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055Y1 -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 Google Patents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055Y1
KR200254055Y1 KR2020010014823U KR20010014823U KR200254055Y1 KR 200254055 Y1 KR200254055 Y1 KR 200254055Y1 KR 2020010014823 U KR2020010014823 U KR 2020010014823U KR 20010014823 U KR20010014823 U KR 20010014823U KR 200254055 Y1 KR200254055 Y1 KR 200254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pine needle
pine
bristle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식
Original Assignee
이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식 filed Critical 이충식
Priority to KR2020010014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055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의 일측에 구비된 칫솔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솔잎 분말이 첨가 혼합된 솔잎 원사의 칫솔모를 칫솔 자루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자가 양치질을 할 때 솔잎 칫솔모로부터 솔잎 향기가 발생하여 입안을 상큼하게 함은 물론 솔잎 가루에 의해 치아 표면과 잇몸에 향균, 및 조습 탈취 정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다발적 극세 섬유인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16)에 응지에서 건조시킨 솔잎을 10미크론 이내로 파쇄된 0.4~0.5%의 솔잎 분말(14)을 혼합 성형하여서 된 칫솔모(12)를 칫솔 자루(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18) 내측에 다수군으로 이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이다.

Description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TOOTHBRUSH WITH TUFTS BEING COMPOSED OF THE POWDER OF PINE NEEDLE}
본 고안은 칫솔의 일측에 구비된 칫솔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솔잎 분말이 첨가 혼합된 솔잎 원사의 칫솔모를 칫솔 자루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자가 양치질을 할 때 솔잎 칫솔모로부터 솔잎 향기가 발생하여 입안을 상큼하게 함은 물론 솔잎 가루에 의해 치아 표면과 잇몸에 향균, 및 조습 탈취 정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치질에 사용되는 칫솔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널리 공지 공용화된 바와 같이 손으로 잡도록 성형된 칫솔 자루(100)와 칫솔 자루의 일측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수지재(102)의 칫솔모(104)가 다수군으로 이식되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 칫솔모(104)는 일정한 강도와 탄성을 갖고 있어야 함은 물론 양치되는 부분인 치아를 따라 양치가 되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모든 칫솔에 구비된 칫솔모(104)는 단순히 치아를 닦도록 하는 기능밖에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치아의 표면에 물리적 힘만을 가하게 되어져 이물질이나 치석 또는 흡연자의 치아에 흡착된 니코틴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치아 표면에 칫솔모를 접촉시킨 후 상당한 압력을 가해 닦지 않으면 안되며 이러한 물리적 힘으로 인해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양치중이거나 보관 중 세균 등이 칫솔모에 생성되어져 사용자가 각종 세균으로부터 감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세균에 의해 치아와 잇몸 또는 입안이 헐거나 상처가 생기게 되면 질환을 악화 또는 유발하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첨가제로서 고가의 항균제를 첨가하여서 제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치약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많은 거품으로 인해 사용도중 완전한 양치가 이루지지지 못한 상태에서 치약을 뱉어내야만 되므로 제대로 된 양치를 하지 못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며, 무리한 하중과 건조 및 습함에 따른 피로함으로 쉽게칫솔모가 변형되어 교체시기가 빠른 단점이 있으며, 이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해서 역시 고가의 혼합제 등을 첨가한 제품을 수입하여야만 하는 것으로 제조원가의 상승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에 응용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솔잎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나무는 피너스(Pinus)속으로 세계에 약 80-90종이 있으나 이들중 피. 팔루스트리스 밀러(P. palustris Miller : 북미),피.피나스터에이톤(P. pinaster Aiton : 프랑스), 피.실베스트리스(P. sylvestris L. : 유럽전역), 피. 라리시드 포이렛(P. laricid Poiret : 오스트리아), 피, 론기폴리아 룩스버그(P. longifolia Rocvurgh : 인도), 피.덴시플로라 시드(P.densiflora Sied. et Zucc. : 한국, 일본), 피. 던베리팔라토레(P. thunberii Palatore : 해송, 일본)등에서 채취한 테르펜등이 주로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솔잎의 주요성분은 터펜틴 오일(Terpentine oil), 시네올(Cineole), 살리니그린(Salinigrin), 코니페린(Coniferin), 피-사이멘(P-Cymen), 덴시피마릭산(Densipimaric acid), 레텐(Retene)등과 엽록소, 단백질, 노지방, 인, 철분, 효소, 미네랄, 지용성 비타민 에이 및 비타민 C등도 함유되어 있으며, 솔잎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성분은 종과 채취한 계절에 따라서다소 차이가 있다.
피. 피나스터 에이톤(프)의 잎과 여러가지(Twings)에서 스팀증류로 추출한 솔잎정유(Pine Needle Oil)의 주요성분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s)이 50-60%이며,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이 20-30%이다. 모노테프펜중에는 알파-피넨(α-Pinene (38.32%))과 베타-피넨(β-pinene (28.14%))이 50% 이상을 하며, 카렌(Carene), 베타-미르센(β-Myrcene), 리모넨(Limonene)등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피너스 덴시플로리아(Pinus densifloria Sieb. et Zucc.)의 잎(Needle)에서 얻은 솔잎정유에는 알파-피넨(α-Pinene(35.7%)) 베타-피넨(β-Pinene (5%)) 베타-미르센(β-Mycene(18.8%)) 베타-펠란드렌(β-phellandrene(12.7%)), 디펜텐(dipentene (5.4%)), 캄펜(Germacrene (3.6%)), 베타-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5.93%)), 져마크렌 디(GernacreneD(2.31%))등이 함유되어 있다.
파인오일(Pine oil)은 주로 북미에서 자라는 팔루스트리스(Palustris)등의 나무에서 추출하는 것으로 이의 추출방법은 목재를 스팀 처리할때 나무의 내부에 있는 유용성 성분들이 분리되어 나오는데 이를 다시 진공 분별 증류하여 얻은 정류이다. 이의 주요 성분들은 세스 퀴테르펜 알코올(sesquiterpene alcdhdls), 케톤류(kerones), 테르피네올(terpineol), 펜실알코올(fenchyl alcohols), 보르네올(borneol), 펜콘(fenchon) 및 에스트라골(edtragole)등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같이 각 종에 따라서 또는 채취하는 부위에 따라서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각각 차이가 있으나 솔잎의 주요성분은 테르펜계 중에서도 알파 피넨이다.
소나무의 각 종에 따라서 솔잎정유의 향취가 각각 차이가 있으나 모두 삼림욕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물질이 된다.
솔잎의 인체에 대한 효능 효과는 민간요법등으로 오래전부터 전래되어 오고 있으며 이들중에서는 동상 및 피부의 타박상부위에 대해서 응혈된 피부를 빨리 원상으로 회복 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습진, 옴 및 땀띠 등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솔잎을 사용하여 모발이 희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명의별록) [목초강목]에는 부스럼 모발 내장을 튼튼하게 하여주고 수명을 연장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소취효과, 불면증 치유효과 피부 미용효과 등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솔잎 분말이 첨가 혼합된 솔잎 원사의 칫솔모를 칫솔 자루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자가 양치질을 할 때 솔잎 칫솔모로부터 솔잎 향기가 발생하여 입안을 상큼하게 함은 물론 솔잎 가루에 의해 치아 표면과 잇몸에 향균, 및 조습 탈취 정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발적 극세 섬유인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원사에 응지에서 건조시킨 솔잎을 10미크론 이내로 파쇄된 0.4~0.5%의 솔잎 분말을 혼합 성형하여서 된 칫솔모를 칫솔 자루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 내측에 다수군으로 이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제공함으로서 솔잎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효능을 칫솔모에 응용하여 향균성과 조습, 탈취그리고 정화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칫솔모에서 발생하는 세균 및 이물질 등을 확실하게 분해 제거하며 구강내의 상처나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칫솔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칫솔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칫솔 자루
(12) : 칫솔모
(14) : 솔잎 가루
(16) : pbt 원사
(18) : 홈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칫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다발적 극세 섬유인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16)에 응지에서 건조시킨 솔잎을 10미크론 이내로 파쇄된 0.4~0.5%의 솔잎 분말(14)을 혼합 성형하여서 된 칫솔모(12)를 칫솔 자루(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18) 내측에 다수군으로 이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응지에서 건조된 솔잎을 10미크론 이내의 가루로 분쇄하고, 수지재이면서 다발적 극세 섬유인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원사(16)에 0.4~0.5%의 솔잎 가루(14)인 분말을 혼합 성형하여 칫솔모(12)를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칫솔모(12)를 성형하는 수지재는 다발적 극세 섬유인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원사(16)를 비롯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실리콘 등을 원료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칫솔모(12)에 혼합 성형되는 솔잎 가루(14)는 미세하게 분쇄되어지며 10 미크론 이내의 아주 고운 분말 가루로 성형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미세한 분말 가루로 솔잎 가루(14)를 혼합하는 이유는 다발적 극세 섬유인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16)와 혼합이 용이해야할 뿐만 아니라 성형된 칫솔모(12)가 큰 입자의 솔잎 가루(14)에 의해 부러지거나 탄성을 잃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솔잎 가루(14)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12)를 칫솔 자루(10)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홈(18)에 다수군으로 이식함으로 치아의 표면에 칫솔모의 물리적 작용뿐만 아니라 솔잎에 의한 향균, 조습, 탈취, 정화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치아와 잇몸의 이물질 등과 니코틴이나 치석 등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특히 세균에 의해 치아와 잇몸 또는 입안이 헐거나 상처가 있을 경우 향균 및 정화 그리고 입냄새 등을 솔잎에 포함된 테레빈, 탄니, 아피에긴산 및 긴산 등으로 인해 치아 표면에 낀 니코틴을 독을 없애고, 입안에 솔잎 향을 발산하게 하여 향긋한 냄새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변형예, 응용예 및 법적 해석)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로 제작된 칫솔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면 니코틴이나 치석을 제거함은 물론 칫솔질을 한 후에 입안에 솔잎 향기가 가득차서 상쾌함을 제공하고, 솔잎에 포함된 여러 가지의 기능으로 인해 입안을 청결하게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발적 극세 섬유인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16)에 응지에서 건조시킨 솔잎을 10미크론 이내로 파쇄된 0.4~0.5%의 솔잎 분말(14)을 혼합 성형하여서 된 칫솔모(12)를 칫솔 자루(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18) 내측에 다수군으로 이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KR2020010014823U 2001-05-21 2001-05-21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KR200254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23U KR200254055Y1 (ko) 2001-05-21 2001-05-21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23U KR200254055Y1 (ko) 2001-05-21 2001-05-21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055Y1 true KR200254055Y1 (ko) 2001-11-23

Family

ID=7306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823U KR200254055Y1 (ko) 2001-05-21 2001-05-21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0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99B1 (ko) 2008-06-03 2010-03-02 주식회사 돌나라한농제약 보리새싹 성분을 칫솔모에 포함시켜 제공되는 칫솔
KR20180118591A (ko) 2016-09-29 2018-10-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99B1 (ko) 2008-06-03 2010-03-02 주식회사 돌나라한농제약 보리새싹 성분을 칫솔모에 포함시켜 제공되는 칫솔
KR20180118591A (ko) 2016-09-29 2018-10-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케톤 소재 칫솔모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136A (en) Dental implement for removing plaque and massaging gums
KR101391545B1 (ko)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
EP0758869B1 (en) Finger glove comprising areas prepared for oral hygiene
RU2713977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нить для применения с дан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WO2007092823A2 (en) Sialagogue coatings for interproximal devices
CA2360516A1 (en) Cleaning element, especially for cleaning teeth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60280700A1 (en) Oral hygiene system to fight the effects of aging on the mouth, gums, and teeth
JP6343562B2 (ja) 口腔健康用歯ブラシ用毛、口腔健康用弾性部材、及びそれを含む口腔健康用歯ブラシ
KR100796574B1 (ko) 솔잎가루와 항균성분이 함유된 칫솔 제조방법 및 그 칫솔
Sagar Role of natural toothbrushes in containing oral microbial flora-a review
KR100352452B1 (ko) 숯분말을 혼합 성형한 칫솔모를 갖는 칫솔
Winarni et al. Miswak: The underutilized device and future challenges
KR200254055Y1 (ko) 솔잎 가루가 혼합 성형된 칫솔모를 갖는 칫솔
KR100953868B1 (ko) 송염 성분을 함유한 칫솔모를 갖는 칫솔 제조방법
GB1592513A (en) Multipurpose tooth cleaner
JP2007089985A (ja) 毛材中にゲルマニウムを含有してなるブラシ
RU2533226C1 (ru) Влажная гигиеническая салфетка для ухода за ротовой полостью и зубами
CN1670166A (zh) 牡丹皮洗涤制品
US20190001164A1 (en) Method for administering improved hygiene services and botanical and biomimetic treatment of dental and periodontal conditions
KR20110128516A (ko) 천연생약성분과 죽염, 자일리톨, 천연계면활성제(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를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한방치약조성물
KR101175656B1 (ko) 한방 방향제 조성물
KR20050040879A (ko) 일회용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39512B1 (ko) 손가락에 착용하는 칫솔
KR101770499B1 (ko) 양치용 브러시 껌
KR20010044454A (ko) 미나리 성분이 함유된 화장 비누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