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570B1 - 전선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570B1
KR101531570B1 KR1020140180974A KR20140180974A KR101531570B1 KR 101531570 B1 KR101531570 B1 KR 101531570B1 KR 1020140180974 A KR1020140180974 A KR 1020140180974A KR 20140180974 A KR20140180974 A KR 20140180974A KR 101531570 B1 KR101531570 B1 KR 10153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roller
wire
wou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기
Original Assignee
오켈케이블주식회사
정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켈케이블주식회사, 정동기 filed Critical 오켈케이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선이 권취된 보빈이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빈설치부와, 상기 복수개의 보빈설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 보빈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보빈의 도선을 연결하는 전선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선 제조 장치{Electric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전선을 제조 가능한 전선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 제조 장치는 와이어를 공급하여 와이어에 피복을 수행함으로써 전선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전선 제조 장치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을 설치한 후 보빈으로부터 와이어를 권출시켜 와이어에 피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선 제조 장치는 보빈을 하나만 설치하여 보빈의 와이어가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보빈의 와이어가 완전히 소진된 후 새로운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새로운 보빈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새로운 보빈을 설치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보빈을 교체하는 동안 보빈이 떨어지거나 작업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어 보빈이 파손되거나 외부의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경우 새로운 보빈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전선 제조 장치를 완전히 정지시킨 후 교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서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선과 관련된 특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5607호의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케이블"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선을 신속하고 간편하면서 연속적으로 제조가 가능한 전선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선이 권취된 보빈이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빈설치부와, 상기 복수개의 보빈설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 보빈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보빈의 도선을 연결하는 전선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삽입축과,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이 안착하는 보빈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축을 선형 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권출되는 도선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는, 상기 보빈안착부 및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안착부를 회동시키는 승하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도선을 가압하여 상기 도선을 연결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도선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도선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선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상기 도선이 권취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선을 권취하여 상기 도선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또는 상기 제2 롤러부터 권출되는 상기 도선을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또는 상기 제2 롤러부터 권출되는 상기 도선에 피복을 수행하는 피복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복수행부는, 상기 도선에 피복을 수행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에서 토출되는 전선을 냉각시키는 냉각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선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전선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선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선이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향전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선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향전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선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전선 제조 장치(100)는 지지프레임(110), 복수개의 보빈설치부(120), 전선연결부(130), 제1 롤러(140), 제2 롤러(150), 간격조절부(160), 방향전환부(170), 피복수행부(180) 및 작동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은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10)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를 부양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보빈설치부(120)는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보빈설치부(12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보빈설치부(120)는 제1 보빈설치부(120A)와 제2 보빈설치부(12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빈설치부(120A)에는 도선이 권취된 제1 보빈(B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보빈설치부(120B)에는 도선이 권취된 제2 보빈(B2)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보빈설치부(120A)와 제2 보빈설치부(120B)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보빈설치부(120A)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보빈설치부(120A)는 제1 지지대(121A), 제1 회전축(122A),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 제1 보빈안착부(124A), 제1 구동부(125A), 제1 선형구동부(126A), 제1 롤러부(127A), 제1 가이드롤러(128A), 제1 승하강구동부(129A)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21A)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대(121A)는 브라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22A) 및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은 제1 지지대(121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122A)은 제1 지지대(12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은 제1 지지대(121A)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의 끝단은 다른 부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21A)에는 제1 보빈(B1)이 안착하는 제1 보빈안착부(124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빈안착부(124A)는 일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절곡된 제1 보빈안착부(124A) 부분에는 제1 보빈(B1)이 적재되어 안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보빈안착부(124A)는 제1 지지대(12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25A)는 제1 회전축(122A)와 연결되어 제1 회전축(122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구동부(125A)는 제1 회전축(122A)과 연결되는 제1 벨트(125A-1)와, 제1 벨트(125A-1)와 연결되어 제1 벨트(125A-1)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125A-2)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구동부(125A)는 제1 회전축(122A)과 직결되는 제1 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구동부(125A)는 제1 회전축(122A)과 연결되는 제1 기어유닛(미도시)과, 상기 제1 기어유닛과 연결되는 제1 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부(125A)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회전축(122A)을 회전시키는 모든 구조 및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구동부(125A)가 제1 벨트(125A-1)와 제1 모터(125A-2)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선형구동부(126A)는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선형구동부(126A)는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을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선형구동부(126A)는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을 제1 보빈(B1)의 측면으로 근접시키거나 제1 보빈(B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선형구동부(126A)는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과 연결되는 제1 실린더(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선형구동부(126A)는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과 연결되는 제2 기어유닛(미도시)과 상기 제2 기어유닛에 연결되는 제2 모터(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선형구동부(126A)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과 연결되어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을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구조 및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선형구동부(126A)가 상기 제1 실린더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롤러부(127A)는 제1 지지대(12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부(127A)는 제1 보빈(B1)의 도선을 절곡시켜 이동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제1 가이드롤러(128A)는 제1 지지대(12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롤러(128A)는 제1 롤러(140)와 제1 보빈(B1)사이에 배치되어 제1 보빈(B1)으로부터 권출된 도선이 제1 롤러(140)로 이동할 때 도선이 다른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승하강구동부(129A)는 제1 지지대(121A)와 제1 보빈안착부(124A)에 연결되어 제1 보빈안착부(124A)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승하강구동부(129A)는 길이 가변하는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승하강구동부(129A)는 제1 지지대(121A)와 제1 보빈안착부(124A)에 설치되어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남으로써 제1 보빈안착부(124A)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전선연결부(130)는 제1 보빈설치부(120A) 및 제2 보빈설치부(1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선연결부(130)는 제1 보빈(B1)의 도선과 제2 보빈(B2)의 도선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전선연결부(130)는 지면 등에 고정되는 하우징(13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선연결부(130)는 하우징(1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동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회동부(133)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연결부(130)는 회동부(133)와 연결되어 회동부(133)의 회동 시 도선을 가압하여 도선을 연결하는 가압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3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가압부(132A)와 제2 가압부(132B)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1 가압부(132A)와 제2 가압부(132B)는 회동부(133)의 회동에 따라서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도선을 연결할 수 있다.
전선연결부(130)는 하우징(131)에 설치되어 도선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도선가이드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선가이드부(134)는 서로 대향하도록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선가이드부(134)는 제1 보빈(B1)에서 권출된 도선과 제2 보빈(B2)에서 권출된 도선을 각각 가이드하도록 하우징(13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는 제1 보빈(B1)의 도선 또는 제2 보빈(B2)의 도선이 권취된 후 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는 서로 대향하도록 지지프레임(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프레임(11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 사이의 간격은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는 각각 도선의 일부가 권취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 각각에 형성된 홈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는 제1 보빈(B1) 또는 제2 보빈(B2)으로부터 권출된 도선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선은 제1 롤러(140)에 권취된 후 제2 롤러(150)로 권취되고, 다시 제1 롤러(140)에 권취된 후 제2 롤러(150)에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선은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 사이를 복수번 반복하여 왕복할 수 있다.
한편, 간격조절부(160)는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롤러(140)가 지지프레임(110) 상을 이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간격조절부(160)는 제1 롤러(140)를 지지프레임(110) 상에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절부(160)는 제1 롤러(140)와 지지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간격조절부(160)는 제1 롤러(140)와 연결되는 실린더와, 제1 롤러(140)와 지지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간격조절부(160)는 제1 롤러(140)에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지지프레임(110) 상에 형성되어 회전롤러가 이동하는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간격조절부(160)는 제1 롤러(1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161)와, 제1 롤러(14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162), 제1 와이어(161) 및 제2 와이어(162)와 연결되어 회전에 제1 와이어(161) 및 제2 와이어(162)를 권취하거나 권출시키는 간격조절모터(163) 및 제1 롤러(140)와 지지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16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절부(160)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164) 대신 회전롤러와 레일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간격조절부(16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롤러(140) 및 제2 롤러(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향전환부(170)는 제2 롤러(150)에서 안내되는 도선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방향전환부(170)는 지면 또는 구조물 등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71)과, 고정브라켓(171)에 설치되어 지면에 수직하게 이동하는 도선을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제1 방향전환롤러(17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전환부(170)는 도선의 이동방향을 지면 또는 구조물에 수평하게 유지시키는 도선안내부(173)와, 도선안내부(173)로부터 인출된 도선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17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전환부(170)는 구동롤러(174)와 접촉하여 도선을 이송시키는 이송벨트(175)와, 이송벨트(175)를 안내하는 이송벨트가이드롤러(176)를 구비할 수 있다. 방향전환부(170)는 구동롤러(174)를 회전시키는 구동롤러구동부(177)와, 고정브라켓(171)에 설치되어 도선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 방향전환롤러(17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전환롤러(178)는 도선을 90도 절곡시켜 피복수행부(180)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피복수행부(180)는 이송된 도선에 피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피복은 일반적인 절연물질일 수 있다.
피복수행부(180)는 도선에 피복을 수행하는 압출기(181)와, 압출기(181)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을 냉각시키는 냉각수조(18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압출기(181)는 일반적으로 도선에 피복을 수행하는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냉각수조(182)는 내부에 냉각수 등이 저장되어 이동하는 전선을 냉각시킬 수있다.
작동부(190)는 간격조절부(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작동부(19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부(190)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간격조절부(160)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19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스위치,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작동부(190)는 제1 보빈(B1) 또는 제2 보빈(B2)의 하중을 측정하여 일정 하중 이하가 되면 간격조절부(160)를 작동시키는 하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작동부(190)는 제1 보빈(B1)에 감겨져 있는 도선의 높이를 측정하여 일정한 높이 이하가 되면 간격조절부(160)를 작동시키는 레이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동부(19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선이 제1 보빈(B1)에서 완전히 권출되기 전에 간격조절부(160)를 작동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부(190)가 타이머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선 제조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제1 보빈(B1)과 제2 보빈(B2)을 각각 제1 보빈설치부(120A)와 제2 보빈설치부(120B)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빈(B1) 및 제2 보빈(B2)의 설치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1 보빈(B1)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보빈(B1)을 제1 보빈안착부(124A)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승하강구동부(129A)는 제1 보빈안착부(124A)를 지면에 대해서 상승시킨 상태일 수 있다. 제1 보빈(B1)이 제1 보빈안착부(124A)에 안착되면, 제1 승하강구동부(129A)를 작동시켜 제1 보빈안착부(124A)를 지면으로 하강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제1 선형구동부(126A)가 작동하여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을 선형 운동시켜 제1 회전축(122A)과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킨 후 제1 보빈(B1)이 제1 보빈안착부(124A)에 안착되면, 제1 선형구동부(126A)가 작동시켜 제1 회전축(122A)과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 사이의 간격을 초기 위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삽입축(도면 미도시)은 제1 보빈(B1)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제1 회전축(122A)에는 제1 보빈(B1)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보빈(B1)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 보빈(B1)으로부터 도선을 권출하여 순차적으로 제1 가이드롤러(128A), 제1 롤러부(127A), 제1 롤러(140), 제2 롤러(150)를 따라서 방향전환부(170) 및 피복수행부(180)로 이동시켜 도선을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버튼이나 스위치 등과 같은 입력부(191)를 통하여 제1 구동부(125A), 구동롤러구동부(177) 및 압출기(18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구동롤러구동부(177)가 작동하는 경우 도선은 움직이게 되고, 제1 구동부(125A)의 작동으로 인하여 제1 보빈(B1)은 회전하면서 도선을 권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선은 제1 가이드롤러(128A), 제1 롤러부(127A), 제1 롤러(140), 제2 롤러(150), 방향전환부(170)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압출기(181)를 통과하면서 도선의 표면을 피복할 수 있다. 이후 냉각수조(182)에서 냉각됨으로써 전선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작동부(190)에 정해져 있는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190)에 정해져 있는 조건에 도달하면, 작동부(190)는 간격조절부(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부(190)의 신호에 따라서 제1 구동부(125A)의 작동은 중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부(125A)가 작동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부(190)는 간격조절모터(163)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와이어(161)은 간격조절모터(163)에 권취될 수 있으며, 제2 와이어(162)은 간격조절모터(163)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와이어(161)이 권취되면, 제1 와이어(161)은 제1 롤러(140)를 제2 롤러(15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롤러(150) 측의 지지프레임(110)에는 제1 와이어(161)을 제1 롤러(140) 측으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제1 안내롤러(16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가 근접하는 경우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 사이에 배치된 도선을 통하여 별도로 도선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압출기(181)에 도선을 공급하여 피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빈(B1) 측 도선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작업자는 제1 보빈(B1)의 도선과 제2 보빈(B2)의 도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1 보빈(B1)의 도선 및 제2 보빈(B2)의 도선을 도선가이드부(134)에 각각 설치한 후 가압부(132) 가운데 부분에서 서로 겹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후 회동부(133)를 회동시키면 제1 가압부(132A)와 제2 가압부(132B)가 서로 가압하면서 제1 보빈(B1)의 도선과 제2 보빈(B2)의 도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각 도선에는 열이 가해진 상태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써 도선들끼리 서로 교차한 상태이거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서로 절곡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보빈(B1)의 도선과 제2 보빈(B2)의 도선의 연결이 완료되면, 다시 간격조절부(160)를 조작하여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 사이의 간격을 초기와 같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91)를 통하여 간격조절부(16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간격조절부(160)의 작동이 조작되는 경우 제1 구동부(125A)는 작동하여 제1 보빈(B1)의 도선을 권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부(125A)의 작동은 기존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조절모터(163)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와이어(162)은 간격조절모터(163)에 권취될 수 있으며, 제1 와이어(161)은 간격조절모터(163)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10)에는 제1 롤러(140)와 후면 측에 제2 안내롤러(166)가 설치되어 제2 와이어(162)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와이어(162)이 간격조절모터(163)에 권취되는 경우 제2 와이어(162)은 제1 롤러(140)를 제2 롤러(15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방향전환부(170)는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도선을 압출기(181)에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제조 장치(100)는 보빈의 교체를 위하여 장치의 중지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전선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제조 장치(100)는 보빈을 사용한 후 연속적으로 다른 보빈을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전선 제조 장치
110: 지지프레임
120: 보빈설치부
130: 전선연결부
140: 제1 롤러
150: 제2 롤러
160: 간격조절부
170: 방향전환부
180: 피복수행부
190: 작동부
191: 입력부

Claims (15)

  1. 도선이 권취된 보빈이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빈설치부; 및
    상기 복수개의 보빈설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 보빈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보빈의 도선을 연결하는 전선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보빈설치부는 상기 각 보빈설치부마다 상기 보빈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선연결부는 상기 지지대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복수개의 보빈설치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보빈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선이 귄취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보빈 중 권취가 완료된 보빈의 도선과 교체하려는 보빈의 도선을 가압하여 연결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삽입축;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이 안착하는 보빈안착부;를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축을 선형 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권출되는 도선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는,
    상기 보빈안착부 및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안착부를 회동시키는 승하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도선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도선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설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선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상기 도선이 권취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선을 권취하여 상기 도선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 롤러;를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또는 상기 제2 롤러부터 권출되는 상기 도선을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또는 상기 제2 롤러부터 권출되는 상기 도선에 피복을 수행하는 피복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수행부는,
    상기 도선에 피복을 수행하는 압출기; 및
    상기 압출기에서 토출되는 전선을 냉각시키는 냉각수조;를 포함하는 전선 제조 장치.
KR1020140180974A 2014-12-16 2014-12-16 전선 제조 장치 KR101531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74A KR101531570B1 (ko) 2014-12-16 2014-12-16 전선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74A KR101531570B1 (ko) 2014-12-16 2014-12-16 전선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570B1 true KR101531570B1 (ko) 2015-06-25

Family

ID=5351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974A KR101531570B1 (ko) 2014-12-16 2014-12-16 전선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5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23A (ko)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씨맥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KR102294215B1 (ko) 2020-11-13 2021-08-25 전이섭 고성능 전선 압출 장치
KR102330348B1 (ko) 2020-11-13 2021-11-22 노영국 전선용 피복 제조 장치
KR102498266B1 (ko) * 2022-10-18 2023-02-09 주식회사 케이디일렉트릭 멀티탭용 케이블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836B1 (ko) * 2005-07-08 2006-10-11 주식회사 스타플렉스 실 권선기
KR20100107626A (ko) * 2009-03-26 2010-10-06 성경제 와이어 소우 장치
KR20110130548A (ko) * 2010-05-28 2011-12-06 (주)티에이치엔 전선 가공장치
KR20140143055A (ko) * 2013-06-05 2014-12-15 이수열 전선 핸들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836B1 (ko) * 2005-07-08 2006-10-11 주식회사 스타플렉스 실 권선기
KR20100107626A (ko) * 2009-03-26 2010-10-06 성경제 와이어 소우 장치
KR20110130548A (ko) * 2010-05-28 2011-12-06 (주)티에이치엔 전선 가공장치
KR20140143055A (ko) * 2013-06-05 2014-12-15 이수열 전선 핸들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23A (ko)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씨맥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KR102294215B1 (ko) 2020-11-13 2021-08-25 전이섭 고성능 전선 압출 장치
KR102330348B1 (ko) 2020-11-13 2021-11-22 노영국 전선용 피복 제조 장치
KR102498266B1 (ko) * 2022-10-18 2023-02-09 주식회사 케이디일렉트릭 멀티탭용 케이블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570B1 (ko) 전선 제조 장치
KR101034356B1 (ko) 선재의 재권취장치 및 그 방법
JP5175996B1 (ja) ロール型fpcbとシート型fpcbを選択的に検査できるfpcb検査装置
KR200418696Y1 (ko) 선재의 재권취장치
US9452482B2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KR20200125301A (ko) 알루미늄 로드 신선장치
KR100407765B1 (ko) 권취장치
CN109775450A (zh) 一种漆包线牵引卷绕装置
KR20160099167A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KR101128362B1 (ko) 전선 가공장치
CN215696871U (zh) 丝材连续拉拔设备
US20190214165A1 (en) Twisted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wisted wire manufacturing method
CN104724541B (zh) 电缆绕线装置
CN211254719U (zh) 一种电气装备用电线电缆放线装置
CN103794356B (zh) 绕线装置以及绕线方法
JP2004328844A (ja) 回転電機の整列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CN111668018A (zh) 超薄电感绕线送线装置
CN108422046B (zh) 线缆切断设备
CN105938743A (zh) 绞合铜线上料走线装置
KR100989543B1 (ko) 자동정지식 라인형 금속재 성형장치
CN210245160U (zh) 一种电缆绞线装置
KR20030017019A (ko) 원사 분리용 분사 정경시스템
CN210655614U (zh) 一种漆包线的收线机构
CN220502326U (zh) 一种通信线缆收放装置
KR101975629B1 (ko) 모헤어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