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687B1 -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687B1
KR101913687B1 KR1020170067535A KR20170067535A KR101913687B1 KR 101913687 B1 KR101913687 B1 KR 101913687B1 KR 1020170067535 A KR1020170067535 A KR 1020170067535A KR 20170067535 A KR20170067535 A KR 20170067535A KR 101913687 B1 KR101913687 B1 KR 10191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re
glass
mesh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석
Original Assignee
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윤석 filed Critical 한윤석
Priority to KR102017006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G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KNOT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G1/00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 D04G1/02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in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 상면을 따라 돌출된 고정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놓여지는 고정틀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고정틀부의 길이방향과 너비방향으로 이동할 때, 유출된 와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축으로 회전되어 각각 고정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틀부의 중공된 내부에 특정한 배열을 갖는 그물망을 형성함으로써, 철사망을 대신하는 실의 특성을 적극활용할 수 있는 유리 그물망 제조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사망을 대체하는 실을 단선 없이 격자화하여 배열함으로써, 망입 유리를 제작하는 생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제작의 간편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을 단선 없이 사용하여 그물망을 제작함으로써, 격자화된 실의 간격 및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작되는 그물망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Equipment of manufacturing mesh for wired glass}
본 발명은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강한 강성을 갖는 반면 취성은 취약한 특성으로 인해,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파괴되는 특성이 있으며, 조각난 파편이 비산하여 주변의 인적, 물적 손실을 야기한다. 이에, 근래에 유리 파손시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는 망입 유리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망입 유리는 유리액을 롤러로 제판하며 그 내부에 금속망을 삽입하고 압착 성형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으로, 내부에 삽입된 금속망으로 인해 내충격성이 증가하고, 파편의 비산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도난 방지, 화재 방지와 같은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망입 유리는 일본에서 제조되어 국내로 수입됨으로써, 수입 물량의 확보나 비용의 절감 부분에서 큰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1227호 (공고일: 2016년04월11일, 대광특수유리공업(주)), 발명의 명칭: 망입유리 제조방법』에는 안전성과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하는 망입 유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기술은 접합층을 마련하여 접합층 내부에 철사망을 수용한 채로 복수의 유리를 접합하여 제작되는 망입 유리에 대한 기술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0897호 (공고일: 2016년09월28일, 윤지원), 발명의 명칭: 장식 무늬층을 갖는 접합유리의 그 제조방법』에는 내부에 철사망 대신 실을 사용하여 망입 유리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상술한 기술에 비해 내충격성은 제약되나, 유리 본연의 기능인 시야 확보 기능과 인테리어적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두 번째 기술은 철사망 대신 실을 사용하여 제작할 때, 그물망의 제작 방법을 철사망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철사의 특성과 차별화된 실만의 특성을 시의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철사 그물망과 대비해 생산 시간과 생산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그물망을 형성하는 실을 가닥가닥 수작업으로 설치함으로써, 그물망의 배열 또는 장력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없는 문제 또한 안고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1227호 (공고일: 2016년04월11일), 발명의 명칭: 망입유리 제조방법』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0897호 (공고일: 2016년09월28일, 윤지원), 발명의 명칭: 장식 무늬층을 갖는 접합유리의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물망을 제작함에 있어, 철사망을 대신하는 실의 특성을 적극활용할 수 있는 유리 그물망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 상면을 따라 돌출된 고정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놓여지는 고정틀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고정틀부의 길이방향과 너비방향으로 이동할 때, 유출된 와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축으로 회전되어 각각 고정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틀부의 중공된 내부에 특정한 배열을 갖는 그물망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합성 수지 또는 섬유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름모 형상의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배열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유출부는, 상기 유출되는 와이어가 기설치되어 상기 고정지지되는 와이어에 간섭받지 않도록, 상기 고정돌기에 근접할 때 상기 와이어가 하강한 상태로 유출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돌기에서 이격될 때 상기 와이어가 상승한 상태로 유출되도록 하는 와이어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전류의 공급에 따라 자력을 형성하여 자성체로 마련되는 상기 고정틀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틀부와 접하는 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자력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고정틀부의 너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자력을 형성함으로써, 너비가 변화되어 설치되는 상기 고정틀부의 규격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틀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변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고정부 또는 상기 가변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수용되어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고정틀부와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기 자성체의 고정틀부에 미치는 자력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틀부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철사망을 대체하는 실을 단선 없이 격자화하여 배열함으로써, 망입 유리를 제작하는 생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제작의 간편함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실을 단선 없이 사용하여 그물망을 제작함으로써, 격자화된 실의 간격 및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작되는 그물망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셋째, 와이어 실패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색상의 그물망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특허문헌 0002에 개시된 실로 그물망을 형성한 망입 유리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유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틀부와 자력고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망입 유리의 제작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특허문헌 0002에 개시된 실로 그물망을 형성한 망입 유리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판유리(10)의 가장자리에 고정 프레임(50)을 양면 테이프(11)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이때, 고정 프레임(50)의 상면에는 실(31)이 끼워지기 위한 홈(5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되 판유리(1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홈(51)과 이웃하는 고정 프레임(50)의 홈(51)에 억지끼움하는 방식으로 격자 형태의 그물망을 형성하고, 실(31)이 다시 느슨해지지 않도록 실(31)의 단부(31a)에 매듭을 적용하거나, 스테플러 등을 이용하여 실(31)의 단부(31a)를 고정 프레임(50)에 고정한다.
그리고, 접합필름이 부착된 또 하나의 판유리(10)를 상기 판유리(10)에 적층한 후, 진공 압착 과정과 가열 과정을 거쳐 망입 유리를 제작한다.
종래의 망입 유리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실로 그물망을 제작하나 실제 철사망으로 제작하는 과정과 하등의 차이가 없이 제작됨으로써, 실의 단선으로 인해, 그물망의 장력의 불균일함은 물론, 제작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그물망 제작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100)는 실의 단선 과정을 배제하여 그물망을 설치하는 것으로, 크게 베이스부(110), 이동부(120), 와이어유출부(130), 고정틀부(140), 자력고정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은 와이어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와이어는 섬유 또는 강선 등을 여러 가닥 꼬아서 만든 튼튼한 밧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은 단순한 섬유 재질의 실일 수도 있으나, 강선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의 실일 수도 있다.
베이스부(110)는 작업자의 작업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의 선반으로, 상면은 작업체를 수용하기 위한 적정한 크기의 평탄한 구조로 마련되며, 내부에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100)에 제공되는 전기 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외주를 따라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한 안전 Bar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을 위해 바퀴 또는 레일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부(120)는 베이스부(110) 중심에서 그물망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부(110)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며, 그물망을 구성하는 와이어를 베이스부(110) 상면 전체로 이송하기 위해,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수평 이동축(121), 수직 이동축(122) 및 이동본체(123)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이동축(122)은 베이스부(110)의 너비방향의 양단에,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된 구조로 연장형성되어 와이어유출부(130)의 길이방향의 경로를 안내한다.
수평 이동축(121)은 양단이 수직 이동축(122)에 결합되도록 연장형성되어,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와이어유출부(130)의 너비방향의 경로를 안내한다.
이동본체(123)는 수평 이동축(121)에 안착되어 수평 이동축(121)을 따라 베이스부(110)의 너비방향을 왕복 이동하며, 상면에 와이어유출부(130)를 수용한다.
상술한 이동부(120)의 구성은 서보모터, 감속기, 볼스크류 또는 와이어, 안내 레일 등으로 구성된 구동 액츄에이터로써, 익히 알려진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기능과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는 이동을 위한 벨트와 풀리, 랙과 피니언 또는 여러 형상의 링크 구조를 비롯한 적절한 공지 구성요소들을 적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와이어유출부(130)는 그물망을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를 수용하고 이동부(120)의 왕복 이동 시, 고정틀부(140)를 따라 와이어가 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술한 이동본체(123) 상면에 안착되어 수평 이동축(121)과 수직 이동축(122)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와이어유출부(13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될 도 5에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틀부(140)는 와이어의 격자 형태를 형성할 때, 와이어가 걸리는 각각의 고정 지지점을 형성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놓여지되, 유리의 외주 형상과 대응되게 유리면을 감싸는 구조로 마련되며, 높이는 유리면의 높이보다 조금 높게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틀부(140)의 구성에는 고정돌기(141) 및 탈착홈(142)의 구성이 부가된다.
고정돌기(141)는 고정틀부(140)의 돌출되어 일정 높이를 형성하는 구조로 마련되며, 고정틀부(140)의 상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되,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돌기(141)는 볼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정틀부(140)와 용이하게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나사의 머리 부분의 형상을 통해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한다.
탈착홈(142)은 고정틀부(14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내부로 인입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베이스부(110)로부터 고정틀부(14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자력고정부(150)는 전류의 공급에 따라 자력이 형성되는 전자석 형태의 고정부재로, 자성체의 고정틀부(140)를 자력을 통해 고정시킨다. 이때, 자력고정부(150)의 전자석은 고정틀부(140)의 저면이 맞닿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틀부(140)의 규격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가변조절부(151)의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틀부(140)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가열 과정에서의 열 특성 및 자력에 의한 고정 효과를 얻기 위해 자성체의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조절부(151)는 고정틀부(140)의 너비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고정틀부(140)의 규격 변화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틀부(140)의 규격 변화에 따라 고정틀부(140)의 길이방향의 일면에는 자력고정부(150)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가변조절부(151)를 복수 배열로 설치하여 고정틀부(140)의 길이방향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조절부(151)가 설치되는 자력고정부(150)의 일면과 대칭되는 타면 방향의 고정틀부(140)는 베이스부(110)에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미도시)에 안착되어 걸림턱을 기준으로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틀부(140)와 자력고정부(150)의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될 도 6에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안전 Bar의 맞은 편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100)를 가동할 때, 이동부(120)의 이동 범위, 이동 속도, 동작 경로를 포함하는 이동부(120)의 작동 및 동작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유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유출부(130)는 철사망을 대신하는 와이어(실)를 이동부(120)의 왕복 이동에 맞춰 풀어내어 주는 것으로, 와이어 수용체(131), 유출 가이드(132), 유출부 본체(133), 유출 롤러(134), 및 와이어 승강유닛(135)의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섬유 재질의 실을 상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한다. 실(絲, yarn)은 그 자체의 특성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하여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비정형의 가늘고 긴 물체를 말하며, 그물망이 형성된 유리의 강성, 내충격성 등을 보강하고, 유리 파편이 비산되는 하중을 견디기 위한 강성, 내충격성, 변형성 등을 고려하여 실의 종류나 두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는 금사(金絲), 은사(銀絲) 등과 같이 다양한 색상의 실로 구성되거나 반짝이 등의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어 디자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와이어 수용체(131)는 상부 개방형 단면을 갖는 수납합으로 와이어를 감은 실패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며, 고정블럭(131a) 및 안착블럭(131b)의 구성을 포함한다.
고정블럭(131a)은 고정블럭(131a)의 저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와이어 수용체(131)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는 구조로 와이어 수용체(131)에 마련된다.
안착블럭(131b)은 내부에 고정홈(131c)이 형성되어 와이어를 감은 실패가 고정홈(131c)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또한, 고정블럭(131a)의 내부 중심에 고정블럭(131a)보다 높은 단차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풀려나가는 와이어가 고정블럭(131a)으로부터 간섭됨 없이 풀려나가도록 한다.
이때, 안착블럭(131b)의 폭은 실패의 절반 정도의 폭을 갖도록 마련되어 와이어를 감은 실패를 지지함과 동시에 실패의 저면을 공중에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출 가이드(132)는 와이어가 실패로부터 풀려나갈 때, 실패 외주면과의 상호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와이어 수용체(131)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한, 즉,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는 풀려나가는 와이어가 별다른 굴절 과정 없이 수직한 방향을 지향한 상태로 풀려나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출 가이드(132)에는 고속으로 풀려나가는 와이어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홀(132a)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출 가이드(132)의 상단, 즉, 풀려나가는 와이어의 굴절 부분에 가이드 롤러(132b)가 설치되어 굴절부분의 마찰을 경감한다.
유출부 본체(133)는 유출되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 또는 안내 홀 등이 마련될 수 있도록,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유출 롤러(134)는 유출부 본체(133)의 측면에 유출부 본체(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안내되는 와이어가 유출 롤러(134)를 지그재그로 안내되게 함으로써,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와이어는 일정한 장력에 의해 롤러 또는 안내 경로에 결속됨으로써, 경로의 이탈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장력을 얻기 위한 텐션 홀(134a)이 더 마련되어 와이어의 유출 경로를 크게 굴절시킴으로써, 적정한 장력을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 승강유닛(135)은 와이어가 유출되는 끝단 즉, 수평 이동축(121)의 저부로 까지 연장되어 유출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며, 공압식으로 동작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하부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유압식 또는 전기식을 포함하여 공지된 구성요소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틀부(140)에 설치되는 와이어는 일방향의 배열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상호 교차하는 배열을 갖도록 마련되므로, 와이어의 유출 높이가 일정하다면 설치된 와이어와 설치되는 와이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승강 동작을 통해, 와이어 승강유닛(135)이 고정틀부(140)의 고정돌기(141)에 근접할 때, 와이어 승강유닛(135)은 하강하여 고정돌기(141)를 축으로 회전하며, 고정돌기(141)에서 멀어질 때, 와이어 승강유닛(135)은 상승하여 이동함으로써, 발생되는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틀부와 자력고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부(140)는 제작되는 유리의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원형 또는 다각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고정틀부(140)를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형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고정부재가 적절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100)는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자력의 유무에 의한 고정력의 생성과 소멸을 가능하게 하는 자력고정부(150)가 베이스부(110)의 상면을 따라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정방형 구조를 갖는 고정틀부(140)가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설치될 때, 고정틀부(140)의 저면과 접촉되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을 따라 자력고정부(15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정방형의 길이방향 일면 또는 너비 방향의 일면은 전자석이 설치되지 않고, 그 중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가변조절부(151)가 설치되어 정방형의 고정틀부(140)의 규격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고정 구조를 형성한다.
가변조절부(151)는 전자석이 설치되지 않는 면의 고정력의 부재를 해소하기 위해, 중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규격 변화에 대응할 때, 하나의 설치 기준점을 중심으로 고정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베이스부(110)의 상면의 외주 부분을 따라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자력고정부(150)와 가변조절부(151)는 베이스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전자석은 전류의 제어에 의해 자력을 발생 또는 소멸시킬 수 있으나, 자력의 소멸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소멸되므로, 물리적으로 전류의 공급 또는 차단과 같은 전기적 제어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틀부(140)와의 거리 제어를 통해 자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고정틀부(140)의 고정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리 제어를 배제하고 생성된 자기를 소거하는 탈자 공정을 별도로 마련하여 자력에 의한 고정력을 제어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방형 고정틀부(140)를 상정하여 자력고정부(150)의 대응 구조 또는 배열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고정틀부(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어, 자력고정부(150)의 배열 역시 고정틀부(140)의 형상에 따르지 아니하고 상하좌우가 일정한 간격을 갖는 격자화된 배열을 이룰 수 있다.(미도시) 이때에는 제어부(160)를 통해 각각의 전자석을 제어하여 전력의 낭비 없이 적절한 위치에 고정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틀부(140)의 설치 기준점을 설정하기 위해 일정 지점에 걸림턱(미도시)이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100)는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철사망을 대체하여 와이어가 설치되는 제조방법 중 격자화된 섬유재질의 그물망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우선, 유리 규격에 대응되는 고정틀부(140)를 선반에 해당하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설치한다. 이때, 고정틀부(140)의 일측은 베이스부(110)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설치하여 고정 위치를 걸림턱을 기준으로 설정하며, 자력고정부(150) 및 가변조절부(151)의 전자석이 승강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고정틀부(140)의 위치를 공고히 고정하게 된다.
이는, 와이어를 감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부(120)와 고정틀부(140)의 고정돌기(141) 간의 위치 편차를 허용 범위 내로 제한하기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 과정이다.
이후, 이동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수평 이동축(121) 및 수직 이동축(122)을 따라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고정틀부(140)의 형성된 고정돌기(141)를 복수개 휘감아 격자의 일정 폭을 형성함과 동시에 와이어를 교차시켜 격자화된 그물망을 제작한다. 이때, 고정돌기(141)의 간격은 작업자에 의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며, 고정돌기(141)를 감아 격자의 폭을 설정하는 것은 작업자의 제어부(160)의 수치 입력을 통해 이동부(120)의 이동 경로를 지정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격자 형태은 정방형의 마름모 형태로 구성되나, 이동부(120)의 이동 경로의 지정을 통해, 불규칙한 형태의 다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와이어유출부(130)는 와이어를 사출하는 것이 아닌 유출함으로써, 고정돌기(141)를 회전하여 마찰력을 생성함으로써, 고정돌기(141)를 기점으로 하는 와이어의 장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격자화된 그물망이 고정틀부(140)에 설치되어 완성된 후에는, 고정틀부(140)를 베이스부(110)로부터 떼어내어 다음 공정, 즉, 접합필름이 설치된 유리에 설치하게 된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접합필름이 설치된 두 개의 유리를 그물망을 사이에 두고 접합하고, 진공 및 가열 공정을 거쳐 그물망 유리를 생성해 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유리 그물망은 기존의 철사망을 대체하여 와이어를 사용하여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는 내부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존 철사망을 포함한 유리보다 생산 및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기존 철사망의 특성과 섬유재질의 와이어의 특성 차에 기반한 것으로, 섬유재질의 특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비정형의 가늘고 긴 물체를 의미하며, 이는 기존의 철사와는 다르게 작은 외력에도 그 정형화된 형태가 쉽게 변하기도 하지만, 역시 작은 외력에 다시 그 형태가 쉬이 돌아올 수도 있는 특성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틀부(140)에 와이어를 설치할 때, 가닥가닥의 와이어를 일일히 고정틀부(140)에 결속시켜 설치할 필요 없이, 단선됨 없는 하나의 와이어를 고정틀부(140)에 형성된 고정돌기(141)에 감아 신속히 격자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간편한 제작과 더불어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가 단선됨 없이 고정돌기(141)에 감겨 고정됨으로써, 그물망 전체에 동일한 장력을 갖는 와이어 그물망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가열 공정을 통해 용융된 접합필름과 결합될 때, 동일한 장력을 갖는 와이어 그물망을 통해 균일한 품질의 그물망 유리를 생산할 수 있음으로, 그물망 유리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색상의 와이어를 사용할 때에도, 와이어 수용체(131)의 실패만 교체하면 신속히 다른 색상의 그물망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 역시 부가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그물망은 매듭 또는 억지끼움과 같이 별도의 고정 구조와 달리 고정돌기(141)를 감아 지지력을 형성함으로써, 모든 공정이 완료된 후, 유리에서 고정틀부(140)를 제거할 때에도, 유리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를 단순히 단선함으로써, 고정틀부(140)와 폐기되는 와이어를 매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110 : 베이스부
120 : 이동부
121 : 수평 이동축
122 : 수직 이동축
123 : 이동본체
130 : 와이어유출부
131 : 와이어 수용체
131a : 고정블럭
131b : 안착블럭
131c : 고정홈
132 : 유출 가이드
132a : 가이드 홀
132b : 가이드 롤러
133 : 유출부 본체
134 : 유출 롤러
134a : 텐션 홀
135 : 와이어 승강유닛
140 : 고정틀부
141 : 고정돌기
142 : 탈착홈
150 : 자력고정부
151 : 가변조절부
160 : 제어부(컨트롤 박스)

Claims (7)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
    상면을 따라 돌출된 고정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놓여지는 고정틀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고정틀부의 길이방향과 너비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유출부로부터 유출된 와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축으로 회전되어 각각 고정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틀부의 중공된 내부에 특정한 배열을 갖는 그물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섬유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의 형태는,
    마름모 형상의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배열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유출부는,
    상기 유출되는 와이어가 기설치되어 상기 고정지지되는 와이어에 간섭받지 않도록, 상기 고정돌기에 근접할 때 상기 와이어가 하강한 상태로 유출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돌기에서 이격될 때 상기 와이어가 상승한 상태로 유출되도록 하는 와이어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전류의 공급에 따라 자력을 형성하여 자성체로 마련되는 상기 고정틀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틀부와 접하는 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자력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고정틀부의 너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자력을 형성함으로써, 너비가 변화되어 설치되는 상기 고정틀부의 규격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틀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변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고정부 또는 상기 가변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수용되어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고정틀부와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기 자성체의 고정틀부에 미치는 자력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틀부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KR1020170067535A 2017-05-31 2017-05-31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KR10191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35A KR101913687B1 (ko) 2017-05-31 2017-05-31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35A KR101913687B1 (ko) 2017-05-31 2017-05-31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687B1 true KR101913687B1 (ko) 2018-11-01

Family

ID=6439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35A KR101913687B1 (ko) 2017-05-31 2017-05-31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21A (ko) 2022-03-04 2023-09-12 박옥희 양식용 그물망 고정을 위한 고정틀
KR20230130917A (ko) 2022-03-04 2023-09-12 박옥희 양식용 그물망 고정을 위한 파이프 보강형 고정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5923A (ja) 2003-05-23 2004-12-09 Nippon Sheet Glass Co Ltd 網入り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EP1430972B1 (en) 2001-09-28 2007-04-11 Asahi Glass Co., Ltd. Wire for wired sheet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re
KR101660897B1 (ko) 2015-07-28 2016-09-28 윤지원 장식 무늬층을 갖는 접합유리의 그 제조방법
KR101725402B1 (ko) 2016-12-20 2017-04-11 동원씨디에프 주식회사 건축 내외장용 보온 단열 시트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0972B1 (en) 2001-09-28 2007-04-11 Asahi Glass Co., Ltd. Wire for wired sheet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re
JP2004345923A (ja) 2003-05-23 2004-12-09 Nippon Sheet Glass Co Ltd 網入り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0897B1 (ko) 2015-07-28 2016-09-28 윤지원 장식 무늬층을 갖는 접합유리의 그 제조방법
KR101725402B1 (ko) 2016-12-20 2017-04-11 동원씨디에프 주식회사 건축 내외장용 보온 단열 시트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21A (ko) 2022-03-04 2023-09-12 박옥희 양식용 그물망 고정을 위한 고정틀
KR20230130917A (ko) 2022-03-04 2023-09-12 박옥희 양식용 그물망 고정을 위한 파이프 보강형 고정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687B1 (ko) 유리 그물망 제조장치
RU200810125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tfp-технологии волокнистой заготовки, имеющей по существу произвольную геометрию поверхности
EP3244387A1 (en) Led display screen
KR101841183B1 (ko) 클리닝 기능이 추가된 조명 및 디스플레이 패널용 레이저 가공장치
ES2094173T3 (es) Aparato y metodo para producir productos de sutura trenzados.
CN111853954B (zh) 一种马鞍式窗机辅助安装装置及安装方法
KR101508347B1 (ko) 직선형 전선공급기
KR101531570B1 (ko) 전선 제조 장치
CN106283322A (zh) 一种双层式整经设备
CN109402823B (zh) 整经机及其导纱机构
KR102181314B1 (ko) 유리 섬유 리바용 컷팅 장치 및 컷팅 시스템
ITTO970111A1 (it) Filo diamantato per il taglio di materiali lapidei e simili, e su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WO2019024426A1 (zh) 一种无纺布制造机
KR101607169B1 (ko) 합사기
KR200393633Y1 (ko)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KR20130055399A (ko) 가변형 조명장치
KR10121702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케이블 및 이를 안내하는 무대장치용 동기식 풀리
CN219526949U (zh) 一种织带经线稳线装置
CN101338466B (zh) 整经装置
US1172719A (en) Carrier for braiding-machines.
JP2019087365A (ja) ツイスト線製造装置及びツイスト線製造方法
CN204569073U (zh) 电梯装置
JP6022981B2 (ja) 塗料の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CN113816210A (zh) 一种剑杆机织造窗帘面料用纱线导线机构
KR20200007757A (ko) 필라민트사로 제직한 방충망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