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287B1 -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287B1
KR101329287B1 KR1020120034004A KR20120034004A KR101329287B1 KR 101329287 B1 KR101329287 B1 KR 101329287B1 KR 1020120034004 A KR1020120034004 A KR 1020120034004A KR 20120034004 A KR20120034004 A KR 20120034004A KR 101329287 B1 KR101329287 B1 KR 10132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er
gear
cover
fold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to KR102012003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1Adaptation to the pilot/dr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3Adaptation to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폴더형 컴바이너 상부에 커버가 구비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상기 투사된 영상을 운전자의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에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고,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컴바이너, 상기 컴바이너 및 상기 프로젝션 유닛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컴바이너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면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면 중 하나가 차량과 결합하는, 절곡된 판형의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Up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커버와 컴바이너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 제품들이 발달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제품들이 운전에 도움을 주는 분야에도 적용되어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 네비게이션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운전자는 네비게이션을 봄과 동시에, 시야에 들어오는 사물들을 끊임없이 확인해야 하며, 또한 속도, RPM, 방향등 등의 차량 주행 정보도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그런데, 약 100km/h의 속도로 운전 중에 시야를 계기판에 두었다가 도로로 시야를 고정시키는 시간(55m)에 차량이 약 55m 정도 이동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시선을 이동하는 시간 동안 불시의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운전 중에 차량 주행 정보와 주변 상황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주기 위한 매체가 여러 가지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란 차량이나 항공기 주행 중 운전자의 정면, 즉 운전자의 주시야 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차량 주행 정보나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반사형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1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광학계(20)를 통하여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향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영상을 윈드실드 중 컴바이너(combiner) 부분(30)에 투사시켜 운전자가 윈드쉴드 외부에 맺히는 상기 영상의 허상(1)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에 주행 정보 및 주변 상황의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효율적으로 상기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대시보드에 함몰되도록 장착되거나, 대시보드 위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학계 내에서 영상을 여러 번 반사시키고 상기 반사된 영상이 컴바이너에 투사된 후에야 사용자의 시각에 전달되는 바, 장치 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 운전자가 인식하는 영상의 선명도 또는 정확도가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 결과, 운전 중 중요하게 작용하는 정보 등이 정확히 전달되지 않아 사고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컴바이너를 완전히 수납하는 동시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컴바이너를 노출시키도록 작동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재한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대시보드와 내부 스틸 구조와의 거리가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장치를 대시보드 내부에 매립하여 장착하는 게 불가능하였다. 또한, 대시보드 내부에 에어덕트 등이 지나가는 경우에도 상기 장치와 상기 에어덕트 등의 간섭으로 인해 대시보드에 매립 설치하는 게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바이너 또는 광학 장치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비 작동 시 상기 컴바이너 및 광학 장치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되, 한 번의 조작만으로 상기 커버와 컴바이너가 연속적으로 상태가 변경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시보드 아래의 차량 구조에 관계 없이 어느 차량의 대시보드에도 간단하게 일부 매립하여 고정될 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 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상기 투사된 영상을 운전자의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에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고,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컴바이너, 상기 컴바이너 및 상기 프로젝션 유닛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컴바이너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 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면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면 중 하나가 차량과 결합하는, 절곡된 판형의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일 동력 장치가 커버를 이동시키는 동작 및 컴바이너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한 번의 조작 신호만으로도 커버를 열고 컴바이너를 펼치거나 커버를 닫고 컴바이너를 접을 수 있다.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일 동력 장치를 통해 두 부재의 동작을 구현하기 때문에 상기 두 부재의 동작이 서로 간섭하지 않으며, 한 번의 입력 신호만으로 두 부재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제고된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시보드 내부 구조에 상관 없이 대시보드의 어느 위치에든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한 플랜지를 이용하여 대시보드에 장착 시, 대시보드에 본 장치를 일부 매립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조립할 수 있는 바,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및 컴바이너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a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a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포함하는 간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a의 실시예에 따른 간헐 장치의 동작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후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시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바이너(100), 프로젝션 유닛(200), 커버(300)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프로젝션 유닛(200)은 영상을 출력하여 투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션 유닛(200)은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조명광을 통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출력된 영상을 외부로 조사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는 프로젝션 유닛(200)과 컴바이너(100) 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구조에 따라 비구면 렌즈, 반사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은 차량의 속도, RPM, 주변 차량 또는 물체의 접근 정보 및 이에 따른 경고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의 주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바이너(100)는 프로젝션 유닛(200)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운전자 방향으로 반사하여 전방에 가상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 예로, 컴바이너(100)로부터 반사된 빛은 윈드실드의 전방에서 재 초점화되어, 운전자로부터 1.7m 전방에서 운전자의 시선각을 기준으로 6.45°아래에 위치하는 가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컴바이너(100) 상에는 프로젝터 유닛(200)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에 포함된 특정한 파장 길이를 갖는 단색 빛을 반사하는 동시에 다른 파장의 빛은 통과시키는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영된 영상을 재 초점화하기 위해 상기 컴바이너(100)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컴바이너(100)는 폴더형이며,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컴바이너(100)의 일단이 컴바이너(100) 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컴바이너(100) 홀더에는 컴바이너(100)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장되는 샤프트가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컴바이너(100) 홀더와 함께 상기 컴바이너(100) 홀더에 결합된 컴바이너(100)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커버(300)는 컴바이너(100) 및 프로젝션 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컴바이너(100) 및 프로젝션 유닛(20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션 유닛(200)이 설치되는 하우징(5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00)는 상기 하우징(50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바이너(100)가 상기 하우징(500) 내부로 접히는 경우 커버(300)가 컴바이너(100) 상부로 이동해 상기 개구부를 닫고, 컴바이너(100)가 하우징(500)에 대해 수직하도록 펼쳐지는 경우 커버(300)가 하우징(500)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300)는 이동하여 하우징(500) 내부로 말려 들어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버(300)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커버(300) 상면에 연속된 복수의 홈이 각각 커버(300)의 측단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300)는 하우징(500)의 형상에 따라 구부러지거나 휘어 커버(300) 내부로 자유롭게 이송될 수 있다.
구동부는 커버(300)를 왕복 이동시키고, 상기 커버(300)의 이송 중 컴바이너(100)를 접거나 펼친다. 상기 구동부의 상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에 의한 컴바이너(100)와 커버(300)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바이너(100)가 접힌 상태에서는 커버(300)가 컴바이너(100) 상부로 이동하여 하우징(500)의 개구부를 닫는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구동부는 커버(300)를 먼저 하우징(500) 내부로 이동시켜 개구부를 연다. 그 후 컴바이너(100)가 통과할 수 있는 만큼의 개구부가 형성될 만큼 커버(300)가 충분히 이동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는 컴바이너(100)를 회전시켜 하우징(500)과 수직되게 한다.
이 때, 상기 컴바이너(100)의 이동 동작과 커버(300)의 회전 동작은 구동부가 포함하는 단일의 동력장치에 의해 시간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즉, 구동부는 커버(300)를 이동시키는 동작과 컴바이너(10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두 부재의 동작은 구동부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수행된다.
그 결과, 커버(300)의 이동 동작과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 사이의 타이밍이 맞지 않아 간섭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으며,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온/오프 입력만을 받아 상기 두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의 이동 동작 중에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을 시작되어, 바람직하게는 커버(300)의 이동 동작이 완료됨게 동시에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이 완료됨으로써,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전과 사용후 세팅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구동부는 모터(410), 벨트(421, 422), 상기 벨트(421, 422)를 구동하는 풀리(431, 432, 433, 434), 간헐 운동 기구(440), 스프로킷(450) 및 각종 기어들(471, 472, 4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300)는 측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의 모터(4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스프로킷(450)은 상기 복수의 구멍에 톱니를 맞물려 회전 시 상기 커버(300)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은 커버(300)의 일 측단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양 측단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측단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에는 두 개의 스프로킷(450)이 포함될 수 있다.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41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프로킷(450)을 통해 커버(300)를 직접 이송함으로써, 커버(300)의 이동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과 같이 커버(300)의 이동 동작과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 간의 구동 타이밍이 중요한 장치에 있어서, 계획된 시간 안에 정해진 길이의 커버(300)를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 내에서 상기 모터(410)를 통해 발생하는 동력은 하나 이상의 벨트(421, 422)를 통해 상기 커버(300) 또는 상기 컴바이너(100)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는 컴바이너(100) 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벨트(421, 422) 및 한 쌍의 풀리, 그리고 커버(300) 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또 다른 벨트(421, 422) 및 한 쌍의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421, 422) 및 풀리를 통해 모터(410)의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모터(410)에 대한 동력을 전달받고자 하는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계 없이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의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며 서로 멀리 떨어진 두 부재를 동일한 동력 장치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4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원동 풀리(431), 회전하여 컴바이너(100)를 회전시키는 제1 종동 풀리(432) 및 상기 제1 원동 풀리(431)와 상기 제1 종동 풀리(432)를 연결하여 제1 원동 풀리(43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 종동 풀리(434)를 회전시키는 제1 벨트(421)가 구동부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종동 풀리(432)는 컴바이너(100)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장된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종동 풀리(432)가 회전 시 컴바이너(100)가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는 모터(410)의 동력을 제1 원동 풀리(431)에 전달 시 동력의 회전수 또는 구동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1 원동 풀리(431)와 모터(410) 사이에 변속 기어(460) 또는 간헐 운동 기구(44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더불어, 구동부는 모터(4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원동 풀리(433), 회전하여 커버(300)를 이동시키는 제2 종동 풀리(434) 및 상기 제2 원동 풀리(433)와 상기 제2 종동 풀리(434)를 연결하여 제2 원동 풀리(433)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 종동 풀리(434)를 회전시키는 제2 벨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술된 실시예에 따라 연속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커버(300)를 이송하기 위해 구동부가 하나 이상의 스프로킷(450)을 포함한 경우, 상기 제2 종동 풀리(434)는 상기 스프로킷(450)에 고정되어 제2 벨트(422)에 의해 회전 시 스프로킷(4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는 제2 벨트(422)를 통해 제2 종동 풀리(434)로 전달된 모터(410)의 동력의 회전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제2 종동 풀리(434)와 스프로킷(450)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풀리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로킷(450)의 회전 방향과 모터(410)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장치가 구성된 경우, 적절한 수의 풀리 기어를 구비함으로써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풀리 기어는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제1 풀리 기어(471) 및 제2 풀리 기어(4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풀리 기어(471)는 제2 종동 풀리(434)의 회전 샤프트에 고정되고 제2 풀리 기어(472)는 스프로킷(450)의 회전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풀리 기어(471)와 제2 풀리 기어(472)는 제2 종동 풀리(434)로 전달된 동력을 스프로킷(450)에 전달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바 동력의 회전수를 변화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풀리 기어(472)의 직경이 제2 풀리 기어(472)의 직경보다 클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달된 동력의 회전수가 줄어들게 된다. 제1 풀리 기어(471)의 직경과 제2 풀리 기어(472)의 직경의 비를 변화시켜 커버(30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구동부의 동작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바이너(100)가 접히고 커버(300)가 닫힌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가 열리고 컴바이너(100)가 펼쳐지는 상태로 바뀌는 경우, 커버(300)의 이동 동작은 모터(4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이 제2 벨트(422) 및 제1 및 제2 풀리 기어(47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스프로킷(450)에 전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스프로킷(45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커버(300)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우징(500) 내부로 이송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구동부의 컴바이너(100) 측에 구비된 간헐 운동 기구(440)는 상기 동일한 모터(410)의 동력을 커버(300)가 일정 정도 이상 이동한 후에 제1 원동 풀리(431)로 전달하며, 상기 전달된 동력은 제1 벨트(421)를 통해 제1 종동 풀리(432)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컴바이너(100)를 회전시킨다.
이하, 상기 간헐 운동 기구(440)의 세부 구조 및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헐 운동 기구(44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a 내지 도 7c에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간헐 운동 기구(440)의 동작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간헐 운동 기구(440)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원동체로부터 종동체에 간헐적으로 회전 및 왕복운동을 전달하여 간헐동작 메커니즘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구이다. 전동기나 각종 엔진 등의 원동기에서 나오는 왕복 및 회전운동력은 연속운동인데, 간헐 운동 기구(440)는 각종 기구 장치에서 상기 연속적인 동력을 단속적인 운동으로 변환시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간헐 운동 기구(440)에는 래칫, 간헐기어, 제네바기어, 링크기구, 캠기구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래칫을 이용한 간헐 운동 기구(440)에는 래칫휠, 이송래칫, 지레받침대, 받침래칫 등이 있으며, 상기 기구들은 본래의 운동인 왕복운동을 간헐적인 운동으로 바꾸는 기능을 한다. 또는, 간헐 운동 기구(440)를 간헐 기어(442)로 구성하는 경우, 특수한 기어를 원동체에 사용하여 이와 이가 맞물리고 있는 동안은 종동체에 회전을 전달하고 이가 없는 동안은 종동체가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구동부에 상기와 같은 간헐 운동 기구(440)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동력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동력으로 시간 차를 두고 두 개의 서로 다른 부재를 구동할 수 있다. 즉, 모터(410)로부터 생성된 동력이 간헐 운동 기구(440)를 통과하여 컴바이너(100)로 전달되도록 구성하여, 모터(410)가 연속적으로 운동하는 중에도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은 단속적으로, 즉 커버(300)가 충분히 이동할 때 까지는 구동하지 않고 커버(300)가 충분히 이동 후 구동을 시작하도록,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는 하나의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구동하면서도 상기 동작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헐 운동 기구(440)는 원주를 따라 리세스(445)가 형성된 간헐 기어(442) 및 일면에 돌기(444)가 형성된 컴바이너 기어(441)로 구성될 수 있다. 컴바이너 기어(441)와 간헐 기어(442)는 컴바이너 기어(441)의 상기 돌기(444)가 간헐 기어(442)의 상기 리세스(445)에 삽입되도록 포개어질 수 있다.
컴바이너 기어(441)는 구동부의 모터(410)와 연동하여 회전하되, 간헐 기어(442)에 고정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간헐 기어(442)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지만 컴바이너 기어(441)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컴바이너 기어(441)가 모터(410)로부터 전달 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 시 상기 돌기(444)가 함께 회전하고, 간헐 기어(442)의 리세스(445)를 따라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리세스(445)의 일단(51)을 밀 수 있으며, 상기 돌기(444)의 미는 힘에 의해 간헐 기어(442)가 회전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444)의 크기 및 리세스(445)의 크기에 따라 모터(410)가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간헐 기어(442)가 회전하지 않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444)의 크기 및 리세스(445)의 크기는 커버(300)의 이동 동작의 시작 시점과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의 바람직한 시간차에 따라 여러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구동부는 상기 간헐 기어(442)의 회전력이 컴바이너(100)에 전달되어 컴바이너(10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기(444)의 미는 힘에 의해 간헐 기어(442)가 회전하면 상기 간헐 기어(442)에 고정된 샤프트도 함께 회전하는 바, 상기 샤프트에 컴바이너(100)의 일단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간헐 기어(442)와 함께 회전하는 여분의 기어를 통해 간헐 기어(442)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따라 모터(410)와 컴바이너(100) 간 동력 전달이 벨트(421, 422)와 풀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술된 제1 원동 풀리(431)가 상기 간헐 기어(442)에 고정된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종동 풀리(432)는 컴바이너(100)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에 고정하고, 제1 벨트(421)로 상기 제1 원동 풀리(431)와 제1 종동 풀리(432)를 연결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간헐 기어(442)와 상기 간헐 기어(442)에 고정된 샤프트는 함께 회전하고, 그에 따라 간헐 기어(442)가 회전할 때 제1 원동 풀리(431)도 함께 회전하는 바, 제1 벨트(421)와 제1 종동 풀리(432)를 통해 상기 간헐 기어(442)의 회전력이 컴바이너(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헐 운동 기구(440)는 일단(41)이 간헐 기어(442)의 외부에 고정되고 타단(42)이 상기 간헐 기어(442)에 고정되어 상기 간헐 기어(442)에 상기 돌기(444)가 미는 힘의 반대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4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443)의 일단(41)이 고정되는 간헐 기어(442)의 외부는 본 발명의 장치가 포함하는 하우징의 돌출부(510)일 수 있다. 이 경우, 컴바이너 기어(441)의 돌기(444)가 간헐 기어(442)의 리세스(445) 일단을 밀어 간헐 기어(442)가 회전할 때 상기 비틀림 스프링(443)이 그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간헐 기어(442)가 컴바이너 기어(441)의 돌기(444)에 항상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의 모터(410)가 컴바이너 기어(441)의 돌기(444)가 간헐 기어(442)를 미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간헐 기어(442)가 돌기(444)보다 더 회전하지 않고 돌기(444)가 회전하는 만큼만 회전할 수 있으며, 돌기(444)가 간헐 기어(44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오는 방향으로 모터(410)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간헐 기어(442)가 돌기(444)와 함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비틀림 스프링(443)의 탄성력을 통해 간헐 기어(442)는 돌기(444)가 미는 방향뿐만 아니라 그 반대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부는 모터(410)와 컴바이너(100) 사이에 구비된 변속 기어(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 기어(460)는 모터(41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동력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상기 컴바이너 기어(441)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 기어(460)의 직경은 모터(410)의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의 직경보다 클 수 있으며, 이 경우 모터(410)로부터 전달된 동력의 회전수가 줄어든다. 변속 기어(460)의 직경은 모터(410)의 회전수, 컴바이너 기어(441)의 직경 크기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컴바이너 기어(441)와 변속 기어(460)의 직경의 크기는 커버(300)의 이동 속도, 즉 스프로킷(450)의 회전수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이 때, 컴바이너(100)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커버(300)가 이동을 완료하는 때까지 컴바이너(100)가 회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도록 변속 기어(460) 및 컴바이너 기어(441)의 직경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바랍직하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기어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단 기어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간헐 운동 장치를 포함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먼저, 모터(410)가 작동하기 전 컴바이너(100)가 접히고 커버(3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바이너 기어(441)에 형성된 돌기(444)가 왼쪽 상방에 위치한다. 모터(41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전술된 구성에 따라 상기 모터(410)의 동력이 제2 벨트(422)를 통해 스프로킷(450)에 전달되어 커버(300)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 동안에, 모터(410)의 동력은 변속 기어(460)를 통해 컴바이너 기어(441)에도 전달되어 컴바이너 기어(44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 컴바이너 기어(441)와 간헐 기어(442)의 샤프트는 함께 회전하지 않으며, 간헐 기어(442)는 정지한 상태로 컴바이너 기어(441)의 돌기(444)는 간헐 기어(442)의 리세스(445)를 따라 회전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445)의 일단에 접한다. 상기 돌기(444)가 도 7b에 도시된 상태로 도달하는 시간 동안 스프로킷(450)은 계속하여 회전하고, 그에 따라 커버(300)는 컴바이너(100)가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을 만큼 하우징(500) 내부로 이동한다.
돌기(444)가 리세스(445)의 일단과 접한 후에도 컴바이너 기어(441)는 계속하여 회전하고, 그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돌기(444)는 상기 리세스(445)의 일단을 밀어 간헐 기어(442)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간헐 기어(442)가 회전함에 따라, 간헐 기어(442)에 고정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제1 원동 풀리(431)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력은 제1 벨트(421)를 통해 컴바이너(100)의 일단에 전달되어 컴바이너(100)가 회전하게 된다. 간헐 기어(442)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모터(410)에 의해 스프로킷(450)은 계속하여 회전하고,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이 완료될 때에는 커버(300)가 하우징(500) 내부로 완전히 이동을 완료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동력 장치를 통해 커버(300) 및 컴바이너(100)를 연속하여 모두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커버(300)가 이동하는 일부 시간 동안 컴바이너(100)가 회전하지 않도록 컴바이너(100)는 단속적으로 구동한다. 그 결과, 두 부재의 동작이 서로 간섭하지 않되 두 부재의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 또는 비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부는 컴바이너(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컴바이너(100)의 접힌 또는 펼쳐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컴바이너(100)의 접힌 또는 펼쳐진 상태가 감지된 경우 모터(410)의 작동이 정지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는 컴바이너(100)의 펼쳐진 상태를 감지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610) 및 컴바이너(100)의 접힌 상태를 감지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컴바이너(100)의 상태 감지는 컴바이너(100)에 각각의 상태에서 각각 제1 리미트 스위치(610)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620)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110)와 제2 접촉부(12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110)와 제2 접촉부(120)는 바람직하게는 컴바이너(100) 중 컴바이너(100)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일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접촉부(110)는 컴바이너(100)가 펼쳐진 경우 제1 리미트 스위치(610)와 접촉하고 제2 접촉부(120)는 컴바이너(100)가 접힌 경우 제2 리미트 스위치(6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바이너(100)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일단에 형성된 제1 접촉부(110) 및 제2 접촉부(120)가 컴바이너(100)의 두 가지 상태 모두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미트 스위치(610)는 컴바이너(100)의 후방에 구비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미트 스위치(620)는 컴바이너(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접촉부(110)와 제2 접촉부(120)는 컴바이너(100)의 상기 일단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컴바이너(100)에 수직되게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접촉부(110)와 제1 리미트 스위치(610) 사이의 접촉과 제2 접촉부(120)와 제2 리미트 스위치(620) 사이의 접촉은 컴바이너(100)가 각각 펼쳐지거나 접힌 상태에 있을 때에만 배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가 컴바이너(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리미트 스위치가 컴바이너(100)의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이 완료된 시점을 감지하면 구동부는 그 때에 모터(410)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또는 비사용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 한번 조작 후 구동을 멈추기 위해 다시 조작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에 포함된 모터(410)의 작동은 리미트 스위치가 컴바이너(100)의 접힌 또는 펼쳐진 상태를 감지한 때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에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410)는 스텝 모터(4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텝 모터(410)는 리미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컴바이너(100)의 접힌 또는 펼쳐진 상태를 감지한 때로부터 일정 개수의 펄스 신호에 의해 더 회전 후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컴바이너(100)의 회전이 완료된 시점을 감지하여 모터(410)를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술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간헐 운동 기구(440)를 포함하는 경우, 모터(410)가 계속하여 작동하는 중에도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은 단속적으로 발생한다. 컴바이너(100)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모터(410)의 구동이 멈추면 되지만, 컴바이너(100)가 접히는 경우에는 컴바이너(100)의 회전 동작이 완료된 후에도 모터(410)가 계속하여 회전하여 하우징(500)의 개구부를 닫을 때까지 커버(300)를 이송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 경우 컴바이너(100)가 완전히 접혀 제2 접촉부(120)가 제2 리미트 스위치(620)에 닿은 경우에도 모터(410)의 동작이 곧바로 정지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더 작동한 후 정지되게 구동부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모터(410)의 작동이 적절한 때에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프로젝션 유닛(200)이 설치되는 하우징(500)과 결합하고 타면 중 하나가 차량과 결합하는, 절곡된 판형의 결합 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된 판형의 형상은 ㄴ 자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면이 하우징(500)과 결합하고 타면이 차량의 대시보드(2)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챠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부재(700)는 각 면에 형성된 결합 홀(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 등의 별도의 고정 부재를 각각 결합 홀(710)에 통과시켜 상기 결합 부재(700)의 일면을 하우징(500)에 또 다른 일면을 차량의 대시보드(2)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결합 부재(700)가 사각형 형상의 하우징(500)을 양 측면 및 후면의 세 면에서 고정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3점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결합 부재(700)를 통해 대시보드(2)의 형상에 관계 없이 적절한 위치에서 대시보드(2)를 절개 후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시보드(2)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대시보드(2)의 외부에서 조립될 수 있으므로 그 조립이 수월하며, 하우징(500)에 대한 결합 부재(700)의 상대적인 높이에 따라 상기 장치가 대시보드(2)에 매립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매립 정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700)가 대시보드(2)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대시보드(2) 내부의 구조에 상관 없이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컴바이너
200: 프로젝션 유닛
300: 커버
410: 모터 421, 422: 제1, 제2 벨트
431, 432, 433, 434: 풀리 440: 간헐 운동 장치
450: 스프로킷 460: 변속 기어
471, 472: 풀리 기어
500: 하우징
700: 결합 부재

Claims (24)

  1.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상기 투사된 영상을 운전자의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에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고,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컴바이너;
    상기 컴바이너 및 상기 프로젝션 유닛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컴바이너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컴바이너에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벨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각각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및 제2 원동 풀리,
    회전하여 상기 컴바이너를 회전시키는 제1 종동 풀리, 및
    회전하여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는 제2 종동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각각 상기 제1 원동 풀리와 상기 제1 종동 풀리, 및 상기 제2 원동 풀리와 상기 제2 종동 풀리를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상기 투사된 영상을 운전자의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에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고,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컴바이너;
    상기 컴바이너 및 상기 프로젝션 유닛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컴바이너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컴바이너에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간헐 운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간헐 운동 기구는 상기 컴바이너를 회전시키며, 원주를 따라 리세스가 형성된 간헐 기어 및
    상기 간헐 기어에 고정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면에 돌기가 형성된 컴바이너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컴바이너 기어가 회전 시 상기 리세스를 따라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리세스의 일단을 밀어 상기 간헐 기어를 회전시키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운동 기구는 일단이 상기 간헐 기어 외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간헐 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간헐 기어에 상기 돌기가 미는 힘의 반대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플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컴바이너 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동력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상기 컴바이너 기어로 전달하는 변속 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간헐 기어의 샤프트에 고정된 제1 원동 풀리,
    상기 컴바이너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에 고정된 제1 종동 풀리, 및
    상기 제1 종동 풀리를 상기 제1 원동 풀리와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제1 벨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9.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상기 투사된 영상을 운전자의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에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고,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컴바이너;
    상기 컴바이너 및 상기 프로젝션 유닛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컴바이너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측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회전 시 상기 복수의 구멍에 톱니를 맞물려 상기 커버를 이송하는 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상면에는 연속된 복수의 홈이 각각 상기 측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원동 풀리, 및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제2 종동 풀리, 및
    상기 제2 종동 풀리를 상기 제2 원동 풀리와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제2 벨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종동 풀리와 상기 스프로킷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종동 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동력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상기 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풀리 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기어는 상기 제2 종동 풀리에 고정된 샤프트에 고정된 제1 풀리 기어, 및
    상기 스프로킷에 고정된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풀리 기어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제2 풀리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2 풀리 기어의 직경과 상이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상기 투사된 영상을 운전자의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에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고,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컴바이너;
    상기 컴바이너 및 상기 프로젝션 유닛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컴바이너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컴바이너의 접힌 또는 펼쳐진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작동은 상기 컴바이너의 접힌 또는 펼쳐진 상태가 감지된 경우 정지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컴바이너의 펼쳐진 상태를 감지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컴바이너의 접힌 상태를 감지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상기 컴바이너의 일단에는 상기 컴바이너가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컴바이너가 접힌 경우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컴바이너에 수직되게 돌출되며,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컴바이너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컴바이너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작동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컴바이너의 접힌 또는 펼쳐진 상태를 감지한 때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에 정지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스텝 모터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컴바이너의 접힌 또는 펼쳐진 상태를 감지한 때로부터 일정 개수의 펄스 신호에 의해 더 회전 후 정지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유닛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유닛은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조명광을 통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출력된 영상을 외부로 조사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23. 삭제
  24. 삭제
KR1020120034004A 2012-04-02 2012-04-02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004A KR101329287B1 (ko) 2012-04-02 2012-04-02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004A KR101329287B1 (ko) 2012-04-02 2012-04-02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287B1 true KR101329287B1 (ko) 2013-11-14

Family

ID=4985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004A KR101329287B1 (ko) 2012-04-02 2012-04-02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2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0136A (zh) * 2014-11-27 2016-06-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抬头显示系统及汽车
CN106470866A (zh) * 2014-07-02 2017-03-01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开启和闭合在车辆的内饰部件中的开口的组件
DE112017000901B4 (de) 2016-02-18 2024-02-08 Denso Corporation Head-up-Anzeige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849A (ko) * 2006-11-21 2008-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849A (ko) * 2006-11-21 2008-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0866A (zh) * 2014-07-02 2017-03-01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开启和闭合在车辆的内饰部件中的开口的组件
US10077010B2 (en) 2014-07-02 2018-09-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in an interior trim piece of a vehicle
KR101915418B1 (ko) * 2014-07-02 2018-11-05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CN105700136A (zh) * 2014-11-27 2016-06-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抬头显示系统及汽车
DE112017000901B4 (de) 2016-02-18 2024-02-08 Denso Corporation Head-up-Anzeige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3206B1 (en) In-vehicle display apparatus
JP6107047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329287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14132A1 (ja) 表示装置
WO2013051376A1 (ja) 表示装置
KR101319587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JP5953985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60059806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용 구동모듈
EP2851233B1 (en) Head-up display device
JP7347142B2 (ja) 虚像表示装置
JP2017516136A (ja) 特に自動車用の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154817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6063807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6147372A1 (ja) 表示装置
JP3769816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6482702B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ミラー支持構造
JP2018012359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43227A (ja) インナーミラー
US20210364734A1 (en)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having external light blocking function
JP2019199090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ミラー可動機構
JP2016182903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458585B2 (ja) 表示装置用開閉機構
JP2021110849A (ja) 表示装置
JP6960331B2 (ja) 送りネジ装置
JP7380402B2 (ja) 虚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