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418B1 -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418B1
KR101915418B1 KR1020177002853A KR20177002853A KR101915418B1 KR 101915418 B1 KR101915418 B1 KR 101915418B1 KR 1020177002853 A KR1020177002853 A KR 1020177002853A KR 20177002853 A KR20177002853 A KR 20177002853A KR 101915418 B1 KR101915418 B1 KR 10191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member
bearing
clos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093A (ko
Inventor
엑카르트 그니엘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02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75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comprising removable or hing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 B60K37/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62Mid-consol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60K2350/1092
    • B60K2350/405
    • B60K2350/4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4Economic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6Projection screens or comb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82Arrangements to cover or hide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9Supporting or connecting means other than the external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부재로서 형성된, 조정 가능한 커버 부재(4)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1)의 커버면(2) 내에 제공된 개구부(3)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버 부재(4)는 내장 트림 부품(1)과 연결된 프레임 부재(5) 상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실질적으로, 프레임 부재(5)의 베어링 측면판들(11, 12) 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회동 레버(14, 15)의 회전 운동 또는 회동은 커버 부재(4)의 병진 운동으로 전환된다. 이때, 커버 부재(4)는 그의 베어링 블록들(23, 24)을 관통하는 샤프트(26), 및 이 샤프트(26)의 자유 단부들에 배치되어, 베어링 측면판(10, 11)에 배치된 제1 래크(29, 30)와 각각 맞물리는 2개의 피니언(27, 28)에 의해 종동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ARRANGEMENT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IN AN INTERIOR TRIM PIECE OF A VEHICL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특히 자동차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기재를 목적으로,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 방향은 "-x"("마이너스 x")로 표시되고,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 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은 "+x"("플러스 x")로 표시되며, 일반 주행 방향(-x)에서 시작하여 우측을 향해 x 방향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은 "+y"로 표시되고, 일반 주행 방향(-x)에서 시작하여 좌측을 향해 x 방향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은 "-y"로 표시되고, 상향으로 x 방향을 가로지르는 수직 방향은 "+z"로 표시되며, 하향으로 x 방향을 가로지르는 수직 방향은 "-z"로 표시된다. 데카르트 좌표에서의 이러한 공간 방향들의 표시 방식은 자동차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좌표계에 상응한다. 그 밖에 자동차에서 방향 표시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전방", "후방", "상향", "하향"과 같은 개념들 및 "우향" 및 "좌향"의 개념들을 포함하여 유사한 의미가 있는 개념들도 이용된다.
DE 198 04 743 A1호로부터 내비게이션 시스템, TV 수상기 등과 같이, 대시보드 내에 배치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전개 메커니즘(deployment mechanism)이 공지되어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측 단부에 배치된 핀들(pin)에 의해 하우징의 이른바 캠 그루브(cam groove)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핀들이 캠 그루브들을 따라 왕복 운동을 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평 상태와 직립 상태 또는 전개 상태 간에 변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개 상태에서는 회동식(pivotable)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하우징 내 개구부 내로 침투 가능하다. 커버는 개방 과정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개방된다. 핀들은 래크 메커니즘을 통해 모터와 연결된다. 모터의 회전 운동이 래크 메커니즘을 통해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됨으로써, 핀들이 활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독일 공보에는 래크 메커니즘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는 상세히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찬가지로 일측 단부에 배치된 핀들에 의해 캠 그루브들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면서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바닥면에 우측 래크 및 좌측 래크가 제공되고, 이들 래크 상에서 하나의 블록이 좌측 및 우측 피니언에 의해 모터 구동 방식으로 래크들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블록 내에 상기 모터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핀들은 블록의 캠 그루브들 내에서뿐만 아니라 하우징의 캠 그루브들 내에서도, 블록의 운동의 결과로서, 그리고 연결 부재들의 도움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올려지거나 내려지도록 안내된다.
DE 102 20 180 A1호에는, 머리 높이에서 판독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차량 내 개구부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커버 유닛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개구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송출된 이미지의 빔(beam)이 표시 화면에, 예컨대 차량의 앞유리에 도달하게 한다. 커버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표시 화면 또는 앞유리까지의 기하학적 빔 경로를 차단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차폐판을 포함한다. 차폐판은 모터 구동식 회동 메커니즘 및/또는 레버 메커니즘에 의해 수직 위치와 수평 위치 사이에서 가동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과 관련한 대안적 장치로서,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조정 가능한 커버 부재를 이용하여, 차량, 특히 자동차의 내장 트림 부품의 커버면 내에 제공된 개구부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개폐 장치로서, 커버 부재는 평면 부재로 형성되고, 커버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덮는 폐쇄 위치로부터, 커버 부재가 커버 부재 자체의 조정을 통해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개폐 장치를 기반으로, 프레임 부재가, 서로 대향하며 동축으로 배치된 베어링 돌기들(bearing lugs)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부재 또는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2개의 베어링 측면판(bearing cheek)을 포함하고, 이들 베어링 돌기 내에서 일측 단부에 각각 하나의 회동 레버가 공통의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동 레버들이 서로 연결되어 타측 단부에서 커버 부재의 베어링 지점들에서 공통의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 부재가 내장 트림 부품과 연결된 프레임 부재 상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제1 회동축을 향하는 2개의 베어링 블록을 포함하고, 이들 베어링 블록 내에서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해 축 평행 방식으로 배치되어 베어링 블록들을 관통하는 샤프트가 회전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의 자유 단부들 상에는 각각 하나의 제1 피니언이 회전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1 피니언들이 베어링 측면판 상에 배치된 제1 래크와 각각 맞물림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회동 레버들의 회동을 통해서만 개구부의 개방 및 폐쇄가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선호되는 것과 같이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복잡한 지렛대 작용을 이용한 커버 부재의 전개 운동이 불필요한데, 그 이유는 커버 부재가 개방 과정 동안 소위 프레임 부재 또는 내장 트림 부품의 개구부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이다.
종속 청구항들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 또는 구현예들이 기재되어 있다.
그에 따라 제1 래크들은 서로 합동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커버 부재의 운동 방향을 향하는 각각 하나의 제1 래크와 맞물리며 샤프트와 단단히 연결된 피니언들과 관련하여, 커버 부재의 양 측면의 동기성이 달성된다. 또한, 커버 부재의 운동 방향으로 볼 때 커버 부재의 일측 단부에 베어링 지점들이 제공되는 한편, 베어링 블록들은 상기 베어링 지점들에서 출발하여 커버 부재의 타측 단부 쪽으로 소정의 이격 간격만큼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조치를 통해, 제1 래크들의 롤링 윤곽(rolling contour) 또는 커버 부재의 운동 경로, 예컨대 개방 과정에서 개구부를 한정하는 내장 트림 부품의 커버면 섹션들 아래로의 커버 부재의 하강을 보장하는 만곡형 운동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1 래크들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직선으로 그리고/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미 제1 래크들에 의해 구현된 커버 부재의 강제 안내를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베어링 측면판 쪽으로 각각의 제1 피니언에는 샤프트 및 제1 피니언들과 함께 회전하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대칭형인 슬라이딩 블록(sliding block)이 연결되고, 이 슬라이딩 블록은 제1 래크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베어링 측면판의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 내에서 안내된다. 회전 대칭형 슬라이딩 블록의 회전 운동을 통해, 불시에 발생하는 스틱 슬립(stick-slip) 현상에 직면하긴 하나, 적어도 상기 스틱 슬립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 레버가 회동 구동장치와 작동 연결된다. 상기 회동 구동장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회동 레버들의 회전 운동 및 회동 운동 각각은 회동 레버들과 작동 연결된 커버 부재의 주로 병진 형태인 운동으로 전환된다. 바람직하게 회동 구동장치는 프레임 부재 상에 고정된 모터, 특히 전기 모터, 또는 모터-기어장치 블록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회동 구동장치의 모터 샤프트 또는 출력 샤프트는 회동 레버에 배치된 제2 래크와 맞물리는 제2 피니언을 포함하며, 제2 래크는 내접 스퍼 기어의 한 섹터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래크는 회동 레버의 양측 단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특히 제2 피니언와 제2 래크 사이에 불시에 존재할 수 있는 백래시의 불리한 영향을 방지하고, 적어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회동 레버들 중 적어도 하나는 회동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도록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 중앙 콘솔 또는 뒷자석 선반(rear shelf)의 형태인 내장 트림 부품 내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대시보드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커버 부재는 예컨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덮을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정보들이 대시보드 외부로 그리고 대시보드 내 개구부를 통과하여 차량 운전자의 가시 영역으로, 예컨대 차량의 앞유리 상에 또는 별도의 이른바 컴바이너 플레이트(combiner plate) 상에 투사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표시될 광 빔들의 기하학적 빔 경로가 차단되거나 개방된다.
하기에서는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모든 구현예를 고려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의 상면 사시도이다(개방된 개구부).
도 2는 상기 개폐 장치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약 180° 회전시킨 추가 사시도이다(개방된 개구부).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라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에 있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개폐 장치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도면에 대응하는 개폐 장치의 추가 하면도이다(폐쇄된 개구부).
도 5는 도 4에 따른 개폐 장치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버 부재의 운동학을 결정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부재들을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먼저, 내장 트림 부품(1), 여기서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차량(특히, 자동차) 대시보드의 관련 섹션이 도시되어 있다. 내장 트림 부품(1)은 수평 상태의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인 상부 커버면(2) 내에 개구부(3)를 갖는다. 물론 상기 커버면(2)은 수평이 아닌 상태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이 아닌 상태로 정렬될 수도 있을뿐더러, 수평면에서 벗어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의해 생성되는 광 빔들의 빔 경로를 보장한다. 이미 상술한 것처럼,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정보들이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1) 또는 대시보드 외부로, 그리고 내장 트림 부품 또는 대시보드 내의 개구부(3)를 통과하여 차량 운전자의 가시 영역으로, 예컨대 차량의 앞유리 상에 또는 별도의 이른바 컴바이너 플레이트 상에 투사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의미한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이 경우, 조정 가능한 커버 부재(4)에 의해 광 빔들의 상기 기하학적 빔 경로가 차단되거나 개방될 수 있고, 개구부(3)가 폐쇄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4)는 평면 부재로 형성되고, 커버 부재(4)가 개구부(3)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4a)(특히 도 1 및 도 2 참조)로부터 커버 부재의 운동을 통해 커버 부재(4)가 상기 개구부(3)를 점유하거나 덮는 폐쇄 위치(4b)(특히 도 3 내지 도 5 참조)로, 또는 그 역으로 전환될 수 있다. 커버 부재(4)는 여기서, 개방 과정 동안 소위 개구부(3)를 따라, 개구부(3)를 한정하는 내장 트림 부품(1)의 커버면(2)의 하부에서 운동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커버 부재(4)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커버면(2)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부재(4)는, 내장 트림 부품(1)과, 여기서는 내장 트림 부품의 커버면(2)과 단단히 연결된 프레임 부재(5)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5)는, 2개의 횡방향 지지대(5c, 5d)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종방향 지지대(5a, 5b)를 가진 직사각형을 형성한다. 이때, 종방향 지지대들(5a, 5b)은 차량 종방향(X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프레임 부재(5)는 커버면 측에 소위 스냅 너트들(6)을 포함하며, 이 스냅 너트들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 등을 이용하여 내장 트림 부품(1) 또는 그의 커버면(2) 상에 프레임 부재(5)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프레임 부재(5)는 아래로부터 상기 커버면(2) 쪽으로 안착되어 개구부(3)를 에워싼다.
또한, 프레임 부재(5) 상에는, 특히 내장 트림 부품(1) 또는 대시보드와 함께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위로부터 프레임 형태의 외장재(7)가 바람직하게 래칭(latching)을 통해 장착된다. 그 외에도, 프레임 부재(5)에는 보강 부재(8)가 추가로 장착되며, 이 보강 부재는 가로대의 유형에 따라 프레임 부재(5)의 후미 측에서 종방향 지지대들(5a, 5b) 사이에 연장되면서 이들 종방향 지지대 상에 추가 부착물로서 고정 볼트들(9)(도 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따라서, 프레임 부재(5)는 프레임 부재(5) 또는 그의 종방향 및 횡방향 지지대들(5a 내지 5d)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2개의 베어링 측면판(10, 11)을 더 포함한다. 베어링 측면판들(10, 11)은 차량 횡방향(Y 방향)으로 볼 때 서로 이격되어 각각 일측 단부에서 프레임 부재(5)의 하나의 종방향 지지대(5a, 5b)에 결합되고, 이때 프레임 부재(5)에서 시작하여 내장 트림 부품(1)의 커버면(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베어링 측면판들(10, 11)과 함께 프레임 부재(5)는 바람직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법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베어링 측면판들(10, 11)의 자유 단부들 또는 하측 단부들(10a, 11a)은 각각 하나의 베어링 돌기(12, 13)를 포함한다. 베어링 돌기들(12, 13)은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다. 베어링 돌기들(12, 13)에서, 각각의 회동 레버(14, 15)의 일측 단부 또는 각각의 하측 제1 단부(14a, 15a)가 공통의 제1 회동축(1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동 레버들(14, 15)의 타측 단부 또는 상측 제2 단부들(14b, 15b)은, 커버 부재(4)의 베어링 지점들(17, 18)에서 공통의 제2 회동축(19)을 중심으로 회동 지지된다. 그 외에도, 회동 레버들(14, 15)은 횡방향 지지대(20)에 의해 서로 단단히 연결된되며, 이때 간접적으로 상기 횡방향 지지대(20)를 통해 베어링 지점들(17, 18)에 회동 레버들(14, 15)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동 레버들(14, 15)이 횡방향 지지대(20)와 함께 일체형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지점들(17, 18)이, 커버 부재(4)의 운동 방향(21) 또는 차량 종방향(±X 방향)으로 볼 때 커버 부재(4)의 제1 단부, 여기서는 전방 단부(22)(-X)에 제공된다(특히 도 2 참조).
도 3, 도 4 및 도 6에서 매우 충분히 알 수 있듯이, 커버 부재(4)는, 차량 횡방향(Y 방향)으로 볼 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1 회동축(16)을 향하는 2개의 베어링 블록(23, 24)을 포함한다. 베어링 블록들(23, 24)은 커버 부재(4)의 운동 방향(21) 또는 차량 종방향(±X 방향)으로 볼 때, 그리고 상기 베어링 지점들(17, 18)에서부터 커버 부재(4)의 제2 단부, 여기서는 후방 단부(25)(+X) 쪽으로 소정의 이격 간격만큼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블록들(23, 24)은 커버 부재(4)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베어링 블록들(23, 24)에서는, 제1 및 제2 회동축(16, 19)에 대해 축 평행 방식으로 배치되어 베어링 블록들(23, 24)을 관통하는 샤프트(26)가 회전 지지된다. 샤프트(26)의 자유 단부들에는 각각 하나의 제1 피니언(27, 28)이 회전 고정 방식으로 배치된다(특히 도 4 참조).
제1 피니언들(27, 28)은 각각의 베어링 측면판(10, 11)에 배치된 제1 래크(29, 30)와 맞물린다. 바람직하게 제1 래크들(29, 30)은 베어링 측면판들(10, 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예컨대 전술한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중에 베어링 측면판들(10, 11)에 사출 성형된다.
특히 도 4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제1 래크들(29, 30)은 서로 합동이 되게 형성된다. 그 결과, 샤프트(26)와 단단히 연결된 제1 피니언들(27, 28)과 관련하여 커버 부재(4)의 양 측면의 동기성이 달성된다.
특히 도 2, 도 3 및 도 6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제1 래크들(29, 30)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직선으로 그리고/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조치를 통해, 제1 래크들(29, 30)의 롤링 윤곽 또는 커버 부재(4)의 운동 경로, 예컨대 개방 과정에서 개구부(3)를 한정하는 내장 트림 부품(1)의 커버면(2) 섹션들 아래로의 커버 부재(4)의 하강을 보장하는 만곡형 운동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래크들(29, 30)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래크들의 치형부가 위쪽을 가리키고 있고, 제1 피니언들(27, 28)은 이른바 위로부터 상기 치형부 내로 맞물리거나 삽입되어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래크들(29, 30)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래크들의 치형부가 아래쪽을 향하고 제1 피니언들(27, 28)은 소위 아래로부터 상기 치형부 내로 맞물리거나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이미 제1 래크들(29, 30)을 통해 실현된 커버 부재(4)의 강제 안내를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베어링 측면판(10, 11) 쪽으로 각각의 제1 피니언(27, 28)에는 샤프트(26) 및 제1 피니언들(27, 28)과 함께 회전하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대칭형인 슬라이딩 블록(31)이 연결되고, 이 슬라이딩 블록은 각각의 베어링 측면판(10, 11)의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32) 내에서 안내된다(도 3 및 도 6). 이 경우,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들(32)은 제1 래크(29, 30)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회전 대칭형 슬라이딩 블록(31)의 회전 운동을 통해, 불시에 발생하는 스틱 슬립 현상에 직면하긴 하나, 적어도 상기 스틱 슬립 현상은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들(32)은 바람직하게 각각 할당된 베어링 측면판(10, 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일측 또는 타측 방향(±X 방향)으로의 커버 부재(4)의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회동 레버들(14, 15) 중 적어도 하나, 여기서는 차량 전방(-X 방향) 쪽으로 볼 때 좌측의 회동 레버(14)가 회동 구동장치(33)와 작동 연결된다. 상기 회동 구동장치(33)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결된 회동 레버들(14, 15)의 회전 운동 및 회동 운동 각각이 회동 레버들(14, 15)과 작동 연결된 커버 부재(4)의 주로 병진 형태인 운동으로 전환된다.
바람직하게 회동 구동장치(33)는 프레임 부재(5) 상에 고정된 모터, 특히 전기 모터, 또는 모터-기어장치 블록으로 형성된다. 본원에서는 회동 구동장치(33)로서 모터-기어장치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회동 구동 장치의 보이지 않는 출력 샤프트는 회동 레버(14)에 할당된 베어링 측면판(10)을 외부로부터 관통한다. 출력 샤프트의 자유 단부에 도 3, 도 4 및 도 6에 따라 제2 피니언(34)이 회전 고정 방식으로 배치된다. 제2 피니언(34)은 회동 레버(14)에 배치된 제2 래크(35)와 맞물린다. 이 경우, 제2 래크(35)는 내접 스퍼 기어의 한 섹터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회동 레버(14)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 제2 래크(35)는 회동 레버(14)의 양 단부(14a, 14b) 사이의 대략 중심 영역에 배치된다.
특히 제2 피니언(34)과 제2 래크(35) 사이에 불시에 존재하는 백래시의 불리한 영향을 방지하고, 적어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회동 레버들(14, 15) 중 적어도 하나는 회동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도록 형성된다. 본원에서는 회동 레버(14)에 예압된 코일 스프링(36)이 배치되며, 이 코일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베어링 측면판(10)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회동 레버(14)에 지지된다.
1: 내장 트림 부품
2: 커버면
3: 개구부
4: 커버 부재
4a: 개방 위치
4b: 폐쇄 위치
5: 프레임 부재
5a: 종방향 지지대
5b: 종방향 지지대
5c: 횡방향 지지대
5d: 횡방향 지지대
6: 스냅 너트
7: 외장재
8: 보강 부재
9: 고정 볼트
10: 베어링 측면판
10a: 하측 단부[베어링 측면판(10)]
11: 베어링 측면판
11a: 하측 단부[베어링 측면판(11)]
12: 베어링 돌기
13: 베어링 돌기
14: 회동 레버
14a: 제1 단부
14b: 제2 단부
15: 회동 레버
15a: 제1 단부
15b: 제2 단부
16: 제1 회동축
17: 베어링 지점
18: 베어링 지점
19: 제2 회동축
20: 횡방향 지지대
21: 운동 방향
22: 제1 단부[커버 부재(4)]
23: 베어링 블록
24: 베어링 블록
25: 제2 단부[커버 부재(4)]
26: 샤프트
27: 제1 피니언
28: 제1 피니언
29: 제1 래크
30: 제1 래크
31: 슬라이딩 블록
32: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
33: 회동 구동장치
34: 제2 피니언
35: 제2 래크
36: 코일 스프링

Claims (10)

  1. 조정 가능한 커버 부재(4)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1)의 커버면(2) 내에 제공된 개구부(3)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개폐장치로서, 커버 부재(4)는 평면 부재로 형성되고, 커버 부재(4)가 상기 개구부(3)를 덮는 폐쇄 위치(4b)로부터, 커버 부재(4)가 커버 부재 자체의 조정을 통해 개구부(3)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4a)로 그리고 그 역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개구부 개폐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5)가, 서로 대향하며 동축으로 배치된 베어링 돌기들(12, 13)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부재(5) 또는 개구부(3)에 의해 형성된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2개의 베어링 측면판(10, 11)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돌기에는 각각 하나의 회동 레버(14, 15)의 일측 단부가 공통의 제1 회동축(1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동 레버들(14, 15)은 서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커버 부재(4)의 베어링 지점들(17, 18)에서 공통의 제2 회동축(19)을 중심으로 회동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 부재(4)는 내장 트림 부품(1)과 연결된 프레임 부재(5) 상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커버 부재(4)는 제1 회동축(16)을 향하는 2개의 베어링 블록(23, 24)을 포함하고, 이들 베어링 블록에서는, 제1 및 제2 회동축(16, 19)에 대해 축 평행 방식으로 배치되어 베어링 블록들(23, 24)을 관통하는 샤프트(26)가 회전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26)의 자유 단부들에는 각각 하나의 제1 피니언(27, 28)이 회전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피니언들(27, 28)은 베어링 측면판(10, 11)에 배치된 제1 래크(29, 30)와 각각 맞물리고,
    제1 래크들(29, 30)은 서로 합동이 되게 형성되고,
    베어링 지점들(17, 18)은 커버 부재(4)의 운동 방향(21)으로 볼 때 상기 커버 부재(4)의 일측 단부(22)에 제공되며, 그에 반해 베어링 블록들(23, 24)은 베어링 지점들(17, 18)에서부터 커버 부재(4)의 타측 단부(25) 쪽으로 소정의 이격 간격만큼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개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래크들(29, 30)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직선으로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개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측면판(10, 11) 쪽으로 각각의 제1 피니언(27, 28)에 슬라이딩 블록(31)이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베어링 측면판(10, 11)의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32) 내에서 안내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는 제1 래크(29, 30)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개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동 레버(14, 15)는 회동 구동장치(33)와 작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개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회동 구동장치(33)는 프레임 부재(5) 상에 고정된 모터, 또는 모터-기어장치 블록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회동 구동장치의 모터 샤프트 또는 출력 샤프트는 회동 레버(14, 15)에 배치된 제2 래크(35)와 맞물리는 제2 피니언(34)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래크(35)는 내접 스퍼 기어의 한 섹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래크(35)는 회동 레버(14, 15)의 양측 단부(14a, 14b; 15a, 15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개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회동 레버들(14, 15) 중 적어도 하나는 회동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개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내장 트림 부품(1)은 차량의 대시보드, 중앙 콘솔, 또는 뒷좌석 선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개폐 장치.
  10.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덮기 위한, 제1항에 따른 장치.
KR1020177002853A 2014-07-02 2015-05-06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KR101915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2793.9A DE102014212793A1 (de) 2014-07-02 2014-07-02 Anordnung zum Freigeben und 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m Innenausstattungsteil eines Fahrzeugs
DE102014212793.9 2014-07-02
PCT/EP2015/059993 WO2016000853A1 (de) 2014-07-02 2015-05-06 ANORDNUNG ZUM FREIGEBEN UND 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M INNENAUSSTATTUNGSTEIL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093A KR20170024093A (ko) 2017-03-06
KR101915418B1 true KR101915418B1 (ko) 2018-11-05

Family

ID=5326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853A KR101915418B1 (ko) 2014-07-02 2015-05-06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77010B2 (ko)
EP (1) EP3164292B1 (ko)
KR (1) KR101915418B1 (ko)
CN (1) CN106470866B (ko)
DE (1) DE102014212793A1 (ko)
WO (1) WO2016000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8904B1 (en) * 2018-01-05 2024-03-06 Jabil Inc. Combiner positioning system
CN108944703A (zh) * 2018-05-30 2018-12-07 深圳市路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滑盖式车载移动设备支架
DE102018218984A1 (de) * 2018-11-07 2020-05-0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Halt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verschieblichen Stiftelementen
DE102019202854A1 (de) * 2019-03-01 2020-09-03 Psa Automobiles Sa Festlegevorrichtung zum Festlegen eines Moduls an einer Fahrzeug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s
DE202021105623U1 (de) * 2020-10-15 2022-01-24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cockpit-Modulanordnung
CN113665493B (zh) * 2021-09-23 2023-06-27 诺博汽车系统有限公司 旋转中控屏及车辆
CN117351835A (zh) * 2022-06-27 2024-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光学显示器、光学显示器组件及交通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0749C1 (de) 1995-03-24 1996-04-25 Happich Gmbh Gebr Behälter, wie Ascher, Ablagefach oder dgl.,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0220180A1 (de) 2001-05-11 2002-11-28 Yazaki Corp Zu öffnende Abdeckeinheit für eine in Kopfhöhe ablesbare Anzeige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KR101329287B1 (ko) * 2012-04-02 2013-11-14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2105B (en) 1997-02-06 1999-08-18 Nissan Motor Vehicle display layout structure
DE20109405U1 (de) * 2001-06-07 2001-10-18 Kunststofftechnik Riesselmann Vorrichtung zur Dämpfung und/oder Beschleunigung einer Verschiebe- oder Schwenkbewegung von Bauteilen im Innenraum von Kraftfahrzeugen
JP3833925B2 (ja) 2001-10-29 2006-10-18 株式会社ニフコ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DE10302478B4 (de) * 2003-01-23 2006-07-27 Dr.Ing.H.C. F. Porsche Ag Behälter zum Einbau in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DE10325237A1 (de) * 2003-06-04 2004-12-23 Stöbich Brandschutz GmbH & Co. KG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 Öffnung und Dichtungen hierfür
JP4241532B2 (ja) * 2004-07-16 2009-03-18 豊田合成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DE102008019867B4 (de) * 2008-04-16 2012-12-2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taufach
KR100945847B1 (ko) * 2009-05-21 2010-03-08 효림산업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US8953247B2 (en) * 2011-01-20 2015-02-10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ositioning system for head-up display
CN202141855U (zh) * 2011-06-14 2012-02-08 华创车电技术中心股份有限公司 车用显示装置
JP5880212B2 (ja) * 2012-03-29 2016-03-08 日本精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ナ収納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9415710B2 (en) * 2014-12-0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sole armrest assembly with dampening strut and integrated inertial l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0749C1 (de) 1995-03-24 1996-04-25 Happich Gmbh Gebr Behälter, wie Ascher, Ablagefach oder dgl.,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0220180A1 (de) 2001-05-11 2002-11-28 Yazaki Corp Zu öffnende Abdeckeinheit für eine in Kopfhöhe ablesbare Anzeige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KR101329287B1 (ko) * 2012-04-02 2013-11-14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70866B (zh) 2018-11-02
WO2016000853A1 (de) 2016-01-07
EP3164292B1 (de) 2018-07-11
US10077010B2 (en) 2018-09-18
CN106470866A (zh) 2017-03-01
US20170113631A1 (en) 2017-04-27
EP3164292A1 (de) 2017-05-10
KR20170024093A (ko) 2017-03-06
DE102014212793A1 (de)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418B1 (ko)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KR101900627B1 (ko)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KR101558658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9488832B2 (en) Head-up display comprising a projection screen and a device for moving and positioning a projection scree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head-up display
DE102008025684A1 (de) Fahrzeugsitz mit daran angebrachter Elektronikanzeige
CN112203899A (zh) 显示装置和车辆
KR101684048B1 (ko) 차량 루프 상의 커버의 측면 패널
US113584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screen arrangement for a vehicle roof, and vehicle roof for a motor vehicle
CN107635830A (zh) 后方视觉辨认装置
CN112437731A (zh) 显示装置和车辆
DE102020127158A1 (de) Head-up-display-bildbestimmung und -korrektur
KR101999905B1 (ko)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CN211592393U (zh) 用于车辆的平视显示器
DE102019217703A1 (de) Fahrzeugsitz
JP2009001116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部構造
EP4334155A1 (de) Kraftfahrzeug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anzeigevorrichtung
CN106314279B (zh) 机动车辆上观察装置的设置及操作观察装置的方法
US11052831B1 (en) Display moving apparatus
WO2016156064A1 (de)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relativen position zwischen einer kopfobenanzeigeeinrichtung und einer augenposition, kopfobenanzeige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JP2004182120A (ja)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2018044328A (ja) 作業車両
KR101721064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DE10246318A1 (de) Sitzeinstellvorrichtung
EP3444653B1 (en) Head-up-display
KR101499620B1 (ko) 수평 개폐되는 자동차용 수평 파워 윈도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