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169B1 - 합사기 - Google Patents

합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169B1
KR101607169B1 KR1020150055624A KR20150055624A KR101607169B1 KR 101607169 B1 KR101607169 B1 KR 101607169B1 KR 1020150055624 A KR1020150055624 A KR 1020150055624A KR 20150055624 A KR20150055624 A KR 20150055624A KR 101607169 B1 KR101607169 B1 KR 10160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eed roller
frame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이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봉 filed Critical 이상봉
Priority to KR102015005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24Flyer or like arrangements
    • D01H7/48Eyes or like gui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이 다른 다수개의 원사들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단일 얀(Yarn)으로 합치는 합사기에 대한 것으로서, 합사될 원사를 배치하는 원사 배치부와, 원사가 합사되어 제조가 완료된 단일 얀을 보빈에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와 원사 배치부 사이에 구성된 원사 안내부를 포함하는 합사기에 있어서, 상기 원사 안내부는 안내 프레임, 제1 피드롤러, 제2 피드롤러,제3 피드롤러 및 피드롤러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내 프레임은 합사기의 프레임(100a)에 결합되어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형성하고,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2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1,제2,제3 피드롤러는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안내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되,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3열 배치되고, 상기 피드롤러 고정구(125)는 관통공 및 결합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각각의 피드롤러에 접속되어 안내 프레임과 각각의 피드롤러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사기{A Yarning Machine}
본 발명은 합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성이 다른 다수개의 원사들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단일 얀(Yarn)으로 합치는 합사기에 대한 것이다.
합사기는 두 가닥 이상의 원사를 합치는 작용을 하는 방적 기계로서, 여러 가닥의 실을 합치므로 탄력성이 있고 질긴 실을 만드는 장치이다. 상기 합사기는 두 가닥 이상의 원사를 꼬임 없이 합치는 기계 장치이고, 상기 합사기에 원사 꼬임 장치가 더해지면 합연사기로 재분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합사기는 브라켓(1) 중앙에 원통형의 스핀들(2)이 베어링(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스핀들의 상부에는 구멍(4)이 천공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폴리(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폴리는 모터(6)에 의해 벨트(7)로 전동되고 스핀들을 회전시킨다.
상기한 종래 합사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원사(Y)가 스핀들의 하부로 부터 그 내부를 관통하여 피드로울러에 안내되고, 브라켓에는 상기 원사(Y)와 합사될 다른 종류의 원사가 끼워지며, 상기 다른 종류의 원사는 곧바로 피드로울러로 안내되어 원사(Y)와 합사되고, 합사된 두 종류의 원사는 장력 조절기를 거쳐 최상단의 콘에 권취되도록 작용한다.
상기한 합사 과정에서 원사(Y)가 스핀들의 하부로 부터 그 내부를 관통하여 다음 구멍(4)에 지그재그 형태로 끼워져 피드로울러에 안내되고, 모터에 의해 스핀들이 회전하면 합연사 작업이 되고, 원사(Y)가 구멍(4)에 지그재그 형태로 끼워지지 않고, 스핀들이 회전하지 않으면 합사 작업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합사기는 두 종류의 원사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하부의 원사가 스핀들을 관통하여 상측 방향으로 안내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원사 안내 과정에서 하부의 원사가 스핀들의 내부로 진입하며 발생하는 급격한 방향전환의 반작용 및 원사가 좁은 원통을 통과하며 상부로 상승하는 작용에 의해 원사와 스핀들 내부의 충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러한 원사의 충돌은 원사의 늘어짐으로 이어진다.
원사는 늘어지기 쉬운, 즉 연성이 높은 원사와, 쉽게 늘어지지 않는 연성이 낮은 원사가 있는데, 연성이 낮은 원사가 종래 합사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스핀들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안내되면 원사와 스핀들의 충돌에 의해 큰 폭의 늘어짐이 발생한다.
상기한 원사의 늘어짐 현상은 합사된 단일 얀의 품질불량 및 절사의 주원인이 되므로 원사를 상측 방향으로 안내할 때 늘어짐을 방지하며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합사기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1-0009083(1991.11.25공고)
본 발명은 2종류 이상의 원사를 합사할 때, 연성이 높은 원사의 늘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사의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장력 조절부로 원사를 안내할 수 있는 합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합사기에 있어서, 합사될 원사를 배치하는 원사 배치부와, 원사가 합사되어 제조가 완료된 단일 얀을 보빈에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와 원사 배치부 사이에 구성된 원사 안내부를 포함하는 합사기에 있어서, 상기 원사 안내부는 안내 프레임, 제1 피드롤러, 제2 피드롤러, 제3 피드롤러 및 피드롤러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내 프레임은 합사기의 프레임(100a)에 결합되어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형성하고,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2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1,제2,제3 피드롤러는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안내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되,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3열 배치되고, 상기 피드롤러 고정구(125)는 관통공 및 결합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각각의 피드롤러에 접속되어 안내 프레임과 각각의 피드롤러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사기의 원사 배치부를 개선하고, 상기 원사 배치부의 상측으로 원사 안내부를 구성하였다. 상기한 구성은 연성이 높은 원사의 안내 과정에서 원사의 늘어짐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원사의 늘어짐 방지 효과는 합사된 단일 얀의 절사 방지 및 품질불량 저하로 이어져 고품질의 단일 얀을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간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사 배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사 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는 종래 합사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전,후,좌,우 방향은 도 1에서 명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합사기의 전체 구성을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합사기(100)는 프레임(100a), 원사 배치부(110), 원사 안내부(120), 장력 조절부(130), 장력 검출부(140), 보빈 구동부(150), 트레버스부(160), 권취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사 배치부(110)는 합사기(100)의 최하단에 구성되고, 원사 배치부(110)의 상측에는 원사 안내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원사 안내부(120)의 상측에는 장력 조절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장력 조절부(130)의 상측에는 장력 검출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장력 검출부(140)의 상측에는 보빈 구동부(150)가 구성되고, 상기 보빈 구동부(150)의 상측에는 트레버스부(160)가 구성되며, 상기 트레버스부(160)의 상측에는 권취부(170)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사기(100)의 원사 배치부(110)에는 2종류 이상의 원사들이 배치되고, 상기 원사들은 원사 안내부(120)를 거쳐 장력 조절부(130)에서 합사되며, 합사된 단일 얀은 장력 검출부(140)와 트레버스부(160)를 거쳐 최종적으로 권취부(170)의 보빈에 권취되고, 상기 트레버스부는 권취부의 보빈에 실이 권취될 때 보빈에 단일 얀이 고르게 권취되도록 작용하며, 보빈 구동부는 권취부에 설치된 보빈을 돌려 단일 얀이 권취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장력 조절부(130), 장력 검출부(140), 트레버스부(160), 보빈 구동부(150) 및 권취부(170)는 합사기에 있어 통상의 기술자들이 주지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사 배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원사 배치부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사 배치부(110)는 합사기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배치 프레임(111)과 원사 지지구(112) 및 프레임 받침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치 프레임(111)은 다각형의 파이프 형태로서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제1 배치 프레임(111a)과 제2 배치 프레임(111b)이 전,후 방향으로 2열 배치된다.
상기한 설명에서 제1, 제2 배치 프레임은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2열 배치된다고 하였으나 본 발명은 배치 프레임을 2개로 한정하지 않고, 추가되는 원사에 따라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제3, 제4 배치 프레임 등의 배치 프레임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원사 지지구(112)는 원통 형태로서 각각의 배치 프레임(111) 상면에 구비되되, 각각의 원사 지지구(112)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원사 지지구(112)와 배치 프레임(111)은 결합 수단에 의한 체결 또는 용접 또는 억지 끼움 등과 같은 기계적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원사 지지구(112)에는 원사(200)가 감긴 지관(230)의 내측 관통구가 접속되고, 배치 프레임(111)은 지관(230)에 권취된 원사(200)를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 받침대(113)는 다각형의 파이프 형태로서 배치 프레임(111)의 저면에 구비된다. 프레임 받침대(113)는 배치 프레임(111) 및 원사 지지구(112)를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킨다.
상기 원사 배치부(110)의 종래의 합사기와 달리 원사들을 동일한 높이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원사들이 해사될 때 장력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배치 프레임을 폭방향으로 2열 이상 배치하여 더 많은 원사를 거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프레임 받침대(113)는 배치 프레임 및 원사 지지구를 지면에서 이격시켜 지면의 이물질로 부터 원사를 보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사 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원사 안내부를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 안내부(120)는 원사 배치부의 상측에 구성되되, 안내 프레임(121), 제1 피드롤러(122), 제2 피드롤러(123), 제3 피드롤러(124) 및 피드롤러 고정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 프레임(121)은 'ㄱ'자 형상의 판편으로서,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형성하며 구비되되,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좌,우 방향으로 2개 이상 배치된다.
상기 안내 프레임(121)은 상판(121a)과 측판(121c)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121a)은 각각의 피드롤러들을 지지 고정하고, 측판(121c)은 합사기의 프레임(100a)에 결합되어 안내 프레임(121)을 고정 시킨다. 상판(121a)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홈(121b)이 형성되어 각 피드롤러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측판(121c)은 프레임과 결합수단에 의한 체결 또는 용접 등과 같은 기계적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 피드롤러(122), 제2 피드롤러(123), 제3 피드롤러(124)를 안내 프레임(121)의 상판과 결합된다. 각각의 피드롤러(122)(123)(124)는 원통 형상으로서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3열 배치된다. 각각의 피드롤러(122)(123)(124)에는 피드롤러 고정구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 결합공(H)이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관통 결합공(H)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한 설명에서 제1,제2,제3 피드롤러는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3열 배치된다고 하였으나 본 발명은 피드롤러를 3개로 한정하지 않고,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제4 피드롤러, 제5 피드롤러 등의 피드롤러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 고정구(125)는 각각의 피드롤러들을 안내 프레임(121)의 상판(121a)에 고정시킨다. 피드롤러 고정구(125)는 내부에 관통공(125a)이 형성된 원통으로서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각 피드롤러의 외측 테두리 직경과 대응된다.
상기 피드롤러 고정구(125)의 외측 둘레에는 관통공(125a)과 90도 방향으로 엇갈린 결합공(125b)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5b)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되어 안내 프레임(121) 상판(121a)의 장홈과 체결된다. 상기한 체결에 의해 안내 프레임과 제1 피드롤러, 제2 피드롤러, 제3 피드롤러는 결합 고정 및 안내 프레임의 상판에서 전,후 방향으로 자유로운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원사 배치부(110)의 제1 배치 프레임(111a)에는 레이온사 등과 같은 천연사 종류의 제1 원사(210)가 배치되고, 제2 배치 프레임(111b)에는 나일론사 등과 같은 화섬사 종류의 제2 원사(22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원사와 제2 원사는 원사 안내부(120)가 구성된 상측 방향으로 해사된다.
상기 제1 원사(210)는 상측 방향으로 해사되어 제1 피드롤러(122)의 앞쪽면과 닿은 다음, 제1 피드롤러(122)를 타고 넘어 제2 피드롤러(123)의 저면 방향으로 향한다. 이후 제1 원사는 제2 피드롤러(123)의 저면과 닿은 후, 제2 피드롤러(123)의 뒷쪽면과 닿으며 상측 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제2 원사(220)는 상측 방향으로 해사되어 제3 피드롤러(124)의 뒷쪽면과 닿은 다음, 제3 피드롤러(124)를 타고 넘어 제2 피드롤러(123)의 저면 방향으로 향한다. 이후 제2 원사는 제2 피드롤러(123)의 저면과 닿은 후, 제2 피드롤러(123)의 앞쪽면과 닿으며 상측 방향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사기는 원사 배치부를 수평으로 구성하고, 상측 방향으로 해사되는 원사의 이동에 따른 늘어짐을 원사 안내부에 의해 방지하여 합사 과정에서 각 원사의 늘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갯수의 증가가 가능한 제1 피드롤러, 제2 피드롤러, 제3 피드롤러에 의해 원사의 연성에 따라 해사 장력을 조절 할 수 있어, 해사 및 합사 과정에서 각 원사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H: 관통 결합공 100: 합사기
100a: 프레임 110: 원사 배치부
111: 배치 프레임 111a: 제1 배치 프레임
111b: 제2 배치 프레임 112: 원사 지지구
120: 원사 안내부 121: 안내 프레임
121a: 상판 121b: 장홈
121c: 측판 122: 제1 피드롤러
123: 제2 피드롤러 124: 제3 피드롤러
125: 피드롤러 고정구 125a: 관통공
125b: 결합공 130: 장력 조절부
140: 장력 검출부 150: 보빈 구동부
160: 트레버스부 170: 권취부
200: 원사 210: 제1 원사
220: 제2 원사 230: 지관

Claims (2)

  1. 합사될 원사를 배치하는 원사 배치부(110)와, 원사가 합사되어 제조가 완료된 단일 얀을 보빈에 권취하는 권취부(170)와, 상기 권취부와 원사 배치부 사이에 구성된 원사 안내부(120)를 포함하는 합사기(100)에 있어서,
    상기 원사 안내부(120)는 안내 프레임(121), 제1 피드롤러(122), 제2 피드롤러(123),제3 피드롤러(124) 및 피드롤러 고정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내 프레임(121)은 합사기의 프레임(100a)에 결합되어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형성하고,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2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1,제2,제3 피드롤러(122)(123)(124)는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안내 프레임(121)의 상면에 결합되되,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3열 배치되고,
    상기 피드롤러 고정구(125)는 관통공(125a) 및 결합공(125b)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각각의 피드롤러(122)(123)(124)에 접속되어 안내 프레임(121)과 각각의 피드롤러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사 배치부(110)는 배치 프레임(111)과 원사 지지구(112) 및 프레임 받침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치 프레임(111)은 합사기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합사기의 전,후 방향으로 제1 배치 프레임(111a)과 제2 배치 프레임(111b)으로 나누어 2열 배치되어 원사(200)가 권취된 지관(230)을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원사 지지구(112)는 각각의 배치 프레임(111a)(111b) 상면에 구비되어 지관(230)의 내측 관통구가 접속되며,
    상기 프레임 받침대(113)는 배치 프레임(111)의 저면에 구비되어 지면과 배치 프레임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기.
KR1020150055624A 2015-04-21 2015-04-21 합사기 KR10160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24A KR101607169B1 (ko) 2015-04-21 2015-04-21 합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24A KR101607169B1 (ko) 2015-04-21 2015-04-21 합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169B1 true KR101607169B1 (ko) 2016-03-29

Family

ID=5566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24A KR101607169B1 (ko) 2015-04-21 2015-04-21 합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1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8090A (zh) * 2021-09-22 2021-11-12 泰州金宝来纺织有限公司 一种能适应多种纱线的并纱机
KR20230014563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이화에스알씨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된 합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41B1 (ko) 2009-08-13 2010-01-06 동일산자주식회사 인발성형용 원사 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41B1 (ko) 2009-08-13 2010-01-06 동일산자주식회사 인발성형용 원사 공급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563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이화에스알씨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된 합사장치
KR102528892B1 (ko) 2021-07-21 2023-05-04 주식회사 이화에스알씨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된 합사장치
CN113638090A (zh) * 2021-09-22 2021-11-12 泰州金宝来纺织有限公司 一种能适应多种纱线的并纱机
CN113638090B (zh) * 2021-09-22 2023-09-22 泰州金宝来纺织有限公司 一种能适应多种纱线的并纱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802B1 (ko) 합사장치
TWI558868B (zh) Spinning coiling device and spinning coiling equipment
CN113148766B (zh) 一种纺织纱线张紧调节输送一体化系统
KR101607169B1 (ko) 합사기
CN210886463U (zh) 一种多纱线断纱自停装置
CN215051033U (zh) 一种用于织布机的经纱补偿装置
CN106283322A (zh) 一种双层式整经设备
CN107447321B (zh) 锦纶母纱整经方法及锦纶母纱整经装置
CN215713622U (zh) 一种用于并纱机上的折纱装置
CN215251452U (zh) 一种并纱机用新型并纱架
KR100967513B1 (ko) 어망사 제조용 다중 연사장치와 다중 연사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어망사
CN103510254B (zh) 地毯生产用纱线的出纱牵引方法及其专用纱架
CN211591384U (zh) 一种锭子房防止钢帘线交叉不良工艺的装备
KR100923753B1 (ko) 탄성사 공급장치
CN210621099U (zh) 一种便于调整纱线角度的经编机分纱机构
CN210393159U (zh) 一种纺织机械导纱装置
CN101205671A (zh) 电脑绣花机中过线器
CN212611214U (zh) 一种花边机用的导线纱架
CN214938060U (zh) 一种并条机喂入分棉机构
CN105780238A (zh) 一种绞纱架
CN210710132U (zh) 一种提供纱线张紧力的夹纱结构
CN217733414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纺织支撑机构
CN211971349U (zh) 一种牵伸机的张力调节机构
KR20160079583A (ko) 직조기계의 공간사 장력 유지장치
CN217351712U (zh) 一种导向性好的丝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