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633Y1 -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633Y1
KR200393633Y1 KR20-2005-0015064U KR20050015064U KR200393633Y1 KR 200393633 Y1 KR200393633 Y1 KR 200393633Y1 KR 20050015064 U KR20050015064 U KR 20050015064U KR 200393633 Y1 KR200393633 Y1 KR 200393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wire
copper
heating element
tension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복
Original Assignee
김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복 filed Critical 김상복
Priority to KR20-2005-0015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 H05B2203/015Heater wherein the heating element is interwoven with the tex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 인입을 위해 적용되며 다수의 동선라인으로 소정 갯수씩 배열되는 동선 플레이트와 이 동선 플레이트를 통해 발생되는 열을 전도하기 위한 카본사가 섬유사와 함께 동시에 직조되어 이루어지는 직조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동선라인들이 본체에 제공된 다수의 동선 권취릴로부터 각기 인출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동일 장력을 가지며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도록 배열함에 따라 동선의 이동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더불어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동선이 직조 발열체의 표면에 대해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COPPER WIRE TENSION ADJUSTABLE DEVICE OF PLANE HEATER}
본 고안은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동선라인이 본체에 제공된 다수의 동선 권취릴로부터 각기 인출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동일 장력을 가지며 배열되도록 하여 권취릴 들로부터의 동선 이동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동선의 배열에 의한 동선 플레이트가 직조 발열체의 표면에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하는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조 발열체는, 내부에 전기 라인이 구비되어 전원 인가시 시트 표면을 발열시키는 것으로, 침대 매트리스, 전기 장판, 시트의 좌판 및 등받이, 이불, 담요 및 막사 등 난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물품 및 장소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직조 발열체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02년 2월 19일자로 출원되어 특허 제10-0472301로 등록된 바 있다.
이는 도 1에서와 같이, 섬유사가 씨줄과 날줄 형상으로 직조된 시트지(10)에 카본 발열선(20)을 배열시켜 인입단자(60, 62)를 통해 카본 발열선(2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직조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10)의 직조시 일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폭의 틈새(12)가 형성되도록 직조하고, 상기 시트지(10)에 카본발열선(20)이 각각 평행한 한 조로 등간격을 가지며 복수조 패턴화 하되, 각각 한조를 이루는 일측 카본 발열선(20)의 일단은 상기 틈새(12)를 중심으로 한 상측 시트지(14)로 연장 배열시키고 타측 카본 발열선(20)의 일단은 각각 하측 시트지(16)로 연장 배열되도록 하며, 상기 틈새(12)를 중심으로 한 상하측 시트지(14, 16)에 상기 카본 발열선(20)과 각각 직교 위치되는 제1 및 제2 도전선(30, 32)을 결합시켜 상기 카본 발열선(20)의 일단들과 통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시트지(10)의 타측 단부에 상기 카본 발열선(20)의 타단들이 접촉되도록 도전선(40)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틈새(12)에는 절연지(50)를 삽입 고정시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선(30,32)간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상하측 시트지(14,16)의 제1 및 제2 도전선(30,32) 일단에는 각각 전기 인입 단자(60,62)를 연결시켜 상기 카본 발열선(20)이 상기 도전선(40)들을 통해 발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기 인입을 위한 다수의 도전선(40)이 다수의 권취릴로부터 개별적인 장력을 가진 상태로 카본사 및 섬유사와 함께 직조하게 되고 그 직조된 표면에 시트지(10)를 부착시켜 직조 발열체를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직조 발열체는 제조시 동선이 권취릴들로부터 각기 감겨진 상태에서 인출후 안내부재들을 통해 이동하여 일정폭의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최외곽측의 동선라인과 중앙부의 동선라인이 당김력에 의해 서로 장력이 달라져 처지는 현상 또는 팽팽하게 당겨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동선으로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경우 불규칙한 표면을 이루게 되어 표면지 등의 부착시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더불어, 상기 직조 발열체의 직조과정에서 상이한 장력을 가지며 조밀하게 배열된 도전선(동선라인)들에, 그 표면을 이루는 표면지를 접착하는 경우 시트지의 표면이 동선라인들의 개별 장력에 따라 쭈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직조 발열체에서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다수의 동선라인이, 본체에 제공된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동일 장력을 가지며 배열 직조됨에 따라 직조 시 동선의 처짐력이 발생되지 않아 균일한 표면의 동선 플레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표면지 부착시 개별 신률에 의해 발생되는 쭈그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즉, 전기인입을 위해 적용되며 다수의 동선라인이 소정 갯수씩 배열되는 동선 플레이트와, 이 동선 플레이트를 통해 발생되는 열을 전도하기 위한 카본사가 섬유사와 함께 위사와 경사방향을 가지며 직조되어 이루어지는 직조 발열체의 직조에 있어 상기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동선라인이 권취릴로부터 각기 인출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동일 장력을 가지며 직조 배열되도록 구성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 인입을 위해 적용되며 다수의 동선라인이 소정갯수씩 배열되는 동선 플레이트와 이 동선 플레이트를 통해 발생되는 열을 전도하기 위한 카본사가 섬유사와 함께 위사와 경사방향을 가지며 직조되어 이루어지는 직조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동선라인이 본체에 제공된 다수의 동선 권취릴로부터 각기 인출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동일 장력을 가지며 가이드부재를 통해 안내되어 상기 섬유사 및 카본사와 함께 직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동선 권취릴로부터 인출되는 동선라인을 안내홈을 통해 조밀 간격으로 배열하게 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동선 권취릴과 가이드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 통과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너트 고정되며 하단에 동선 안내공을 갖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제공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또는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본체(1)에 제공되는 것으로, 동선라인(100)을 권취시키며 상기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다수의 권취릴(200)과, 상기 권취릴(200)들로부터 인출되는 동선라인(100)들을 본체(1) 상면에서 수평이 되도록 슬라이드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바(300)와, 상기 가이드바(300)를 통해 안내되는 동선라인(100)들의 개별 신률을 조절하게 되는 장력조절수단(400)과, 상기 장력조절수단(400)을 통과하는 동선라인(100)들을 동선 플레이트(610)를 이루도록 조밀간격으로 배열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동선라인(100)은, 공지의 발열시트(600)에 적용되는 것으로 다수라인이 소정간격을 가지며 밀착되어 전기 인입을 위한 하나의 동선 플레이트(610)를 이루며 이 동선 플레이트(610)는 섬유사 및 카본사와 함께 위사와 경사방향으로 직조된 후 표면지(620) 부착시 공지의 발열시트(600)를 이루게 된다.
상기 권취릴(200)은, 상기 본체(1)에 다수개 그 위치를 달리하며 제공되어 각기 회전바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동선라인(100)을 각각 권취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300)는, 상기 본체(1) 상면에 그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권취릴(200)들로부터 인출되는 동선라인(100)들을 수평상태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선라인(100)들은 권취릴(200)들의 배치에 의해 각각 불규칙한 이격 거리를 두고 안내되게 되고, 상기 권취릴(200)의 크기에 의해 동선라인(100)들은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본체(1)에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바(300)에 의해 안내되는 동선라인(100)들을 조밀 간격의 동선 플레이트(610)를 이루도록 배열하게 되는 것이며, 그 일측에 동선라인(100)을 조밀 간격으로 안내하는 동선 안내홀(520)이 형성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400)은, 상기 가이드바(300)와 상기 가이드부재(500) 사이의 본체(1)에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바(300)에 서로 이격거리를 가지며 배열 안내되는 동선라인(100)들이 상기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조밀간격으로 배열시 동선라인(100)들이 동일 신률을 가지도록 개별 신률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장력조절수단(400)은, 상기 본체(1)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며 상기 동선 권취릴(200)과 가이드부재(500)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부재(410)와, 상기 지지부재(410)를 상하 통과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너트(420) 고정되며 하단에 동선 안내공(432)을 갖는 다수개의 안내부재(430)와, 상기 안내부재(430)와 지지부재(410) 사이에 제공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440)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430)는, 상기 동선라인(100)이 각기 통과될 수 있도록 동선 안내공(432)이 연통 형성되며, 그 상면 중심에는 나사부(43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10)에 형성된 안내홀(412)을 통과하여 각기 너트(420)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40)은 상기 안내부재(430)의 나사부(434)를 감싸는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안내부재(430)의 상면을 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410)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너트(420)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하며 상기 안내부재(43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410)에 지지되는 상기 너트(420)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나사부(434)가 회전 승강되어 상기 나사부(434)와 일체로 된 상기 안내부재(430)가 승강하게 되며, 승강되는 안내부재(430)는 동선 안내공(432)을 통과하는 동선라인(100)을 승강시키게 되어 각각의 동선라인(100)에 대한 개별 신률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동선라인(100)들이 상기 가이드바(300)에서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인출되다가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동선 안내홀(520) 통과시 조밀간격으로 배열됨에 따라 배열된 상기 동선라인(100)들은 중앙부분 보다 외곽부분의 동선라인(100)들이 더 긴장상태가 되어 결국 이와같은 상태에서 직조되게 되면 동선라인(100)들은 처짐 또는 긴장력이 각기 발생하게 되고 이에따라 동선 플레이트(610)는 그 표면이 불규칙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져 이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동선라인이 본체에 제공된 다수의 동선 권취릴로부터 각기 인출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동일 장력을 가지며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도록 하므로써 섬유사 및 카본사와 함께 위사와 경사방향으로 직조시 동선의 처짐력이 발생되지 않아 양쪽 표면에 표면지를 부착시켜도 그 표면에 동선 플레이트가 균일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동선라인의 규칙적인 배열에 따라 전원 인가시 발열량을 고르게 가질 수 있고, 더불어 동일한 장력에 의해 표면지 부착시 그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직조 발열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동선라인
200: 권취릴
300: 가이드바
400: 장력 조절수단
500: 가이드부재
600: 발열시트

Claims (2)

  1. 전기 인입을 위해 적용되며 다수의 동선라인이 소정갯수씩 배열되는 동선 플레이트와 이 동선 플레이트를 통해 발생되는 열을 전도하기 위한 카본사가 섬유사와 함께 위사와 경사방향을 가지며 직조되어 이루어지는 직조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동선 플레이트를 이루는 동선라인이 본체에 제공된 다수의 동선 권취릴로부터 각기 인출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동일 장력을 가지며 가이드부재를 통해 안내되어 상기 섬유사 및 카본사와 함께 직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동선 권취릴로부터 인출되는 동선라인을 안내홈을 통해 조밀 간격으로 배열하게 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동선 권취릴과 가이드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 통과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너트 고정되며 하단에 동선 안내공을 갖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제공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KR20-2005-0015064U 2005-05-27 2005-05-27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KR200393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064U KR200393633Y1 (ko) 2005-05-27 2005-05-27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064U KR200393633Y1 (ko) 2005-05-27 2005-05-27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633Y1 true KR200393633Y1 (ko) 2005-08-24

Family

ID=4369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064U KR200393633Y1 (ko) 2005-05-27 2005-05-27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6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019B1 (ko) 2007-09-07 2009-01-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제조장치
WO2016140525A1 (ko) * 2015-03-04 2016-09-09 주식회사 유니웜 금속사 장력 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직조방법
KR20190024524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신정 니트 원단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019B1 (ko) 2007-09-07 2009-01-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제조장치
WO2016140525A1 (ko) * 2015-03-04 2016-09-09 주식회사 유니웜 금속사 장력 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직조방법
KR20190024524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신정 니트 원단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633Y1 (ko) 직조 발열체의 동선 장력조절장치
CN110172766A (zh) 一种用于纺织的整经装置
CN105970447A (zh) 一种剑杆织机边布导纱装置
CN214088807U (zh) 一种整经机
CN211311735U (zh) 一种离子式防静电展纱装置
CN114214766B (zh) 一种整经机
CN211227502U (zh) 一种面料高效加弹设备
CN216473779U (zh)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
KR100689101B1 (ko) 면상발열체를 채용한 발열매트
CN204097661U (zh) 喷水式织机用的纬纱保持装置
CN211594512U (zh) 纱线或纤丝放线架
KR101641379B1 (ko) 섬유 공급장치
CN201095674Y (zh) 彩色经纱送经补充装置
CN207210644U (zh) 一种玻纤布经纱纱架
CN219568201U (zh) 一种织带经线的供纱架
CN110857479A (zh) 一种高效快速整经设备
CN217052587U (zh) 一种造纸干网插接机用纱线牵拉连接装置
CN217052591U (zh) 用于编织通电带的张力调节装置
CN218756326U (zh) 一种织机双边撑机构
CN111218753A (zh) 一种金属丝网带及其织造方法
CN111115346A (zh) 一种纱线或纤丝放线架
CN216274627U (zh) 一种专用于织物编织设备的换线装置
CN218621257U (zh) 一种经丝张力调节结构及具有该结构的圆织机
JPH01280045A (ja) エアジェット織機
CN210380589U (zh) 一种定子绕线机的进线张紧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