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835B1 -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835B1
KR101914835B1 KR1020160154013A KR20160154013A KR101914835B1 KR 101914835 B1 KR101914835 B1 KR 101914835B1 KR 1020160154013 A KR1020160154013 A KR 1020160154013A KR 20160154013 A KR20160154013 A KR 20160154013A KR 101914835 B1 KR101914835 B1 KR 10191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layer
layer
indium oxide
indium
metal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145A (ko
Inventor
서형탁
이상연
박아영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835B1/ko
Priority to PCT/KR2017/011403 priority patent/WO2018093048A1/ko
Priority to CN201780071720.9A priority patent/CN110268528A/zh
Publication of KR2018005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1Physical deposition at reduced pressure, e.g. MBE, sputterin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32Heterojunction gate for field 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7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the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a metallic compound, e.g. metal oxide, metal silic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산화인듐층 및 상기 산화인듐층과 접촉하는 산화알루미늄층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사이에 인듐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산소 이온을 포함하고, 전하의 이동 채널을 제공하는 계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Description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METAL OXIDE HETEROJUNCTION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TAL OXIDE HETEROJUNCTION STRUCTURE, AND THIN FILM TRANSISTOR HAVING THE METAL OXIDE HETEROJUN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기 전도도가 제어될 수 있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금속산화물은 통상적인 반도체 소재에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금속산화물의 이종 접합 구조의 경우, 표면과 계면에서는 국소적으로 대칭성이 깨지므로 벌크 상태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새로운 물성이 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체인 LaAlO2 및 SrTiO3의 접합 계면에서 “준 2차원적 전자가스(2DEG, quasi two-dimensional electron gas)”가 존재함이 발견되는 등 금속 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는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LaAlO2 및 SrTiO3의 이종 접합 구조의 경우, 약 104 cm2V-1s-1의 매우 큰 전자 이동도(mobility)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극저온에서 초전도 특성이 나타남이 보고되었다.
다만, 금속산화물 정합 접합에서 발현되는 다양한 물리 현상의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한 상태로, 미국, 유럽, 일본 등지의 세계 유수 연구진들이 이론적 및 실험적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미국 물리학회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2006년, “금속 산화물 박막 계면/표면”관련 독립 세션을 만들었고, 2007년판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s, ITRS)에서도 “이종구조계면(hetero-interface)”은 새로운 소재군(emergent materials)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응용 가능성에 대한 산업체의 기대도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 금속산화물 이종접합 구조는 상기와 같은 특성 구현을 위해, 분자선 에피택시법(molecular beam epitaxy), 펄스 레이저 증착법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반도체 집적회로 소자 공정과 호환이 되지 않으므로 실제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목적은 산화인듐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전기 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는 산화인듐층 및 상기 산화인듐층과 접촉하는 산화알루미늄층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인듐층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사이에는 인듐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산소 이온을 포함하고, 전하의 이동 채널을 제공하는 계면층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8nm 이상 15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1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계면층은 반도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화인듐층은 적어도 일부분이 나노결정화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10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1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계면층은 전기적 전도체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화인듐층은 90% 이상의 영역이 결정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면층은 3nm 이상 5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제조방법은 기재 상에 상온(Room Temperature)에서 수행되는 스퍼터링의 방법으로 산화인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150℃ 내지 250℃에서 수행되는 진공 증착법을 통해 상기 산화인듐층 상에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제어되어 반도체 채널층을 통해 소스 전극의 신호를 드레인 전극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반도체 채널층은 산화인듐층 및 상기 산화인듐층과 접촉하는 산화알루미늄층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화인듐층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사이에는 인듐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산소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의 이동 채널을 제공하는 계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8nm 이상 15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1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계면층과 접촉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상기 계면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인듐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전기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에 있어서 산화인듐층의 두께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전압-전류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전압-전류 그래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의 온도에 따른 전자 이동도(Mobility)와 캐리어 농도(Carrier Concentration) 및 면저항(Sheet Resistance)과 홀 계수(Hall coefficient)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4a는 글라스 기판 상에 상온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된 산화인듐층의 TEM 이미지들이고, 도 4b는 도 1의 산화인듐층 상에 원자층 증착 방법을 통해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한 후의 TEM 이미지들이다.
도 5a는 글라스 기판 상에 상온 스퍼터링의 방법으로 산화인듐층을 형성한 직후 상기 산화인듐층 표면에서 측정된 XPS 분석 결과이고,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산화인듐층 상에 원자층 적층 방법으로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한 후에 산화알루미늄층 표면 및 상기 산화인듐층과의 계면층에 대해 측정된 XPS 분석 결과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글리스 기판 상에 산화인듐층을 형성한 직후의 시료(검정색 실선), 글리스 기판 상에 산화인듐층을 형성하고 이를 진공 300℃에서 5분간 열처리한 시료(빨강색 실선), 글리스 기판 상에 산화인듐층과 산화알루미늄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직후의 시료(파랑색 실전) 및 글리스 기판 상에 산화인듐층과 산화알루미늄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이를 진공 300℃에서 5분간 열처리한 시료(녹색 실선)에 대해 측정된 광의 파장에 따른 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는 산화인듐(In2O3)층 및 산화알루미늄(Al2O3)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산화인듐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반도체 특성 또는 전도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산화인듐층은 기재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약 8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가 반도체 특성을 갖는 경우, 상기 산화인듐층은 약 8nm 이상 15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나노결정화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가 전기 전도체 특성을 갖는 경우, 상기 산화인듐층은 약 10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대부분의 영역, 예를 들면, 약 90% 이상의 영역이 결정화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산화인듐층은 진공 증착법의 방법으로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화인듐층은 상온(Room Temperature)에서 수행되는 스퍼터링의 방법으로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스퍼터링 공정 후 고온 진공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열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퍼터링 공정 후 약 250℃ 내지 350℃에서 약 5분 내지 30분 동안 열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화인듐층의 두께가 8nm 미만인 경우, 상기 산화인듐층은 비정질 형태이나, 상기 산화인듐층의 두께가 100nm 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영역이 결정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상기 산화인듐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수행되는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약 150℃ 내지 250℃에서 수행되는 원자층 증착법에 의해 상기 산화인듐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산화인듐층 상에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산화인듐층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사이에는 산화알루미늄층의 알루미늄의 확산 또는 산화인듐층의 인듐의 확산으로 인하여 반도체 특성 또는 전기 전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계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계면층은 인듐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산소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화인듐층 표면에 존재하는 불포화 결합, 산소 공공 등의 결함이 알루미늄의 확산의 제거되어 상기 계면층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계면층의 전기적 특성은 상기 산화인듐층의 결정화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기 산화인듐층의 결정화 상태는 상기 산화인듐층의 두께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 계면층은 약 3 내지 5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와 같은 두께의 계면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약 10n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험 결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의 두께가 약 10nm 이상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전기 전도도는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의 두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약 10nm 이상이라면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에 있어서 산화인듐층의 두께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전압-전류 그래프이다. 도 1의 곡선들에 있어서, 검정색 곡선, 파란색 곡선, 빨강색 곡선 및 녹색 곡선은 12nm, 50nm, 30nm 및 100nm 두께의 산화인듐층들을 각각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에 대한 전압-전류 곡선들이고,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은 모두 100nm 두께의 산화알루미늄층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산화인듐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전기 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기 산화인듐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전기 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전압-전류 그래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e의 각각에 있어서, 검정색 곡선, 빨강색 곡선, 파랑색 곡선 및 녹색 곡선은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제조 후 0 시간, 12 시간, 36 시간 및 60 시간 경과 후에 측정된 전압-전류 곡선이고,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은 모두 100nm 두께의 산화알루미늄층을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8nm, 10nm, 30nm, 50nm 및 100nm 두께의 산화인듐층들을 각각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에 있어서,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전압-전류 특성이 거의 변화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은 대기 중에서 안정한 산화알루미늄층으로 피복되어 보호되므로 장시간 안정적으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의 온도에 따른 전자 이동도(Mobility)와 캐리어 농도(Carrier Concentration) 및 면저항(Sheet Resistance)과 홀 계수(Hall coefficient)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은 모두 100nm 두께의 산화알루미늄층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산화인듐층의 두께가 8nm 및 10nm인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은 전기적으로 반도체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30nm 및 50nm 두께의 산화인듐층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들은 전기적으로 금속에 가까운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nm 두께의 산화인듐층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는 완전히 전기적 전도체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에서는 산화인듐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반도체부터 전기적 전도체까지 특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는 글라스 기판 상에 상온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된 산화인듐층의 TEM 이미지들이고, 도 4b는 도 1의 산화인듐층 상에 원자층 증착 방법을 통해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한 후의 TEM 이미지들이다. 그리고, 도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글라스 기판 상에 상온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산화인듐층을 형성하는 경우, 글라스 기판과의 계면에서 나노결정 형태의 계면층이 형성되고, 상기 계면층 상에 결정질의 산화인듐층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실험 결과, 산화인듐층의 두께가 8nm 이하에서는 비정질 형태의 산화인듐층이 형성되나, 산화인듐층의 두께가 15nm 이상에서는 결정질 형태의 산화인듐층이 형성되고, 산화인듐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결정 크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도 4b를 참조하면, 산화인듐층 상에 원자층 증착 방법을 통해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경우, 약 4nm 두께의 계면층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는 글라스 기판 상에 상온 스퍼터링의 방법으로 산화인듐층을 형성한 직후 상기 산화인듐층 표면에서 측정된 XPS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산화인듐층 상에 원자층 적층 방법으로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한 후에 산화알루미늄층 표면 및 상기 산화인듐층과의 계면층에 대해 측정된 XPS 분석 결과들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글라스 기판 상에 상온 스퍼터링의 방법으로 산화인듐층을 형성하는 경우, In3d 조성이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산화알루미늄층 표면에서는 In3d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면층에서는 In3d가 상당히 환원된 상태로 측정이 되었고, O1s에서는 Al-O와 In-O가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산화알루미늄층과 산화인듐층 사이의 계면에서 알루미늄에 의한 인듐의 환원이 발생하고, 그 결과 이러한 계면층에서 전하의 이동이 가능한 채널이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글리스 기판 상에 산화인듐층을 형성한 직후의 시료(검정색 실선), 글리스 기판 상에 산화인듐층을 형성하고 이를 진공 300℃에서 5분간 열처리한 시료(빨강색 실선), 글리스 기판 상에 산화인듐층과 산화알루미늄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직후의 시료(파랑색 실전) 및 글리스 기판 상에 산화인듐층과 산화알루미늄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이를 진공 300℃에서 5분간 열처리한 시료(녹색 실선)에 대해 측정된 광의 파장에 따른 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의 산화알루미늄층은 모두 100nm의 두께로 형성되었다.
먼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30nm 및 50nm 두께의 산화인듐층들 상에 100nm 두께의 산화알루미늄층을 각각 형성하는 경우, 30nm 및 50nm 두께의 단일 산화인듐층들에 비해 가시광 영역의 투과도는 다소 감소하나 320nm 이상이 파장을 갖는 자외선 영역의 투과도는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시광의 투과도 역시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화인듐층 상에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경우, 열처리는 투과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도 6c를 참조하면, 100nm 두께의 산화인듐층 상에 100nm 두께의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경우, 100nm 두께의 단일 산화인듐층에 비해 400nm 이상 800nm 이하의 가시광 영역의 투과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외선 영역의 투과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화인듐층 상에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경우, 열처리는 투과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도 6c의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는 투명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반도체 구조 또는 전기 전도체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채널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약 8nm 이상 15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상기 산화인듐층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의 계면층과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탑 게이트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에서,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이 게이트 절연막으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게이트 절연막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는 전자 장치의 투명 전극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에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약 10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인듐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전기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없음

Claims (11)

  1. 산화인듐층 및 상기 산화인듐층과 접촉하는 산화알루미늄층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사이에 인듐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산소 이온을 포함하고, 전하의 이동 채널을 제공하는 계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8nm 이상 15nm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10nm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계면층은 반도체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적어도 일부분이 나노결정화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100nm 이상의 두께를 갖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10nm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계면층은 전기적 전도체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90% 이상의 영역이 결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층은 3nm 이상 5n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7. 기재 상에 상온(Room Temperature)에서 수행되는 스퍼터링의 방법으로 산화인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150℃ 내지 250℃에서 수행되는 진공 증착법을 통해 상기 산화인듐층 상에 산화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인듐층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사이에 인듐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산소 이온을 포함하고, 전하의 이동 채널을 제공하는 계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의 제조방법.
  8.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제어되어 반도체 채널층을 통해 소스 전극의 신호를 드레인 전극으로 전송하는 박막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채널층은 산화인듐층 및 상기 산화인듐층과 접촉하는 산화알루미늄층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인듐층과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사이에는 인듐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산소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의 이동 채널을 제공하는 계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인듐층은 8nm 이상 15nm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10n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계면층과 접촉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산화알루미늄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은 상기 계면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KR1020160154013A 2016-11-18 2016-11-18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KR10191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13A KR101914835B1 (ko) 2016-11-18 2016-11-18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PCT/KR2017/011403 WO2018093048A1 (ko) 2016-11-18 2017-10-16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CN201780071720.9A CN110268528A (zh) 2016-11-18 2017-10-16 金属氧化物异质接合结构、其制造方法及含其的薄膜晶体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13A KR101914835B1 (ko) 2016-11-18 2016-11-18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45A KR20180056145A (ko) 2018-05-28
KR101914835B1 true KR101914835B1 (ko) 2018-11-02

Family

ID=6214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013A KR101914835B1 (ko) 2016-11-18 2016-11-18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14835B1 (ko)
CN (1) CN110268528A (ko)
WO (1) WO20180930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6290B2 (ja) * 2006-11-21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20100006837A1 (en) * 2008-07-09 2010-01-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 for oxide semiconduct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 us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transistor
US7812346B2 (en) * 2008-07-16 2010-10-12 Cbrite, Inc. Metal oxide TFT with improved carrier mobility
US9269573B2 (en) * 2008-09-17 2016-02-23 Idemitsu Kosan Co., Ltd. Thin film transistor having crystalline indium oxide semiconductor film
KR20180059577A (ko) * 2009-11-27 2018-06-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110066370A (ko) * 2009-12-11 2011-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97322B1 (ko) * 2009-12-15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JP2012169344A (ja) * 2011-02-10 2012-09-06 Sony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ならび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3042696A1 (en) * 2011-09-23 2013-03-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E102011084145A1 (de) * 2011-10-07 2013-04-11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performanten und elektrisch stabilen, halbleitenden Metalloxidschichten,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Schichten und deren Verwendung
KR101943077B1 (ko) * 2012-12-12 2019-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 층상구조를 가지는 산화물 트렌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3048A1 (ko) 2018-05-24
KR20180056145A (ko) 2018-05-28
CN110268528A (zh)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796B1 (ko) 비정질 산화물을 사용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US7309895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691715B2 (en) Method of fabricating oxide semiconductor device
JP5116290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1980196B1 (ko) 트랜지스터와 그 제조방법 및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US8389996B2 (en)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film,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0040552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425620B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JP6036984B2 (ja) 酸窒化物半導体薄膜
JP2016201458A (ja) 微結晶質酸化物半導体薄膜及びそれを用いた薄膜トランジスタ
KR101914835B1 (ko) 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Zhang et al. Ultrathin-Body TiO 2 Thin Film Transistors With Record On-Current Density, ON/OFF Current Ratio, and Subthreshold Swing via O 2 Annealing
KR20090059494A (ko) 산화물 반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KR102163565B1 (ko)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KR102000829B1 (ko) 고유전체 절연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12299B2 (ja) トランジスタの作製方法
Yoon et al. Improvement in IGZO-based thin film transistor performance using a dual-channel structure and electron-beam-irradiation
KR102214812B1 (ko) 비정질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45761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1897B1 (ko) 저온 공정으로 제작 가능한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전자 기기
KR102389220B1 (ko) 결정성 izto 산화물 반도체를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9480B1 (ko) 산화물 반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KR101993383B1 (ko) 절연막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200057372A (ko) 도핑된 주석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92436A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