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086B1 -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086B1
KR101915086B1 KR1020160107221A KR20160107221A KR101915086B1 KR 101915086 B1 KR101915086 B1 KR 101915086B1 KR 1020160107221 A KR1020160107221 A KR 1020160107221A KR 20160107221 A KR20160107221 A KR 20160107221A KR 101915086 B1 KR101915086 B1 KR 101915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haft
link block
hinged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204A (ko
Inventor
김몽룡
Original Assignee
김몽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몽룡 filed Critical 김몽룡
Priority to KR102016010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가 이루어지고, 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스토퍼, 제1축, 제2축을 형성한 제1링크블록과; 일단을 상기 제1축에 연결하고, 상기 스토퍼에 회전 대응하는 측부에 지지부를 형성한 제2링크블록과; 일단을 상기 제2축에 연결한 제3링크블록과; 일단과 중간 부위에 각각 상기 제2, 3링크블록의 타단을 힌지 연결한 제4링크블록;으로 이루어진 4절링크유닛;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 또는 상기 제1링크블록에 설치하여 상기 제2링크블록 또는 제3링크블록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4링크블록의 타단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휠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STANDING WHEEL DEVICE FOR THE MOTORCYCLES}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터사이클의 서행 또는 정지 중에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모터사이클이 좌우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터사이클의 자세를 지지하게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사이클은 전후 배치의 두 바퀴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한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운행하는 이륜자동차이다.
이러한 모터사이클은 서행하거나 일시 정지 중에 언제든 운행이 가능하도록 세워진 자세(이하, '자세'라 함)를 필요로 한다.
모터사이클의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운전자가 스스로 다리를 내려 지면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모터사이클의 안장에서 지면까지의 높이에 대응하여 운전자의 다리가 충분히 지탱하기 어려운 경우, 이와 더불어 다기통 모터사이클과 같이 차체의 중량이 무거워 모터사이클의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경우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위의 문제는 주행중에 빈번한 신호대기 등의 이유로 서행 및 일시 정지가 반복될 경우 운전자에게 있어 번거로운 문제도 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 중에는, 일단에 휠을 장착한 암의 타단을 차체에 축 결합하고, 휠을 일정 범위로 선회하도록 액추에이터를 연결하여 주행시에 휠을 들어올리고, 서행 또는 일시 정지시에 휠을 내려 지면의 지지를 받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안정적인 지지력 확보와 신속한 랜딩 및 랜딩 해제를 위해 대체로 구성 수가 많고, 각 구성들의 조합에 따라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04704호(1997.05.19)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7351호(1999.05.2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336호(200.12.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336호(200.12.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313호(200.03.1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957호(202.10.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956호(202.10.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955호(202.10.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980호(203.10.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074호(209.09.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4988호(2010.12.2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7578호(2011.02.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975호(2013.02.20)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속한 폴딩 또는 언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언폴딩시에 모터사이클의 중량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폴딩시에 주행 중 요철지면에 대하여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게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구성의 구조를 단순화와 구성 수를 줄여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 단가를 줄이도록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 탑승을 포함한 모터사이클의 중량과 서행 또는 일시 정지 중의 지면 상태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사이클의 종류에 따라 설치 부위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됨에 대응하여 그 작동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가 이루어지고, 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스토퍼, 제1축, 제2축을 형성한 제1링크블록과; 일단을 상기 제1축에 연결하고, 상기 스토퍼에 회전 대응하는 측부에 지지부를 형성한 제2링크블록과; 일단을 상기 제2축에 연결한 제3링크블록과; 일단과 중간 부위에 각각 상기 제2, 3링크블록의 타단을 힌지 연결한 제4링크블록;으로 이루어진 4절링크유닛;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 또는 상기 제1링크블록에 설치하여 상기 제2링크블록 또는 제3링크블록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4링크블록의 타단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휠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휠 지지블록은, 세 개의 힌지축이 삼각 배치를 이루고, 그 중 하나인 제1힌지축에 휠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인 제2힌지축을 상기 제4링크블록의 타단에 힌지 연결하며, 나머지 하나인 제3힌지축이 상기 제2링크블록과 제4링크블록이 이루는 내각에 있도록 한 것으로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신축 구동하고, 일단을 상기 제3힌지축에 힌지 연결하고, 타단을 상기 제2링크블록, 제3링크블록, 제4링크블록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한 버퍼유닛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터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설치한 웜; 및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설치가 이루어져 상기 웜과 맞물리는 웜 휠;로 이루어진 구성,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터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연결한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박스;로 이루어진 구성,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한 래크; 및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설치가 이루어져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구성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4절링크유닛의 각 구성은 각각 좌우 방향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대향 배치 구조를 갖도록 설계하고,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에 대한 폴딩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의 대향 배치 간격이 폴딩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의 대향 배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하거나,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에 대한 폴딩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의 대향 배치 간격이 폴딩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의 대향 배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여 각 구성 간에 상호 접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링크블록은, 상기 제2, 3링크블록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본체와; 일측이 상기 제4링크본체 타측의 지지를 받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신축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축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연장부; 및 상기 제4링크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4링크연장부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휠 지지블록은 제4링크연장부의 타단에 힌지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4링크블록은, 상기 제2, 3링크블록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본체와; 일측이 상기 제4링크본체 타측의 지지를 받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신축 위치하고, 일단 부위에 상기 버퍼유닛의 타단과 힌지 연결하며, 타단이 상기 제2힌지축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연장부; 및 상기 제4링크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4링크연장부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퍼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3힌지축에 힌지 연결하고, 타단이 제4링크연장부의 일단 부위에 힌지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4절링크유닛에 의해 신속한 폴딩 또는 언폴딩 작동이 이루어지고, 언폴딩시에는 모터사이클의 중량과 전진 방향의 힘에 대응하는 구조가 스토퍼에 의해 트러스 구조를 이룸에 따라 운전자를 포함한 모터사이클의 중량에 대응하여 충분한 강성 구조를 이루며, 폴딩시에 4절링크유닛을 이루는 각 구성들이 상호 포개어져 요철지면에 대하여 충분한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액추에이터는 발판을 포함한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에 근접 설치한 상태를 이룸에 따라 다른 구성들보다 더욱 손상 가능성이 낮은 안전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각 구성의 구조가 판재를 절단 및 절곡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성 수와 제조 시간 및 조립 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른 제조 단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4링크블록이 제4링크본체에 대하여 제4링크연장부가 슬라이딩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모터사이클의 종류에 따른 설치 부위와 지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그 작동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각종 모터사이클에 대한 호환성을 높이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횔 장치가 적용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횔 장치 구성와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횔 장치 구성와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횔 장치 구성와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4절링크의 상호 중첩하여 접히는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모터사이클의 하중에 대한 힘의 작용관계와 그에 따른 힘의 분배관계와 모터사이클의 전진 이동에 따라 작용하는 힘의 작용관계와 그에 따른 힘의 분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액추에이터의 적용 예 중 기어박스를 통한 연결관계와 그에 따른 설치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 평명상태 계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대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내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의 표현은 모터사이클의 운행을 기준으로 하여 운전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사이클(M/B)의 프레임 구조체 또는 이로부터 지지를 받는 발판 하부에 설치가 이루어져 측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위치할수록 스토퍼(12), 제1축(14), 제2축(16)이 각각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형성한 제1링크블록(10)과; 일단을 제1축(14)에 연결하고, 스토퍼(12)에 회전 대응하는 측부에 지지부(22)를 형성한 제2링크블록(20)과; 일단을 제2축(16)에 연결한 제3링크블록(30); 및 일단과 중간 부위에 각각 제2, 3링크블록(20, 30)의 각 타단을 힌지 연결한 제4링크블록(40)으로 이루어진 4절링크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 또는 제1링크블록(10)에 설치하여 제2링크블록(20) 또는 제3링크블록(30)을 회전시키도록 제1축(14) 또는 제2축(1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50)와 제4링크블록(40)의 타단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휠 지지블록(6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 중 4절링크유닛을 이루는 각 구성은 각각 좌우 방향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대향 배치한 구조 부위를 갖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4절링크유닛을 이루는 각 구성 중 제1링크블록(10)은, 4절링크유닛을 이루는 하나의 구성이나,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 또는 이로부터 지지를 받는 발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는 마운트(mount)를 통해 그 설치가 이루어지거나, 마운트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한 구성 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링크블록(10)에서 스토퍼(12)와 제1축(14) 및 제2축(16)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인 배치를 이룬다.
상술한 제1축(14)과 제2축(16) 중 하나는, 대향 배치를 이룬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고, 적어도 제1축(14)의 양단은 제1링크블록(10)의 외측으로 돌출해 있도록 하여 제2링크블록(20) 일단의 연결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링크블록(10)의 내측으로 가로지르는 제1축(14) 또는 제2축(16)에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50)의 각 실시 구성 중 모터축에 설치한 웜(A)과 맞물림 관계에 있는 웜 휠(W) 또는 실린더로드에 연장 연결한 래크(R)와 맞물림 관계에 있는 피니언(P)이 제1축(14) 또는 제2축(16)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50)의 실시 구성 중 모터축(A')과 기어박스(G)로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모터축(A')이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 하부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놓여, 양단이 각각 모터사이클 양측 각각에 위치한 제1축(14) 또는 제2축(16)과 기어박스(G)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50)는, 제1축(14) 또는 제2축(16)에 대하여 기어박스(G)를 통해 연결할 경우에, 모터축(A')을 모터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돌출시켜 각각에 대응하는 기어박스(G)를 통해 제1축(14) 또는 제2축(16)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첨부하는 도면에서는, 제1축(14) 또는 제2축(16) 중 제1축(14)에 액추에이터(50)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제1링크블록(10)을 고정한 것으로 할 때에, 4절링크유닛의 구조에서 제1축(14) 또는 제2축(16) 중 어느 하나의 구동에 의해 다른 하나는 연동하는 관계에 있음은 당연한 것이기에 제2축(16)에 대한 액추에이터(50)의 연결 구성에 대한 도면은 생략하였으며, 이러한 동력 전달관계 또한 제1축(14)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모터 또는 실린더의 구성으로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토록 한 것에 있어서, 제1축(14)을 기준으로 하여 액추에이터(50)의 설치 위치가 도 1 내지 도 4b의 구조와 같이 후방에 있도록 하거나 도 5의 구조와 같이 전방에 배치하는 것 또한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포함하여 제1링크블록(10)의 외측으로 돌출한 제1축(14)의 양단에는, 제1축(14)과 함께 회전하는 제2링크블록(20) 일단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되고, 제2축(16)에는 제3링크블록(30) 일단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이들 제2링크블록(16)의 타단 내측과 제3링크블록(30)의 타단 외측에는 제4링크블록(40)의 일단과 중간 부위가 각각 대응하여 힌지 연결한 구성을 이룬다.
이와 같이, 4절링크유닛을 이루는 각 구성은, 좌우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배치 부위를 갖는 구조로 설계가 이루어지고, 이들 각 구성 중 폴딩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구성이 폴딩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감싸 덮는 구조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일 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링크블록(10)의 외측으로 돌출한 제1축(14) 양단에 제2링크블록(20)의 각 일단이 결합되고, 제1링크블록(10)의 내측으로 형성한 제2축(16)에 제3링크블록(30) 일단의 힌지 연결이 이루어지며, 제4링크블록(40)의 대향 배치 간격은 제1링크블록(10)의 대향 배치의 간격과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제1축(14)의 길이가 제일 길고, 제2축(16)의 길이가 제일 짧으며, 제2링크블록(20)의 타단과 제4링크블록(40)의 일단을 연결하는 힌지(ha)와 제1축(14) 길이는 같고, 제3링크블록(30)의 타단과 제4링크블록(40)의 중간 부위를 연결한 힌지(hb)의 축 길이는 제1축(14)과 제2축(16) 길이의 사이 값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4절링크유닛의 폴딩 과정에서 제3링크블록(30)이 제2링크블록(20)과 제4링크블록(40) 내측에서 간섭없이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4절링크유닛을 포함한 각 구성은 지면(G)에 대하여 최대의 간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휠 지지블록(60)은, 세 개의 힌지축(h1, h2, h3)이 삼각 배치를 이루고, 그 중 하나인 제1힌지축(h1)에 휠(W)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인 제2힌지축(h2)을 제4링크블록(40) 타단의 힌지 연결이 이루어지며, 나머지 하나인 제3힌지축(h3)은 제2링크블록(20)과 제4링크블록(40)이 이루는 내각(interior angle) 내에 있도록 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휠 지지블록(60)의 제3힌지축(h3)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방향 일단의 힌지 연결이 이루어지고, 타단은 제2링크블록(20), 제3링크블록(30), 제4링크블록(4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하여 이들 사이의 구간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신축 구동이 있도록 한 버퍼유닛(7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에 더하여, 제4링크블록(40)은, 제2, 3링크블록(20, 30)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본체(40')와; 일측이 제4링크본체(40') 타측의 지지를 받아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신축 위치하고, 타단이 제2힌지축(h2)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연장부(40a) 및 제4링크본체(40')에 대하여 제4링크연장부(40a)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N)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N)는, 제4링크본체(40')의 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4링크연장부(40a)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42)을 형성하고, 가이드홀(42)에 대응하는 제4링크연장부(40a)의 측부에 대하여 가이드홀(42)외측에서 나사체결 관계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링크본체(40')에 대하여 제4링크연장부(40a)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서, 제4링크연장부(40a)의 타단에는 휠 지지블록(60)의 제2힌지축(h2)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제4링크연장부(40a)의 일단에는 휠 지지블록(60)의 제3힌지축(h3)에 일단을 힌지 연결한 버퍼유닛(70)의 타단을 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버퍼유닛(70)은 제4링크연장부(40a)에 대하여 휠 지지블록(6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4링크블록(40)을 제4링크본체(40')와 제4링크연장부(40a)로 분리 구성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에, 버퍼유닛(70')은 휠 지지블록(60)의 각도가 일정한 범위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3힌지축(h3)과 제4링크블록(40)를 이루는 제4링크연장부(40a)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관계를 이루어야 한다.
즉, 제4링크블록(40)을 제4링크본체(40')와 제4링크연장부(40a)로 분리 구성하면서, 버퍼유닛(70')의 일단을 제2링크블록(20) 또는 제3링크블록(30)의 지지를 받도록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4링크본체(40')에 대한 제4링크연장부(40a)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휠 지지블록(60)을 포함한 휠(W)의 회전 위치가 가변하는 관계에 놓인다.
한편, 액추에이터(50)는,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터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축에 설치한 웜(A) 및 제1축(14) 또는 제2축(16)에 설치가 이루어져 웜(A)과 맞물리는 웜 휠(W)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50)의 다른 구성은,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터축(A')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축(A')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연결한 제1축(14) 또는 제2축(16)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G)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50)의 또 다른 구성으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한 래크(R); 및 제1축(14) 또는 제2축(16)에 설치가 이루어져 래크(R)와 맞물리는 피니언(P)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구성으로부터 그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상술한 4절링크유닛이 언폴딩 상태로 놓이고, 이때 4절링크유닛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12)의 지지를 받아 제2축(16) 지점(16)과, 제2링크블록(20)의 타단과 제4링크블록(40)의 일단이 만나는 힌지 연결 지점(ha) 및 휠 지지블록(60)의 제2힌지축(h2) 지점(P1)을 잇는 트러스 구조를 이룬다.
이로부터, 휠(Wh)은 지면에 대하여 운전자를 포함한 모터사이클(M/B)의 하중으로 지지하는 힘(F)과 더불어 지면으로부터 접촉에 따른 저항 또는 모터사이클(M/B)의 전진 이동에 따른 물리적인 힘(F')을 받는다.
여기서, 지점(P1)은 하중에 대한 힘(F)이 어느 정도 작용하지만, 그 위치가 제2축(16)을 중심으로 지점(ha)가 스토퍼(12) 방향으로 지지를 받는 위치에 있음에 따라 트러스 구조의 안정적인 지지를 받는다.
따라서, 휠(Wh)은 도 6의 지점(P2) 위치에서 지점(P1) 위치를 중심으로 한 화살표(a) 방향으로 선회하고, 이와 더불어 버퍼유닛(70)의 일단이 힌지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3힌지축(h3) 위치의 지점(P3) 또한 지점(P1) 위치를 중심으로 한 화살표(b) 방향으로 선회함으로써 연결한 버퍼유닛(70)의 일단을 통해 타단이 연결된 방향으로 변환된 힘(F1, F2, F3)이 전달한다.
이러한 변환된 힘(F1, F2, F3)은, 결국 상술한 트러스 구조가 스토퍼(12)의 지지를 받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4절링크유닛이 폴딩 위치로 변환이 이루어지면, 제1~4링크블록(10, 20, 30, 40)과 휠(Wh)을 포함한 휠 지지블록(60)은, 도2b, 도3b,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겹치는 관계를 이루고, 이에 따라 4절링크유닛을 포함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면에 대하여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여 요철지면에 대한 충돌 가능성을 방지하게 된다.
D: 스탠딩 휠 장치 Wh: 휠
10: 제1링크블록 12: 스토퍼
14: 제1축 16: 제2축
20: 제2링크블록 22: 지지부
30: 제3링크블록 40: 제4링크블록
50: 액추에이터 60: 휠 지지블록
70: 버퍼유닛

Claims (6)

  1.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가 이루어지고, 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스토퍼, 제1축, 제2축을 형성한 제1링크블록과; 일단을 상기 제1축에 연결하고, 상기 스토퍼에 회전 대응하는 측부에 지지부를 형성한 제2링크블록과; 일단을 상기 제2축에 연결한 제3링크블록과; 일단과 중간 부위에 각각 상기 제2, 3링크블록의 타단을 힌지 연결한 제4링크블록;으로 이루어진 4절링크유닛;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 또는 상기 제1링크블록에 설치하여 상기 제2링크블록 또는 제3링크블록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4링크블록의 타단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휠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휠 지지블록은, 세 개의 힌지축이 삼각 배치를 이루고, 그 중 하나인 제1힌지축에 휠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인 제2힌지축을 상기 제4링크블록의 타단에 힌지 연결하며, 나머지 하나인 제3힌지축이 상기 제2링크블록과 제4링크블록이 이루는 내각에 있도록 한 것으로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신축 구동하고, 일단을 상기 제3힌지축에 힌지 연결하고, 타단을 상기 제2링크블록, 제3링크블록, 제4링크블록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한 버퍼유닛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터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설치한 웜; 및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설치가 이루어져 상기 웜과 맞물리는 웜 휠;로 이루어진 구성,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터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연결한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박스;로 이루어진 구성,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한 래크; 및 상기 제1축 또는 제2축에 설치가 이루어져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절링크유닛의 각 구성은 각각 나란하게 대향 배치 구조를 갖도록 설계하고,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에 대한 폴딩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의 대향 배치 간격이 폴딩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의 대향 배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하거나,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구조체에 대한 폴딩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의 대향 배치 간격이 폴딩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의 대향 배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여 각 구성 간에 상호 접히도록 한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블록은, 상기 제2, 3링크블록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본체와; 일단이 상기 제4링크본체의 가이드홀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축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연장부; 및 상기 제4링크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4링크연장부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휠 지지블록은 제4링크연장부의 타단에 힌지 연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블록은, 상기 제2, 3링크블록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본체와; 일단이 상기 제4링크본체의 가이드홀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일단 부위에 상기 버퍼유닛의 타단과 힌지 연결하며, 타단이 상기 제2힌지축과 힌지 연결한 제4링크연장부; 및 상기 제4링크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4링크연장부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퍼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3힌지축에 힌지 연결하고, 타단이 제4링크연장부의 일단 부위에 힌지 연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KR1020160107221A 2016-08-23 2016-08-23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KR101915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21A KR101915086B1 (ko) 2016-08-23 2016-08-23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21A KR101915086B1 (ko) 2016-08-23 2016-08-23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04A KR20180022204A (ko) 2018-03-06
KR101915086B1 true KR101915086B1 (ko) 2018-11-05

Family

ID=6172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221A KR101915086B1 (ko) 2016-08-23 2016-08-23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6815A1 (it) * 2021-03-22 2022-09-22 Biodismed S R L Gruppo di mobilità antiribaltamento per sedie a rotelle e relativa sedia a rotelle elettrica
KR102578949B1 (ko) 2023-04-27 2023-09-14 최대홍 모터사이클의 어시스트 장치용 결합 구조
KR102582774B1 (ko) 2022-10-12 2023-09-26 최대홍 모터사이클의 서행 및 주정차 어시스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36B1 (ko) * 2019-11-29 2020-03-12 김몽룡 수직정렬 보조휠을 구비한 모터사이클용 랜딩장치
US11186335B1 (en) 2020-08-06 2021-11-30 Mobility Holdings, Limited Bicycle and supporting fram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466A (ja) * 2006-11-30 2008-06-19 Honda Motor Co Ltd 二輪車用スタンド装置
KR101541775B1 (ko) * 2014-04-28 2015-08-19 김몽룡 랜딩 기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466A (ja) * 2006-11-30 2008-06-19 Honda Motor Co Ltd 二輪車用スタンド装置
KR101541775B1 (ko) * 2014-04-28 2015-08-19 김몽룡 랜딩 기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6815A1 (it) * 2021-03-22 2022-09-22 Biodismed S R L Gruppo di mobilità antiribaltamento per sedie a rotelle e relativa sedia a rotelle elettrica
KR102582774B1 (ko) 2022-10-12 2023-09-26 최대홍 모터사이클의 서행 및 주정차 어시스트 시스템
KR102578949B1 (ko) 2023-04-27 2023-09-14 최대홍 모터사이클의 어시스트 장치용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04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086B1 (ko)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US11590897B2 (en) Step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CN101279594B (zh) 车用脚踏板设备及其伸缩装置
CN104385989A (zh) 带有双工位支撑功能的汽车电动伸缩踏板
CN111776106B (zh) 机械腿和轮式移动设备
JP2009066180A (ja) オットマン装置
US7641217B2 (en) Detachable mobile seat for vehicle usable as wheelchair
CN110127033A (zh) 用于致动飞行器的机翼的可折叠机翼尖端部分的致动单元
CN103562046B (zh) 机动车的转向柱
JP2005034233A (ja) シート装置
CN104125910B (zh) 用于机动车的转向轴
WO2009063268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steering column
JP2002193114A (ja) 車両用の折り畳み可能な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
CN107444092A (zh) 机动车车轮的电驱动单元及机动车车桥的车轮的车轮悬架
CN102828480B (zh) 清洗辊平行四杆调节机构、护栏清洗装置以及护栏清洗车
WO2012088858A1 (zh) 汽车起重机
CN106314644A (zh) 一种反向三轮车
WO2015054760A1 (en) Anti-vibration link for dual steer axle steering linkage
KR101643888B1 (ko) 차량용 레그 레스트
CN113320685A (zh) 飞行汽车机翼折叠结构
JPH06102420B2 (ja) 折畳み式サイドミラ−支持装置
KR101637577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CN102874145A (zh) 翻转式脚托装置
CA2413595A1 (en) Helicopter undercarriage
KR20220055753A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