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523A -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523A
KR20180103523A KR1020170030576A KR20170030576A KR20180103523A KR 20180103523 A KR20180103523 A KR 20180103523A KR 1020170030576 A KR1020170030576 A KR 1020170030576A KR 20170030576 A KR20170030576 A KR 20170030576A KR 20180103523 A KR20180103523 A KR 20180103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water tank
case
cabl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845B1 (ko
Inventor
송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맥
Priority to KR102017003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8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4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 H01B7/421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for heat dissipation
    • H01B7/423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for heat dissipation using a cooling fluid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기를 통해 절연층이 피복된 전선 케이블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선 케이블의 표면에 냉각수에 접촉되는 냉각수조와, 상기 냉각수조의 양단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조 내에 수용되는 냉각수의 수위가 결정되는 물막이를 포함하여 압출 케이블을 냉각시키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조의 길이방향과 대향되는 양측 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물막이는 2개의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하방으로 절개되는 절개부가 마련되는 케이스와, 일정 탄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내에 삽입되되, 상부면에는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절개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삽입시키면, 상기 케이스의 절개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이드공에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측면이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슬라이딩레일을 설치하고, 물막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슬라이딩레일에 결합시켜 냉각수조 내측에 물막이 설치가 매우 간단하여 수위에 따른 물막이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수조에서 특정 냉각방식이 필요로 하는 구간마다 수위를 달리 설정하기 위해 상,하부 케이스 및 높이조절 케이스를 이용하여 정확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냉각수조의 짧은 구간내에서도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Install structure of water dam in cooling water tank for extruded cable}
본 발명은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기를 통과하여 절연층이 피복된 전선 케이블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조내에 물막이가 케이스 형태로 슬라이딩체결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냉각수조내 특정 구간마다 물막이의 높이를 달리 설정하여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 케이블의 냉각수조는 압출기를 통해 선재에 피복된 절연층을 냉각수와 접촉되도록 하여 절연층을 냉각으로 고화시키는 것으로, 압출기의 후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연층의 규격에 의해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냉각수조는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밸브가 설치되어 냉각수조의 하부에서 냉각수가 공급되며, 냉각수조의 양측면에 물막이를 설치하여 물막이로 냉각수가 오버플로우 되면서 냉각수조 내의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냉각수조에 설치된 물막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냉각수조에 설치된 물막이는 냉각수조(100)의 양단부에 2개의 U자형으로 절개된 금속플레이트(30)를 스펀지(40)가 삽입될 일정 간격을 두고 냉각수조(100)의 내측면에 용접시켜 고정한 다음, 전선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위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전선 케이블의 외경과 대응되는 일정 크기의 개구가 재단된 스펀지(40)를 2개의 금속플레이트(30) 사이에 삽입시켜 절연층의 표면이 스펀지(40)의 재단된 면에 접촉되어 냉각수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냉각수조(100)의 바닥면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에 전선 케이블을 침지시키기 위해서는 냉각수조(100)의 양측에 설치된 물막이가 일정 높이선상까지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혀 있어야 하나, 전선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스펀지(40)의 상부면이 재단된 상태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작업자가 재단하고 남은 여분의 스펀지나 헝겊 등을 전선 케이블의 상부면과 스펀지(40)의 상부에 개구된 부분에 끼워 임시방편으로 물막이의 높이를 대략적으로 설정하여 수위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압력에 의해 임시방편으로 막아놓은 부분이 터져 수위조절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는 종래 절연층 표면 냉각을 위한 냉각수조(100)가 고정식으로 침지시키기 위한 정확한 수위조절이 필요치 않아, 전선케이블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 작업자가 현장상황에 맞게 임의로 물막이의 높이를 설정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종래 절연층으로 사용되던 폴리에틸렌(PE)을 대체할 수 있는 아이소택틱(isotactic) 구조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며, 이러한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을 이용한 전선 케이블 제품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아이소택틱(isotactic) 구조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PP)은 절연층으로 압출시킬 경우 압출온도가 220℃ 정도로 종래의 폴리에틸렌(PE)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압출되어야 하며, 재질 특성상 압출후 급냉시킬 수 없어 낮은 속도로 서냉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프로필렌(PP)을 이용하여 전선 케이블을 압출시킬 경우에는 냉각처리 과정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절연층 표면으로 냉각수 물방울을 떨어뜨리는 적하식 냉각방식과, 절연층을 냉각수에 일부 침지시키고 상부에서 냉각수를 일정압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대류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반침분사식 및 냉각수에 절연층의 전체를 침지시키는 침지식 등의 다양한 냉각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냉각수조의 수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하나 종래의 물막이 구조로는 상기와 같은 정밀한 높이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냉각수조의 물막이 구조를 개선하여 냉각수조 내의 수위를 전선 케이블의 규격에 따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폴리프로필렌(PP)을 절연층으로 사용할 경우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냉각수조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양한 방식의 냉각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5315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냉각수조의 특정 구간별로 다양한 냉각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특정 구간마다 물막이의 높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물막이를 슬라이딩 체결방식으로 냉각수조 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압출기를 통해 절연층이 피복된 전선 케이블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선 케이블의 표면에 냉각수에 접촉되는 냉각수조와, 상기 냉각수조의 양단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조 내에 수용되는 냉각수의 수위가 결정되는 물막이를 포함하여 압출 케이블을 냉각시키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조의 길이방향과 대향되는 양측 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물막이는 2개의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하방으로 절개되는 절개부가 마련되는 케이스와, 일정 탄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내에 삽입되되, 상부면에는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절개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삽입시키면, 상기 케이스의 절개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이드공에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측면이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단부에 하방으로 일정 곡률로 곡면지도록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전후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 제2금속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하단부면에서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슬라이딩면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몸체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냉각수조의 하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에 전선 케이블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냉각수조의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절개부의 곡면 중심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상기 냉각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안착면이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물막이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는 상기 냉각수조의 양측벽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이 이루는 간격과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며 상방으로는 기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높이조절몸체와,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로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전후면에 각각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양단부측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제3, 제4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슬라이딩레일을 설치하고, 물막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슬라이딩레일에 결합시켜 냉각수조 내측에 물막이 설치가 매우 간단하여 수위에 따른 물막이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수조에서 특정 냉각방식이 필요로 하는 구간마다 수위를 달리 설정하기 위해 상,하부 케이스 및 높이조절 케이스를 이용하여 정확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냉각수조의 짧은 구간내에서도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냉각수조에 설치된 물막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에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에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를 이용한 적하식 냉각수조의 측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B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를 이용한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의 측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후단에 설치된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의 측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에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에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는 냉각수조(10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양측 벽면에 상하방향으로 ㄷ자 단면형상의 가이드프레임(110)이 냉각수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전선 케이블의 규격 또는 재질 등에 의해 적절한 냉각방식이 결정되어 특정 높이의 물막이(200)가 필요한 구간에 슬라이딩레일(120)을 가이드프레임(110)에 상하방향으로 볼트로 체결시키고, 슬라이딩레일(120)에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200)를 삽입시켜 물막이(200)에 의해 냉각수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슬라이딩레일(120)은 금속재질이 아닌 일정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물막이(200)의 슬라이딩 체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200)는 양단부가 양측의 슬라이딩레일(120)에 삽입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210)는 2개의 금속플레이트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에 가이드몸체(22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슬라이딩레일(120)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214)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전선 케이블이 수용되기 위한 절개부(215)가 마련된다.
이러한 케이스(210)를 도 4의 분해사시도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자면, 슬라이딩레일(120)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곡률로 곡면지도록 절개되는 절개부(215)가 형성되는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 212)와,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 212)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어 가이드몸체(220)가 안착되는 안착면(213b)을 제공하는 안착플레이트(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플레이트(213)는 ㄴ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 212)의 양측면에 슬라이딩홈(214)이 형성되도록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 212)의 양측 단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면(213a)과,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 212)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슬라이딩면(213a)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안착면(213b)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플레이트(213)는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 212)의 양측면에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 212)의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는 가이드몸체(220)의 하단부가 안착플레이트(213)의 안착면(213b)에 안착되도록 한다.
가이드몸체(220)는 스펀지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연질로 형성되며, 가이드몸체(220)의 상부면에 전선 케이블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가이드공(221)이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절개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공(221)이 절개형성된 가이드몸체(220)를 케이스(210)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케이스(210)의 절개부(215)를 통해 가이드공(221)이 외측으로 노출되며, 이러한 가이드공(221)에 전선 케이블의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케이스(210)는 냉각수조(10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210a)와 하부 케이스(210a)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10b)를 포함하여 하부 케이스(210a) 내측에 전선 케이블을 위치시키고 상부 케이스(210b)로 하부 케이스(210a)의 절개부(215)를 커버하여 전선 케이블의 전체면이 냉각수에 완전히 침지된 상태로 냉각된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210a)는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 212)의 하단부가 냉각수조(100)의 하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하부 케이스(210a)의 상부측에 형성된 절개부(215)에 전선 케이블이 수용되며, 상부 케이스(210b)는 하부 케이스(210a)의 상부면에 제1, 제2금속플레이트(211,212)의 하단부가 냉각수조(100)의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부 케이스(210b)의 절개부(215)가 하부 케이스(210a)의 절개부(215)와 상호 마주보게 된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210a)에 곡면으로 형성된 절개부(215)의 곡면 중심이 하부 케이스(210a)의 상부면상에 형성되지 않고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개부(215)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절개부(215)로 삽입되는 전선 케이블의 중심이 하부 케이스(210a)의 하부측에 저중심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부 케이스(210b)에 형성되는 절개부(215)는 하부 케이스(210a)의 상부면상에 절개부(215)의 곡면중심을 두어 절개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부 케이스(210a)에 삽입되는 가이드몸체(220)는 전선 케이블이 수용되는 가이드공(221)이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절개형성시키고, 상부 케이스(210b)에 삽입되는 가이드몸체(220)는 가이드공(221)을 별도로 절개시키지 않고 상부 케이스(210b)의 상부면과 일면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전선 케이블이 하부 케이스(210a)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함에 의해 냉각수에 의한 침지가 용이하게 된다.
그 외 전선 케이블의 위치가 냉각수조(100)의 상부측에 위치하면서 침지되어야 할 경우에는 별도로 상부 케이스(210b)에 삽입되는 가이드몸체(220)를 절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하부 케이스(210a)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막이(200)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케이스(300)를 더 포함하여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 케이스(300)는 높이조절몸체(310)와 높이조절몸체(310)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제3, 제4금속플레이트(321, 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높이조절몸체(310)는 EV 등의 수지재질로 냉각수조(100)의 양측면벽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120)이 이루는 간격과 대응되는 너비 및 슬라이딩레일(120)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고, 상방으로는 기설정된 높이로 형성된다.
제3, 제4금속플레이트(321, 322)는 높이조절몸체(310)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로 높이조절몸체(310)의 전후면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조절몸체(310)의 양단부측으로 더 길게 뻗은 제3, 제4금속플레이트(321, 322)에 의해 슬라이딩홈(323)이 형성된다.
이러한 높이조절 케이스(300)는 슬라이딩레일(120)에 삽입시켜 냉각수조(100)의 바닥면에 먼저 설치한 다음, 하부 케이스(210a)를 슬라이딩레일(120)로 삽입시켜 하부 케이스(210a)의 안착면(213b)이 높이조절몸체(31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하부 케이스(210a) 또는 상부 케이스(210b)를 포함하는 물막이(200)의 높이가 높이조절 케이스(300)에 의해 조절되도록 한다.
아울러, 높이조절 케이스(300)는 냉각수조(100)에 배치되는 전선 케이블의 배치형상에 따라 기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되, 전선 케이블의 규격 및 현장상황에 적응적으로 대처되도록 다양한 높이의 높이조절몸체(310)를 미리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특정 높이의 높이조절몸체(310)를 제3, 제4금속플레이트(321, 322)에 볼트로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냉각방식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이소택틱(isotactic) 구조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PP)을 전선 케이블의 절연층 피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종래보다 냉각효율을 높여야 하고, 폴리프로필렌(PP)은 종래와 같이 절연층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화학가교 열처리가 필요치 않아 압출기를 통해 절연층이 피복됨과 동시에 바로 냉각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냉각효율을 높이면서도 케이블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재를 수평라인으로 배치시키고 현수커브 제어에 의해 압출기를 통해 절연층이 피복된 선재가 냉각수조(100)의 바닥면에 비접촉되는 최대구간을 확보하여 고속으로 연속하여 전선 케이블을 생산하도록 한다.
이렇게 연속으로 인출되는 전선 케이블은 냉각수조(100) 내에 배치되는 전선 케이블의 형상이 미리 설정되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200)를 이용하여 냉각수조(100)의 각 구간마다 물막이(200)의 높이를 달리 설정하여 각기 다른 냉각방식으로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를 이용한 적하식 냉각수조의 측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B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적하식 냉각수조(100)는 압출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높은 온도로 가열된 절연층의 표면을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수로 표면을 냉각시키는 것으로, 냉각수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된 적하수단(10)으로 냉각수 물방울을 절연층 표면으로 적하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적하식 냉각수조(100)는 전선 케이블이 인출되면서 바로 냉각수에 침지시키는 것이 아니어서 냉각수조(100)의 전단에서는 하부 케이스(210a)만 설치하고 하부 케이스(210a)에 삽입되는 가이드몸체(220)는 별도로 절개시키기 않는다.
그리고 전선 케이블은 일정한 현수커브 형상으로 경사지게 되어 적하식 냉각수조(100)의 후단에서는 어느 정도 하방으로 쳐지고 적하수단(10)에 의해 절연층 표면이 어느 정도 냉각되므로,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냉각수조(100)의 후단의 물막이(200) 설치구조는 높이조절 케이스(300)를 먼저 삽입시키고 그 위에 가이드몸체(220)가 절개된 하부 케이스(210a)를 끼워 전선 케이블의 절연층 표면이 가이드몸체(220) 내 가이드공(221)에 수용되도록 한다. 즉, 전선 케이블이 적하식 냉각수조 후단에서는 냉각수에 일부 침지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를 이용한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의 측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도 8의 후단에 설치된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의 측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100)는 적하식 냉각수조(100)의 후단에 설치되며, 냉각수조(100) 하부에서는 순환파이프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어 전선 케이블이 냉각수에 일부 침지되며, 상부에는는 분사수단(20)을 통해 냉각수가 절연층 표면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대류에 의해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러한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10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물막이(200)는 냉각수조(100)의 바닥면에 높이조절용 케이스(210)가 먼저 설치되고, 그 상부에 하부 케이스(210a)를 설치하고, 하부 케이스(210a)에는 전선 케이블이 수용되는 가이드공(221)이 절개된 가이드몸체(220)가 삽입된다.
이때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100)의 물막이(200)에 형성되는 가이드공(221)은 전술한 적하식 냉각수조(100)에서와 같이 U자형으로 상하부가 동일한 폭으로 절개될 필요없이 가이드몸체(220)의 상단부에서는 좁은 폭으로 절개시켜 표면이 어느 정도 경화된 전선 케이블을 가이드공(221) 내측으로 끼워 전선 케이블의 외측면이 가이드공(221) 내측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냉각수의 대류 현상 등의 흐름이 발생되어도 전선 케이블이 가이드공(221)의 상방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냉각수조(100) 내에 일정 현수커브 형상으로 배치되는 전선 케이블이 냉각수조(100)의 하단부로 쳐진 상태로 배치될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100)내 일부 구간내에서 전선 케이블이 냉각수에 완전 침지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10a) 및 상부 케이스(210b)를 차례대로 설치하여 전선 케이블이 동일한 냉각수조(100) 내에서도 침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반침 분사식 냉각수조(100)의 후단에서 전선 케이블이 일정 현수커브 형상에 의해 냉각수조(100)의 상부측에 배치될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케이스(210)보다 더 높은 높이조절몸체(310)를 결합시켜 전선 케이블이 냉각수조(100) 내에서 일정 배치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선 케이블이 냉각수조(100) 내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물막이(200)의 높이를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냉각방식을 채택하여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냉각수조 110 : 가이드프레임
120 : 슬라이딩레일
200 : 물막이 210 : 케이스
210a: 하부 케이스 210b : 상부 케이스
211 : 제1금속플레이트 212: 제2금속플레이트
213 : 안착플레이트 213a : 슬라이딩면
213b : 안착면 214 : 슬라이딩홈
215 : 절개부
220 : 가이드몸체 221 : 가이드공
300 : 높이조절 케이스 310 : 높이조절몸체
321: 제3금속플레이트 322 : 제4금속플레이트
323 : 슬라이딩홈

Claims (5)

  1. 압출기를 통해 절연층이 피복된 전선 케이블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선 케이블의 표면에 냉각수에 접촉되는 냉각수조와, 상기 냉각수조의 양단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조 내에 수용되는 냉각수의 수위가 결정되는 물막이를 포함하여 압출 케이블을 냉각시키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조의 길이방향과 대향되는 양측 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물막이는
    2개의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하방으로 절개되는 절개부가 마련되는 케이스와,
    일정 탄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내에 삽입되되, 상부면에는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절개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삽입시키면, 상기 케이스의 절개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이드공에 상기 전선 케이블의 외측면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단부에 하방으로 일정 곡률로 곡면지도록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전후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 제2금속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하단부면에서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슬라이딩면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몸체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냉각수조의 하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에 전선 케이블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상기 제1, 제2금속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냉각수조의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절개부의 곡면 중심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상기 냉각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안착면이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물막이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는
    상기 냉각수조의 양측벽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이 이루는 간격과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며 상방으로는 기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높이조절몸체와,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로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전후면에 각각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양단부측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제3, 제4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KR1020170030576A 2017-03-10 2017-03-10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KR101989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76A KR101989845B1 (ko) 2017-03-10 2017-03-10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76A KR101989845B1 (ko) 2017-03-10 2017-03-10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523A true KR20180103523A (ko) 2018-09-19
KR101989845B1 KR101989845B1 (ko) 2019-06-17

Family

ID=6371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76A KR101989845B1 (ko) 2017-03-10 2017-03-10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7675A (zh) * 2018-12-29 2019-06-14 金华八达集团有限公司科技信息分公司 一种漩涡式电缆冷却装置
CN113793734A (zh) * 2021-09-24 2021-12-14 清远市合意氟塑电线有限公司 一种线缆生产用冷却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381A (ja) * 2004-10-20 2006-05-11 Kobe Steel Ltd 線状物冷却装置
KR100628602B1 (ko) * 2005-04-21 2006-09-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전선 가교 장치
KR20070065530A (ko) * 2005-12-20 2007-06-25 (주)세우 슬라이딩 도어의 밀봉장치
JP2007179983A (ja) * 2005-12-28 2007-07-12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被覆鋼線の製造方法
JP2010061811A (ja) * 2008-09-01 2010-03-18 Sumitomo Wiring Syst Ltd 絶縁電線の製造ラインおよび絶縁電線の製造方法
KR20100128810A (ko) * 2009-05-29 2010-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피복 장치용 처짐량 검출기
KR101531570B1 (ko) 2014-12-16 2015-06-25 오켈케이블주식회사 전선 제조 장치
KR20150128045A (ko) * 2014-05-08 2015-11-18 에스원텍주식회사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381A (ja) * 2004-10-20 2006-05-11 Kobe Steel Ltd 線状物冷却装置
KR100628602B1 (ko) * 2005-04-21 2006-09-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전선 가교 장치
KR20070065530A (ko) * 2005-12-20 2007-06-25 (주)세우 슬라이딩 도어의 밀봉장치
JP2007179983A (ja) * 2005-12-28 2007-07-12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被覆鋼線の製造方法
JP2010061811A (ja) * 2008-09-01 2010-03-18 Sumitomo Wiring Syst Ltd 絶縁電線の製造ラインおよび絶縁電線の製造方法
KR20100128810A (ko) * 2009-05-29 2010-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피복 장치용 처짐량 검출기
KR20150128045A (ko) * 2014-05-08 2015-11-18 에스원텍주식회사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KR101531570B1 (ko) 2014-12-16 2015-06-25 오켈케이블주식회사 전선 제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7675A (zh) * 2018-12-29 2019-06-14 金华八达集团有限公司科技信息分公司 一种漩涡式电缆冷却装置
CN109887675B (zh) * 2018-12-29 2020-07-24 金华八达集团有限公司科技信息分公司 一种漩涡式电缆冷却装置
CN113793734A (zh) * 2021-09-24 2021-12-14 清远市合意氟塑电线有限公司 一种线缆生产用冷却装置及控制方法
CN113793734B (zh) * 2021-09-24 2023-08-22 清远市合意氟塑电线有限公司 一种线缆生产用冷却装置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845B1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845B1 (ko)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US7326298B2 (en) Wire insulating line
KR101909735B1 (ko) 수평 현수제어를 이용한 압출 케이블 냉각 시스템
US10935748B2 (en) Modularized cable termination unit
KR20090020472A (ko) 차량 문 조립체용 창문 조절 장치
TWI703099B (zh) 玻璃基板之製造方法及玻璃基板製造裝置
JP2019059596A (ja) 物品搬送設備
US1134870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circular electrical cable having a reduced pulling force
JP4438596B2 (ja) 線状物冷却装置
CN1930095B (zh) 浮法平板玻璃的制造方法及其装置
US6448495B1 (en) Fiber optic cable raceway outlet with raceway cover, and method
KR100925556B1 (ko) 케이블 트레이 설비
KR101815237B1 (ko) 히팅 케이블 열처리 오븐
US3604392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lastic insulated wire
CN102360640B (zh) 改进结构的线缆定径模具
KR100423785B1 (ko) 2중 압출 구조의 자바라 스크린 싸이징 냉각방법 및 장치
KR101510695B1 (ko) 냉장고
CN213671489U (zh) 一种金属带材纵包模具
CN100581789C (zh) 用于横向拉伸材料带的方法和装置
KR101788481B1 (ko) 리드프레임용 도금장치
JP201208426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止水部形成治具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止水部形成方法
JP4633514B2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ロッドの冷却装置
US10944246B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guide member
KR200232913Y1 (ko) 2중 압출 구조를 갖는 자바라 스크린의 싸이징 냉각장치
CN214193386U (zh) 一种电缆生产用铜丝退火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