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827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827B1
KR101354827B1 KR1020137024936A KR20137024936A KR101354827B1 KR 101354827 B1 KR101354827 B1 KR 101354827B1 KR 1020137024936 A KR1020137024936 A KR 1020137024936A KR 20137024936 A KR20137024936 A KR 20137024936A KR 101354827 B1 KR101354827 B1 KR 10135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r
magnetic pole
speed
pol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851A (ko
Inventor
다카시 유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magnetic vari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활용함과 아울러 정지 상태, 또, 초저속에 있어서도 높은 착상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다. 권상기(11)의 모터가 회전하는 때에 발생하는 유기 전압을 이용하여 자극 위치를 추정하고, 권상기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또는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서 권상기의 외부에 마련되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검출하는 검출기(32)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또는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절환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절환 주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고, 절환 주행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권상기의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착상(着床)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권상기가 저속도로 구동하고 있는 동안이더라도 전동기 및 제동 기구를 제어하여 쉬브(sheave)를 안정되게 구동시켜, 구출 운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 문헌 1의 종래 기술에서는, 인코더가 고장났을 때에 자극(磁極) 위치 추정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승객을 구출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8-230797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의 종래 엘리베이터 장치는 자극 위치 추정 방식으로 저속일 때의 정밀도를 개선하고 있다. 그렇지만, 정지 상태, 또, 초저속 상태에서는 자극수(磁極數)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극 위치 추정 방식만으로는 착상 정밀도가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활용함과 아울러 정지 상태, 또, 초저속에 있어서도 높은 착상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의 모터가 회전할 때에 발생하는 유기 전압을 이용해서 자극 위치를 추정하여, 권상기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함에 있어서,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에 의하여 추정되는 자극 위치 대신으로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또는 속도를 계측하기 위해서 권상기의 외부에 마련된 검출기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또는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절환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절환 주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고, 절환 주행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검출기는 로프의 스트랜드(strand)를 검출하는 검출기이며, 로프의 소선 끊김 검출을 위한 제1 검출 감도와 스트랜드의 피치 검출을 위한 제2 검출 감도를 개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제어부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1 검출 감도에 기초한 로프의 소선 끊김 검출을 실행하고,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2 검출 감도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와 권상기의 외부에 마련된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또는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절환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활용함과 아울러 정지 상태, 또, 초저속에 있어서도 높은 착상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적용하는 영구 자석식 동기 모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이용되는 유도형 로프 테스터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로프 테스터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절환 타이밍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도이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칸을 승강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부(10),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20), 제어부(20)에 의한 승강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상태 검출부(30)로 구성된다.
구동 기구부(10)는 권상기(11), 엘리베이터 칸(12), 추(13), 로프(14), 디플렉터 쉬브(15), 및 조속기(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권상기(11)의 모터는 영구 자석식 동기 모터이며, 세부 사항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권상기(11)는 전동기, 쉬브, 브레이크 하우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쉬브에는, 일단이 엘리베이터 칸(12)에 접속되고, 타단이 추(13)에 접속된 로프(14)가 매달려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로프(14)의 경로 내에 디플렉터 쉬브(15)가 배치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2)은 쉬브를 전동기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승강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브레이크는 쉬브에 제동력을 더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2)을 정지시키고, 또, 그 제동력을 개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2)을 프리(free)한 상태로 한다.
또, 상태 검출부(30)는 엘리베이터 칸(12)의 속도 혹은 위치를 계측하기 위한 인코더(31), 로프 테스터(32)와 엘리베이터 칸(12)의 착상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 위치 검출부(33, 도시하지 않음), 착상 플레이트(34)를 포함하고 있다.
인코더(31)는 조속기(16)에 마련되어 있다. 또, 로프 테스터(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의 도중에 마련할 수 있고, 또, 도 5에서 후술하는 것처럼, 권상기(11)의 쉬브부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12)의 속도 혹은 위치를 계측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검출기로서, 인코더(31), 로프 테스터(32)의 양쪽 모두를 도시하고 있지만, 어느 하나를 이용하면 좋고, 또, 그 이외의 검출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 위치 검출부(33, 도시하지 않음)는 엘리베이터 칸(12)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착상 플레이트(34)는 승강로 내의 각 층의 승강장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2)의 승강에 따라서 도어 위치 검출부(33)가 착상 플레이트(34)를 검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2)의 위치가 각 층의 승강장에 대응한 도어 개폐 가능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어부(20)는 상태 검출부(3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2)의 주행 제어를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는, 종래 기술로서 제시된 특허 문헌 1의 「자극 위치 추정 제어」가 적용되고 있다. 이 「자극 위치 추정 제어」에 의한 주행 제어는 권상기(11)의 모터가 회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유기 전압을 이용하여 자극 위치를 추정하여, 권상기(11)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되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적용하는 영구 자석식 동기 모터의 개념도이다. 구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유기 전압을 제어부(20)에 취입함으로써, 인코더(31) 등 별개로 자극 위치 검출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주행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가 떨어지면 유기 전압은 저하되기 때문에, 초저속 상태가 되면 자극 위치 검출이 어려워진다. 또한 동기 모터의 자극수는 인코더(31)에 비해 작고, 수가 한정되어 있다. 이때문에,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이용함으로써 제어적인 개량을 실행하더라도, 인코더(31)에 비해 정밀도 면 또 신뢰도 면에서 열화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완전하게 무인코더화(encoderless) 하는 것이 실제로는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활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에 의한 정밀도 또는 신뢰도가 문제가 되는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이용한 다른 주행 제어를 병용함으로써, 정밀도, 신뢰도의 향상을 도모한 주행 제어를 실현하고 있다. 이 검출부의 일례로서, 우선 처음으로, 로프 테스터(32)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로프 테스터(32)로서는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유도형의 로프 테스터를 활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이용되는 유도형 로프 테스터의 개념도이다. 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도형의 로프 테스터(32)는 로프 스트랜드(strand)의 일부에 끊김 등이 있으면 유도 전압의 피크가 상승하기 때문에, 검출 전압이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를 감시함으로써 소선 끊김을 검지할 수 있다.
로프의 검사는 일반적으로, 보수원이 보수 타이밍에 로프부에 로프 테스터(32)를 부착하여 검출 전압을 모니터함으로써, 정상인지 여부의 확인을 실행한다. 통상, 로프 테스터(32)는 도 3의 오른쪽 아래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검사 속도 A로 주행 중의 검출 전압에 기초하여 소선 끊김을 명확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감도 설정되어 있다.
이 검사 속도 A에 적절한 감도에서의 주행 중에는, 소선 끊김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지만, 로프의 스트랜드 1산(山) 1산의 검출에는 주목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의 검사 속도 A는 예를 들면, 통상 주행 속도에 상당한다. 즉, 로프 스트랜드의 피치는 밀리 단위로 매우 세밀하기 때문에, 검사 속도 A에 적절한 감도에서의 검출 전압은 스트랜드 산곡(山谷) 신호가 노이즈적으로 계측되어, 위치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초저속시에서의 검출 전압에서는 매우 세밀한 스트랜드의 피치가 보기 쉬워진다. 따라서 초저속시에는 소선 끊김에는 주목하지 않고, 로프의 스트랜드 1산 1산의 검출에 적절한 감도로 절환함으로써, 도 3의 왼쪽 아래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랜드 산곡의 검출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주행 속도에 따라서 로프 테스터(32)의 감도를 절환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a)는 통상 주행시, 도 4(b)는 저속·초저속 주행시에 대응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주행시(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로 엘리베이터 제어를 실행하고, 또한, 로프 테스터(32)는 소선 끊김 검출 감도(고속용 감도)에 맞추어져, 상시 로프 이상 감시를 실행한다. 또한, 로프 감시는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속도가 저속, 또는, 초저속의 경우에는, 로프 테스터(32)의 감도를, 스트랜드 산곡이 보기 쉽고, 또한 소선 끊김을 과검출할 우려가 없는 저속용 감도로 전환한다. 이때, 엘리베이터의 주행 제어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로부터, 이 로프 테스터(32)의 신호를 이용한 제어로 절환된다.
또한, 로프 테스터(32)의 검출 방법은 광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광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트랜드 산곡을 위치로 보기 때문에, 저속으로 될수록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결과, 로프 테스터(32)의 신호를 이용한 위치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광 방식 이외에도, 스트랜드의 형상을 검지할 수 있는 방식이면,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또한, 1개의 감도, 신호 처리로 저속에서부터 고속까지 소선 끊김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스트랜드 검출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감도를 절환할 필요는 없다.
또, 도 1에서는, 로프 테스터(32)를 승강로의 도중에 마련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로프 테스터(32)의 설치 장소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로프 테스터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테스터(32)를 권상기(11)의 쉬브부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로프 테스터(32)를 권상기(11)와 거의 일체가 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로프 테스터(32)를 로프 리테이너(rope retainer)의 대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자극 위치 추정 제어에 의해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로프 테스터 신호에 의해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의 절환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절환 타이밍의 설명도이다.
제1 절환 타이밍으로서는, 착상 직전에 초저속도로 절환하는 포인트가 고려된다. 즉, 착상 직전의 초저속도 이하인 경우가, 검출부의 신호를 이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절환 주행 상태」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절환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로프 테스터(32)의 신호를 주행 제어에 이용하는 속도 영역이 초저속도 이하의 영역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로프 테스터(32)의 감도를, 초저속을 초과하는 경우의 로프의 소선 끊김 검출에 적절한 제1 검출 감도와 초저속 이하인 경우의 스트랜드의 피치 검출에 적절한 제2 검출 감도인 2개의 감도로 하여, 최적 설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결과, 질 높은 신호를 로프 테스터(32)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한편, 제2 절환 타이밍으로서는, 엘리베이터가 착상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에 의해, 속도 제어에서 위치 제어로 절환되는 포인트가 고려된다. 즉, 위치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가, 검출부의 신호를 이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절환 주행 상태」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절환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는 속도 제어시에만 적용되고, 로프 테스터(32)의 신호를 사용하는 주행 제어는 위치 제어시에만 적용되게 된다. 이 결과, 제어계가 간단해져서 용이하게 실현 가능한 제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절환 타이밍에 의한 절환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로프 테스터(32)의 감도를, 속도 제어시 경우의 로프의 소선 끊김 검출에 적절한 제1 검출 감도와 위치 제어시 경우의 스트랜드의 피치 검출에 적절한 제2 검출 감도인 2개의 감도로 하여 최적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활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자극 위치 추정 제어에 의한 정밀도 또는 신뢰도가 문제가 되는 제어 영역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일례로서 로프 테스터(32)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서, 검출부로서 인코더(31)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소선 끊김의 검출은 할 수 없지만, 로프 테스터(32)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 로프 테스터(32)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인코더는 조속기(16)에 마련될 수 있고, 또는 권상기(11)의 외측에 접촉식으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소정의 절환 주행 상태에 있어서,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로부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 제어로 절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한쪽의 방식에 의한 주행 제어 실행 중에 있어서도, 다른 쪽의 방식에 의한 속도 검출, 또는 위치 검출을 실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어느 방식에 의한 제어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각각의 제어 방식에서의 검출 결과의 차분(검출 속도의 차분, 또는 검출 위치의 차분)을 항상 감시하여, 소정의 허용차 이상의 차분이 생긴 경우에는, 제어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또는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절환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와 권상기의 외부에 마련된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절환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자극 위치 추정 방식만으로는 높은 착상 정밀도를 얻을 수 없는 초저속 상태 등에 있어서는, 검출기를 이용한 주행 제어로 절환함으로써 높은 착상 정밀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자극 위치 추정 제어를 활용함과 아울러 초저속 상태 등에 있어서도 높은 착상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10: 구동 기구부 11: 권상기
12: 엘리베이터 칸 13: 추
14: 로프 15: 디플렉터 쉬브
16: 조속기 20: 제어부
30: 상태 검출부 31: 인코더
32: 로프 테스터 33: 도어 위치 검출부
34: 착상 플레이트

Claims (6)

  1. 권상기의 모터가 회전할 때에 발생하는 유기 전압을 이용하여 자극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권상기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함에 있어서 상기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에 의하여 추정되는 자극 위치 대신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또는 속도를 계측하기 위해서 상기 권상기의 외부에 마련된 검출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또는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절환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절환 주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절환 주행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는 로프의 스트랜드(strand)를 검출하는 검출기이며, 로프의 소선 끊김 검출을 위한 제1 검출 감도와 스트랜드의 피치 검출을 위한 제2 검출 감도를 개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검출 감도에 기초한 상기 로프의 소선 끊김 검출을 실행하고,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검출 감도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에서 사용하는 검출 위치, 검출 속도와,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에서 사용하는 검출 위치, 검출 속도를, 채용하는 제어 방식에 관계없이 서로 비교하여, 검출한 위치 및 속도 각각의 차분(差分)이 소정의 허용 위치차, 허용 속도차를 초과한 경우에, 제어 이상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가 속도 제어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절환 주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기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가 위치 제어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절환 주행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가 속도 제어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절환 주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기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가 위치 제어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절환 주행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소정의 초저속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절환 주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기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상기 소정의 초저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절환 주행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소정의 초저속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절환 주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기 자극 위치 추정 제어 방식을 적용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상기 소정의 초저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절환 주행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주행 제어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37024936A 2009-07-06 2009-07-06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54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2297 WO2011004445A1 (ja) 2009-07-06 2009-07-06 エレベーター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555A Division KR20130056148A (ko) 2009-07-06 2009-07-06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851A KR20130133851A (ko) 2013-12-09
KR101354827B1 true KR101354827B1 (ko) 2014-01-24

Family

ID=434288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936A KR101354827B1 (ko) 2009-07-06 2009-07-06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17027555A KR20130056148A (ko) 2009-07-06 2009-07-06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555A KR20130056148A (ko) 2009-07-06 2009-07-0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52908B1 (ko)
JP (1) JP5460712B2 (ko)
KR (2) KR101354827B1 (ko)
CN (1) CN102471019B (ko)
WO (1) WO20110044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3636B2 (ja) * 2015-08-26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移動距離計測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移動距離計測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535A (ko) * 2006-05-12 2006-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JP2009051656A (ja) 2007-08-29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50A (ja) * 1982-06-28 1984-01-05 Hitachi Ltd ワイヤ−ロ−プの電磁探傷装置
JPS5931274A (ja) * 1982-08-09 1984-02-2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乗かご位置検出装置
JPS6194984A (ja) * 1984-10-15 1986-05-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位置制御装置
BRPI0417228B1 (pt) * 2004-05-28 2017-11-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able sliding detection device"
FI118382B (fi) * 2006-06-13 2007-10-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5143454B2 (ja) 2007-03-22 2013-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535A (ko) * 2006-05-12 2006-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JP2009051656A (ja) 2007-08-29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1019A (zh) 2012-05-23
EP2452908A4 (en) 2015-01-07
EP2452908B1 (en) 2016-08-31
EP2452908A1 (en) 2012-05-16
CN102471019B (zh) 2015-05-06
JPWO2011004445A1 (ja) 2012-12-13
JP5460712B2 (ja) 2014-04-02
KR20130056148A (ko) 2013-05-29
WO2011004445A1 (ja) 2011-01-13
KR20130133851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63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JP4641305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N101098822B (zh) 电梯装置
CN105923477B (zh) 电梯
WO2014097373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00061696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345210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US795460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a transport system
JP5264290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動機能検査方法
JP55234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18307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テンション測定装置
CN107922150A (zh) 电梯控制系统和操作电梯系统的方法
CN101674996A (zh) 电梯装置
JPWO2015083407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5482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2922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287102A1 (en) Elevator device
KR100852571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KR1007271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85179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WO2020245495A1 (en) Control of a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