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705A - 칫솔의 헤드 구조 - Google Patents

칫솔의 헤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705A
KR20090121705A KR1020080047734A KR20080047734A KR20090121705A KR 20090121705 A KR20090121705 A KR 20090121705A KR 1020080047734 A KR1020080047734 A KR 1020080047734A KR 20080047734 A KR20080047734 A KR 20080047734A KR 20090121705 A KR20090121705 A KR 20090121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head
toothbrush
bristle
toothbrush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이경섭
안재현
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4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1705A/ko
Publication of KR2009012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의 헤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칫솔모가 고밀도로 식모되어 프라그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칫솔모의 끝단부가 테이퍼지기 때문에 치간부와 치은열구의 프라그가 효과적으로 세정될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헤드 구조는, 식모홀 사이의 헤드 폭방향 간격(a)이 0.1mm 이상 0.6mm 이하이고, 식모홀에 심겨지는 칫솔모는 그 끝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며, 칫솔모의 직경은 0.0762mm 이상 0.1524mm 이하이다.
칫솔, 칫솔모, 치간부, 치은열구, 치아, 잇몸, 프라그, 세정

Description

칫솔의 헤드 구조{Structure of toothbrush head}
본 발명은 칫솔의 헤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칫솔모가 고밀도로 식모되어 프라그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칫솔모의 끝단부가 테이퍼지기 때문에 치간부와 치은열구의 프라그가 효과적으로 세정될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위해서는 치아, 치아와 치아 사이(치간부), 치아와 잇몸 사이(치은열구) 등 모든 영역으로까지 칫솔모가 도달하여야 하고, 잇몸 자극을 줄이기 위하여 칫솔모가 적당한 정도로 부드러워야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칫솔의 헤드(10)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식모홀(11)이 형성되고, 식모홀(11)에는 칫솔모(미도시)가 심겨진다.
통상적인 칫솔모는 끝단부가 둥글게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칫솔모는 치아의 각 부분에 대하여 똑같은 세정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효과적인 칫솔질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칫솔모가 고밀도로 식모되어 있기 때문에 치면 등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칫솔모의 끝단부가 테이퍼지기 때문에 치간부와 치은열구 등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헤드 구조는, 식모홀 사이의 헤드 폭방향 간격(a)이 0.1mm 이상 0.6mm 이하이고, 식모홀에 심겨지는 칫솔모는 그 끝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다.
바람직하게, 칫솔모의 직경은 0.0762mm 이상 0.1524m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식모홀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식모홀은 가로가 1mm 이상이고 2mm 이하이며, 세로가 1mm 이상이고 2mm 이하인 사각형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서, 칫솔모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칫솔 헤드의 구조는 칫솔모가 고밀도로 식모되어 있기 때문에 치면 등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칫솔모의 끝단부가 테이퍼지기 때문에 치간부와 치은열구 등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 헤드의 구조는 치아 세정 효과, 잇몸 맛사지 효과 등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아서 사용성에 대한 소비자 평가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칫솔모의 모벌어짐성(칫솔모의 내구성)에 대한 물리적인 평가에 있어서도 기존의 칫솔보다 훨씬 우수하고, 칫솔질시 치아의 프라그 제거 효과도 기존의 칫솔보다 우수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헤드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헤드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 구조(100)는 식모홀(20)과, 식모홀(20)에 심겨진 칫솔모(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헤드는 손잡이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식모홀(20)과 칫솔모(30)를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식모홀(20)은 종래의 칫솔 헤드(도 1의 10)의 식모홀(11)보다 고밀도로 형성 된다. 바람직하게, 식모홀(20)의 헤드 폭방향 간격(a)은 0.1mm 이상 0.6mm 이하이다. 이와 같이, 식모홀(20)이 고밀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식모홀(20)에 심겨진 칫솔모(30)도 고밀도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칫솔모(30)가 고밀도로 설치되면 칫솔이 치면에 대하여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치면의 세정에 효과적이고, 우수한 연마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치면의 프라그 제거에 효과적이며, 칫솔모(30)의 벌어짐 개선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칫솔모(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식모홀(20)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구조를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로가 1mm 이상이고 2mm 이하이며, 세로가 1mm 이상이고 2mm 이하인 사각형의 구조를 가진다.
한편, 헤드는 플라스틱 재질인 PP(폴리 프로필렌), PETG(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S(아크릴로나이트릴스틸렌), CP(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ABS(아크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칫솔모(30)는 끝단부가 테이퍼지는데, 도 4a와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쪽 끝단부가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는 도 4a의 칫솔모(30)를 식모홀(20)에 심기 위하여 가운데를 절곡시킨 칫솔모(30)이다. 양쪽 끝단부가 테이퍼진 칫솔모(30)는 와이어(wire)와 같은 앵커(anchor)에 의하여 스태플링(stapling) 방법으로 식모홀(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칫솔모는 한쪽 끝단부만이 테이퍼지고 다른 쪽 끝단부는 테이퍼지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칫솔모는 와이어(wire)와 같은 앵커(anchor)에 의하여 스 태플링(stapling) 방법으로 식모홀(20)에 설치되거나, 혹은 AFT(anchor-free tufting) 방법에 의하여 식모홀(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태플링(stapling) 방법이나 AFT 방법은 칫솔모를 식모홀(20)에 설치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칫솔모(30)는 일반적인 칫솔모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미세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칫솔모(30)는 0.0762mm(3mils) 이상 0.1524mm(6mils)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미세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 구조(100)는 일반적인 칫솔모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미세모이기 때문에 부드러운 사용감과 적절한 잇몸 맛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칫솔모(30)의 끝단부가 테이퍼지기 때문에 치간부의 프라그와 치은열구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칫솔모(30)는 합성수지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본 발명의 헤드 구조(100)와 일반적인 칫솔의 헤드를 서로 비교해 보기로 한다. 상기 비교를 위하여 사용성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실험과, 칫솔모의 모벌어짐에 대한 평가실험과, 칫솔모의 프라그 제거 효과에 대한 평가실험을 각각 실시하였다.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는 미세모인 칫솔모(30)와, 고밀도로 배치된 사각형의 식모홀(20)을 포함하는 헤드 구조(10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모는 일반적인 칫솔모보다 작은 직경(즉, 직경이 0.0762mm 이상 0.1524mm 이하)을 가지고 끝단부가 테이퍼진다. 또한, 비교예 1은 일반적인 칫솔모가 사각형의 식모홀(20)에 설치된 칫솔 헤드이고, 비교예 2는 일반적인 칫솔모가 원형홀(11)에 설치된 칫솔 헤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칫솔모는 끝단부가 둥글게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칫솔모 미세모(30) 일반모 일반모
식모홀 구조 고밀도로 배치된 사각홀(20) 고밀도로 배치된 사각홀(20) 기존의 원형홀(11)
식모홀의 간격 (a) 0.1mm 이상 0.6mm 이하 0.1mm 이상 0.6mm 이하 0.9mm
1. 사용성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실험
사용성에 대한 평가 실험은 실시예와 비교예 1,2로 만들어진 칫솔을 30명의 패널 리스트가 일정 기간(15일)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그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여 이루어진다. 아래의 표 2는 5점 비교법으로 평가된 값을 평균한 것이다.
평가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치아 세정 효과 4.0 3.5 3.0
양치 후 세정감 3.8 3.2 3.3
잇몸 맛사지 효과 3.8 3.6 3.5
전반적인 만족도 3.9 3.5 3.2
표 2에서 각 점수별 평가기준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점수 5 4 3 2 1
평가기준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불량 매우 불량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헤드 구조(100)는 비교예 1,2의 칫솔헤드에 비하여 치아 세정효과, 양치 후 세정감, 잇몸 맛사지 효과 등의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칫솔모의 모벌어짐에 대한 비교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 1,2의 칫솔모를 실물확대 측정기기(profile projector)로 측정한 후 500g의 하중이 걸리도록 고안된 자동 칫솔질 장치에 칫솔들을 장착하고, 상기 칫솔들을 사람의 치아와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진 스테인레스 판 위에 올려놓는다. 이어서, 치약과 물을 2:1로 섞은 치약 슬러리 용액을 주입하고 5000회 자동 왕복 운동을 실시하여 칫솔모 끝이 500g의 하중을 받으면서 스테인레스 판과 마찰되도록 한다.
왕복 운동이 끝난 칫솔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상기 왕복운동으로 인하여 벌어진 칫솔모의 폭을 실물확대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아래의 식에 의하여 칫솔모의 모벌어짐을 비교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모벌어짐(%)(헤드의 전단부)=(시험후 칫솔모 폭 - 시험전 칫솔모 폭)/(시험전 칫솔모 폭)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모벌어짐(%) 20.1±0.3 23.7±0.5 32.2±0.4
모벌어짐(%)은 수치가 작을수록 모가 작게 벌어진 것을 나타내다. 실시예는 모벌어짐이 20.1% 정도로서 비교예 1,2의 모벌어짐보다 작기 때문에 칫솔모의 내구성에 있어서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3. 프라그 제거효과에 대한 평가 실험
실시예와 비교예 1,2로 제조된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질을 하였을 때 치면 프라그 지수(plaque index) 감소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30명의 임상 대상자를 선정하여 각각 10명씩 실시예와 비교예 1,2로 제조된 칫솔을 일정기간(30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실험 시작일(0일)을 기준으로 하여 14일 후와 30일 후의 프라그 지수(plaque index) 감소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감소율(%)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14일 후 6.3±0.3 4.2±0.4 1.7±0.3
30일 후 15.7±0.2 8.8±0.3 3.6±0.2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2의 칫솔은 30일 후 치면의 프라그 지수 감소율이 8.8%, 3.6%로 나타난 반면, 실시예로 제조된 칫솔은 15.7%로 프라그 제거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의 헤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헤드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헤드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와 도 4b는 도 2의 헤드에 심겨지는 칫솔모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20 : 식모홀 30 : 칫솔모
100 : 칫솔의 헤드 구조

Claims (5)

  1. 식모홀 사이의 헤드 폭방향 간격(a)이 0.1mm 이상 0.6mm 이하이고, 식모홀에 심겨지는 칫솔모는 그 끝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칫솔모의 직경은 0.0762mm 이상 0.1524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모홀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의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모홀은,
    가로가 1mm 이상이고 2mm 이하이며 세로가 1mm 이상이고 2mm 이하인 사각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의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칫솔모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의 구조.
KR1020080047734A 2008-05-22 2008-05-22 칫솔의 헤드 구조 KR20090121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734A KR20090121705A (ko) 2008-05-22 2008-05-22 칫솔의 헤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734A KR20090121705A (ko) 2008-05-22 2008-05-22 칫솔의 헤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705A true KR20090121705A (ko) 2009-11-26

Family

ID=4160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734A KR20090121705A (ko) 2008-05-22 2008-05-22 칫솔의 헤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17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336A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336A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1060B2 (en)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CA3057693C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head
US10694839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head
US10687611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head
JP3145213B2 (ja) 歯刷子
KR20170003695U (ko) 칫솔
US20020004964A1 (en) Toothbrush with individually embedded bristles
KR20170062779A (ko) 칫솔
KR20160125725A (ko) 칫솔
JP5168836B2 (ja) 歯ブラシ
KR20090121705A (ko) 칫솔의 헤드 구조
KR101937739B1 (ko) 칫솔
KR20190004828A (ko) 칫솔
KR20040017533A (ko) 개량형 칫솔
KR100416418B1 (ko) 고밀도 식모부를 갖는 칫솔
JPH0956474A (ja) 歯ブラシ
JP2003009949A (ja) 歯ブラシ
JP2001169828A (ja) 歯ブラシ
JPH06154U (ja) 歯刷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29

Effective date: 201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