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194B1 -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194B1
KR101556194B1 KR1020130131579A KR20130131579A KR101556194B1 KR 101556194 B1 KR101556194 B1 KR 101556194B1 KR 1020130131579 A KR1020130131579 A KR 1020130131579A KR 20130131579 A KR20130131579 A KR 20130131579A KR 101556194 B1 KR101556194 B1 KR 10155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parking block
support frame
hull
runn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129A (ko
Inventor
윤상웅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1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0Devices for indicating or limiting lifting moment

Abstract

기상환경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 이동식 크레인과 고정설비간의 높은 결속력을 가지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이 제공된다. 선체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체 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크레인의 지지프레임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크레인을 수용하는 파킹블록 및 지지프레임과 파킹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크레인을 파킹블록에 고정하는 고정유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Ship with movable crane}
본 발명은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이 이동하여 선체에 견고하게 수용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원거리 물류수송수단으로서, 다른 운송수단에 비하여 대량의 물류를 적은 비용으로 운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해상운송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번에 수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대형화된 선박 및 이에 따른 대형 크레인이 건조되고 있다.
크레인에는 예를 들어, 부두 안벽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선적 또는 하역 하는 겐트리 타입 크레인(Gantry type crane), 360도 이동에 따른 공간의 범용성을 가지는 너클 크레인(knuckle crane), 대중량의 물체를 이송하는 골리앗 크레인(Goliath cra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너클 크레인은 많은 물량을 한번에 수송하지 못하며, 대중량의 물체를 이송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골리앗 크레인과 같은 대형 크레인을 설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중량체를 수송하고 있다. 골리앗 크레인과 같은 대형 크레인은 주로 부두나 도크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선박이 대형화되고, 운송하는 물류량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대형 크레인의 선박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에 설치된 대형 크레인은 선적, 또는 하역시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해양에서 별도의 설치작업을 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골리앗 크레인과 같은 대형 크레인은 선박에서 이동에 따른 제약이 크며, 해일이나 태풍 등의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해양 환경에서 안정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많은 보강 구조물이 사용되는 등 이에 대한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45394호 2000.05.15.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 크레인이 파손되지 않도록 크레인이 이동하여 선체에 견고하게 수용되도록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은, 선체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체 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을 수용하는 파킹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파킹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상기 파킹블록에 고정하는 고정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레일은 적어도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 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주행레일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끝단부를 서로 수평하게 연결하고 상기 견인부가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파킹블록은 상기 지지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주행레일의 끝단부가 상기 주행레일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선체의 거주구역과 면하고, 상기 파킹블록은 상기 선체의 거주구역 외측으로부터 상기 주행레일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니트는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파킹블록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파킹블록 중 나머지 하나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내측에서 상기 돌출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신장되는 조절실린더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크레인의 상기 견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의 견인력으로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니트는 상기 파킹블록 일 측에 상기 견인부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에 걸리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풀리(Pulley)를 경유하여, 상기 파킹블록에 만입된 상기 수용부 내측의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가압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되, 상기 가압부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을 반전시키고, 서로 다른 상기 가압부로 분배하는 구동풀리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브레이킹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일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이스트 장치 이거나,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암(Crane ar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인이 이동하여 선체에 견고하게 수용되어 기상환경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 파손되지 않으며, 크레인 파손에 따른 사고 및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파킹블록의 수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돌출부와 수용부가 결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크레인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이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환경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의 파킹블록 내부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파킹블록의 수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선체(10)라 함은 해상에 부유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사실상 모든 해양 구조물 및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거주구 등을 의미하는 것이며, 자체 동력 또는 다른 추진체의 도움을 받아 이동이 가능하거나 해저에 지지되어 실질적으로 고정된 구조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1)은 크레인(30)이 선체(10)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20)을 따라 파킹블록(60)에 수용되어 기상환경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도 크레인(3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대형 크레인(30)의 파손에 따른 안전 사고 및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주행레일(20)은 선체(10)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이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선체(10)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며, 주행레일(20) 위에 놓여진 크레인(30)은 선체(10)의 일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주행레일(20)은 철재로 건조된 크레인(30)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강도의 철재로 형성될 수 있다. 주행레일(20)은 적어도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크레인(30) 하중이 일 측면으로 치우치지 않고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며, 크레인(30)이 주행레일(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한 이동을 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크레인(30)은 선상의 물체를 들어 올려서 운반하는 장치로서 갠트리 크레인과 같이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일 수 있다. 크레인(30)은 주행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며, 대중량의 물체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심해에 대중량의 물체를 설치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30)은 예를 들어, 선체(10)의 일부에 문풀(Moonpool)이 있는 경우, 크레인(30)의 이동에 의해 문풀을 통과하여 심해 장비 및 URF(Umbilical, Riser, Flowline)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30)은 주행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체(10)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40)과 지지프레임(40)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5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40)은 주행레일(20)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프레임(41)과 제1 프레임(41) 끝단부를 서로 수평하게 연결하고 견인부(50)가 형성되는 제2 프레임(42)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41)은 주행레일(20)로부터 일정 높이로 제2 프레임(42)을 지지하며, 제2 프레임(42) 및 견인부(50)에 의해 운송되는 물체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물체의 하중을 분산하여 선체(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프레임(42)은 물체를 들어올리는 호이스트 장치(Hoisting system)로 이루어지는 견인부(50)를 이용하여 물체를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41)과 제2 프레임(42)은 해상에서 유입되는 바닷물에 의해 부식이나 손상을 최소화한 특수 강철로 제작될 수 있다.
견인부(50)는 선체(10)에 놓여진 물체를 들어 선체(10)에 선적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40) 일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동기, 감속 장치, 와인딩 드럼 등을 일체로 통합시켜 감아 올리는 장치인 호이스트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호이스트 장치는 연결부(51)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42)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42)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한편, 견인부(50)는 이러한 호이스트 장치로 한정될 것은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 견인부(50)는 지지프레임(40)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암(Crane arm) 및 크레인 암 상단에 위치한 트롤리(trolley)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파킹블록(60)은 지지프레임(40)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며, 주행레일(20)을 향해 선체(10)의 거주구역 외측으로부터 크레인(3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돌출된다. 파킹블록(60)은 크레인(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제1 프레임(41)과 제2 프레임(42)사이에 중첩되도록 삽입된다.
이때, 크레인(30)은 파킹블록(60)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유니트(70)에 의해 파킹블록(6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유니트(70)는 크레인(30)을 파킹블록(6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지지프레임(40) 및 파킹블록(60)중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71)와 지지프레임(40) 및 파킹블록(60) 중 나머지 하나의 돌출부(7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 되어 돌출부(71)를 수용하는 수용부(72) 및 수용부(72) 내측으로 신장되어 돌출부(71)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7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유니트(70) 특히, 돌출부(71)는 크레인(30)에 형성되고, 수용부(72)는 파킹블록(60)에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나, 돌출부(71)가 파킹블록(60)에 형성되고, 수용부(72)가 크레인(3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가압부(73)역시 수용부(72)가 형성된 크레인(3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경우 돌출부(71)와 수용부(72)의 상호간에 구체적인 배치상태는 알맞게 조정될 수 있다.
돌출부(71)는 주행레일(20)과 평행하도록 제2 프레임(42)의 일 측면에 적어도 한 쌍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며, 수용부(72)는 파킹블록(60)에 돌출부(7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되어 돌출부(71)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72)와 돌출부(7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가압부(73)는 수용부(72) 내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조절 실린더(80)의 작동과 연동되어 수용부(72)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부(71)를 가압한다. 따라서, 돌출부(71)가 외부환경에 의하여 수용부(72)를 이탈하지 않고 수용부(7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73)와 돌출부(71) 사이에는 브레이킹 패드(90)가 위치하여 상호간의 밀착에 따른 마찰력을 증가시켜, 돌출부(71)가 수용부(72)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킹 패드(90)는 가압부(73)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돌출부(71)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가압부(73)와 돌출부(71)사이가 완전히 밀착되고, 상호간의 마찰을 증가시키면서, 외부 압력에 의해 쉽게 파괴되지 않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출부(71) 및 수용부(72)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부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돌출부(71)와 수용부(72)간의 형성된 인력에 의해 돌출부(71)는 수용부(72)에 좀 더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조절 실린더(80)는 몸체(81)와 피스톤(82)으로 구성되며, 피스톤(82)의 일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73)와 연결되어 피스톤(82)의 슬라이딩에 따라 가압부(73)는 수용부(72)내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가압부(73)의 작동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1)은 주행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30)이 선체(10) 일 측의 파킹블록(60)에 견고하게 수용됨으로써, 기상환경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자연스레 크레인(30)의 파손에 따른 컨테이너 파손 예방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수용부(72)에 돌출부(71)가 결속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돌출부와 수용부과 결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제2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72)에 슬라이딩 되어 수용된다. 조절실린더(80)는 예를 들어, 외부에서 송신되는 신호 즉, 선체(10)의 외측에 위치한 작동버튼 등에서 송신하는 조작신호 및 작업자의 수동적인 조작신호 등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조절 실린더(80)의 피스톤(82)이 몸체(81)로부터 돌출부(71)를 향해 이동(화살표 참조)하면서, 가압부(73)는 돌출부(71)에 점차 밀착하게 되고, 피스톤(82)이 돌출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가압부(73)는 돌출부(71)에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73)가 돌출부(71)에 전달하는 압력의 크기는 수용부(72)에 수용된 돌출부(71)가 외부에서 전달해오는 힘의 크기보다 크며, 이러한 힘의 크기에 의해 돌출부(71)가 수용부(72)를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다.
다만, 가압부(73)가 돌출부(71)에 전달하는 압력의 크기는 돌출부(71)와 가압부(73)사이에 개재된 브레이킹 패드(90)가 가압부(73)가 전달하는 압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의 크레인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이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환경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테이너(C)와 같은 대상물체는 부두에 설치된 크레인에 의해 부두로부터 선체(10)로 수송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1차로 수송된 컨테이너(C)는 주행레일(20)을 따라 이동(화살표 참조)하는 크레인(30)에 의해 선체(10)내로 이동되면서 적합한 위치에 선적될 수 있다. 그러나 크레인(30)이 수송하는 물체가 컨테이너(C)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크레인(30)은 고중량의 각종 시추장비나, 해저에 설치되는 설치장비 등을 수송하여 선체(10) 내부에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다.
이후, 크레인(30)은 주행레일(20)을 따라 이동하여 파킹블록(60)에 수용되고, 고정유니트(70)에 의해 파킹블록(60)과 크레인(30)은 상호간 높은 밀착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해일 및 태풍 등의 기상조건이 좋지 해양에서도 크레인(30)은 안정적으로 보존되어 파손되지 않으며, 크레인(30)이 파손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인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의 파킹블록 내부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은 파킹블록(60-1)을 제외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고 설명이 간결한 것이 되도록,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관하여는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파킹블록(60-1)은 복귀 스프링(74)의 일단에 연결된 가압부(73)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니트, 견인부(50)와 연결되는 고리부(110), 가압부(73)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120)를 더 포함한다.
가압부(73)는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가압부(73)의 일 측 즉, 제1 가압부(73a) 및 제2 가압부(73b)의 일측은 구동유니트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 받는다.
제1 가압부(73a) 및 제2 가압부(73b)는 구동와이어(120)에 쉽게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구동와이어(120)와 연결되어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74)은 파킹블록(60-1)내부에 형성되어 일 측면이 가압부(73)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가압부(73)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시키거나, 급작스러운 구동유니트의 작동에 의한 가압부(73)의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유니트는 견인부(50)에서 전달되는 견인력을 구동와이어(120)에 전달하여 가압부(73)를 수용부(72)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구동유니트는 고리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풀리(101)를 경유하여 파킹블록(60-1)에 만입된 수용부(72)내측의 가압부(73)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120), 파킹블록(60-1) 일 측에 견인부(50)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견인부(50)에 걸리는 고리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풀리(101)는 구동와이어(120)에 형성된 힘의 방향을 바꾸는 방향풀리(101a), 구동와이어(120)에 형성된 힘을 이용하여 가압부(73)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101b)를 포함한다.
풀리(101)는 고리부(110)의 일 측면에 연결된 구동와이어(120)와 밀착되어 이를 우회시킨다. 이때, 구동와이어(120)에는 고리부(110)의 하중과 대응되는 힘이 형성되며, 형성된 힘의 방향은 방향풀리(101a)를 경유하면서 바뀌게 된다.
즉, 고리부(110)가 상승(화살표 참조)되면, 고리부(110)를 상승시키는 힘과 대응되는 힘이 구동와이어(120)에 장력으로 형성된다.
이때, 형성된 장력은 다수개의 방향풀리(101a)를 경유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바뀌게 되고, 구동풀리(101b)에 전달된다.
구동풀리(101b)는 구동와이어(120)에 형성된 장력의 방향을 바꿈과 동시에, 서로 다른 가압부(73)로 분해시키며, 제2 가압부(73a)의 일측에 위치하여, 구동풀리(101b)가 설치되지 않은 제1 가압부(73)와 연결된 구동와이어(120)에도 장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구동풀리(101b)는 제2 가압부(73b)의 일 측에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나, 구동풀리(101b)는 가압부(7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가압부(73a)에 설치 되도 무방하다.
도 10은 도 8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크레인(30)은 주행레일(20, 도 1 참조)을 따라 파킹블록(50)으로 이동되며, 돌출부(71)가 수용부(72)에 수용되어 가압부(73)에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연결부(51)에 연결된 고리부(110)가 견인부(50)의 작동에 의해 상승(화살표 참조)되면, 고리부(110)를 상승시키는 힘과 대응되는 힘이 구동와이어(120, 도 9참조)에 장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장력은 제1 가압부(73a) 및 제2 가압부(73b)에 전달하며, 제1 가압부(73a) 및 제2 가압부(73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용부(72)의 폭은 가압부(73)의 이동에 의해 점차 좁아지게 되게 되며, 가압부(73)는 수용부(72)내부에 수용된 돌출부(71)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를 통해 역시 크레인(30)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해상에서도, 크레인(30)의 전복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고,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10: 선체 20: 주행레일
30: 크레인 40: 지지프레임
41: 제1 프레임 42: 제2 프레임
50: 견인부 51: 연결부
60, 60-1: 파킹블록 70: 고정유닛트
71: 돌출부 72: 수용부
73: 가압부 74: 복귀 스프링
80: 조절 실린더 90: 브레이킹 패드

Claims (10)

  1. 삭제
  2. 선체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체 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을 수용하는 파킹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파킹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상기 파킹블록에 고정하는 고정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레일은 적어도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주행레일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끝단부를 서로 수평하게 연결하고 상기 견인부가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파킹블록은 상기 지지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3. 선체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체 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을 수용하는 파킹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파킹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상기 파킹블록에 고정하는 고정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레일의 끝단부가 상기 주행레일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선체의 거주구역과 면하고,
    상기 파킹블록은 상기 선체의 거주구역 외측으로부터 상기 주행레일을 향해 돌출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4. 선체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체 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을 수용하는 파킹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파킹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상기 파킹블록에 고정하는 고정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니트는,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파킹블록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파킹블록 중 나머지 하나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내측에서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신장되는 조절실린더와 연결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6. 제4항에 있어서, 일 측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크레인의 상기 견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의 견인력으로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니트는,
    상기 파킹블록 일 측에 상기 견인부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에 걸리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풀리(Pulley)를 경유하여, 상기 파킹블록에 만입된 상기 수용부 내측의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가압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되, 상기 가압부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을 반전시키고, 서로 다른 상기 가압부로 분배하는 구동풀리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브레이킹 패드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10. 선체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체 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을 수용하는 파킹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파킹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상기 파킹블록에 고정하는 고정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견인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일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이스트 장치 이거나,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암(Crane arm)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KR1020130131579A 2013-10-31 2013-10-31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KR10155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79A KR101556194B1 (ko) 2013-10-31 2013-10-31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79A KR101556194B1 (ko) 2013-10-31 2013-10-31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29A KR20150050129A (ko) 2015-05-08
KR101556194B1 true KR101556194B1 (ko) 2015-09-30

Family

ID=5338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579A KR101556194B1 (ko) 2013-10-31 2013-10-31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459A (ko) 2017-03-10 2018-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크레인 및 그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40B1 (ko) * 2021-11-29 2022-04-22 (주)이젠테크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459A (ko) 2017-03-10 2018-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크레인 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29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9481B2 (ja) ハッチカバーにおける装置
US8840159B2 (en) Cable-controlled container yoke
RU2014120002A (ru) Способы спуска и подъема для погруж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других полезных грузов
CN112703166B (zh) 用于起重机的提升滑车
US20140021421A1 (en) Tensioning device
CN111108058A (zh) 用于提升和/或降下尤其是起重机的升降机的负载装卸机构的方法及其升降机
CN106348168B (zh) 起重装置及起重设备
KR101556194B1 (ko)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US2874855A (en) Personnel or object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55201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isitng handling of a load at sea
CN101746669B (zh) 造船龙门起重机上小车吊钩横移机构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US20220126952A1 (en) Guided lifting system
US6286696B1 (en) Hoist system anti-drift device
EP2441662B1 (en)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goods from and/or to a ship, ship provided with such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612124B1 (ko) 소형 선박의 인양 이동 리프트
GB2549464A (en) A windlass and a windlass assembly for lifting and lowering a bouy anchor chain
CN201598106U (zh) 造船龙门起重机新型上小车吊钩横移机构
CN107795751B (zh) 一种形态检测器回收舱
KR20170061318A (ko) 붐의 이동이 가능한 해상 크레인
KR20170001109A (ko)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RU2788548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передачи груза грузовой тележки судов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на принимающем судне
RU2241633C2 (ru) Судовой кран
JP2767784B2 (ja) 索道走行装置
RU22097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покоения раскачивания грузозахватного орг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