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399A - 가변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399A
KR20130055399A KR1020110121132A KR20110121132A KR20130055399A KR 20130055399 A KR20130055399 A KR 20130055399A KR 1020110121132 A KR1020110121132 A KR 1020110121132A KR 20110121132 A KR20110121132 A KR 20110121132A KR 20130055399 A KR20130055399 A KR 20130055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light source
moving frame
fixed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조명
Priority to KR102011012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399A/ko
Publication of KR2013005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가변형 조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변형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원부와, 광원부가 구비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조명장치{LOCATION CHANGABL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변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가변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방출시키는 장치로, 이러한 광원으로 백열전구, 형광등, 할로겐 램프 및 엘이디 등이 사용된다.
또한 조명장치는, 설치 장소에 따라 실내조명, 야외조명 등으로 분류하며, 조명 방식에 따라 직접조명, 간접조명, 반직접조명, 전반 확산조명 및 반간접조명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 중 하나인 조명용 스탠드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측에 구비되는 원뿔형상의 갓과, 갓이 받침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측 둘레에 고정된 갓 받침봉과, 갓 받침봉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092195호(2010.08.20 공개, 발명의 명칭: 조명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조명장치는, 광원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일정한 패턴의 빛만 공급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조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원부와, 광원부가 구비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광원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부재를 구비하고, 광원은 복수의 광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원부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이 구비되는 광원부재는 면상으로 형성되고, 광원이 구비되지 않은 광원부재는 광원의 빛을 확산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는, 고정프레임부재 및 복수의 광원부재가 장착되며 고정프레임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프레임부재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고정프레임부재와 제2고정프레임부재를 구비하고, 이동프레임부재는 제1고정프레임부재와 제2고정프레임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1고정프레임부재 및 제2고정프레임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부는 이동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부재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프레임부재는 이격되게 순서대로 배치되는 일측이동프레임부재, 중앙이동프레임부재 및 타측이동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조절부재는 일측이동프레임부재와 타측이동프레임부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부는 조절부재를 구동시켜 이동프레임부재의 상대 높이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부는 장착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장착부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광원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조명환경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는, 광원과 디퓨져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평면 형상으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단차를 이루며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단차를 이루며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내에 설치되는 가변형 조명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평면 형상으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단차를 이루며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단차를 이루며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4)을 구비하는 광원부(10)와, 광원부(10)가 구비되는 장착부(20) 및 장착부(20)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50)를 포함한다.
광원부(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4)을 구비하며, 조절부(50)에 의해 이동되는 장착부(20)에 설치되어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부재(12)를 구비하고, 광원(14)은 복수의 광원부재(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원부재(12)에 구비된다.
광원부재(12)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장착부(20)에 설치되며, 광원(14)을 구비한 부분과 광원(14)이 구비되지 않은 부분으로 구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부재(12)에 광원(14)이 구비된 경우와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부재(12)에 모두 광원(14)이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광원(14)이 구비된 광원부재(12)는, 엘이디(LED)나 오엘이디(OLED)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발광장치가 광원(14)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광원(14)이 구비되지 않은 광원부재(12)는, 광원(14)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하는 디퓨저(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 빛이 반사되지 않는 재질로 성형되거나, 원하는 색상의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14)이 구비되는 광원부재(12)는 면상으로 형성되고, 광원(14)이 구비되지 않은 광원부재(12)는 면상의 디퓨저(16)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광원부재(12)의 외형은, 설정된 두께를 갖는 사각패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20)에 설치된다.
그러나, 광원부재(12)의 형상은,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면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10)가 구비되는 장착부(20)는, 고정프레임부재(30) 및 복수의 광원부재(12)가 장착되며 고정프레임부재(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부재(40)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부재(40)는 조절부(50)의 조작으로 고정프레임부재(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조절부(50)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프레임부재(40)는, 고정프레임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직선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재(40)는 고정프레임부재(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프레임부재(40)가 이동되어 광원부(10)의 설치 위치가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재(30)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를 구비한다.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프레임부재(40)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의 사이에 이동프레임부재(40)가 배치되며, 이러한 이동프레임부재(40)는 제1고정프레임부재(32) 및 제2고정프레임부재(3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는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를 연결하는 이동프레임부재(40)는 복수의 프레임부재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재(40)는, 이격되게 순서대로 배치되는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 및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를 포함한다.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는, 제1고정프레임부재(32)의 중앙부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의 중앙부를 연결하며,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가 설치되고,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의 타측에는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가 설치된다.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 및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 및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의 양측부와, 이에 접하는 제1고정프레임부재(32)와 제2고정프레임부재(34)의 측면은 회전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다.
이동프레임부재(40)의 하측으로 연결부재(48)가 연장되며, 이러한 연결부재(48)에 광원부재(12)가 연결된다.
복수의 광원부재(12)는, 광원(14)을 구비한 여부에 상관없이 연결부재(48)에 의해 이동프레임부재(40)에 연결되므로, 이동프레임부재(40)의 이동으로 광원부재(12)도 이동된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 및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의 하측으로 연결부재(48)가 연장되며, 이러한 연장부재이 개수는 광원부재(12)의 개수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의 하측에 위치한 광원부재(12)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의 하측으로 3개의 연결부재(48)가 연장되며, 이러한 연결부재(48)는 각각의 광원부재(12)의 상측에 연결된다.
연결부재(48)는 광원부재(12)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48)와 광원부재(12)의 사이에 별도의 회전장치 또는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각각의 광원부재(12)가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즉, 광원부(10)는 장착부(2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광원부(10)는 장착부(2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0)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50)는, 이동프레임부재(40)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부재(40)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조절부재(52)를 포함한다.
조절부재(52)는, 장착부(20)에 연결되어 장착부(20)와 광원부(10)를 이동시켜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연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52)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에 조절부재(52)가 연결되어 장착부(20)를 포함한 광원부(10)를 이동시킨다.
조절부(50)는, 장착부(20)가 설치되는 상측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장착케이스(54)와, 장착케이스(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절부재(52)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롤러(56)를 포함한다.
장착케이스(54)의 내측은, 조절부재(52)가 이동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장착케이스(54)의 내측에 복수의 회전롤러(56)가 설치되어 조절부재(52)를 지지한다.
조절부재(52)가 이동되는 경로에는 한 쌍의 텐션롤러(70)가 마주하며 설치되며, 이러한 텐션롤러(70)의 사이를 조절부재(52)가 이동하므로, 설정된 힘 이상으로 조절부재(52)를 당겨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힘 이상이 조절부재(52)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 텐션롤러(70)에 의해 조절부재(52)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광원부(10)와 장착부(20)의 이동도 구속된다.
와이어 형상의 조절부재(52)의 일측은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에 연결되며, 조절부재(52)의 타측은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에 연결된다.
따라서, 조절부재(52)의 이동에 따라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된다.
장착케이스(54)의 하측으로 지지케이블(60)이 연장되어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에 연결된다.
장착케이스(54)와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의 사이에 설치된 지지케이블(60)이 길이는 가변되지 않으며,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를 지지하는 역할과, 장착부(20)를 통해 광원부(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케이블(60)에 걸림부재(72)가 설치되며, 이러한 걸림부재(72)는 장착케이스(54)의 내측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지지케이블(60)의 이동을 구속한다.
이러한 지지케이블(60)의 내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설치되며, 지지케이블(60)을 통해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로 이동된 전원선은 고정프레임부재(30)를 통해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로 이동된다.
이동프레임부재(40)의 내측에 위치한 전원선은 연결부재(48)를 통해 광원(14)을 구비한 광원부재(12)로 연결되므로, 광원(14)에 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1)는, 조절부(50)의 조작으로 장착부(20)가 이동되므로,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가 중앙프레임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조명장치(1)에서, 장착부(20)의 이동을 일 방향 회전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교차되는 방향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광원부(10)의 높낮이도 조절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장착케이스(54)에서 연장되어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에 연결된 조절부재(52)의 길이가 같은 경우, 이동프레임부재(40)는 지지케이블(60)이 연결된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동프레임부재(40)와 연결된 광원부(10) 및 고정프레임부재(30)도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광원부(10)의 설치 위치를 가변하여 광원(14)의 위치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 설정된 힘 이상으로 조절부재(52)를 당기면, 당기는 쪽의 조절부재(52)는 내려가고 다른 쪽의 조절부재(52)는 올라간다.
예를 들면,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연결된 조절부재(52)를 당기는 경우,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와 연결된 조절부재(52)는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도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를 중심으로 상측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프레임부재(40)의 이동으로 고정프레임부재(30)와 이동프레임부재(40)는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프레임부재(40)의 하측에 설치된 광원부(10)도 이동프레임부재(40)와 같이 이동된다.
이동프레임부재(40)와 연결부재(48)로 연결된 광원부재(12)는, 장착부(20)가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도, 각 이동프레임부재(40)의 열에 설치된 광원부재(12)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장착부(20)가 회전되어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된 경우,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에 설치된 광원부재(12)는 단차를 이루며 설치되며,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중앙이동프레임부재(44) 및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에 설치된 복수의 광원부재(12)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형 조명장치(1)의 조절부재(52)는, 사용자의 손이 잡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올라가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가변형 조명장치(1)는, 조절부재(52)를 이용해 장착부(20)를 기울이면, 장착부(20) 및 광원부(10)의 무게에 의해 가변형 조명장치(1)의 형상이 변형되어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1)는, 조절부(50)를 조절하여 광원부(10)를 구비하는 장착부(20)의 동작을 조절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광원(14)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하여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공급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조명장치(1)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50)는, 조절부재(52)를 구동시켜 이동프레임부재(40)의 상대 높이를 제어하는 구동부(5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부(57)는, 장착케이스(54)의 내측에 조절부재(52)를 권선하는 풀리부재(58)와, 풀리부재(58)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9)를 포함한다.
일측이동프레임부재(42)와 타측이동프레임부재(46)에 각각 조절부재(52)가 연결되며, 이러한 조절부재(52)는 구동부(57)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므로, 장착부(20)의 위치를 가변하여 광원부(10)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실내에 설치되는 가변형 조명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외를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조명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가변형 조명장치 10: 광원부
12: 광원부재 14: 광원
16: 디퓨저 20: 장착부
30: 고정프레임부재 32: 제1고정프레임부재
34: 제2고정프레임부재 40: 이동프레임부재
42: 일측이동프레임부재 44: 중앙이동프레임부재
46: 타측이동프레임부재 48: 연결부재
50: 조절부 52: 조절부재
54: 장착케이스 56: 회전롤러
57: 구동부 58: 풀리부재
59: 구동모터 60: 지지케이블
70: 텐션롤러 72: 걸림부재
.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구비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복수의 광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원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구비되는 상기 광원부재는 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광원부재는 상기 광원의 빛을 확산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복수의 광원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부재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고정프레임부재와 제2고정프레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고정프레임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부재는 이격되게 순서대로 배치되는 일측이동프레임부재, 중앙이동프레임부재 및 타측이동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일측이동프레임부재와 상기 타측이동프레임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재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상대 높이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장착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명장치.
KR1020110121132A 2011-11-18 2011-11-18 가변형 조명장치 KR20130055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32A KR20130055399A (ko) 2011-11-18 2011-11-18 가변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32A KR20130055399A (ko) 2011-11-18 2011-11-18 가변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399A true KR20130055399A (ko) 2013-05-28

Family

ID=4866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132A KR20130055399A (ko) 2011-11-18 2011-11-18 가변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53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89B1 (ko) * 2012-08-22 2014-07-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절감형 조명기구
KR102435029B1 (ko) * 2021-05-10 2022-09-01 주식회사 파란별티이씨 엘이디 광촉매 조합 살균 조명장치
KR102511117B1 (ko) * 2022-08-03 2023-03-17 주식회사 디자인쉐어랩 인테리어용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89B1 (ko) * 2012-08-22 2014-07-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절감형 조명기구
KR102435029B1 (ko) * 2021-05-10 2022-09-01 주식회사 파란별티이씨 엘이디 광촉매 조합 살균 조명장치
KR102511117B1 (ko) * 2022-08-03 2023-03-17 주식회사 디자인쉐어랩 인테리어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5595B2 (ja) 周囲照明光と作業光とを兼ね備えた照明器具
US9683721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US9404646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US20140160736A1 (en) Downlight auxiliary ring
TWI557360B (zh) Stage performance device and stage performance method
WO2019124501A1 (ja) 三次元演出方法、三次元演出システムおよび昇降装置
JP5486410B2 (ja) 照明装置および電気スタンド
KR101675403B1 (ko) 조명기구
KR20130055399A (ko) 가변형 조명장치
KR101090089B1 (ko) 조명 및 건조대 복합장치
US10066790B2 (en) Fluorescent lamp-type LED lighting device
KR101003507B1 (ko) 확산각 조정형 조명장치
KR101042098B1 (ko) 이동식 엘이디 조명장치
US10655834B1 (en) Lighting apparatus with screens and method
JP6535968B2 (ja) 天井用led照明装置及び昇降式天井用led照明装置
JP2014116324A (ja) 照明装置および電気スタンド
KR20130061215A (ko) 내구성이 향상된 음량 기반형 led 회전 조명 장치
KR200486297Y1 (ko) 결합 길이가 가변 되는 후면 커버 일체형 등기구 결합 장치
KR200358014Y1 (ko) Tv의 위치조절장치, 및 위치조절장치가 장착된 tv
JP7000953B2 (ja) 照明システム
CN209473180U (zh) 一种灯罩自动升降的种植机
KR101320695B1 (ko) 연등 승하강장치
KR101318647B1 (ko) 연등 승하강장치
KR101395865B1 (ko) 광원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건축구조물
JP5725317B1 (ja) 照明装置及び照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