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177B1 -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 Google Patents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177B1
KR101914177B1 KR1020170123182A KR20170123182A KR101914177B1 KR 101914177 B1 KR101914177 B1 KR 101914177B1 KR 1020170123182 A KR1020170123182 A KR 1020170123182A KR 20170123182 A KR20170123182 A KR 20170123182A KR 101914177 B1 KR101914177 B1 KR 101914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polyketone
toothbrush
nylon
ag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686A (ko
Inventor
박미정
하원호
이경섭
이종훈
유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8003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686A/ko
Priority to KR102018012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2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other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9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other synthetic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2Aldehydes; Ketones
    • D06M13/123Polyaldehydes; Poly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thers
    • D10B2331/06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thers polyetherketones, polyetheretherketones, e.g. PEE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고강성, 고탄력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폴리케톤 소재로 칫솔모를 제작하여 모 벌어짐성이 감소하고 사용기간이 증대된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케톤을 포함하여 제조된 칫솔모는 탄성이 뛰어나 굴곡이 많은 치아 면의 프라그 제거에 적합하여, 특히 미세모로 제작하는 경우 기존 칫솔들로는 잘 제거하지 못했던 치간 프라그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Polyketone Bristles and Toothbrush Having the Bristles}
본 발명은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강성, 고탄력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폴리케톤 소재로 칫솔모를 제작하여 모 벌어짐성이 감소하고 사용기간이 증대된 칫솔모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폴리케톤 소재의 단가가 칫솔모로 주로 사용되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계열 고분자 특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보다 낮기 때문에 보다 저가의 칫솔모를 공급할 수 있다.
칫솔은 이와 잇몸을 포함하는 구강을 청결히 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서, 자루와 칫솔모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칫솔모는 보통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일반적인 칫솔모는 주로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계열 고분자(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으로 만들어져 왔다.
나일론은 적당한 유연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수분 흡수성이 커서 수명이 짧고, 강도가 약해 일정크기 이상의 굵기를 가져야 하며, 폴리에스테르계 칫솔모의 경우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칫솔모는 짧게는 1개월, 길게는 3개월 정도가 되면 칫솔모가 벌어져 교체해야 한다.
특히 PBT 등 폴리에스테르 계열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세모의 경우 칫솔모 끝이 점점 얇아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더 빨리 벌어지고 마모되는 현상을 보이며, 이로 인해 칫솔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54055호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계열(PBT 등) 칫솔모의 벌어짐 문제와, 특히 칫솔모 끝이 점점 얇아지는 형태를 가진 미세모의 경우, 가는 모 끝으로 인하여 더 빨리 벌어지고 마모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케톤 소재를 사용하여 고강성, 고탄력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칫솔모를 제작해 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케톤(polyketone)을 포함하는 칫솔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폴리케톤(polyketone)을 포함하는 칫솔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칫솔모는 잇몸 손상은 최소화하면서 치아에 대한 세정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잇몸 손상을 최소화할수록 치아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고, 세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고강성 소재를 사용하면 잇몸 손상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및 노력하는 과정에서, 폴리케톤 수지를 칫솔모에 사용하는 경우 고강도 및 고탄성 특성으로 인하여 프라그를 탁월하게 제거하면서도, 동시에 잇몸 자극이 거의 없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내었다.
폴리케톤 수지는 근래에 개발된 새로운 수지로서,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으로부터 합성되는데, 그 기계적 물성은 고성능 플라스틱의 범주에 들어간다. 미국 특허 제4,843,144호에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일산화탄소로부터 합성되는 선상 교대 폴리머가 소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 사용된 폴리케톤 수지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실온 및 저온시의 어느 쪽에도 반발 탄성이 높고, 우수한 크리프(creep)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칫솔모에 있어서, 상기 폴리케톤으로는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을 포함하는 기본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케톤은 일산화탄소 및 에틸렌의 혼성 중합체이거나 또는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삼원 중합체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케톤 성분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17093126362-pat00001
화학식에서 상기 x:y는 1:10 내지 10:1이다.
본 발명에 칫솔모에 사용되는 폴리케톤 폴리머는 선상 교대 구조체일 수 있고, 또 불포화 탄화수소 1분자 마다 실질적으로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리케톤 폴리머의 전구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은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은 에텐 또는 α-올레핀(예를 들면 프로펜(propene), 1-부텐(butene), 아이소부텐(iso-butene), 1-헥센(hexene), 1-옥텐(octene))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케톤 수지로는 팔라듐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존재 하에서 알코올 용매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와 올레핀을 액상 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폴리머는 중합 후 여과, 정제 공정을 통해 회수하며 남은 촉매 조성물은 알코올이나 아세톤 등의 용매로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칫솔모는 폴리케톤(polyketone)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칫솔모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나일론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칫솔모는 일산화탄소와 적어도 1종의 에틸렌(ethylene)계 불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선상 교대 폴리머 및 상기 나열한 1 이상의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을 블렌드하여 제조한 폴리케톤 블렌드(blen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은 통상의 칫솔모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물질들로서, 이중에서 나일론은 내열성, 탄성률, 강도가 우수하지만, 수분 흡수성이 높아 물성변화, 치수변화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수분 흡습 시 내충격성의 변화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폴리케톤과 나일론을 블렌드하여 본원발명의 칫솔모의 소재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케톤 블렌드에 있어서, 선상교대 폴리케톤 폴리머는 60 내지 80 중량%, 상기 1 이상의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은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케톤 블렌드에 있어서, 폴리케톤과 1 이상의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은 9:1~7:3의 중량비로서 혼합될 수도 있다.
폴리케톤 블렌드는 각 성분을 고온에서 용융한 후 컴파운딩시켜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및 다른 추가성분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칫솔모는 항염항균제, 미백제, 시린이 완화제, 치석침착 방지제, 향미제, 구취제거제, 잇몸건강제, 충치예방제, 구강 세정제, 자일리톨, 죽염, 천일염, 제제소금, 정제염, 송염, 자염, 용융소금, 가공염 및 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아건강에 유용한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칫솔모가 치아건강에 유용한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경우, 양치 시 양치압 및 수분에 의하여, 치아건강에 유용한 성분들이 방출되어 나오고 이러한 성분이 치아나 잇몸에 작용하여 향균, 항염, 소염, 치석예방, 시린이 예방 등 각종 구강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모는 미세모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미세모의 경우 모가 부드럽고, 입안 구석구석 칫솔모가 잘 닿아서 구석진 부분들이 잘 닦이며, 특히 치아와 잇몸 사이가 잘 닦이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일반 미세모의 경우 모가 금방 닳거나 끝이 쉽게 구부러지어 1~2개월마다 교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칫솔모, 특히 미세모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또한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폴리케톤 미세 칫솔모는 고강성, 고탄력에 내마모성이 뛰어나므로, 사용기간 동안 처음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칫솔모는 칫솔모의 직경과 선단 직경이 동일하고, 선단이 둥근 라운드 가공된 일반모 형태이거나, 선단폭이 점점 가늘어지는 침상형의 미세모 형태 일 수 있다.
일반모 형태의 경우 칫솔모의 직경은 0.1 mm 내지 0.13 mm일 수 있고, 미세모 형태의 경우 선단 직경이 0.02 mm 이하 또는 0.01 mm 이하인 초극세모 일 수 있다.
칫솔모의 직경이 0.1 mm 내지 0.13 mm인 일반모 형태의 칫솔모는 직경이 0.16 내지 0.20 mm인 일반모에 비해 3배 이상 많은 수의 칫솔모가 촘촘하게 심어질 수 있어 탄력이 좋고 촉감이 부드럽게 때문에 치아와 잇몸 세정은 물론 잇몸 마사지 효과가 좋아서 일반 칫솔이 수행하지 못하는 치아세정과 잇몸마사지 2가지 기능을 병행할 수 있다. 칫솔모 선단의 직경이 0.02 mm 이하인 미세모의 경우,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일반적인 틈새보다 가늘어서 치아와 잇몸 사이의 프라그 세정이 용이하고 치은염 예방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칫솔모는 양 끝이 가는 미세화된 미세모를 미리 제조한 후 칫솔머리에 "V"자형으로 식모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식모되는 칫솔모는 식모된 후 헤드 상단면부터 칫솔 모 끝까지 거리인 식모부의 길이가 5 mm 내지 25 mm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모되는 미세모는 전체길이가 10 ~ 30 mm 또는 15 ~ 25 mm, 굵기가 0.01 mm 내지 0.1 mm일 수 있고, 식모부의 길이가 1 mm 내지 15 mm일 수 있으며, 식모된 후 칫솔 식모면 상단으로부터 미세모의 높이가 5 mm 내지 20 mm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폴리케톤을 포함하여 제조된 칫솔모는 탄성이 뛰어나 굴곡이 많은 치아 면의 프라그 제거에 적합하여, 기존 칫솔들로는 잘 제거하지 못했던 치아 면 및 치간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매일 여러 차례 반복되는 양치질 과정에서 잇몸 자극이나 출혈 없이 적당한 잇몸 마사지를 함께 할 수 있어, 치아 및 잇몸 건강을 위한 마사지 작용을 별도의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꾸준히 치아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술한 폴리케톤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칫솔은 폴리케톤 칫솔모에 고무(Rubber), 실리콘 등의 탄성부재를 칫솔 헤드에 만들어 주어 양치시 물리적인 세정 및 잇몸 맛사지 효과를 부여한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칫솔은 소정 두께 및 너비를 가지는 손잡이부와 이와 연결된 칫솔 헤드부; 상기 칫솔 헤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폴리케톤 칫솔모; 및 상기 칫솔 헤드부에 구비되는 팁을 구비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은 각각 다른 소재로 제조된 2 이상의 칫솔모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칫솔은 소정 두께 및 너비를 가지는 손잡이부와 이와 연결된 칫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부에 고정되는 제1칫솔모와 상기 헤드부의 다른 일부에 고정되는 제2칫솔모를 구비하되, 상기 제1칫솔모는 폴리케톤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칫솔모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나일론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수불용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는, 기존의 나일론, PBT 등의 소재가 폴리케톤으로 대체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칫솔모 제조방법, 구성성분 등이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소재의 칫솔모는 통상적인 칫솔모 대비 고강성이며, 탄력성이 뛰어나 치아 세정에 더 도움이 되고, 내마모성이 뛰어나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모 벌어짐성이 감소하여 처음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칫솔모 직경별 치간 프라그 제거율을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브러싱 직후의 폴리케톤 및 나일론 칫솔모 각각의 모습을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폴리케톤 , 나일론 및 PBT 물성비교
칫솔모의 재질인 수지재 분말로서, 나일론 612(Dupont,Tynex),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KOLON) 또는 폴리케톤(효성,M310U 및 M310U 유사 grade) 각각을 가열하여 압출장치의 노즐에서 성형 압출하고, 이를 냉각하고 열풍으로 건조하여, 각각의 소재로 직경이 0.18 mm인 칫솔모를 제작하였다.
(1) 인장강도
칫솔모 제작 후 모 한 가닥의 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칫솔모의 끊어지는 힘인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기존 칫솔모 소재인 나일론612 및 PBT와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ASTM D638 표준규격 시험법에 따라 칫솔모 한 가닥의 양단을 고정기구로 고정시킨 후 시편의 축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파괴에 이르는 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2) 탄력손실도
또한, 폴리케톤의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케톤 칫솔모를 칫솔대에 식모하여 칫솔로 제작하여 나일론 612와 PBT 칫솔모를 적용한 칫솔과의 탄력손실도를 비교하였다.
탄력손실도는 칫솔 사용시의 내구성(모퍼짐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Brush Machine으로 각각 5000회 10000회 왕복 Brushing을 한 뒤 벌어진 정도를 하기 수식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탄력손실도 값이 작으면 작을 수록 Brushig 전/후의 모 폭 차이가 적다는 뜻으로 덜 벌어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수식1. 탄력손실도(%)=(B-A)/A X 100
A: Brushing 전의 모 폭
B: Brushing 후의 모 폭
(3) 실험결과
모 재질에 따른 칫솔모 인장강도 및 탄력손실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93126362-pat00002
실험결과, 인장강도는 폴리케톤 칫솔모가 나일론 대비 2.0배, PBT 대비 1.13배 높은 값을 보여(표 1), 칫솔모로 제작했을 때에도 고강성 물성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5000회 왕복시 폴리케톤 칫솔모를 적용한 칫솔이 나일론 612, PBT 대비 각각 34%, 27% 더 적은 탄력손실도 값을 나타냈으며, 이는 나일론 612 및 PBT 대비 폴리케톤이 각각 34%, 27% 더 우수하게 덜 벌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10,000회 왕복시 폴리케톤이 나일론 612, PBT 대비 각각 각각 31%, 12% 더 우수하게 덜 벌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2. 폴리케톤 , PBT 및 PES 잇몸자극측정
폴리케톤과 같이 고강성, 우수한 내마모성 특징을 가지는 고분자로는 불소계 수지(PTFE, PVDF), POM, PBT, PES, 등이 있으나 불소계 수지의 경우 높은 용융점으로 인해 칫솔모 제작이 어려웠으며, POM의 경우 Brittle한 특성으로 인하여 칫솔모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PBT와 PES는 폴리케톤과 같이 강도가 충분히 높고 뛰어난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는 소재로, 해당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이 0.18 mm인 칫솔모를 제작하였으며, 모 끝은 별도의 미세모 가공을 거치지 않고 식모하여 칫솔로 제작하였다. 이 후 제작된 3가지 소재의 칫솔로 전문패널에 의한 잇몸자극 정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패널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40대 여성 20명과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각각 7일씩 실험용 칫솔을 사용하고 비교하도록 하였다. 새로운 칫솔을 사용하기에 앞서 중간에 3일의 휴지기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휴지기 동안에는 평소의 습관대로 치아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중복 선택 가능).
Figure 112017093126362-pat00003
실험결과 폴리케톤은 잇몸 자극이 적어 칫솔모 소재로서 적합한 반면에, PBT 및 PES는 잇몸 자극이 커서 칫솔모 소재로 적당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폴리케톤 및 나일론의 소재별 관능평가
직경이 1.6 mm인 홀이 32개 형성된 동일한 칫솔대에 각각 직경이 5 M(0.127 mm)인 나일론 칫솔모와 폴리케톤 칫솔모를 식모하여 실험용 칫솔을 제작하였다. 해당 칫솔을 각각 20~40대 여성 20명과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7일씩 사용하고 비교하도록 하였다. 새로운 칫솔을 사용하기에 앞서 중간에 3일의 휴지기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휴지기 동안에는 평소의 습관대로 치아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설문은 칫솔의 탄력성과 세정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질문들로 구성하였으며, 각각 5점 척도로(만족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 평가하도록 하였다.
Figure 112017093126362-pat00004
실험결과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는 탄성이 뛰어나 치아 표면 및 치간 세정력이 나일론 소재 칫솔모 보다 훨씬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칫솔모 직경에 따른 프라그 제거 효과 측정
직경이 가는 칫솔모를 적용한 칫솔일수록 치간 세정력이 더 우수하지만, 직경이 가는 칫솔모, 특히 종래에 가장 많이 적용되는 나일론 모의 경우 칫솔모가 잘 끊어지거나, 탄력이 없고 쉽게 벌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일론 모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강도가 높은 폴리케톤을 적용하여 직경이 가늘어도 탄력있고 잘 벌어지지 않는 칫솔모 개발 기술을 고안하고자 하였으며, 직경이 10 mils(0.254 mm), 8 mils(0.203 mm), 7 mils(0.178 mm) 및 6 mils(0.152 mm) 인 칫솔모를 제작하여 칫솔모 직경에 따른 프라그 제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인공치면 세균막의 코팅은 악태모형의 치아부분을 착색시킨 폴리머에 10초 정도 넣었다 꺼내어 일정한 두께의 조건을 위하여 일정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는 항온 항습실(25도, 55%)에서 60분 건조 후 완전히 건조한 후 사용하였다. 여기에 직경이 10 mils, 8 mils, 7 mils 및 6 mils인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의 강모단면과 코팅된 악태모형의 협면을 수평으로 위치하여 칫솔질 행정시 최대한 덮게 하였다. 모든 칫솔에 300 g의 압력을 주었으며 각 제품마다 수직행정 30초, 수평행정 30초씩 번갈아 8회 실시하였다. 그 후 인공치면 세균막 제거 전, 후의 면적을 현미경을 통해 측정한 뒤 프라그 제거율을 퍼센트(%)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칫솔모의 직경이 10 mils(0.254 mm)로부터 6 mils(0.152 mm)로 작아질수록 치간의 프라그 제거율이 약 4.5배 이상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5. 폴리케톤 vs. 나일론 물성 비교
(1) 인장강도
칫솔모 한 가닥이 끊어지는 힘을 평가하기 위하여, 만능시험기(UTM)에 칫솔모 한 가닥의 상/하단을 1cm 간격을 두고 잡은 후 200 mm/min의 속도로 상단을 잡아 당겨 끊어질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2) 탄력손실도
브러싱(Brushing) 후 칫솔모가 벌어지는 정도 평가하기 위하여, 칫솔 Brushing 평가기에 왕복 5,000회 브러싱 후 벌어진 폭을 측정하였고, 브러싱 직후의 폴리케톤 및 나일론 칫솔모 각각의 모습을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3) 탄력성
칫솔모의 탄력(또는 부드러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걸리는 힘 측정이 가능한 와이어에 칫솔모의 1/3 지점을 걸리게 하여 힘을 측정하였다.
(4) 실험결과
상기와 같이 인장강도, 탄력손실도 및 탄력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93126362-pat00005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모 직경이 0.102 mm (4 mils)인 폴리케톤과 나일론 612의 인장강도를 평가한 결과, 폴리케톤(0.56 kgf)이 나일론(0.40 kgf) 대비 40% 향상된 인장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 직경이 0.127 mm(5 mils)인 폴리케톤과 나일론 612의 탄력손실도를 평가 결과, 폴리케톤이 나일론 대비 Brushing 직후 42%, 완전 건조 후 48.7% 향상된 값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값이 작을수록 벌어짐이 적은 것임).
또한, 모 직경이 0.127 mm(5 mils)인 폴리케톤과 나일론 612의 탄력성 평가 결과 폴리케톤이(224.9 cN)이 나일론(174.6 cN) 보다 28.8% 더 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0)

  1. 폴리케톤(polyketo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로서,
    상기 폴리케톤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Figure 112018025257925-pat00009

    상기 x:y는 1:10 내지 10:1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는 폴리케톤(polyketone)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나일론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는 항염항균제, 미백제, 시린이 완화제, 치석침착 방지제, 향미제, 구취제거제, 잇몸건강제, 충치예방제, 구강 세정제, 자일리톨, 죽염, 천일염, 제제소금, 정제염, 송염, 자염, 용융소금, 가공염 및 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는 모 끝이 침상형태인 미세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는 직경이 0.1 mm 내지 0.1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10.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
KR1020170123182A 2016-09-29 2017-09-25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191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526A KR102308925B1 (ko) 2016-09-29 2018-10-25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03 2016-09-29
KR20160125903 2016-09-29
KR1020170089694 2017-07-14
KR20170089694 2017-07-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526A Division KR102308925B1 (ko) 2016-09-29 2018-10-25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686A KR20180035686A (ko) 2018-04-06
KR101914177B1 true KR101914177B1 (ko) 2018-11-01

Family

ID=617608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182A KR101914177B1 (ko) 2016-09-29 2017-09-25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20180128526A KR102308925B1 (ko) 2016-09-29 2018-10-25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526A KR102308925B1 (ko) 2016-09-29 2018-10-25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208901A1 (ko)
EP (1) EP3520651B1 (ko)
JP (1) JP7199667B2 (ko)
KR (2) KR101914177B1 (ko)
CN (2) CN117223964A (ko)
TW (1) TWI736680B (ko)
WO (1) WO2018062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002839U1 (de) * 2017-05-30 2018-08-31 Perlon Nextrusion Monofil GmbH Polyketonfaser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102127595B1 (ko) * 2019-05-02 2020-06-29 조정희 친환경 섬유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35B1 (ko) * 2012-02-27 2013-07-03 비비씨 주식회사 내구성과 항균성 강화를 위해 제올라이트가 첨가된 블렌드 기법을 통한 칫솔모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482A (en) * 1988-04-28 1989-07-25 Shell Oil Company Blends and articles of linear alternating polyketone polymer with polyurethane polymer
DE68920622T2 (de) * 1988-04-29 1995-06-14 Shell Int Research Polyketonzusammensetzungen.
JPH1171513A (ja) * 1997-06-25 1999-03-16 Toray Ind Inc ポリケトン樹脂組成物
DE19757607A1 (de) * 1997-12-23 1999-07-01 Inventa Ag Polyamid/Polyketon-Blends
JP3824041B2 (ja) * 1998-12-04 2006-09-20 株式会社三▲しゅう▼プレシジョン 歯間清掃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54055Y1 (ko) 2001-05-21 2001-11-23 이충식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KR200251617Y1 (ko) * 2001-07-18 2001-11-17 이훈 칫솔용 항균성 이중칫솔모
DE10145275A1 (de) * 2001-09-14 2003-04-03 Coronet Werke Gmbh Monofil mit antimikrobiellen Eigenschaften, Verwendung solcher Monofile als Borstenmaterial und Bürste oder Pinsel mit diesem Borstenmaterial
EP1460097B1 (en) * 2001-12-26 2007-05-09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Polyketon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T1507825E (pt) 2002-05-30 2007-02-28 Ciba Sc Holding Ag Polipropilenos b-cristalinos
DE50306892D1 (de) * 2002-07-23 2007-05-10 Kerrhawe Sa Bürste zur zahnärztlichen Behandlung
JP2005211383A (ja) * 2004-01-30 2005-08-11 Toray Monofilament Co Ltd 歯ブラシ用ブリッスル
EP1942214B1 (en) * 2005-09-28 2010-04-21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ber and textile product comprising the same
CN101401678A (zh) * 2007-10-07 2009-04-08 周之海 双面牙刷
KR101225308B1 (ko) * 2009-11-30 2013-01-25 김응완 항균 미백 칫솔모 및 그 제조방법
CN103906450B (zh) * 2011-11-02 2016-02-17 Lg生活健康株式会社 用于保持口腔健康的牙刷毛、用于保持口腔健康的弹性部件以及包括它们的用于保持口腔健康的牙刷
CN104203498A (zh) * 2012-01-30 2014-12-10 哈尔纤维丝有限责任公司 磨料刷毛、其制造方法、具有磨料刷毛的刷子以及使用该刷子来处理工件表面的方法
KR101368490B1 (ko) * 2012-02-02 2014-03-10 비비씨 주식회사 칫솔모 및 그를 이용한 칫솔
KR101646037B1 (ko) * 2014-11-14 2016-08-12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멀티필라멘트
KR101598359B1 (ko) * 2014-10-22 2016-03-14 비비씨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칫솔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칫솔
CN105919275A (zh) * 2016-06-16 2016-09-07 朱群益 一种牙缝刷
DE202017002839U1 (de) * 2017-05-30 2018-08-31 Perlon Nextrusion Monofil GmbH Polyketonfaser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35B1 (ko) * 2012-02-27 2013-07-03 비비씨 주식회사 내구성과 항균성 강화를 위해 제올라이트가 첨가된 블렌드 기법을 통한 칫솔모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791A1 (ko) 2018-04-05
TW201819462A (zh) 2018-06-01
KR20180035686A (ko) 2018-04-06
JP2019530497A (ja) 2019-10-24
CN117223964A (zh) 2023-12-15
KR20180118591A (ko) 2018-10-31
EP3520651A1 (en) 2019-08-07
EP3520651B1 (en) 2024-01-10
US20190208901A1 (en) 2019-07-11
KR102308925B1 (ko) 2021-10-05
JP7199667B2 (ja) 2023-01-06
EP3520651A4 (en) 2020-04-08
CN109715009A (zh) 2019-05-03
TWI736680B (zh) 2021-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57691C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head
TWI513431B (zh) Toothbrush with the core of the composite wire and the use of its toothbrush
AU743701B2 (en) Toothbrush with fins
US5802656A (en) Toothbrush with flexibly mounted bristles
BR112019019498A2 (pt) cabeça para um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a dita cabeça
AU2008355999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tissue cleanser
EP0843524A1 (en) Toothbrush having extended bristles
KR20160132334A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AU2008267192A1 (en) Toothbrush with long tapered bristles and short non-tapered bristles
KR101914177B1 (ko)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1383667B1 (ko) 이중구조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칫솔
JP2011125583A (ja) 歯ブラシ用毛材および歯ブラシ
WO2002094058A1 (en) Polyurethane bristles
KR20190048210A (ko) 탄력성 복수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CN110213979B (zh) 牙刷
JP4374408B2 (ja) 歯ブラシ用毛材および歯ブラシ
KR100416418B1 (ko) 고밀도 식모부를 갖는 칫솔
JP2008154724A (ja) 歯ブラシ用毛材および歯ブラシ
KR20040017533A (ko) 개량형 칫솔
JP2002159344A (ja) 歯ブラシ用ブリッスル
JP2021104314A (ja) 歯ブラシ
KR100419402B1 (ko) 잇몸 맛사지기능을 갖는 칫솔
JP2012228304A (ja) 歯ブラシ用毛材および歯ブラシ
KR20090121705A (ko) 칫솔의 헤드 구조
JP2013226172A (ja) 歯ブラシ用毛材および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