면, 하면 및 측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와이어로프(w)를 촬영한다.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한 와이어로프(w)에 대한 이미지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고, 이미지는 와이어로프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예를 들어, 액션 카메라일 수 있으나,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촬영할 수 있는 다른 카메라 또는 장비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와이어로프 테스터(10)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w) 상에 설치된 상황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두 개의 가이드부(g1, g2)와 두 개의 결합 부재(s1, s2)를 포함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가이드부(g1, g2)는 제1 몸체(b1)의 네 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가이드부(g1, g2)가 제1 몸체(b1)의 측면들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에 각각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가이드부(g)는 와이어로프 테스터(10)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g)의 개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힌지부(h1, h2)는 제1 몸체(b1)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1 몸체(b1)와 제2 몸체(b2)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몸체(b2)는 힌지부(h1, h2)를 통해 몸체(b)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을 할 수 있다. 다만, 힌지부(h1, h2) 그 자체로는 제1 몸체(b1)와 제2 몸체(b2)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어, 외부 충격에 의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와이어로프(w)에서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결합 부재(s)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s)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동작 중 제2 몸체(b2)가 제1 몸체(b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1 몸체(b1)와 제2 몸체(b2)를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결합 부재(s)는 몸체(b)의 네 측면 즉,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s)는 제2 몸체(b2)에 형성된 걸림부와 제1 몸체(b1)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s)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결합 부재(s1, s2)가 몸체(b)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 부재(s)는 예를 들어, 매미 고리의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한 전면도이다. 검사원이 와이어로프(w)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삽입할 때 검사원은 결합 부재(s1, s2)의 결합을 푼 뒤, 제2 몸체(b2)를 회전시켜(또는 제1 몸체(b1)로부터 분리시켜) 몸체(b)를 개방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힌지부(h2)가 몸체(b)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가정하므로, 제2 몸체(b2)는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h)가 몸체(b)의 상부가 아닌 측면에 형성되면, 제2 몸체(b2)는 힌지부(h)에 대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입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검사원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를 조작할 때 이용되는 구성이다. 입력부(180)는 이동부(미도시)를 기동시키기 위한 기동 스위치(181), 이동부(미도시)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스위치(182), 그리고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데 사용되는 전원 스위치(1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미도시)를 기동시키거나 정지시킬 때 각각 별도의 스위치가 필요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하나의 버튼 형태로 구성되어 버튼을 누를 때마다 그 동작 상태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스위치(183)도 마찬가지로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8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에서 설명되는 지지부(1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원은 리모콘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부(미도시)에 송신하고,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검사원의 조작을 통해 와이어로프(w)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해서는 전력이 필요한데, 현장 특성상, 외부 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전원부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1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와이어로프(w)를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검사원이 와이어로프(w)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2 몸체(b2)가 제거된 상황을 가정하여 도시되었고, 앞선 예시들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힌지부(h1, h2)가 제1 몸체(b1)의 상측에 형성된 상황을 가정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내부 구체적으로, 관통부(o) 내에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r)이 존재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관통부(o)는 몸체(b)의 전면과 후면에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몸체(b2)가 개방 또는 제거될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b2)가 분리된 후 개방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관통부(o)를 통해 제1 롤러(111)의 일부와 지지부(131)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r)은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와이어로프(w)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에 포함된 제1 롤러(111)의 하부에 있다. 제1 롤러(111)는 모터의 동작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111a, 1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제1 롤러(111)의 회동에 따라 와이어로프(w)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w)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1)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r)은 이동부에 포함된 제1 롤러(111)의 하부와 지지부(131) 상부 사이의 공간을 나타낸다. 그러나, 와이어로프를 중심으로 하는 제1 롤러와 지지부의 상하 방향 상대 위치는 앞서 설명한 것과는 반대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r)은 이동부에 포함된 제1 롤러(111)의 상부와 지지부(131) 하부 사이의 공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와이어로프(w)는 와이어로프(w)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로프(w)는 와이어로프(w)를 이루는 강선의 종류, 두께 및 개수에 따라 그 직경이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6 mm 내지 40 mm의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r)은 현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와이어로프(w)가 삽입 가능하도록, 40 mm를 초과하는 높이를 갖는다.
검사원은 와이어로프(w)를 진단하고자 할 때, 와이어로프(w)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r)에 삽입할 수 있다. 검사원이 와이어로프(w)를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r)에 삽입하였을 때의 예시는 도 6에 도시된다.
검사원이 와이어로프(w)를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r)에 삽입하면, 와이어로프(w)는 점선 블록(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롤러(111)의 접촉면(111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제1 롤러(111)가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제1 롤러(111)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로프(w)의 상면을 타고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접촉면(111a)은 이동부(미도시)의 동작이 아닌, 외부 요인(예를 들어, 와이어로프(w)의 경사)으로 인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미끄러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코팅(예를 들어, 우레탄 코팅 등) 처리가 될 수 있다. 물론, 제1 롤러(111)는 실리콘과 같이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의 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와이어로프(w)는 제1 롤러(111)에 끼워진 커버에 접촉하거나 또는 이에 걸릴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롤러(111)는 U형 롤러, V형 롤러 등 다양한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그 후, 검사원이 입력부(180)에 포함된 기동 스위치(181)를 on 시키면,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부가 동작하게 되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와이어로프(w) 상에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검사원이 입력부(180)에 포함된 기동 스위치(181)를 on 시키면, 제어부는 실린더(130)를 동작시켜, 지지부(131)가 몸체(b)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지지부(131)가 상부 방향으로 움직인 이후,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한 예시는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기동 스위치(181)가 on 상태로 전환될 때, 제어부는 지지부(131)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로프(w)의 하면이 지지부(131)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기동 스위치(181)가 on 상태로 전환되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w)의 하면 및 상면이 각각 지지부(131)와 제1 롤러(111)에 접촉 및 지지되어, 와이어로프(w)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이동하면, 가이드부(g)를 통해 연결된 와이어로프 테스터도 함께 와이어로프(w)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는 힌지부(h1, h2)가 제1 몸체(b1)의 상측에 형성되고, 결합 부재(s1, s2)가 제1 몸체(b1)의 네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힌지부(h1, h2)와 결합 부재(s1, s2)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10)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w)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자체로 이동 기능이 없는 와이어로프 테스터(10)를 사용하더라도, 고정식 와이어로프에 대한 진단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위에서 설명한 이동, 그리고 이동을 위한 제어를 위해 몸체 내부에 복수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몸체 내부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이동부(110), 실린더(130), 지지부(131), 제어부(140), 보조 전원부(170), 입력부(180) 및 카메라(19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선택적으로 보조 지지부(121, 122)와 지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 전원부(17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야외에 설치되거나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의 특성 상,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외부 전원을 직접 인가 받아 구동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복수의 배터리들로 구성되는 보조 전원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전원부(170)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들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충전 단자(184)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이동부(11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몸체(b) 내부에 배치되고, 와이어로프(w)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1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이동부(110)는 제1 롤러(111)와 모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10)는 동력 전달 기어(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13)는 제어부(140)를 통해 모터 동작 신호를 수신할 때 동작되고, 제어부(140)에서 생성된 모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모터(113)는 모터 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 기어(미도시)는 모터(113)의 동작에 따라 모터(113)와 연동되는 제1 롤러(111)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모터 기어는 동력 전달 기어(112)에 맞물리고, 동력 전달 기어(112)는 제1 롤러(111)의 일 면에 형성된 롤러 기어(미도시)에 맞물릴 수 있다. 이들 맞물림 구조에 의해, 모터(113)의 회전에 따라 제1 롤러(11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롤러(111)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11a, 1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와이어로프(w)의 상면에 접촉(또는 지지)하고, 모터(113)의 동작에 따라 와이어로프(w)를 타고 움직일 수 있다. 즉, 제1 롤러(111)의 회동에 따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와이어로프(w)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것처럼, 와이어로프(w)가 접촉하는 접촉면(111a)은 미끄럼 방지 코팅(예를 들어, 우레탄 코팅 등)이 될 수 있거나,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커버가 씌워질 수 있다. 접촉면(111a)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코팅 또는 커버에 기인하여,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w)의 경사에도 불구하고 미끄러짐 없이 와이어로프(w)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즉, 미끄럼 방지 코팅 또는 커버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어로프(w)의 경사의 영향을 적게 고려해도 되기 때문에, 제어부(140)를 통한 모터(113)의 제어도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8에서 제1 롤러(111)는 서로 이격되어 두 개가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제1 롤러(111) 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몸체(b)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10)에 포함된 제1 롤러(111), 동력 전달 기어(112) 및 모터(113) 간 결합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방향 및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실린더(130)는 지지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지지부(1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실린더(130)는 지지부(131)를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지지부(131)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고, 실린더(130)의 상부에 결합되며, 실린더(130)에 의해 몸체(b)의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검사원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전원을 켜고, 추가 조작(예를 들어, 기동 스위치를 켜는 동작)을 할 경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승한다. 지지부(131)의 상부 방향 이동은 지지부(131)의 상면이 와이어로프(w)의 하면에 접촉한 이후 와이어로프(w)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할 때 멈춘다. 따라서, 지지부(131)는 와이어로프(w)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부(131)가 와이어로프(w)의 하면에 접촉하는 순간 멈추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로프(w)의 하면에 접촉한 후 미리 설정된 조건에 충족할 때까지 계속 상승하는 이유는, 와이어로프(w)의 상측에 배치된 제1 롤러(111) 측으로 와이어로프(w)를 가압함으로써 제1 롤러(111) 표면과 와이어로프(w) 사이의 압착력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와이어로프(w)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와이어로프(w)가 제1 롤러(111)와 지지부(131)에 의해 상하 방향 견고히 가압되지 않고 제1 롤러(111)와 지지부(131)와 느슨하게 접촉한 상태라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제1 롤러(111)가 회전하더라도, 제1 롤러(111)가 와이어로프(w) 표면 상에서 헛돌아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 지지부(131)를 계속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제1 롤러(111)의 와이어로프(w)에 대한 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제1 롤러(111)를 통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이동이 원활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130)는 압력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측정 센서(미도시)는 지지부(13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 신호를 제어부(140)에 송신한다. 제어부(140)로 송신된 압력 신호는 지지부(131)의 상승 이동을 멈추는 시점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어부(140)는 검사원의 조작에 따라 보조 전원부(170)로부터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원이 전원 스위치(183)를 통해 전원을 켜거나 끄면, 전원 스위치(183)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제어부(140)는 실린더(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실린더(130)는 지지부(1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제어부(140)는 입력부(180)를 통한 검사원의 입력에 따라 지지부(131)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동 스위치(181)를 통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지지부(131)가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실린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지 스위치(182)를 통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지지부(131)가 몸체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실린더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실린더(130)가 구동되어 지지부(131)가 상승할 때, 지지부(131)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시점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실린더(130)에 포함된 압력 측정 센서(미도시)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압력 신호를 기초로 지지부(131)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지지부(131)에 가해지는 압력값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임계 압력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압력값이 임계 압력값 미만이면, 제어부(140)는 지지부(131)가 계속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압력값이 임계 압력값 이상이면, 제어부(140)는 지지부(131)의 상부 방향 이동을 정지시키거나 반대로 지지부(131)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한 종류의 와이어로프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닌,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로프에 적용 가능하다.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로프 모두에 적용 가능하도록,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의 재료, 길이 및 직경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 압력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작업자로부터 입력된 와이어로프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임계 압력값 중 와이어로프 테스터(10)에 의해 검사되는 와이어로프에 대한 임계 압력값을 검색하고, 검색한 임계 압력값과 측정된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실린더의 상부 방향 이동의 정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서 이루어지는 압력값을 이용한 지지부(131)의 상승 정지 시점 결정으로 인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삽입되는 와이어로프(w)의 견고한 압착을 보장할 수 있고, 압착력이 너무 높아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터(113)가 동작할 때, 제1 롤러(111)가 와이어로프(w)의 표면 상에서 헛돌지 않고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이동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셋째, 제어부(140)는 이동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지지부(131)의 상승 이동이 정지되면, 모터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모터(113)에 전달한다. 여기서, 모터 동작 신호는 모터의 회전 속도 제어를 위한 회전 속도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와이어로프 상에서 고속으로(예를 들어, 와이어로프 테스터(10)의 모델에 따라 2 m/s를 초과하는 속도로) 이동하면, 와이어로프 테스터(10)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로부터 수신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몸체(b)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몸체(b)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이동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몸체(b)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이동 속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몸체(b)의 이동 속도가 정상 이동 속도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모터 동작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정상 이동 속도 범위는 예를 들어 1 m/s 초과 2 m/s 이하로 설정될 수 있고, 정상 이동 속도 범위는 다양한 속도 범위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거리 측정 방법은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를 이용한 방식뿐만 아니라,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80)를 통해, 검사원으로부터 이동부(110)에 대한 정지 요청을 받으면(예를 들어, 정지 스위치(182)를 통해), 모터 정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모터(113)에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제1 롤러(111)와 지지부(131) 사이에서 압착된 와이어로프(w)를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실린더(13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1)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 6에 도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검사원은 와이어로프(w)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삽입하였던 과정을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와이어로프(w)에 대한 진단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어부(14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제어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메인 기판(141)와 모터 제어 기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어부(14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두 개의 기판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하나의 기판에서 제어부(140)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는 제어부(140)가 기동 스위치(181) 또는 정지 스위치(182)의 on/off에 따라 실린더(13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지지부(131)가 자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지지부(131)의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지지부(131)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버튼 또는 스위치의 조작이 발생할 때, 실린더(130)를 일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는 위에서 설명한 제1 롤러(111)와 지지부(131) 외에,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와이어로프(w) 상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보조 지지부(121, 122)는 베어링 또는 롤러와 같은 회전형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보조 지지부(121, 122)는 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 이동부(110)와 지지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보조 지지부(121, 122)의 표면에 와이어로프(w)의 상면이 접촉할 수 있다. 즉, 보조 지지부(121, 122)는 와이어로프(w)의 상부(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와이어로프(w)의 하부)에서 와이어로프(w)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121, 122)에는 별도의 동력 전달 기어가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와이어로프(w)의 진행 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121, 122)는 예를 들어, 608zz 보조 베어링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보조 지지부(121, 122)가 이동부(110)를 기준으로 양 측에 하나씩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동부(1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지연부(160)는 입력부(180)를 통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한 기동 신호가 입력될 때, 제어부(140)를 통한 동작을 제1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검사원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를 조작하는 중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작동하게 되면, 검사원이 크게 다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검사원이 기동 요청을 하더라도 실린더(130) 또는 이동부(110)의 동작을 일정 시간 지연시킴으로써, 검사원의 안전을 보장한다. 지연부(160)는 제어부(140)에 연결된 복수의 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지연부(160)의 구성 없이, 제어부(140)에 의한 제어를 통해 실린더(130) 또는 이동부(110)의 동작이 일정 시간만큼 지연된 후 동작되게 할 수도 있다.
입력부(180)는 검사원으로부터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에 대한 조작을 위한 구성이다. 입력부(180)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고로 상세히 이루어졌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카메라(19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진행 방향 또는 진행 반대 방향을 촬영하고, 촬영된 카메라 이미지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카메라 이미지는 와이어로프(w) 상태의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10)가 고정식 와이어로프(w)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와이어로프 테스터(10)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실린더(130)의 제어를 통해 와이어로프(w)와 제1 롤러(111) 및 지지부(131) 간 압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이동 효율을 증가시키고, 이동 속도 제어를 통해 와이어로프 테스터(10)에 의한 와이어로프(w) 상태의 진단을 효율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는 제1 롤러(111)에 포함된 접촉면에 미끄럼 방지 처리를 함으로써 와이어로프(w)의 경사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킨 장점이 있다.
위의 설명에서, 지지부(131)의 상면은 편평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지지부(131)의 상면이 편평한 형상을 갖는 경우,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가 실제로 구동할 때 도 8의 도면부호 B에 대한 확대도로 표시한 것처럼 와이어로프(w)와 지지부(131) 간에는 길이가 l1인 접촉면(c1)이 발생한다. 지지부(131)는 와이어로프(w)를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계되므로, 지지부(131) 상면과 와이어로프(w) 하면 사이에는 압착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는 모터(113)를 통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 경우 즉 상면이 편평한 형상을 갖는 지지부(131)를 갖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를 구동하는 경우, 지지부(131) 상면과 와이어로프(w)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모터(113)에 과부하가 걸려 모터(113)와 제어부(140)를 구성하는 회로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2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에는 제1 실시예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지부(231)를 롤러의 형태로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지지부(231)를 중심으로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지지부(231)는 회전 부재(이하, 제2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롤러는 제1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213)가 동작하면, 제1 롤러(211)(예를 들어, 제1 롤러(21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들)는 모터(213)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고,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200)는 제1 롤러(2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한다. 이때, 지지부(231)는 와이어로프(w)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1 롤러(21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231)를 회전 부재(예를 들어, 제2 롤러)로 구성할 경우, 도 9의 도면부호 C로 표시한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w)와 지지부(231) 간 접촉면(c2)의 길이(l2)가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접촉면(c1)의 길이(l1) 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31)에 비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200)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이 현저히 감소한다. 또한, 지지부(231)는 와이어로프(w)의 이동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회동하므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의 이동을 거의 방해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된 모터 및 제어부의 부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서, 장기간 동작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3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및 지지부가 이동부의 일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실린더(330) 및 지지부(331)는 이동부(310)의 타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로프(w)를 이동부(310)의 일측 뿐만 아니라 타측에서도 상부 및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어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300)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는 구성 장치들의 위치가 변경된 점, 그리고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의 구성이 추가된 점을 제외하고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4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는 관통부(o)의 상부에서, 몸체(b)의 네 측면들 중 관통부(o)가 형성된 두 개의 측면들 예를 들어 전면과 후면에 결합된다.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는 몸체의 전면과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하측 단부에서 양 갈래로 갈라지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연장부들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관통부(o)는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부(o) 내부에 와이어로프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23a, 423b)의 두 개의 연장부들은 와이어로프가 관통부(o)(또는 와이어로프 삽입 영역) 내에 삽입된 후,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가 구동될 때, 몸체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 와이어로프(w)가 관통부(o)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동부에 의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가 와이어로프(w)를 따라 몸체(b)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는 와이어로프(w)가 관통부(o) 내에서 몸체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b)의 좌우 방향에 있어 두 연장부 사이의 거리는 관통부의 폭보다 짧을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w)의 직경보다 크거나 와이어로프(w)의 직경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와 와이어로프 간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에서 두 개의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입력부(480)는 검사원이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100)를 조작할 때 이용되는 구성이다.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입력부(480)는 이동부의 기동 또는 정지를 위한 기동 버튼(481)과 정지 버튼(482), 그리고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데 사용되는 전원 스위치(483)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기동 버튼(481)과 정지 버튼(482)는 스위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480)는 지지부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버튼(485)과 지지부를 수동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 버튼(4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단자(484)는 보조 전원부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이다.
도 12는 제2 몸체(b2)가 제거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지지부(431)의 위치 및 보조 지지부의 위치 및 구성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일부 상이하다. 아래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된다.
지지부(431)는 몸체의 중앙에 배치된다. 지지부(431)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실린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지지부(431)를 몸체의 중앙에 배치하면, 적은 구성으로도 와이어로프(w)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의 경우 보조 전원부(예를 들어, 배터리 등)를 통해 구동되기 때문에 그 무게가 중요하다. 지지부(431)를 몸체의 중앙에 배치하면, 제3 실시예와 같이 실린더와 지지부의 개수를 복수개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그 무게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보조 지지부(421, 422, 424a, 424b)는 회전형 지지부재와 고정형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먼저, 보조 지지부(421, 422)는 회전형 지지부재로서, 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 관통부(o)의 전측 상면과 하면, 그리고 후측 상면과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부(421, 422)는 베어링 또는 롤러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보조 지지부(421, 422)는 와이어로프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와이어로프를 지지할 수 있고, 별도의 동력 전달 기어가 연결되지 않는다.
보조 지지부(424a, 424b)는 고정형 지지부재로서, 제1 롤러(411)와 보조 지지부(421, 422) 사이에 배치되고, 와이어로프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한다. 보조 지지부(424a, 424b)는 관통부(o)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와 유사하게 y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연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424a, 424b)의 두 연장부들 사이의 연결 부분은 와이어로프(w)를 보조 지지부(424a, 424b)의 연장부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에서 제1 몸체(b1) 내부에 포함된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423a, 423b)와 입력부(480)는 도 11을 참조로 상세히 언급하였으므로, 도 13 및 도 14에서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고정형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보조 지지부(424a, 424b)도 도 12를 참조로 상세히 언급하였으므로, 도 13에서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는 이동부, 실린더(430), 지지부(431), 제어부(440), 보조 전원부(470), 입력부(480) 및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는 선택적으로 보조 지지부와 지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사항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실린더(430)는 몸체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이동을 하여 지지부(4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411a, 411b)를 포함하는 제1 롤러(411)와 모터(413)를 포함하고, 모터(413)의 동력을 제1 롤러(411)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어(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는 달리 모터(413)는 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중앙이 아닌 실린더(430)의 전측 또는 후측에 배치된다.
제어부(440)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400)에 포함된 구성들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440)를 통해 이루어지는 제어는 제1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언급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전원부(470)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모터(41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110: 이동부 111: 제1 롤러
112: 동력 전달 기어 113: 모터
121, 122: 보조 지지부 130: 실린더
131: 지지부 140: 제어부
160: 지연부 170: 보조 전원부
180: 입력부 190: 카메라
400: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423a, 423b: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

Claims (16)

  1. 와이어로프 상에서 와이어로프 테스터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로서,
    상기 와이어로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 상에서 상기 몸체를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일측이 상기 와이어로프 테스터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표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에 연동되어,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 상기 제1 롤러의 전측과 후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함께 상기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롤러의 접촉면은 미끄럼 방지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상기 제1 롤러 측으로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와 함께 상기 와이어로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접촉면의 반대측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상기 지지부의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실린더에 연동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상기 제1 롤러 측으로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압할 때, 상기 실린더에 포함된 압력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지지부에 가해지는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압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지지부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산출하고, 상기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 상기 제1 롤러 측으로의 상기 실린더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와이어로프의 재료, 길이 및 직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정보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 압력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계 압력값 중 검사원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와이어로프 정보에 대응하는 임계 압력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임계 압력값과 상기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이동의 정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거리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몸체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이동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몸체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이동 속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몸체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 이동 속도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상기 와이어로프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의 상측이며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의 외측에 결합되는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로프 가이드부재는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측 단부에서 양 갈래로 갈라지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좌우 방향에 있어 상기 두 개의 연장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관통부의 폭보다 짧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에 대한 기동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제어부를 통한 동작을 제1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된 제1 몸체; 및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제2 몸체가 회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KR1020180017680A 2018-02-13 2018-02-13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KR10191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80A KR101917976B1 (ko) 2018-02-13 2018-02-13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80A KR101917976B1 (ko) 2018-02-13 2018-02-13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976B1 true KR101917976B1 (ko) 2018-11-12

Family

ID=6439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680A KR101917976B1 (ko) 2018-02-13 2018-02-13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9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218B1 (ko) 2021-07-13 2021-09-15 도태구 공중활강 체험자 구조장치
KR102499351B1 (ko) * 2022-09-20 2023-02-13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41B1 (ko) * 2010-10-07 2012-03-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인터폰과 비상제동 연동제어회로
JP2012215497A (ja) 2011-04-01 201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線被覆の劣化診断装置
JP2016067139A (ja) *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ファインシステムズ 架空電線検査装置
JP2016189660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ファインシステムズ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17039559A (ja) * 2015-08-18 2017-02-2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テスタ装置
JP2017225326A (ja) * 2016-02-15 2017-12-21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自走式送電線点検装置および自走式送電線点検装置用電線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41B1 (ko) * 2010-10-07 2012-03-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인터폰과 비상제동 연동제어회로
JP2012215497A (ja) 2011-04-01 201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線被覆の劣化診断装置
JP2016067139A (ja) *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ファインシステムズ 架空電線検査装置
JP2016189660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ファインシステムズ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17039559A (ja) * 2015-08-18 2017-02-2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テスタ装置
JP2017225326A (ja) * 2016-02-15 2017-12-21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自走式送電線点検装置および自走式送電線点検装置用電線装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218B1 (ko) 2021-07-13 2021-09-15 도태구 공중활강 체험자 구조장치
KR102499351B1 (ko) * 2022-09-20 2023-02-13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7293T3 (es) Sistema de ascensor
KR101917976B1 (ko)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AU2010201343A1 (en) Method of and equipment for checking support means
CN105253752B (zh) 用于驱动电梯的方法
CN101263072B (zh) 电梯制动系统
US20080271547A1 (en) Force-Reduced Measuring Method for Traction Drives, Particularly Friction Pulley Drives for Elevators
JP5095791B2 (ja) 乗客コンベアのハンドレール駆動力診断装置及びハンドレール駆動力診断方法
CN107337063A (zh) 自推进电梯和电梯制动系统
JP2011098806A (ja) エレベータの点検装置
CN104709801B (zh) 电梯
CN105683085B (zh) 用于检测用于起重设备的高强度纤维绳索的报废状态的设备
KR20140093373A (ko) 이동로봇을 이용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US11420847B2 (en) Mobile operating unit, elevator and method
US4471877A (en) Crane sensor to detect out of plumb lift cable
CN110546097A (zh) 电梯的阶梯差点检装置
CN109131745B (zh) 一种应急释放装置
FR2982604A1 (fr) Equipement pour le deplacement de personnes en hauteur sur des surfaces non horizontales avec translation verticale et horizontale
CA2545146C (en) Failure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drive power source and failure detecting method for elevator drive power source
KR100981160B1 (ko) 점검대의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가 내장된 이동식 교량 점검대
CN105276379A (zh) 检查装置和检查方法
JP2002348068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診断装置
US11650120B2 (en) Intelligent cable module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FR2537118A1 (fr) Dispositif de levage
KR101556194B1 (ko)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KR10135482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