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347B1 - 직선형 전선공급기 - Google Patents

직선형 전선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347B1
KR101508347B1 KR20130136746A KR20130136746A KR101508347B1 KR 101508347 B1 KR101508347 B1 KR 101508347B1 KR 20130136746 A KR20130136746 A KR 20130136746A KR 20130136746 A KR20130136746 A KR 20130136746A KR 101508347 B1 KR101508347 B1 KR 10150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wire
upper fram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3013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3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형 전선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며 전선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선을 이송시에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선을 이송시에 상기 전선이 팽팽하도록 하는 이동롤러로 구성되는 롤러부와;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선형 전선공급기{LINEAR TYPE WIRE SUPPLEMENTARY DEVICE}
본 발명은 전선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직선형 전선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장치에서 전원의 공급은 피복된 전선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차량의 설계와 함께 전선링 하네스도 설계가 된다.
따라서, 전선링 하네스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전선은 연결되는 각 부품 사이의 거리에 맞게 미리 절단되어 양단부가 탈피된 후 터미널이 결합되어 전선링 하네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여기서, 전선이 공급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되고, 전선의 단부에 대한 피복재의 탈피작업을 수행하며, 피복된 부위에 실링부재를 끼우고, 터미널을 압착하는 장치를 전선 가공기라 한다.
이때, 전선 가공기에는 와어이를 절단하는 부분으로 전선을 일정 길이씩 공급하는 공급롤러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배치되며, 공급롤러의 일측에는 전선이 감겨져 전선을 공급롤러 측에 공급하는 보빈이 배치된다.
또한, 공급롤러의 일측에는 전선을 공급롤러 측에 선형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전선 가공기에 구비되며, 모터의 회전에 의해 공급롤러가 회전됨으로써 전선은 보빈에서 풀리어 안내롤러를 통과하고, 공급롤러의 마찰력에 의해 전선 가공기의 절단부위로 이동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선 공급기에 있어서는, 보빈에 권취된 전선을 공급롤러 측으로 초기 공급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공급해 주어야만 하므로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어 전선 인입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초기 공급 작업이 진행되므로 이러한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선의 자동 절, 압착 공정에서 전선 인입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선교체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노력을 줄임으로써 용이하게 전선의 자동 절, 압착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직선형 전선공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며 전선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선을 이송시에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선을 이송시에 상기 전선이 팽팽하도록 하는 이동롤러로 구성되는 롤러부와; 상기 이동롤러를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판면에는 상기 이동롤러가 승하강시에 상기 이동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지지롤러와 지지롤러 사이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롤러와 상기 지지롤러가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롤러가 승하강 구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롤러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가이드공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공의 중앙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롤러가 열을 이루며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프레임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실린더의 인입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의 인입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롤러 전방의 상기 상부프레임 판면에는 초기 인입되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고 상기 전선의 유동을 방지하는 전선 스트레이너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선 스트레이너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인입되는 전선과 접촉되어 상기 전선을 잡아주는 복수의 상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와 상기 복수의 상부롤러는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는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선 스트레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간극조절나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선의 자동 절, 압착 공정에서 전선 인입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선교체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노력을 줄임으로써 용이하게 전선의 자동 절, 압착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직선형 전선공급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10)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며 전선(1)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100)와, 상부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부프레임(120)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1)을 이송시에 지지하는 지지롤러(210)와,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선(1)을 이송시에 전선(1)이 팽팽하도록 하는 이동롤러(220)로 구성되는 롤러부(200)와, 이동롤러(220)를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부(100)는 지면으로부터 롤러부(200)와 구동부(300)를 일정 높이에 지지하여 전선이 자동 절, 압착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1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프레임(110)은 전선(1)이 자동 절, 압착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이동롤러(220)를 승하강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300)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프레임(120)은 하부프레임(11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자동 절, 압착기로 공급되는 전선이 팽팽하게 텐션이 부여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전선(1)을 인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롤러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프레임(120)의 판면에는 일정 간격을 갖고 전선(1)이 인입시에 전선(1)과 접촉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전선(1)을 지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롤러(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지지롤러(210)와 지지롤러(210) 사이에는 상부프레임(120)의 판면 일부를 절개한 가이드공(1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공(121)은 이동롤러(210)가 승하강시에 이동롤러(2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가이드공(121)에 이동롤러(220)를 설치시에 지지롤러(21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공(121)은 지지롤러(210)와 지지롤러(210)의 중앙에 배치되어 일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20)의 내부에는 이동롤러(120)를 승하강 이동시키게 되는 롤러프레임(310)이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일정한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20)의 판면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전선(1)이 인입된 후에 인출되는 통로가 되는 전선인입부재(122)와 전선인출부재(1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전선인입부재(122)를 통과하여 인입된 전선(1)은 지지롤러(210)와 이동롤러(220)를 거쳐 일정한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전선인출부재(123)를 통하여 자동 절, 압착기 측으로 전선을 공급하게 된다.
롤러부(200)는 상부프레임(120)의 판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전선(1)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10)와,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며 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롤러(220)를 포함한다.
지지롤러(210)는 상부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며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높이에 회전가능하게 복수로 설치된다.
지지롤러(210)의 측면은 전선(10)을 이송시에 지지롤러(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 영역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와 나사에 의하여 상부프레임(120)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롤러(210)를 기준으로 이동롤러(220)가 승하강 구동에 의하여 지지롤러(2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롤러(210)는 가이드공(121)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공(121)의 중앙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롤러(220)는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이송되는 전선(10)에 텐션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전선(10) 측으로 효과적으로 텐션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동롤러(220)는 지지롤로(210)와 지지롤러(210) 사이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동롤러(220)도 지지롤러(210)와 마찬가지로 이동롤러(220)의 측면은 전선(10)을 이송시에 지지롤러(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 영역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와 나사에 의하여 후술할 롤러프레임(310)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300)는 이동롤러(220)가 열을 이루며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프레임(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형상의 롤러프레임(310)과, 롤러프레임(310)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롤러프레임(310)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에어실린더(320)와, 에어실린더(32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하부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스위치(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롤러프레임(310)은 자동 절, 압착기 측으로 인입되는 전선(1)에 텐션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동롤러(220)가 일괄적으로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롤러프레임(31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부프레임(120)의 내부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판면에는 복수의 이동롤러(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롤러프레임(310)의 길이는 적어도 가장자리에 배치된 가이드공(121)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어야 하며, 그 높이는 이동롤러(220)가 승강 운동하여 최상측에 배치될 경우에 롤러프레임(310)의 상면이 상부프레임(120)의 상측 내면과 접촉되어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프레임(310)의 판면에는 롤러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복수의 이동롤러(2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롤러(220)는 나사와 볼트에 의하여 롤러프레임(310)에 결합되어 롤러프레임(310)은 상부프레임(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동롤러(220)는 상부프레임(120)의 외부에 배치된다.
에어실린더(320)는 롤러프레임(310)을 상부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단부가 롤러프레임(310)의 하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실린더(320)는 하부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부프레임(120)의 내부에 배치된 롤러프레임(310)의 일측과 고정 결합되어 있다.
레버스위치(330)는 에어실린더(32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레버스위치(330)의 일부는 하부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하부프레임(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을 에어실린더(320) 측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부(300)는 롤러프레임(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롤러프레임(3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롤러프레임(310)에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롤러 가이드(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에는 롤러프레임(310)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320)의 인입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340)가 더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340)의 작동에 의하여 이동롤러(220)가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자동 절, 압착기 측으로 공급되는 전선(1)에 부여되는 텐션의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전선(1)의 인입 방향을 따라 지지롤러(210) 전방의 상부프레임(120) 판면에는 초기 인입되는 전선(1)을 고정하고 전선(1)의 유동을 방지하는 전선 스트레이너(35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선 스트레이너(350)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롤러(351)와, 하부롤러(351)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인입되는 전선과 접촉되어 전선(1)을 잡아주는 복수의 상부롤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 스트레이너(350)를 구성하는 하부롤러(351)와 상부롤러(352)는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롤러(351) 및 상부롤러(352)가 인입되는 전선(1)과 밀착되도록 복수의 하부롤러(351)는 탄성스프링(353)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롤러(351)와 상부롤러(352)는 각각 롤러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데, 상부롤러(352)가 상호 이격되는 간격은 하부롤러(351)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스프링(353)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지지되는 하부롤러(351)가 상부롤러(352)와 상부롤러(352) 사이를 통과하여 하부롤러(351)가 상부롤러(352)의 상측에 배치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선 스트레이너(350)의 일측에는 하부롤러(351)와 상부롤러(352)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간극조절나사(354)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간극조절나사(354)는 인입되는 전선(1)의 굵기에 따라 상부롤러(352)와 하부롤러(351)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간극조절나사(354)는 상부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된 전선인입부재(122)를 통과하는 전선(1)과 전선 스트레이너(350)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하여 전선 스트레이너(350)의 높낮이를 미세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전선공급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자동 절, 압착기 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급하고자 하는 전선(1)을 전선인입부재(122)를 통과시킨 후에 전선 스트레이너(350)를 통과하면서 전선(1)이 유동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반듯하게 펴주게 된다.
직선으로 펴진 전선은 지지롤러(210)의 일측과 접촉되게 한 후에 전선인출부재(123)를 통과하여 전선(1)의 단부가 자동 절, 압착기에 물리도록 한다.
그 후에, 레버스위치(330)를 회전시켜 에어실린더(320)가 구동되도록 하면 에어실린더(320)의 단부가 인출되면서 롤러프레임(310)이 상측이나 혹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이동롤러(220)가 상측으로 혹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전선(1)에 텐션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롤러프레임(310)이 상부프레임(120)의 하측에 위치하면 전선 스트레이너(350)를 통과한 전선(1)이 지지롤러(210)의 하측과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롤러프레임(31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전선(1)과 이동롤러(220)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전선(1)에 텐션을 부여하게 된다.
반대로, 롤러프레임(310)이 상부프레임(120)의 상측에 위치하면전선 스트레이너(350)를 통과한 전선(1)이 지지롤러(210)의 상측과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롤러프레임(31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전선(1)과 이동롤러(220)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전선(1)에 텐션을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전선(1)에 텐션을 부여하는 정도는 솔레노이드 밸브(340)에 의하여 에어실린더(320)의 단부가 인입출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전선에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전선(1)이 자동 절, 압착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자동 절, 압착 공정에서 전선 인입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전선 100 : 프레임부
110 : 하부프레임 120 : 상부프레임
121 : 가이드공 122 : 전선인입부재
123 : 전선인출부재 200 : 롤러부
210 : 지지롤러 220 : 이동롤러
300 : 구동부 310 : 롤러프레임
320 : 에어실린더 330 : 레버스위치
340 : 솔레노이드 밸브 350 : 전선 스트레이너
351 : 하부롤러 352 : 상부롤러
353 : 탄성스프링 354 : 간극조절나사

Claims (12)

  1.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며 전선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선을 이송시에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선을 이송시에 상기 전선이 팽팽하도록 하는 이동롤러로 구성되는 롤러부와;
    상기 이동롤러를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롤러가 열을 이루며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프레임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스위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판면에는 상기 이동롤러가 승하강시에 상기 이동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지지롤러와 지지롤러 사이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롤러와 상기 지지롤러가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가 승하강 구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롤러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가이드공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공의 중앙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롤러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프레임에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롤러 가이드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실린더의 인입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인입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롤러 전방의 상기 상부프레임 판면에는 초기 인입되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고 상기 전선의 유동을 방지하는 전선 스트레이너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스트레이너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인입되는 전선과 접촉되어 상기 전선을 잡아주는 복수의 상부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와 상기 복수의 상부롤러는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는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스트레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간극조절나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전선공급기.
KR20130136746A 2013-11-12 2013-11-12 직선형 전선공급기 KR10150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746A KR101508347B1 (ko) 2013-11-12 2013-11-12 직선형 전선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746A KR101508347B1 (ko) 2013-11-12 2013-11-12 직선형 전선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347B1 true KR101508347B1 (ko) 2015-04-07

Family

ID=5303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6746A KR101508347B1 (ko) 2013-11-12 2013-11-12 직선형 전선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3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237B1 (ko) 2017-06-23 2017-11-29 남춘봉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20200082503A (ko) * 2018-12-28 2020-07-08 서남희 전선용 텐셔너
KR102234031B1 (ko) * 2020-09-21 2021-03-29 이선희 전선절단장치
KR102234032B1 (ko) * 2020-09-21 2021-03-29 이선희 전선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89B1 (ko) 2008-01-29 2010-07-07 셰플러코리아(유) 와이어 로드 공급장치
KR20100120859A (ko) * 2009-05-07 2010-11-17 (주)티에이치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KR101006628B1 (ko) 2010-10-06 2011-01-07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동 이송 장치
US20120186689A1 (en) * 2011-01-21 2012-07-26 Burns Thomas W Assembly for assisting the removal from storage and transfer of wi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89B1 (ko) 2008-01-29 2010-07-07 셰플러코리아(유) 와이어 로드 공급장치
KR20100120859A (ko) * 2009-05-07 2010-11-17 (주)티에이치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KR101006628B1 (ko) 2010-10-06 2011-01-07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동 이송 장치
US20120186689A1 (en) * 2011-01-21 2012-07-26 Burns Thomas W Assembly for assisting the removal from storage and transfer of wi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237B1 (ko) 2017-06-23 2017-11-29 남춘봉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20200082503A (ko) * 2018-12-28 2020-07-08 서남희 전선용 텐셔너
KR102194662B1 (ko) 2018-12-28 2020-12-24 서남희 전선용 텐셔너
KR102234031B1 (ko) * 2020-09-21 2021-03-29 이선희 전선절단장치
KR102234032B1 (ko) * 2020-09-21 2021-03-29 이선희 전선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347B1 (ko) 직선형 전선공급기
KR101824296B1 (ko) 전선 포지셔닝 장치
KR101687476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KR20060006856A (ko) 와이어 톱을 이용한 커팅장치
CN210366383U (zh) 一种端子压接用放线装置
KR20130115968A (ko) 와이어식 절단 장치
CN112756698A (zh) 一种高效钢带剪切机
CN108716079B (zh) 一种连续压花的高周波全自动织带压花装置
CN203683879U (zh) 一种鞋舌加工设备
CN113458285A (zh) 一种全自动线圈引脚冲压机及冲压工艺
CN113783383B (zh) 一种四绕一嵌一体机
CN106185457A (zh) 一种线材卷绕装置
JP6336823B2 (ja) 電線供給装置及び電線供給方法
KR101714403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쿨링 덕트 제조 장치
CN110843017B (zh) 一种输送装置及生产线
CN112872760A (zh) 一种喇叭网布自动贴附机
KR101289658B1 (ko) 잉곳 절단용 와이어 쏘 장치
KR20180126952A (ko) 와이어 공급 조절 장치
KR100596627B1 (ko) 매트리스용 링구 용접장치
CN105541096B (zh) 基板加工装置
CN111185645A (zh) 汇流焊接装置及太阳能电池片焊接机
KR101213557B1 (ko) 의류용 스팽글 형성 및 부착장치
CN215393284U (zh) 用于激光切割机的自动上料机构
CN211939421U (zh) 汇流焊接装置及太阳能电池片焊接机
CN211110357U (zh) 一种线材绕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