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775B1 - 랜딩 기어 - Google Patents

랜딩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775B1
KR101541775B1 KR1020140050518A KR20140050518A KR101541775B1 KR 101541775 B1 KR101541775 B1 KR 101541775B1 KR 1020140050518 A KR1020140050518 A KR 1020140050518A KR 20140050518 A KR20140050518 A KR 20140050518A KR 101541775 B1 KR101541775 B1 KR 10154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xis
variable
length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몽룡
신직수
Original Assignee
김몽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몽룡 filed Critical 김몽룡
Priority to KR102014005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775B1/ko
Priority to PCT/KR2015/004089 priority patent/WO20151671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34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wheeled type, e.g. multi-wheeled bogies
    • B64C25/3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wheels, tyres or ax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하기 위한 물체에 결합하여 이동 물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랜딩 기어에 관한 것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에 가동 가능한 가동 브라켓, 길이 가변 브라켓, 엑추에이터를 4절식 링크 시스템으로 형성한 후, 이에 휠 고정 브라켓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폴딩 및 언폴딩시 길이가 가변되어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용이하고, 4절식 링크 방식을 채택하여 수직하중 발생시에 더욱 엑추에이터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안정적인 운행 및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는 랜딩 기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랜딩 기어{A landing gear}
본 발명은 이동하기 위한 물체에 결합하여 이동 물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랜딩 기어에 관한 것이다.
모터사이클은 서행하거나 정지 중에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여야 한다.
모터사이클이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는 방안으로는 탑승자의 하체를 이용하여 자신의 다리로 버티는 경우가 있지만, 신체적인 조건이 불리한 탑승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다리로 버티기에 버거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비해 모터사이클의 차고가 높을 경우에 자세가 모터사이클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행 중에 신호대기의 이유로 빈번하게 정지가 반복될 경우에 탑승자 자신의 다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모터사이클의 양측에 보조의 휠(wheel)을 장착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고, 이는 후술한 특허문헌에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에 의하면, 휠을 상시적으로 지면에 닿도록 배치하는 기술이 있는데, 이는 일반 주행에서는 주행저항으로 작용하여 오히려 모터사이클 운행에 방해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다른 특허문헌에 의하면, 휠이 암 프레임에 설치되고 암 프레임의 한쪽 끝은 축 결합되어 휠이 선회되는 구성이며, 일반 주행일 때에 휠을 들어 올리고 서행 또는 정지 중에 휠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휠이 내려진 상태에서 휠에 모터사이클의 하중이 작용하고 이러한 하중에 견디어야만 모터사이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암 프레임의 세워진 상태에서 모터사이클의 하중에 견디기에는 강성이 약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모터사이클의 하중에 안정적으로 견딜 정도로 제안된 종래의 기술이 있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휠과 암 프레임과 암 프레임을 구동시키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전체적인 구성의 부피가 크고 이로써 모터사이클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모터사이클에 부가장치를 추가 장착한 느낌을 가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1890호(2013.09.17.),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등록특허는 3절링크 방식으로 랜딩 기어를 제작하여 바이크의 정지 또는 서행시 안정적으로 바이크를 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04704호(1997.05.19)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7351호(1999.05.25)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336호(200.12.01)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336호(200.12.01)
(특허문헌 00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313호(200.03.13)
(특허문헌 00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957호(202.10.09)
(특허문헌 00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956호(202.10.09)
(특허문헌 000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955호(202.10.09)
(특허문헌 00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980호(203.10.23)
(특허문헌 00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074호(209.09.11)
(특허문헌 00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4988호(2010.12.24)
(특허문헌 00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7578호(2011.02.22)
(특허문헌 0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1890호(2013.09.17)
하지만, 상기 "모터 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의 경우 3절식 링크 채택으로 인해 바이크가 기울여져 있을 경우에 엑추에이터가 지면과 수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선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수직 하중 발생시 엑추에이터가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엑추에이터에서 발생하는 힘의 양을 더욱 상승시켜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언폴딩 및 폴딩시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 내에서는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랜딩 기어는 폴딩 및 언폴딩시 길이가 가변되어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용이하고, 4절식 링크 방식을 채택하여 수직하중 발생시에 더욱 엑추에이터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안정적인 운행 및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엑추에이터와 길이 가변 브라켓에 의해 완충작용을 형성할 수 있는 랜딩 기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스토퍼와 스토퍼 홈을 통해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구성함으로써 엑추에이터를 통한 언폴딩시 엑추에이터가 지면에서 직각에 가깝게 기립될 수 있도록 작용해 휠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엑추에이터 및 길이 가변 브라켓을 통해 지지력과 더불어 완충작용을 동시에 형성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폴딩시에는 길이 가변 브라켓 및 휠 고정 브라켓이 발판용 브라켓에 의해 위치 제한이 발생하여 언폴딩시 길이 보다 더 짧은 길이로 폴딩 되어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하다.
아울러, 중력방향에서 하중이 작용할 때에 각각의 스토퍼에 의해 가동 브라켓 및 길이 가변 브라켓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면서 길이 가변 브라켓 및 휠 고정 브라켓이 일체로 움직여 엑추에이터가 지면으로부터 대략 직각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여 안정적으로 이동 물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기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랜딩 기어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랜딩 기어의 언폴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랜딩 기어의 완충작동 관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계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이동 물체(도면에 미도시)에 고정 브라켓(10), 가동 브라켓(20), 길이 가변 브라켓(30), 엑추에이터(40)가 4개소의 축에 의해 연결되는 4 링크 시스템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 물체의 저속 및 정지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우선, 고정 브라켓(1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에 고정 설치되되, 제1축(A1)이 일측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축(A2)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축(A1)이 결합된 위치에는 제1축(A1)을 중심으로 일정 이격거리를 두고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11)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동 브라켓(20)은 상기 고정 브라켓(10)과 제1축(A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축(A1)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11)가 결합할 수 있는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홈(21)은 도면에서는 제1축(A1)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 내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장공홈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가동 브라켓(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가동 브라켓(20)에 결합되어 있는 제1축(A1)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반대편에는 제3축(A3)이 결합되며, 상기 제3축(A3)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3축(A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공 형태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은 도시되어 있는 형태가 아니더라도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길이 가변 브라켓(30)은 상기 가동 브라켓(20)에 결합되어 있는 제3축(A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동 브라켓(20)에 형성되어 있는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을 통해 회전이 제한되는 길이 가변 브라켓 스토퍼 축(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축(A3)이 형성된 반대편에는 제4축(A4)이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엑추에이터(40)는 상술한 고정 브라켓(10)과 제2축(A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41)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41)에 의해 작동하는 가동부(42)는 길이 가변 브라켓(30)에 형성되어 있는 길이 가변 브라켓 스토퍼 축(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엑추에이터(40)의 작동에 의해 가동 브라켓(20) 및 길이 가변 브라켓(30)이 회전운동을 하되, 스토퍼들에 의해 일정 각도로만 제한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엑추에이터(40)는 일 실시 예로서 실린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엑추에이터(40)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할 경우 유압, 공압 등의 작동유체를 통해 작동할 수 있으며, 전자 제어를 통해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휠 고정 브라켓(50)은 상기 길이 가변 브라켓(30)과 제4축(A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 휠 고정 브라켓(50)에는 휠(5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 가변 브라켓(30)과 휠 고정 브라켓(50)이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제1, 2 스토퍼(S3, S5)를 형성하여 휠 고정 브라켓(5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길이 가변 브라켓(30)과 휠 고정 브라켓(50) 사이에 스프링(S)을 형성하여 제1, 2 스토퍼(S3, S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반대 방향으로 휠 고정 브라켓(50)이 회전한 후 최초의 자리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발판 브라켓(60)이 더 구성된다.
상기 발판 브라켓(60)의 일측은 고정 브라켓(10)과 제5축(A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판부(61)가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61)에서 연장된 부분에는 보조 발판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61)와 보조 발판부(6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발판부(61)와 보조 발판부(62)를 분리해서 제작한 후 제6축(A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발판 브라켓(60)은 보조 발판부(62)의 각도를 조정하여 이에 결합하는 길이 가변 브라켓(30) 및 휠 고정 브라켓(50)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여 폴딩시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랜딩 기어(100)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랜딩 기어(100)는 이동 물체 즉, 컨테이너 박스나 또는 대형 바이크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이크에 장착하였을 때의 실시 예를 통해 작동 관계를 설명하도록 하며, 특히, 각각의 스토퍼 홈 및 엑추에이터(40)의 경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 예를 이용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바이크에 장착하여 이용할 경우에는 주로 서행시 또는 정지시 바이크가 좌, 우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고정 브라켓(10)은 바이크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10)과 제1축(A1)에 의해 결합하는 가동 브라켓(20)은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다가 바이크의 정지상태 또는 정지상태에서 서행하여 움직일 때에 사용자가 통상의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본 발명의 랜딩 기어(100)를 작동시키게 되면, 공압 또는 유압과 같은 작동유체가 엑추에이터(40)의 가동부(42) 내부에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엑추에이터(40)의 고정부(41)는 바이크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10)과 제2축(A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42)가 후진하게 되면서 엑추에이터(4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엑추에이터(40)의 가동부(42)는 길이 가변 브라켓(30)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축(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길이 가변 브라켓(30)을 회전시키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길이 가변 브라켓(30)도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길이 가변 브라켓(30)은 길이 가변 스토퍼 축(31)이 가동 브라켓(20)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에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어,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면서 엑추에이터(4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길이 가변 브라켓(30)의 회전과 더불어 가동 브라켓(20)도 언폴딩 되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때에 회전량은 가동 브라켓(20)에 형성된 장공형태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에 의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랜딩 기어(100)는 엑추에이터(40) 내부로 지속적으로 작동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가동 브라켓(20)이 회전하면서, 가동 브라켓(20)에 결합되어 있는 길이 가변 브라켓(30) 및 휠 고정 브라켓(50)이 언폴딩되어 휠 고정 브라켓(50)에 형성되어 있는 휠(51)이 지면과 맞닿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4링크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어 엑추에이터(40)가 지속적으로 지면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함과 동시에 가동 브라켓(20)이 언폴딩 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면서 길이 가변 브라켓(30)과 휠 고정 브라켓(50)이 제1, 2 스토퍼(S3, S5)에 의해 고정되도록 작동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이 형성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엑추에이터(40)는 작동유체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동부(42)를 지면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엑추에이터(40)는 가동 브라켓(20)을 회전시켜 언폴딩 되도록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가동 브라켓(20)의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홈(21)에서 고정 브라켓(10)의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11)는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홈(21)의 최 좌측인 제1점(P1)에 위치하게 되고, 길이 가변 브라켓(30)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축(31)은 가동 브라켓(20)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의 제3점(P3)에 배치되어 엑추에이터(40)의 작동에 의해 가변 브라켓(20)의 위치가 엑추에이터(40)가 지면으로부터 대략 직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축(A1) ↔ 제2축(A2)을 연결하는 라인은 제1링크(L1), 제1축(A1) ↔ 제3축(A1)은 제2링크(L2),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축(31) ↔ 제3축(A3)은 제3링크(L3),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축(31) ↔ 제2축(A2)은 제4링크(L4)로 정의한다.
우선, 제4링크(L4)는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으로 최초 폴딩된 상태일 경우에는 제4축(A4)이 도면상에서 좌측 상단에 배치되었다가 언폴딩시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였기 때문에 제4링크(L4)에 지속적으로 작동 유체가 공급이 되면 계속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인 지면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4링크(L4)와 연결되어 있는 제3링크(L3) 전체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렇게 힘을 받는 제3링크(L3)는 제2링크(L2)와 제3링크(L3)를 연결하는 제3축(A3)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제2링크(L2)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링크(L2)는 가동 브라켓(20)의 구성으로서 고정 브라켓(10)의 고정 브라켓 스토퍼(11)가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홈(2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최 좌측인 제1점(P1)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링크(L2)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고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힘의 작용은 직각일 때 가장 큰 힘을 발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제4링크(L4)가 직각에 가깝게 배치되었을 경우 큰 힘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엑추에이터(40)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길이 가변 브라켓(30)과 연결되어 있는 휠 고정 브라켓(50)은 각각의 제1, 2 스토퍼(S3, S5)가 맞닿게 되어 휠 고정 브라켓(5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면에 휠(51)이 맞닿게 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미세한 외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직각에 가깝에 배치되어 있는 제4링크(L4)가 일부 쿠션작용을 하게 되고, 특히, 외력을 받게 되어 제4링크(L4)의 길이 가변 및 쿠션작용에 의해 일부 회전한다 하더라도 가동 브라켓(20)의 이동에 의해 고정 브라켓(10)의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11)가 가동 브라켓(20)의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홈(21)의 제1점(P1)에 위치에 그대로 위치하여 제4링크(L4)인 엑추에이터(40)의 각도는 미세하게 변동되면서 엑추에이터(40)의 길이 가변이 발생하여 지지력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으면서 쿠션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외력의 세기가 더 크게 작용하는 바이크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엑추에이터(40)인 제4링크(L4)는 작동 유체에 의해 외력에 저항하여 쿠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길이의 가변(길이가 줄어듬)이 일부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제4링크(L4)와 제3링크(L3)를 연결하고 있는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축(31)이 제3축(A3)을 기준으로 가동 브라켓(20)에 형성되어 있는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의 제3점(P3)에서 제4점(P4)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3축(A3)을 기준으로 제3링크(L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제2, 3링크(L2, L3)는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각각의 링크 길이가 반경이 되어 회전할 수 있는 상태이고, 제4링크(L4)는 지속적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의 제4점(P4)의 위치는 제3점(P3)의 위치보다 엑추에이터(40)인 제4링크(L4)가 더 직각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3링크(L3)의 회전(L3→L3')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3축(A)을 중심으로 길기 가변 블라켓용 스토퍼 축(31)의 위치가 제3점(P3) → 제4점(P4)으로 이동하게 되어 엑추에이터(40)인 제4링크(L4)가 더욱 직각에 가깝도록(L4 → L4')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최초 언폴딩시에도 엑추에이터(40)가 지면과 직각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형성하고, 더욱이, 바이크의 기울어짐의 발생시에는 바이크가 올바르게 세워져 있을 때보다 더 엑추에이터(40)가 직각에 가깝도록 배치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바이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엑추에이터(40) 및 길이 가변 브라켓(30)인 제4링크(L4)의 회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면의 높이가 갑자기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엑추에이터(40)가 작동하여 지면이 낮아진 만큼 더 길어지게 되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엑추에이터(40)를 전자 제어방식으로 구성할 경우 바이크가 기울어져 있는 각도를 센싱하거나 또는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감지하여 엑추에이터(40)의 길이를 전자제어 방식으로 가변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바이크의 정지 또는 서행 구간이 끝나게 되면, 통상의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엑추에이터(40)에 공급하던 작동 유체를 제거하게 되면 엑추에이터(4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서, 상술하였던 역순으로 가동 브라켓(20), 길이 가변 브라켓(30), 휠 고정 브라켓(50)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0)에는 발판 브라켓(60)이 구성되어 있어 평상시 바이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발을 얹을 수 있도록 작용함은 물론, 발판 브라켓(60)을 구성하고 있는 발판부(61) 내부로 엑추에이터(40)가 삽입되어 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발판 브라켓(60)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발판부(62)는 휠 고정 브라켓(50)에 형성되어 있는 휠(51)과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할 경우 본 발명의 랜딩 기어(100)의 폴딩시 언폴딩 되었을 때보다 길이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랜딩 기어(100)의 폴딩시 휠(51)이 보조 발판부(62)에 맞닿게 되면 제3축(A3)에 의해 가동 브라켓(20)과 길이 가변 브라켓(30)이 접혀지고, 제4축(A4)에 의해 길이 가변 브라켓(30)과 휠 고정 브라켓(50)이 접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랜딩 기어(100)의 설치시 이동 물체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바이크 이외에 컨테이너와 같이 이동이 필요한 모든 물체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다.
A1 : 제1축 A2 : 제2축 A : 제3축 A4 : 제4축 A5 : 제5축 A6 : 제6축
10 : 고정 브라켓
11 :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20 : 가동 브라켓
21 :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홈 22 :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
30 : 길이 가변 브라켓
31 :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축 S3 : 제1 스토퍼
40 : 엑추에이터
41 : 고정부 42 : 가동부
50 : 휠 고정 브라켓
51 : 휠 S5 : 제2 스토퍼
60 : 발판 브라켓
61 : 발판부 61a : 발판부 스토퍼
62 : 보조 발판부 62a : 발판부 스토퍼 홈
100 : 랜딩 기어

Claims (4)

  1. 제1축(A1)에 결합되되 상기 제1축(A1)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축(A1)과 결합되는 타단에는 제2축(A2)과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0);
    상기 고정 브라켓(10)과 결합하는 제1축(A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고정 브라켓(10)의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11)와 결합하여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의 고정 브라켓용 스토퍼 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축(A1)과 결합하는 타단에는 제3축(A3)이 결합하여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홈(22)이 형성된 가동 브라켓(20);
    상기 가동 브라켓(20)과 제3축(A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홈(22)에 결합하는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축(31)을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으로는 제4축(A4)과 결합하는 길이 가변 브라켓(30);
    상기 고정 브라켓(10)과 제2축(A2)에 의해 결합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와 결합하되 일측이 길이 가변 브라켓(30)의 길이 가변 브라켓용 스토퍼 축(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가동부(42)로 구성된 엑추에이터(40);
    상기 길이 가변 브라켓(30)과 제4축(A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제4축(A4)이 형성된 위치의 타측으로는 휠(51)을 포함하고 있는 휠 고정 브라켓(5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랜딩 기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10)과 제5축(A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61)와 발판부(61) 후단에 휠 고정 브라켓(50)의 휠(51)과 접촉하여 휠 고정 브라켓(50) 및 길이 가변 브라켓(30)이 폴딩시 접혀지도록 형성되는 보조 발판부(62)로 이루어진 발판 브라켓(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랜딩 기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브라켓(60)의 발판부(61)와 보조 발판부(62)는 제6축(A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발판부(61)에는 발판부 스토퍼(61a)가 형성되고 보조 발판부(62)에는 발판부 스토퍼(61a)와 결합하되 제6축(A6)을 중심으로 보조 발판부(62)의 회전을 제한하는 발판부 스토퍼 홈(62a)이 형성되어 보조 발판부(6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랜딩 기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 브라켓(30)과 휠 고정 브라켓(50)에는 휠 고정 브라켓(5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각각 제1, 2 스토퍼(S3, S5)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랜딩 기어.
KR1020140050518A 2014-04-28 2014-04-28 랜딩 기어 KR10154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518A KR101541775B1 (ko) 2014-04-28 2014-04-28 랜딩 기어
PCT/KR2015/004089 WO2015167170A1 (ko) 2014-04-28 2015-04-24 랜딩 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518A KR101541775B1 (ko) 2014-04-28 2014-04-28 랜딩 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775B1 true KR101541775B1 (ko) 2015-08-19

Family

ID=5406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518A KR101541775B1 (ko) 2014-04-28 2014-04-28 랜딩 기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1775B1 (ko)
WO (1) WO201516717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91B1 (ko) 2018-01-03 2018-11-05 김몽룡 모터 사이클 랜딩 장치
KR101915086B1 (ko) * 2016-08-23 2018-11-05 김몽룡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KR101984885B1 (ko) * 2019-01-08 2019-05-31 김몽룡 수직정렬 보조휠을 구비한 모터사이클용 랜딩장치
KR102088336B1 (ko) * 2019-11-29 2020-03-12 김몽룡 수직정렬 보조휠을 구비한 모터사이클용 랜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74B1 (ko) 2007-12-11 2009-09-28 정대호 바이크 안전운행 시스템
KR101311890B1 (ko) 2011-08-12 2013-09-27 김몽룡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71U (ko) * 1998-12-17 2000-07-05 김성경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74B1 (ko) 2007-12-11 2009-09-28 정대호 바이크 안전운행 시스템
KR101311890B1 (ko) 2011-08-12 2013-09-27 김몽룡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86B1 (ko) * 2016-08-23 2018-11-05 김몽룡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KR101915091B1 (ko) 2018-01-03 2018-11-05 김몽룡 모터 사이클 랜딩 장치
WO2019135482A1 (ko) * 2018-01-03 2019-07-11 김몽룡 모터 사이클 랜딩 장치
CN111542468A (zh) * 2018-01-03 2020-08-14 金梦龙 摩托车着陆装置
CN111542468B (zh) * 2018-01-03 2022-01-18 金梦龙 摩托车着陆装置
KR101984885B1 (ko) * 2019-01-08 2019-05-31 김몽룡 수직정렬 보조휠을 구비한 모터사이클용 랜딩장치
KR102088336B1 (ko) * 2019-11-29 2020-03-12 김몽룡 수직정렬 보조휠을 구비한 모터사이클용 랜딩장치
WO2021107324A1 (ko) * 2019-11-29 2021-06-03 김몽룡 수직정렬 보조휠을 구비한 모터사이클용 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7170A1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775B1 (ko) 랜딩 기어
KR101311890B1 (ko)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US20190241228A1 (en) Powered unicycle with handle
CN101443222B (zh) 可折叠且高度可调的婴儿车
US6843757B2 (en) Adjusting device for a tread board of a treadmill
JP2020514154A (ja) ローリング制御部を祖姉多ローリング式モータビークルの前部キャリッジ
KR101915086B1 (ko)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CN114728678B (zh) 具有垂直排列辅助轮的摩托车着陆装置
WO2017067090A1 (zh) 一种翻转折叠床的翻转装置
JP3978820B2 (ja) 昇降式収納装置
CN202252691U (zh) 重负荷显示屏用凸轮结构支架
CN102359704B (zh) 重负荷显示屏用凸轮结构支架
KR101339077B1 (ko)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JP2004129795A (ja) 補助機能を備えたシート
US20140239607A1 (en) Vehicle wheel axle lifting device
JP3154356U (ja) 天板傾斜角度調整機構付き机
JPH09137599A (ja) 折畳式足場
JPWO2020194947A1 (ja) 鞍乗り型車両の風防装置
KR100996275B1 (ko) 의자 완충 수단을 구비한 테이블
KR20060090952A (ko) 강의용 책상
CN205963537U (zh) 一种翻转折叠床的翻转装置
CN1727630B (zh) 折叠门
JP6395177B2 (ja) 荷重支持機構
KR20080000994A (ko) 차량용 보조석 시트의 절첩구조
JP4205446B2 (ja) 折引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