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836B1 - 실 권선기 - Google Patents

실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836B1
KR100632836B1 KR1020050061671A KR20050061671A KR100632836B1 KR 100632836 B1 KR100632836 B1 KR 100632836B1 KR 1020050061671 A KR1020050061671 A KR 1020050061671A KR 20050061671 A KR20050061671 A KR 20050061671A KR 100632836 B1 KR100632836 B1 KR 100632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upport
yarn
threa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플렉스
Priority to KR102005006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8Automatic end-finding and material-interconnecting arrangements
    • B65H67/081Automatic end-finding and material-interconnecting arrangements acting after interruption of the winding process, e.g. yarn breakage, yarn cut or package re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1)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제1지지대(11)와, 제1지지대(11)로부터 부착되는 브라켓트(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와, 구동모터(12)의 구동축상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 및 이 구동기어(3)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가 축 설치되어 제1지지대(11) 상면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과, 회전축(13) 일단에 부착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빈교체부(10)와; 상기 보빈교체부(10)의 회전판(14) 양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을 교호로 감기 위한 제1구동모터(21) 및 제2구동모터(22)와, 제1구동모터(21), 제2구동모터(21)와 연결되며, 실(Y)을 감기위한 보빈(B)을 밀착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구(25)가 축 설치된 제1보빈 회전축(23), 제2보빈 회전축(24)으로 이루어진 보빈구동부(20)와; 상기 보빈교체부(10)가 설치되는 베이스(1)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제2지지대(31)와, 제2지지대(31)의 측면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이 감긴 보빈(B)으로부터 실(Y)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32)와, 빈 보빈에 실을 밀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점착롤러(33)(34)와, 실을 커팅하기 위한 커터날(35)이 구비된 아암(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동부(30)와; 상기 제2지지대(31)의 상부에 몸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로드 일단은 상기 아암(36)의 적소에 설치되어 아암을 회동자재하게 조정하는 유압실린더(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연속으로 공급되는 실을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회전구동되는 제1보빈 회전축상의 보빈과 제2보빈 회전축상의 보빈을 상호 위치를 전환시켜 빈 보빈과 실이 감긴 보빈과의 교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빈 보빈에 실 이어붙이기 및 실 커팅 등의 동작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무모하게 버려지는 실의 소비량 없이 연속적인 권선을 실시하여 작업성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 권선기, 보빈, 회전판, 회전축, 교체

Description

실 권선기{a yarn win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인 실 권선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권선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 권선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권선기에서 보빈이 교차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권선기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빈교체부 11: 제1지지대
12: 구동모터 13: 회전축
14: 회전판 20: 보빈구동부
21: 제1구동모터 22: 제2구동모터
23: 제1보빈 회전축 24: 제2보빈 회전축
25: 지지구 30: 회동부
30a, 30b, 30c: 공압실린더 31: 제2지지대
32: 가이드롤러 33, 34: 점착롤러
35: 커터날 36: 아암
40: 유압실린더 B: 보빈
Y: 실
본 발명은 실 권선기에 관한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장치에 장착되는 보빈에 실(yarn)을 권선하는 권선기(捲線機)에 있어, 실을 감기 이전의 보빈과, 실을 감은 보빈의 교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 테잎 등을 일정두께로 감아주는 권선기는 수동식 권선기, 자동식권선기 등이 있다.
통상의 권선기는 권선기에 작업자가 일일히 장착한 보빈에 실을 자동으로 고르게 감아 일정두께에 이르는 정도에서 실을 끊어준 다음, 새로운 보빈을 장치에 다시 재장착하는 작업으로서 실의 권선작업을 실시하였다.
즉,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보빈에 실을 초기 부착시킨 상태에서 모터 등의 회전수단을 통해 연속으로 공급되어 나오는 실을 자동으로 권선한 다음, 권선기의 구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실을 끊어주고, 새로운 보빈을 다시 재장착하는 반복적인 일을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실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일시의 작업라인을 정지 시키므로, 연속으로 공급되는 실을 바로바로 연결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공급되는 실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 작업자에 따라서는 무모하게 버려지는 실이 많았으며, 대체적으로 이러한 작업은 현실적으로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속으로 공급되는 실을 자동으로 권선하는 한편, 빈 보빈과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빈 보빈에 실 이어붙이기 및 실 커팅 등의 동작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 권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제1지지대와, 제1지지대로부터 부착되는 브라켓트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상에 설치되는 구동기어 및 이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축 설치되어 지지대 상면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일단에 부착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빈교체부와; 상기 보빈교체부의 회전판 양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을 교호로 감기 위한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실을 감기위한 보빈을 밀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가 축 설치된 제1보빈 회전축, 제2보빈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보빈구동부와; 상기 보빈교체부가 설치되는 베이스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제2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측면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이 감긴 보빈으로부터 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빈 보빈에 실을 밀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점착 롤러와, 실을 커팅하기 위한 커터날이 구비된 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동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에 몸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로드 일단은 상기 아암의 적소에 설치되어 아암을 회동자재하게 조정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실 권선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인 실 권선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권선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 권선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권선기에서 보빈이 교차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권선기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 권선기는 보빈교체부(10), 보빈구동부(20), 회동부(30)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보빈교체부(10)는 베이스(1)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제1지지대(11)와, 제1지지대(11)로부터 부착되는 브라켓트(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와, 구동모터(12)의 구동축상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 및 이 구동기어(3)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가 축 설치되어 제1지지대(11) 상면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과, 회전축(13) 일단에 부착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3)은 제1지지대(11)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칼라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는 후술하는 회전판과 연결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보빈구동부(20)는 보빈교체부(10)의 회전판(14) 양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을 교호로 감기 위한 제1구동모터(21) 및 제2구동모터(22)와, 제1구동모터(21), 제2구동모터(21)와 연결되며, 실(Y)을 감기위한 보빈(B)을 밀착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구(25)가 축 설치된 제1보빈 회전축(23), 제2보빈 회전축(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구(25)는 원뿔형으로 회전축(23)(24)상에 상호 경사지는 부위가 대응되도록 관통 설치되어 그 사이에 배치되는 중공형의 보빈(B) 양측에 경사진 부분이 안내되어 보빈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제1보빈 회전축(23), 제2보빈 회전축(24)의 일단은 지지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탭이 형성되고, 이 탭에는 너트가 체결된다.
상기 상기 제1보빈 회전축(23), 제2보빈 회전축(24)은 하우징(23-1)(24-1)에 의해 축 지지되며, 하우징(23-1)(24-1)에 마련되는 플랜지부를 통해 회전판으로부터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30)는 보빈교체부(10)가 설치되는 베이스(1)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제2지지대(31)와, 제2지지대(31)의 측면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이 감긴 보빈(B)으로부터 실(Y)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32)와, 빈 보빈에 실을 밀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점착롤러(33)(34)와, 실을 커팅하기 위한 커터날(35)이 구비된 아암(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점착롤러(33)(34)는 공압실린더(30a)(30b)와 연결 설치되고, 커터날(35)은 공압실린더(30c)와 연결되어 전후동작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30)의 설치에 있어, 상기 제2지지대(31)의 상부에는 몸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로드 일단은 상기 아암(36)의 적소에 설치되어 아암을 회동자재하게 조정하는 유압실린더(40)가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실을 보빈측에 수평으로 권선시키기 위한 슬라이더를 나타낸 것이고, 51은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모터를 나타낸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 권선기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1)의 상면 적소에 소정높이에서 설치된 슬라이더(50)는 모터(51)의 구동으로 인해 좌우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연속으로 공급되는 실(Y)을 보빈(B)측에 평행으로 권선시켜 준다.
상기 보빈(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중공으로 보빈구동부(20)의 제1보빈 회전축(23)과 제2보빈 회전축(24)상에 설치된 지지구(25)에 의해 각 양단이 압입고정된 것으로, 제1보빈 회전축(23)과 제2보빈 회전축(24)의 종단에 설치된 제1구동모터(21), 제2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1보빈 회전축(23)과 제2보빈 회전축(24)은 회전판(14)으로부터 설치된 하우징(23-1)(24-1)을 통해 회전함으로써 안정된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먼저, 실(Y)의 권선은 상기 제2구동모터(22)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 (21)의 회전구동에 따라 실(Y)을 권선하게 되는데, 실의 권되는 양은 전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rpm)에 의해 그 권선정도의 양을 결정하게 된다.
제1보빈 회전축(23)상의 보빈(B)으로부터 권선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보빈교체부(10)가 작동하여 제1보빈 회전축(23)과 제2보빈 회전축(24)의 위치를 상호 전환시켜준다.
이는 제1지지대(11)측의 브라켓트(2)에 설치된 구동모터(12)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3)가 회전축(13)측에 축 설치된 종동기어(4)를 회전시켜 결국 회전축(13)을 180도 회전되도록 하여 제1보빈 회전축(23)과 제2보빈 회전축(24)의 위치를 바꿔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동부(30)는 제2지지대(31)의 상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40)의 작용으로 작동로드 일단은 아암(36)을 밀어 전진시키고, 이에 따른 아암(36)은 제2지지대(31)측과 연결된 힌지축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첨부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보빈(실이 감기지 않은 보빈)의 측편에 아암(36)의 일측이 근접되게 위치된다.
상기 아암의 회동에 있어, 일단에 풀리(Pully)형의 가이드롤러(32)는 위치가 바뀐 제1보빈 회전축(23)상의 보빈(B)으로부터 권선된 최종적인 실(Y)을 안내하고, 이어서, 아암(36)에 설치된 점착롤러(33)(34)는 각 연결된 공압실린더(30a)(30b)의 전진동작으로 새로운 보빈 외측에 걸쳐진 실을 가압하여 접착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점착롤러(33)(34)에 이어 그 하부에 위치된 커터날(35)은 공압실린더(30c)의 작 동으로 전진하여 실(Y)을 끊어준다.
이때 실이 끊기는 동작에서 제2보빈 회전축(24)은 일시 정지상태이고, 실이 끊어짐과 동시에 제2보빈 회전축(24)은 바로 회전과 동시에 실(Y)을 권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Y)을 끊어주는 공압실린더(30c)의 복귀동작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설정된 프로그램 설정에 의해 새로운 보빈이 설치된 제2보빈 회전축(24)을 제2구동모터(22)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구동모터(22)의 구동으로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Y)을 권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아암(36)은 유압실린더(40)의 복귀동작으로 상부로 복귀되고, 제2보빈 회전축(24)상의 보빈(B)에 실(Y)이 권선이 이루어지면, 상기와 같이 회전판(14)이 180도 전환되면서 그동안 새로운 보빈(B)으로 교체한 제1보빈 회전축(23)에 실을 감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보빈(B)의 외주연에는 통상 최초 실(Y)을 부착하기 위한 목적에서 점착성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점착롤러(33)(34)의 가압동작에서 실은 연속적으로 이어붙이기가 가능하고, 커터날(35)에 의해 끊기 동작으로서 연속되는 실(Y)의 공급에서 별도로 실의 소모가 없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즉, 작업자는 일정시간안에 새로운 보빈(B)만을 제1보빈 회전축(23) 또는 제2보빈 회전축(24)상에 장착시켜 주면, 기기의 정지동작과 관련하여 무모하게 버려지는 실의 소모량 없앨수 있고, 보빈의 교체작업으로서 작업이 편리해지며, 실을 권선하는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 권선기는 연속으로 공급되는 실을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회전구동되는 제1보빈 회전축상의 보빈과, 제2보빈 회전축상의 보빈을 상호 위치를 전환시켜 빈 보빈과 또는 실이 감긴 보빈과의 교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빈 보빈에 실 이어붙이기 및 실 커팅 등의 동작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무모하게 버려지는 실의 소비량 없이 연속적인 권선을 실시가 가능하여 작업자는 보빈교체만의 작업으로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베이스(1)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제1지지대(11)와, 제1지지대(11)로부터 부착되는 브라켓트(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와, 구동모터(12)의 구동축상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 및 이 구동기어(3)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가 축 설치되어 제1지지대(11) 상면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과, 회전축(13) 일단에 부착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빈교체부(10)와;
    상기 보빈교체부(10)의 회전판(14) 양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을 교호로 감기 위한 제1구동모터(21) 및 제2구동모터(22)와, 제1구동모터(21), 제2구동모터(21)와 연결되며, 실(Y)을 감기위한 보빈(B)을 밀착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구(25)가 축 설치된 제1보빈 회전축(23), 제2보빈 회전축(24)으로 이루어진 보빈구동부(20)와;
    상기 보빈교체부(10)가 설치되는 베이스(1)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제2지지대(31)와, 제2지지대(31)의 측면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이 감긴 보빈(B)으로부터 실(Y)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32)와, 빈 보빈에 실을 밀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점착롤러(33)(34)와, 실(Y)을 커팅하기 위한 커터날(35)이 구비된 아암(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동부(30)와;
    상기 제2지지대(31)의 상부에 몸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로드 일단은 상기 아암(36)의 적소에 설치되어 아암을 회동자재하게 조정하는 유압실린더 (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점착롤러(33)(34)는 공압실린더(30a)(30b)와 연결 설치되고, 커터날(35)은 공압실린더(30c)와 연결되어 전후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선기.
KR1020050061671A 2005-07-08 2005-07-08 실 권선기 KR100632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71A KR100632836B1 (ko) 2005-07-08 2005-07-08 실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71A KR100632836B1 (ko) 2005-07-08 2005-07-08 실 권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836B1 true KR100632836B1 (ko) 2006-10-11

Family

ID=3763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671A KR100632836B1 (ko) 2005-07-08 2005-07-08 실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8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70B1 (ko) * 2014-12-16 2015-06-25 오켈케이블주식회사 전선 제조 장치
CN106586699A (zh) * 2016-12-16 2017-04-26 芜湖航达网业有限公司 一种编织机上料轴用移动装置
KR20220001545A (ko) * 2020-06-29 2022-01-06 석병노 관 자동 권취장치용 관 커팅 공급장치
CN117963641A (zh) * 2024-03-29 2024-05-03 福建锦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纱线扭结式并轴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6323A (en) 1992-03-06 1997-10-14 Maschinenfabrik Rieter Ag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d winding bobbins involving the correction of movement sequences in a moving e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6323A (en) 1992-03-06 1997-10-14 Maschinenfabrik Rieter Ag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d winding bobbins involving the correction of movement sequences in a moving ele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70B1 (ko) * 2014-12-16 2015-06-25 오켈케이블주식회사 전선 제조 장치
CN106586699A (zh) * 2016-12-16 2017-04-26 芜湖航达网业有限公司 一种编织机上料轴用移动装置
KR20220001545A (ko) * 2020-06-29 2022-01-06 석병노 관 자동 권취장치용 관 커팅 공급장치
KR102659935B1 (ko) * 2020-06-29 2024-04-22 석병노 관 자동 권취장치용 관 커팅 공급장치
CN117963641A (zh) * 2024-03-29 2024-05-03 福建锦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纱线扭结式并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836B1 (ko) 실 권선기
CN107415326A (zh) 一种全自动的多功能纸筒卷筒机
CN101332608A (zh) 行星切割机的输电电缆收放线装置
CN219930365U (zh) 一种用于缝包线加工用捻线装置
CN111573379A (zh) 一种数控衬纸机
CN211848254U (zh) 一种新型亚麻湿纺细纱机
CN212443614U (zh) 一种数控线切割机床的断线保护装置
GB2453640A (en) Fibre strip application head
CN210896988U (zh) 缠绕带自动加载装置
KR100357811B1 (ko) 와이어 로드 공급 장치
CN103171925B (zh) 自动化多机构胶粘带分条机
CN113664307A (zh) 一种快慢结合走丝自动穿线钼丝线切割机床
CN220222886U (zh) 一种自动收卷换卷装置
CN201895368U (zh) 微机控制多线晶片切割机旋转罗拉机构
CN203513888U (zh) 加弹机的导丝盘缠丝自停装置
CN219004751U (zh) 一种便于刀具可调的分条机
KR200284493Y1 (ko) 와이어컷 방전 가공기용 와이어 회수장치
CN218083533U (zh) 一种多线切片机用小导轮
CN215946216U (zh) 一种卷材自动切断收卷装置
CN220182246U (zh) 一种高效标签自动排废机
CN220362669U (zh) 一种分切机的接料平台
CN213558016U (zh) 一种基于纸页成形后的卷烟胶放胶用设备
CN210896989U (zh) 缠绕带自动加载装置
CN215903800U (zh) 一种线切割机用的排线器
CN214399329U (zh) 一种自动化卷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