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351B1 -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351B1
KR102499351B1 KR1020220118591A KR20220118591A KR102499351B1 KR 102499351 B1 KR102499351 B1 KR 102499351B1 KR 1020220118591 A KR1020220118591 A KR 1020220118591A KR 20220118591 A KR20220118591 A KR 20220118591A KR 102499351 B1 KR102499351 B1 KR 10249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ire rope
upper housing
lower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육전수
Original Assignee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주)토담하이텍구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주)토담하이텍구조 filed Critical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6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가 와이어 상부에 올려지도록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 상부가 개방되고, 일 측에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 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와이어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내부에 구동휠이 마련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구동휠의 속도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타 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간격 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A moving apparatus of a wire rope with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와이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는 얇은 강선을 여러 가닥씩 꼬아서 하나의 굵은 로프로 제조된다. 와이어로프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어, 짚 라인(zip line), 크레인(예를 들어, 타워, 기중기, 항만 등), 케이블카(예를 들어, 스키장, 놀이공원 등), 교량(예를 들어, 현수교, 사장교 등) 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와이어로프는 노후화, 또는 내부 소선 파단, 마모 부식 등이 발생하여 와이어로프가 끊어질 경우,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의 끊어짐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로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로프의 검사는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통한 영상, 레이저 광 또는 자속밀도 변화 측정 등을 통해 와이어로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테스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와이어로프 테스터는 그 자체적으로 이동 기능이 없어 케이블카와 같이 외부 장치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이동하는(이하, 이동식 와이어로프) 경우에만 검사가 가능하다. 와이어로프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이하, 고정식 와이어로프) 운용되는 곳의 경우, 검사원이 직접 와이어로프 주변을 이동하면서, 와이어로프 테스터를 통해 와이어로프를 진단해야 한다. 와이어로프가 설치된 현장 특성상 이 작업은 검사원에게 상당히 위험할 수 있고, 와이어로프의 전체 구간을 올바르게 검사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테스터를 와이어로프 상에서 이동시키는 와이어 원격 이동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0337호 (2015.0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로프 상에서 테스터를 설정된 속도 및 방향으로 이동 또는 견인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가 와이어 상부에 올려지도록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 상부가 개방되고, 일 측에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 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와이어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내부에 구동휠이 마련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구동휠의 속도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타 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간격 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면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양 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하부로 연장되는 제1패널 및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롤러와,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일 측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일 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견인막대 및 제2견인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의 양 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제3패널 및 제4널과, 상기 제3패널과 제4패널 상에 각각 상기 구동휠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제3패널과 제4패널의 각 일 측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내측의 제1삽입홈에 결합되도록 후크홈이 형성된 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3패널과 제4패널의 각 타 측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타 측에 형성된 제2삽입홈에 결합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은 서로 직교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휠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 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부재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에 각각 고정되고, 상향 개구된 체결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제3패널과 제4패널에서 상기 체결부에 인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와 인접한 양 측면에 통공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손잡이부와, 각 상기 돌출부의 통공에 양 단부가 삽입되고, 와이어의 텐션에 따른 상기 체결부와 돌출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걸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부는 일 측 상기 돌출부의 통공에 일 단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일 측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제1너트를 구비한 제1연결편과, 타 측 상기 돌출부의 통공에 일 단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타 측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제2너트를 구비한 제2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의 타 단부와 상기 제2연결편의 타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3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체결 시 상기 손잡이부를 내리면 상기 걸쇠부가 체결부의 체결홈 상에 걸리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분리 시 상기 손잡이부를 올리면 상기 걸쇠부가 체결부의 체결홈 상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상부 하우징이 회동 가능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맞물린 와이어로프의 장력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선단에서 각 상기 돌출부까지 상기 제1너트와 제2너트가 결합된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동휠은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로터가 회전하는 인휠 모터를 통해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에 의하면,
첫째, 와이어로프 상에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를 쉽게 거치 및 탈거할 수 있고,
둘째, 와이러로프 상에서 테스터를 안정적으로 견인함과 동시에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셋째, 와이어로프의 텐션이나 굵기에 따라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의 상부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의 하부 하우징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의 간격 조정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오프 원격 이동장치의 제어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는 와이어로프(WR)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 테스터(tester, 10)를 견인하는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독립적으로 와이어로프(WR)의 외관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과, 제어부(300) 및 간격 조정부재(400)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00)은 와이어로프(WR)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하우징(200)은 와이어로프(WR)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이 간격 조정부재(400)에 의해서 체결되면서 와이어로프(WR) 상에 설치가 완료된다.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는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 또는 하부 하우징(200)이나 제어부(300) 상에 선택적으로 비젼 카메라(20)를 설치하여 와이어로프(WR)의 외관 검사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와 제어부(300)의 타 측면에 각각 비젼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비젼 카메라(20)는 와이어로프(WR)의 외부를 촬영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제어부(300)는 이를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 일 측 및 제어부(300)의 타 측면에는 비젼 카메라(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카메라 마운트(21.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0)에는 구동휠(210)이 구비되는데, 구동휠(210)은 와이어로프(WR)로부터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의 속도나 방향에 따른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휠(210)이 와이어로프(WR)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제어부(300)는 하부 하우징(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어부(300)에는 전원 스위치와 속도조절 스위치 및 긴급 스위치 등이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외 제어부(300)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기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의 상부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100)은 와이어로프(WR)의 상부에 올려지는 부분으로 상부 패널(110)과, 제1패널(120)과 제2패널(130)을 포함한다.
제1패널(120)과 제2패널(130)은 상기 상부 패널(110)의 양 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부 하우징(100)은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써 대략 일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하우징(100)은 상부 패널(110) 상면에 손잡이(111)가 구비된다. 손잡이(111)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 전체를 한 번에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는 상부 패널(110)의 상면 상에서 힌지 결합되어 적어도 일 측방향으로 90° 접철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개의 롤러(14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140)가 두 개 구비된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각 롤러(140)는 와이어로프(WR)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부 하우징(100)이 와이어로프(WR) 상에서 구름운동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한 쌍의 롤러(140)는 상부 패널(11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1패널(120)과 제2패널(1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제1패널(120)과 제2패널(130)의 일 측 하부에는 각각 제1연장부(121)와 제2연장부(131)가 마련된다. 제1연장부(121, 도 6 참조)와 제2연장부(131)는 하부 하우징(2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기 위해 제1삽입홈(124, 133, 도 6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100)의 타 측은 간격 조정부재(400)를 통하여 체결되면서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패널(120)과 제2패널(130)의 일 측 선단에는 제1연장부(121)와 제2연장부(131)에 인접한 외측에 각각 제1견인막대(122, 도 2 참조)와 제2견인막대(132, 도 2 참조)가 마련된다. 제1견인막대(122)와 제2견인막대(132)는 도 1에 도시한 테스터(10)와 연결되면서 테스터(10)가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의 이동에 따라서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물론, 제1견인막대(122)와 제2견인막대(132)는 이들 중 하나의 구성을 통해서 테스터(10)와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부 하우징(100)은 제1패널(120)과 제2패널(130)의 타 측 하부에서 제1연장부(121)와 제2연장부(131)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삽입홈(123)이 각각 형성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의 하부 하우징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200)은 하부 패널(220)과 제3패널(230) 및 제4패널(240)과 힌지 샤프트(250)를 포함한다.
하부 패널(220)은 제3패널(230)과 제4패널(240)의 하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200)의 일 단면은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제3패널(230)과 제4패널(240)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이들의 일 측 상부에는 제3패널(230)과 제4패널(24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 샤프트(250)가 결합된다. 힌지 샤프트(250)는 제1연장부(121, 도 6 참조)의 제1삽입홈(121, 도 6 참조)과 제2연장부(131, 도 6 참조)의 제1삽입홈(133, 도 6 참조)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한 쌍의 후크홈(251)이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 샤프트(250)의 후크홈(251) 위치에 의해서 상부 하우징(100)의 결합위치가 설정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00)이 하부 하우징(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3패널(230)과 제4패널(240)의 중심 영역에는 구동휠(210)이 장착되는 장착홈(231)이 형성된다. 장착홈(231)은 대략 "V" 또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패널(230)과 제4패널(240)의 타 측 상부에는 제1패널(120)과 제2패널(130)의 각 제2삽입홈(123, 도 3 참조)에 삽입되는 연결 샤프트(260)가 마련된다. 연결 샤프트(260) 역시 제2삽입홈(123)에 대응하도록 홈(26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여기서, 도 6의 (a)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이 결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100)은 제1연장부(121)와 제2연장부(131)가 먼저 힌지 샤프트(250)에 수평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결합되고, 힌지 샤프트(250)를 회전축으로 상부 하우징(100)이 하측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2삽입홈(123)에 연결 샤프트(260)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면서, 도 6의 (b)와 같이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물론, 탈거 시에는 결합 순서와 역순으로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분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1삽입홈(124, 133)은 제2삽입홈(123)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상부 하우징(10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삽입홈(133)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삽입홈(123)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의 간격 조정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간격 조정부재(400)는 체결부(410)와 힌지부(420)와 손잡이부(430)와 걸쇠부(440)를 포함한다.
체결부(410)는 제1패널(120)과 제2패널(130)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체결부(410)는 상향 개구된 체결홈(411)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힌지부(420)는 제3패널(230)과 제4패널(240)에서 각 체결부(410)의 위치에 인접하도록 고정된다. 즉, 체결부(410)와 힌지부(420)는 위치가 고정되는 구조로써 수평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410)가 상부에 힌지부(420)가 하부에 배치된 것을 일 예로써 나타낸다.
손잡이부(430)는 힌지부(42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손잡이부(43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31)가 구비된다. 각 돌출부(431)에는 돌출부(431)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서 관통되는 통공(432a, 432b)이 형성된다. 각 돌출부(431)는 손잡이부(430) 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손잡이부(430)를 중심으로 양 측의 돌출부(431)가 하나의 구성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431)는 손잡이부(430)가 힌지부(420) 상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쇠부(440)는 제1연결편(441)과, 제2연결편(442) 및 제3연결편(443)을 포함한다.
제1연결편(441)은 일 측의 통공(432a)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제2연결편(442)은 타 측의 통공(432b)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제3연결편(443)은 제1연결편(441)의 타 단부와 제2연결편(442)의 타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대략 "ㄷ" 자 형상으로 복수 번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제1연결편(441)이 돌출부(431)에 삽입된 단부에는 제1너트(444)가 마련된다. 제2연결편(442)이 돌출부(431)에 삽입된 단부에는 제2너트(445)가 마련된다. 물론, 돌출부(431)를 중심으로 제1연결편(441) 상에서 제1너트(444)와 반대쪽에도 또 다른 제1너트(446)가 마련될 수 있고, 동일하게 돌출부(431)를 중심으로 제2연결편(442) 상에서 제2너트(445)와 반대쪽에도 또 다른 제2너트(447)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너트(444, 446)와 한 쌍의 제2너트(445, 447)는 설정 범위 내에서 걸쇠부(440)가 돌출부(431) 상에 위치하도록 결합위치를 제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걸쇠부(440)는 돌출부(431)와 함께 손잡이부(430)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손잡이부(4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걸쇠부(440)와 체결부(410)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연결편(441)과 제2연결편(442)이 각 돌출부(4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연결편(441)과 제2연결편(442)이 통공(432a, 432b)에 삽입된 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로프(WR)의 장력에 따라서 걸쇠부(440)의 결합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결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 사이의 결합 각도는 와이어로프(WR)의 장력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간격 조정부재(4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결합할 때는 걸쇠부(440)가 체결부(410)의 체결홈(411)에 걸리도록 회전시키고, 손잡이부(430)를 아래로 내려서 체결부(410)와 힌지부(42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걸쇠부(440)를 고정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분리할 때는 손잡이부(430)를 먼저 위로 올려서 걸쇠부(440)가 체결부(410)에서 이격되도록 회전시켜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간격 조정부재(400)는 제1너트(444)와 제2너트(445)가 각각 제1연결편(441)과 제2연결편(442)의 선단에 가까워지도록 풀면 체결부(410)와 힌지부(42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대로 제1너트(444)와 제2너트(445)가 각각 제1연결편(441)과 제2연결편(442)의 선단에서 멀어지도록 잠그면 체결부(410)와 힌지부(420)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서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와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오프 원격 이동장치의 제어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오프 원격 이동장치(1)의 제어과정은 원격 조정장치(2)(개인 단말기, 예컨대 PC 또는 휴대폰)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써 나타낸다.
사용자는 원격 조정장치(2)의 전원 제어부를 통해서 구동휠(210)의 컨트롤러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고, 속도제어부를 통해서 구동휠(210)의 모터제어부를 제어하여 속도와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와이어 원격 이동장치(1)의 전반적인 제어는 제어부(300)를 통해서 구동휠(210)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구동휠(210)의 배터리(전원공급장치1)는 제어부(300)의 배터리(전원공급장치2)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장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류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휠(210)은 제어부(300)의 동작상태 확인부를 통해서 이상동작(멈춤, 속도저하, 과속)이 감지되는 경우 구동휠(210)의 컨트롤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의 동작상태 확인부는 와이어 원격 이동장치에 마련된 긴급 스위치를 통해서 구동휠(210)에 대한 이상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휠(210)은 하부 하우징 상에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로터가 회전하는 인휠 모터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300)가 구동휠(210)을 제어하는 과정이나 구동휠(210)의 현재상태 등의 정보는 원격조정장치로 실시간 전송되어 속도 및 상태정보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1)와 원격조정장치(2) 사이에는 이들 사이에서 주고받는 정보를 저장하거나 연결시켜주는 서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에 의하면, 와이어로프 상에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를 쉽게 거치 및 탈거할 수 있고, 와이러로프 상에서 테스터를 안정적으로 견인함과 동시에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의 텐션이나 굵기에 따라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100: 상부 하우징
200: 하부 하우징
300: 제어부
400: 간격 조정부재

Claims (10)

  1.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가 와이어 상부에 올려지도록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
    상부가 개방되고, 일 측에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 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와이어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내부에 구동휠이 마련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구동휠의 속도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타 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간격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면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양 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하부로 연장되는 제1패널 및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롤러와,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일 측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일 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견인막대 및 제2견인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은,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의 양 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제3패널 및 제4패널과, 상기 제3패널과 제4패널 상에 각각 상기 구동휠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제3패널과 제4패널의 각 일 측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내측의 제1삽입홈에 결합되도록 후크홈이 형성된 힌지 샤프트와, 상기 제3패널과 제4패널의 각 타 측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타 측에 형성된 제2삽입홈에 결합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정부재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에 각각 고정되고 상향 개구된 체결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제3패널과 제4패널에서 상기 체결부에 인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와 인접한 양 측면에 통공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손잡이부와, 각 상기 돌출부의 통공에 양 단부가 삽입되고 와이어의 텐션에 따른 상기 체결부와 돌출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부는 일 측 상기 돌출부의 통공에 일 단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일 측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제1너트를 구비한 제1연결편과, 타 측 상기 돌출부의 통공에 일 단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타 측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제2너트를 구비한 제2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의 타 단부와 상기 제2연결편의 타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3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힌지 샤프트를 중심으로 힌지 회동하면서 상기 제2삽입홈에 연결 샤프트가 삽입된 후, 상기 체결부에 걸쇠부가 체결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와이어를 중심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 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은 서로 직교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체결 시, 상기 손잡이부를 내리면 상기 걸쇠부가 체결부의 체결홈 상에 걸리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분리 시, 상기 손잡이부를 올리면 상기 걸쇠부가 체결부의 체결홈 상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상부 하우징이 회동 가능하도록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맞물린 와이어로프의 장력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선단에서 각 상기 돌출부까지 상기 제1너트와 제2너트가 결합된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로터가 회전하는 인휠 모터를 통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KR1020220118591A 2022-09-20 2022-09-20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KR10249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591A KR102499351B1 (ko) 2022-09-20 2022-09-20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591A KR102499351B1 (ko) 2022-09-20 2022-09-20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351B1 true KR102499351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591A KR102499351B1 (ko) 2022-09-20 2022-09-20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3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7637A (zh) * 2008-08-08 2009-02-04 深圳市思韦尔检测科技有限公司 缆索检测机器人
KR101490337B1 (ko) 2013-07-31 2015-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치 이동 가능한 구동 롤러를 구비한 와이어 이동형 로봇
KR101917976B1 (ko) * 2018-02-13 2018-11-12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KR102303218B1 (ko) * 2021-07-13 2021-09-15 도태구 공중활강 체험자 구조장치
CN215497985U (zh) * 2021-08-06 2022-01-1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可对电线异物清理的自爬式疏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7637A (zh) * 2008-08-08 2009-02-04 深圳市思韦尔检测科技有限公司 缆索检测机器人
KR101490337B1 (ko) 2013-07-31 2015-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치 이동 가능한 구동 롤러를 구비한 와이어 이동형 로봇
KR101917976B1 (ko) * 2018-02-13 2018-11-12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와이어로프 테스터 안내 장치
KR102303218B1 (ko) * 2021-07-13 2021-09-15 도태구 공중활강 체험자 구조장치
CN215497985U (zh) * 2021-08-06 2022-01-1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可对电线异物清理的自爬式疏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5101B2 (ja) ケーブル検査装置
CN102788730B (zh) 电梯钢丝绳弯曲疲劳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JP7235584B2 (ja) 自走ユニット,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CA2935496A1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JP6537179B2 (ja) 架空線検査装置
JP2016160697A (ja) 橋梁点検装置及び橋梁点検方法
CN105253752A (zh) 用于驱动电梯的方法
KR102499351B1 (ko) 와이어로프 원격 이동장치
US10273128B2 (en) Rope hoist
KR20150004980A (ko) 배전선로 점검장치
CN116924247A (zh) 一种卷扬机构和电动葫芦两用型双梁桥式起重机
JPH10170448A (ja) 鉄管内部の点検検査用ロボット
CN111601747A (zh) 用于支撑和引导车辆运输设备的牵引缆线的装置以及检查这种装置的方法
US3237718A (en) Two-sided suspension system for staging
CN115754214B (zh) 一种桥梁拉索自行走式性能检测机器人
CN101549839B (zh) 导绳装置
JP2017099036A (ja) 送電線異常箇所撮影装置
CN201411343Y (zh) 导绳装置
JP2011063439A (ja) ロープ検査装置
JP5385850B2 (ja)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車両固定装置
KR101996171B1 (ko) 열차간 연결케이블용 비틀림 시험장치
KR20110055765A (ko) 리깅장치
JP2594492B2 (ja) 車輛移送用トラバーサー
JP2001103632A (ja) ウィンチドラム式延線装置
CN217720509U (zh) 一种带有防坠落结构的线缆巡检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