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847B1 -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847B1
KR100945847B1 KR1020090044561A KR20090044561A KR100945847B1 KR 100945847 B1 KR100945847 B1 KR 100945847B1 KR 1020090044561 A KR1020090044561 A KR 1020090044561A KR 20090044561 A KR20090044561 A KR 20090044561A KR 100945847 B1 KR100945847 B1 KR 10094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ute
garbage
waste
safet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097A (ko
Inventor
이정한
최재평
김종성
이덕규
이재민
조영호
고광범
Original Assignee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8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494Refuse receptacle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or extinguishin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위생상 안전하며, 악취 발생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쓰레기 수집관로와 연통되어 있는 슈트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몸체와, 몸체의 쓰레기 투입구를 슬라이딩 회동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와, 슈트에 마련되어 도어의 개방 시 회동되어 슈트를 폐쇄하며 규정된 쓰레기만 인입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커버와, 도어와 안전커버가 상기 슈트의 개폐 동작을 서로 반대로 할 수 있도록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도어와 안전커버가 서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링크와 안전커버 링크를 구비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가 쓰레기 투입구를 쉽게 개폐 사용할 수 있으며 위생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어 개폐 시 발생하는 악취는 슈트 내부의 안전커버에 의해 방지되며, 이 안전커버에 의해 규정된 쓰레기만 인입되기 때문에 쓰레기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소화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Refuse Input Device of Garbage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이송방식으로 쓰레기를 일괄 수거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에 있어서 쓰레기를 최초 투입하는 쓰레기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음식 문화의 발달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각종 쓰레기의 양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이러한 쓰레기들은 수거차량에 의해 수집되어 처리장으로 이송됐기 때문에, 수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운반차량으로 인한 교통 정체나 운반차량의 이동시 발생하는 침출수에 의한 악취발생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근래에는 종래 쓰레기 수거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이 개발 및 추진되고 있다.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은 크게 최종적으로 쓰레기를 모아서 처리하는 쓰레기 집하장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지상의 여러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쓰레기 투입장치와, 복수의 쓰레기 투입장치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를 일괄적으로 쓰레기 집하장까지 안내하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수집관로를 구비한다.
쓰레기 투입장치는 통상 투입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일반 쓰레기 투입장치와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로 나누어지며, 투입되는 쓰레기의 용량에 따라 다시 소용량 및 대용량 쓰레기 투입장치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쓰레기 투입장치는 통상 복수의 투입장치 설치 개소에 종류별로 2개 또는 3개 정도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쓰레기 투입장치는 대부분 사용자가 투입장치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노약자, 어린이 등이 사용하기 불편하며, 또한 많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도어를 개폐하기 때문에 위생상으로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어 개폐 시 악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쓰레기의 적체 정도를 알 수 없고 화재에 무방비 상태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위생상 안전하며, 악취 발생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수집관로에 연통되어 있는 쓰레기 투입장치에 있어서, 쓰레기 수집관로와 연통되어 있는 슈트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몸체와, 몸체의 쓰레기 투입구를 슬라이딩 회동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와, 슈트에 마련되어 도어의 개방 시 회동되어 슈트를 폐쇄하며 규정된 쓰레기만 인입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커버와, 도어와 안전커버가 슈트의 개폐 동작을 반대로 할 수 있도록 실린더와, 실린더에 도어와 안전커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각각의 링크를 구비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상기 슈트에 적체되어 있는 쓰레기의 진공 흡입 시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몸체에 마련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상기 슈트 내 화재 발생 시 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상측에 마련되는 소화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상기 도어는 복수의 도어편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면으로 적층되면서 슬라이딩 개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수집관로에 연통되어 있는 쓰레기 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집관로와 연통되어 있는 슈트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쓰레기 투입구를 회동 개폐하며, 복수의 도어편이 투입구 개방 시 동일한 면으로 슬라이딩 적층되는 도어와, 상기 슈트에 마련되어 도어의 개방시 회동되어 슈트를 폐쇄하는 안전커버와, 상기 도어와 안전커버가 상기 슈트의 개폐 동작을 반대로 할 수 있도록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도어와 안전커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각각의 링크를 구비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슈트 내 화재 발생 시 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상측에 마련되는 소화장치를 포함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노약자나 어린이가 쉽게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 사용할 수 있으며 위생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어 개폐 시 발생하는 악취는 슈트 내부의 안전커버에 의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이 안전커버에 의해 규정된 쓰레기만 인입되기 때문에 쓰레기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소화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쓰레기 투입구 개폐 도어를 복수의 도어편으로 만들어 상호 동일한 면으로 적층되면서 개방되도록 하기 때문에, 전체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 소용량과 대용량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투입장치가 이용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은 최종적으로 쓰레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쓰레기 집하장(1)과, 쓰레기를 투입하도록 지상의 여러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쓰레기 투입장치(2)와, 쓰레기 투입장치(2)들을 통해 유입된 쓰레기를 쓰레기 집하장(1)까지 안내하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수집관로(3)를 구비한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4는 쓰레기 수거 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구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쓰레기 투입장치(2)는 수집관로(3)과 연통되어 있는 몸체(10)와, 몸체(10)에 슬라이딩 회동 개폐되는 도어(14)와, 몸체(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안전커버(16)와, 도어(14) 및 안전커버(1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재(15)를 구비한다.
몸체(10)의 내부에는 수집관로(3)과 연통되어 있는 슈트(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슈트(11)의 끝단은 몸체(10)의 쓰레기 투입구(12)와 연통되어 있다. 투입구(12)는 도 1과 같이 원형으로 마련되며 그 테두리는 쓰레기 봉투 및 사용자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쓰레기 투입구(12)의 상측에는 빗물이 투입구(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갓(13)이 몸체(10)에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도어(14)는 쓰레기 투입구(12)를 상하로 슬라이딩 회동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도어(14)는 슈트(11)의 양측에 마련되는 구동부재(15)인 실린더(15a) 및 링크(15b)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 측이 생성하는 신호 예컨대, 사용자의 ID카드 인식이나 작동버튼이 눌러지면 자동으로 실린더(15a)가 동작하면서 링크(15b)를 회전시켜 도어(14)를 개방하게 된다. 도어(14)의 단부가 결합되는 몸체(10)에는 도 2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패킹(14a)이 마련되어 있어서 손끼임, 물건 끼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안전커버(16)는 슈트(1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어(14)의 개폐와 반대로 동작하면서 슈트(11)의 내부를 개폐하여 규정된 정량의 쓰레기만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슈트(11)와 연통되어 있는 수집관로(3)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안전커버(16)는 구동부재(15)인 실린더(15a)에 링크(15c)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링크(15c)는 실린더(15a)의 구동시 도어 링크(15b)와 반대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몸체(10)의 상측에는 슈트(11) 내 쓰레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자체 소화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기(미도시) 및 소화장치(17)가 마련된다. 소화장치(17)는 통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몸체(10)의 하측에는 슈트(11)와 연통되는 흡입구(18)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18)는 슈트(11)에 적체되어 있는 쓰레기를 진공 흡입할 때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개방됨으로써 쓰레기의 정상적 배출을 돕게 된다. 흡입구(18)로는 원패스 방식의 체크형 회전그릴을 사용하는데, 이 회전그릴은 진공 흡입시에만 개방되어 평상시 악취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쓰레기 투입장치(2)의 슈트(11)와 수집관로(3)는 연결관(20)을 통해 연통되어 쓰레기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가 수집관로(3)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관(20)과 몸체(10)는 관리가 용이하도록 플랜지(21)에 볼트를 사용하여 상호 나사 체결된다. 이러한 연결관(20) 하부에는 수집관로(3)와의 연통 상태를 개폐하기 위한 차단밸브(23)가 마련된다. 차단밸브(23)는 쓰레기 집하장(1)으로 쓰레기가 이송될 때 개방되어 연결관(20)에 위치되어 있던 쓰레기가 수집관 로(3)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차단밸브(2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쓰레기 투입구(12)를 통해 슈트(11)로 유입된 쓰레기가 차단밸브(23) 위에 적체된다. 적체된 쓰레기의 양은 슈트(11)에 마련되는 최대량 리미트 스위치(19)에 의해 검출되며, 이 리미트 스위치(19)에 의해 신호가 검출될 때는 쓰레기의 추가 유입이 방지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의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쓰레기 봉투를 들고 쓰레기 투입장치(2)에 도착하여 ID카드 인식이나 작동버튼이 누르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도어(14)가 자동으로 하향 슬라이딩하면서 쓰레기 투입구(12)를 개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슈트(11) 내의 안전커버(16)가 하향 회동하여 슈트(11)를 막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 투입구(12)에 넣고 닫힘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4)가 상향 슬라이딩하면서 쓰레기 투입구(12)를 자동 폐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안전커버(16)가 상향 회동하여 슈트(11)를 개방함으로써, 슈트(11)에 유입된 쓰레기는 연결관(20)으로 낙하하게 된다. 연결관(20)에 낙하된 쓰레기는 차단밸브(23)가 개방될 때까지 적체되며, 적체 정도가 리미트 스위치(19)에 의해 검지되면 더 이상의 쓰레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안내 문구 등을 쓰레기 투입구(12)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10a)를 통해 알리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투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투입장치는 상술 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서로 다른 점만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대용량 쓰레기 투입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쓰레기 봉투의 용량이 커지게 되면 그에 따라 쓰레기 투입구(12)도 커져야 하며, 또한 그에 따라 쓰레기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14)도 커져야 한다. 그런데, 도어(14) 사이즈를 키우게 되면 도어의 회동 범위만큼 몸체(10)도 커져야 되므로, 본 실시예의 도어(14)는 복수의 도어편(14b)으로 이루어져 상호 접철 개폐되도록 하며, 안전커버(16)는 대용량의 쓰레기 봉투를 슈트(11) 내부에서 개폐하여 선택 유입시킬 수 있도록 두 개로 분할 마련되어 동작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실시예의 쓰레기 투입장치는 종래 소용량 쓰레기 투입장치의 몸체 사이즈를 가지면서도 쓰레기 투입구(12)를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쓰레기 투입장치(2)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음성 및 문자 안내, 조명기구 등의 기능 장치가 적절히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투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투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주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쓰레기 투입장치 10..몸체
11..슈트 12..쓰레기 투입구
14..도어 15..구동부재
16..안전커버 17..소화장치
18..흡입구 19..리미트 스위치

Claims (5)

  1.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수집관로에 연통되어 있는 쓰레기 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집관로(3)와 연통되어 있는 슈트(11)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쓰레기 투입구(12)를 슬라이딩 회동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4)와,
    상기 슈트(11)에 마련되어 도어(14)의 개방 시 회동되어 슈트(11)를 폐쇄하며 규정된 쓰레기만 인입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커버(16)와,
    상기 도어(14)와 안전커버(16)가 상기 슈트(11)의 개폐 동작을 반대로 할 수 있도록 실린더(15a)와, 상기 실린더(15a)에 도어(14)와 안전커버(16)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각각의 링크(15b,15c)를 구비하는 구동부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11)에 적체되어 있는 쓰레기의 진공 흡입 시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몸체에 마련되는 흡입구(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11) 내 화재 발생 시 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상측에 마련되는 소화장치(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4)는 복수의 도어편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면으로 적층되면서 슬라이딩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5.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수집관로에 연통되어 있는 쓰레기 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집관로(3)와 연통되어 있는 슈트(11)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쓰레기 투입구(12)를 회동 개폐하며, 복수의 도어편(14b)이 투입구 개방 시 동일한 면으로 슬라이딩 적층되는 도어(14)와,
    상기 슈트(11)에 마련되어 도어(14)의 개방시 회동되어 슈트(11)를 폐쇄하는 안전커버(16)와,
    상기 도어(14)와 안전커버(16)가 상기 슈트(11)의 개폐 동작을 반대로 할 수 있도록 실린더(15a)와, 상기 실린더(15a)에 도어(14)와 안전커버(16)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각각의 링크(15b,15c)를 구비하는 구동부재(15)와,
    상기 슈트(15) 내 화재 발생 시 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소화장치(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KR1020090044561A 2009-05-21 2009-05-21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KR10094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561A KR100945847B1 (ko) 2009-05-21 2009-05-21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561A KR100945847B1 (ko) 2009-05-21 2009-05-21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391A Division KR20090012504A (ko) 2007-07-30 2007-07-30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097A KR20090059097A (ko) 2009-06-10
KR100945847B1 true KR100945847B1 (ko) 2010-03-08

Family

ID=4098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561A KR100945847B1 (ko) 2009-05-21 2009-05-21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2793A1 (de) * 2014-07-02 2016-01-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 Freigeben und 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m Innenausstattungsteil eines Fahrzeugs
CN110947450A (zh) * 2019-11-25 2020-04-03 中山斯瑞德环保科技有限公司 可消防隔离的周转落料系统以及物料破碎转运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203A (ja) * 1990-11-21 1992-07-07 Shin Meiwa Ind Co Ltd 塵芥貯留装置
KR200370580Y1 (ko) 2004-06-04 2004-12-17 하천용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구
KR200421386Y1 (ko) 2006-04-19 2006-07-13 임채수 쓰레기 이송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203A (ja) * 1990-11-21 1992-07-07 Shin Meiwa Ind Co Ltd 塵芥貯留装置
KR200370580Y1 (ko) 2004-06-04 2004-12-17 하천용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구
KR200421386Y1 (ko) 2006-04-19 2006-07-13 임채수 쓰레기 이송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097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456B1 (ko) 회전식 안전 개폐기능의 용적식 쓰레기 투입장치
CN207158031U (zh) 一种便于移动的医疗环保垃圾箱
KR101089807B1 (ko)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45847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KR100907972B1 (ko)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용 쓰레기 투입구의 손끼임 방지구조
KR20090012504A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CN2782832Y (zh) 一种适用于真空管道垃圾收运系统的投料入口装置
KR20100055075A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안정적 운전을 위한 보호 시스템
CN206345293U (zh) 环保型封闭式垃圾自动收集系统
KR101181482B1 (ko) 음식물 쓰레기 진공수거 시스템의 투입구
CN214358056U (zh) 一种楼道垃圾智能处理装置
CN206665466U (zh) 小型化垃圾自动收集系统
KR101054499B1 (ko) 쓰레기 자동 집하시스템
KR20100127951A (ko) 매립형 쓰레기 수거용 컨테이너
WO2004063056A3 (en) Apparatus for collecting waste
CN204999099U (zh) 垃圾收集系统室外投放门及投放装置
CN211572428U (zh) 一种楼宇生活垃圾分类装置
KR200401857Y1 (ko)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20120034514A (ko) 음식쓰레기 자동 수거 시스템의 이물질 수거장치
CN202284049U (zh) 压缩式垃圾车及其污水收集装置
KR100958105B1 (ko) 쓰레기 수거장치
CN206297999U (zh) 一种用于封闭式垃圾收集系统的垃圾投放装置
KR20110007918A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1062212B1 (ko) 쓰레기 투입장치
KR20090132985A (ko) 쓰레기수거시스템의 용적제한형 쓰레기투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