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647B1 -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 - Google Patents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647B1
KR101913647B1 KR1020160031593A KR20160031593A KR101913647B1 KR 101913647 B1 KR101913647 B1 KR 101913647B1 KR 1020160031593 A KR1020160031593 A KR 1020160031593A KR 20160031593 A KR20160031593 A KR 20160031593A KR 101913647 B1 KR101913647 B1 KR 101913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noodles
manufacturing
ra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810A (ko
Inventor
홍영희
Original Assignee
홍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희 filed Critical 홍영희
Priority to KR102016003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64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라봉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한라봉분말 10 내지 20중량부, 한라봉발효액 3 내지 10중량부, 치자분말 1 내지 5중량부, 소금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면재료를 혼합,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S12);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S13); 숙성된 반죽으로 면을 제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Manufacturing method for noodle containing hnrabong, Manufacturing method for chopped noodles and spicy noodles using noodle containing hnrabong}
본 발명은 면발에 한라봉의 영양, 맛 및 향이 배이도록 하며 반죽시 한라봉발효액의 수분만을 사용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정화된 물에 의해 재료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렇게 제조된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면류는 용이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며 다양한 면류에 관한 요리가 제시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 다양한 재료가 혼입된 면발에 대한 기술이 다수 제시되고 있는데,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09821호에서는 주재료로서 아가미와 집게발을 제거한 대게와 부재료로서 생강 및 마늘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주재료 70~90 중량%, 상기 부재료 10~30 중량%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분말과 소맥분을 배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된 분말과 소맥분의 배합물을 롤러로 압연하여 면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게 갑피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제시되고 있는 면발 제조방법은 대체로 반죽에 단순히 물을 혼합한다고 기재하고 있으며 실제로 물은 수돗물 또는 정수기 물을 사용하는데 수돗물의 경우 염소맛이 배여 식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정수기의 경우도 관리상태에 따라 물 상태가 다른 문제가 있다. 또한 면발이 시간경과에 따라 불어 식감을 저해하는 문제는 당연히 상존하고 있는 문제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09821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라봉의 맛, 향이 배이도록 함은 물론 자연상태에서 정화된 물이 반죽에 사용되어 재료의 질을 높이고 면발의 탄력을 오래 유지되도록 하는 면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면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은, 한라봉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한라봉분말 10 내지 20중량부, 한라봉발효액 3 내지 10중량부, 치자분말 1 내지 5중량부, 소금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면재료를 혼합,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S12);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S13); 숙성된 반죽으로 면을 제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2단계에서는, 상기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율피분말 1 내지 3중량부가 더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한라봉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제조방법은, 보말 100중량부에 대해 참기름 10 내지 20중량부, 모자반 20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하여 볶는 단계(S110); 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S110단계에서 볶아진 재료 10 내지 20중량부, 배 0.5 내지 2중량부, 사과 0.5 내지 2중량부, 파뿌리 0.5 내지 2중량부, 다시마 0.5 내지 2중량부, 밴댕이 0.5 내지 2중량부, 멸치 0.5 내지 2중량부, 황태머리 0.5 내지 2중량부, 황태피 0.5 내지 2중량부, 대파 0.5 내지 2중량부, 무우 0.5 내지 2중량부, 양파 0.5 내지 2중량부를 혼합, 끓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S120); 상기에서 제조된 한라봉면발을 상기 S120단계에서 제조된 육수에 넣어 끓이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S110단계 전에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보말 40 내지 80중량부, 비파잎 10 내지 20중량부 혼합하고 끓여 훈증과정을 거친 보말을 제조하는 단계(S109)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한라봉면발을 이용한 비빔면 제조방법은, 고추장 100중량부에 대해 고춧가루 10 내지 20중량부, 참기름 1 내지 5중량부, 식초 1 내지 3중량부, 통깨 1 내지 5중량부, 콩나물 1 내지 5중량부, 상추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제조하는 단계(S210); 상기에서 제조된 한라봉면발을 상기 S210단계에서 제조된 양념장에 혼합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면발 제조시 한라봉발효액의 수분을 이용하여 면발을 제조함과 동시에 한라봉분말도 첨가되도록 하여 면발에 한라봉의 향과 맛이 배어 식감을 향상시키며 화학적 안료없이도 면발의 색상을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면발이 시간경과에 의해서도 탄력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식감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의 경우 육수에 보말이 함유되어 단백함이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면발을 이용한 비빔면의 경우 한라봉의 단맛이 함유되어 설탕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맛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칼국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빔면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라봉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한라봉분말 10 내지 20중량부, 한라봉발효액 3 내지 10중량부, 치자분말 1 내지 5중량부, 소금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면재료를 혼합,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S12);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S13); 숙성된 반죽으로 면을 제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선 한라봉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S11)를 갖는다. 여기서 한라봉발효액이라함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분쇄기에 한라봉을 넣어 한라봉을 분쇄시킴으로써 한라봉에 내재된 수분에 의해 한라봉즙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한라봉즙을 일정시간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면발제조방법에는 물 대신 한라봉발효액이 사용되어 면발에 한라봉 특유의 맛과 향이 배이도록 하는 것이며 비타민 등 한라봉의 영양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한라봉발효액이 사용되어 면발의 소화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발의 제조시 수돗물 또는 인공적으로 정화된 정수기의 물이 그대로 사용되는데 수돗물의 경우 염소맛이 면발에 배이는 문제가 있고 인공적으로 정화된 물의 경우도 정수기 등의 상태에 따라 그 정화정도가 다른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한라봉발효액에 함유된 물만이 반죽에 사용됨으로써 한라봉 향이 그대로 면에 배이도록 함과 동시에 자연적으로 식물을 통해 정화가 이루어진 수분이 사용되어 더욱 자연친화적인 재료가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떠한 화학적 안료가 첨가되지 않고 한라봉의 색상이 면발에 도입되도록 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한라봉분말 10 내지 20중량부, 한라봉발효액 3 내지 10중량부, 치자분말 1 내지 5중량부, 소금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면재료를 혼합,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S12)를 갖는다.
여기서 치자분말은 항암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점성제로서 기능도 발현되는 것으로 상기 조성에서는 언급되고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점성을 위해 전분이 사용되어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치자분말의 첨가로 전분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분은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0중량부로 비교적 적은 량의 첨가에도 반죽의 점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달걀노른자 1 내지 3중량부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타 재료들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다.
그런데 밀가루(전분)는 시간경과와 함께 점점 팽창이 되어 팽창에 의한 기공으로 과도하게 수분을 흡수하여 결국 면발이 불어버리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율피분말 1 내지 3중량부가 더 배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즉 면재료를 혼합 및 교반시 상기에서 언급한 재료들외에 율피분말이 더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율피분말을 더 첨가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밀가루(전분)이 과도한 팽창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밀가루의 팽창에 의해 기공이 커지면서 물이 흡수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율피분말이 더 첨가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면발은 그 탄력성을 시간경과에 무관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율피분말은 밤 등의 속피로서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이에 함유된 탄닌성분에 의해 전분의 팽창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율피분말을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는 점성을 저해하게 되므로 오히려 식감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S13)를 갖는데 숙성의 경우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숙성된 반죽으로 면을 제조하는 단계(S14)를 갖는다.
본 단계(S14)에서는 숙성된 반죽으로부터 면을 컷팅하고 2 내지 5℃의 찬물에 2 내지 3분 헹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면의 탄력유지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찬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율피 20 내지 30중량부를 넣어 5시간에서 10시간을 끓인 다음 2 내지 5℃로 온도를 낮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컷팅된 면을 헹굼에 있어 찬물을 사용하되, 찬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율피 20 내지 30중량부를 넣어 5시간에서 10시간을 끓여 율피성분이 충분히 물에 배이도록 한 다음 2 내지 5℃로 온도를 낮춘 것이 사용되도록 하여 컷팅된 면을 율피성분이 배인 물에 의해 코팅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컷팅된 면을 코팅하는 이유는 면이 제조된 다음 밀가루(전분)은 물론 타 조성이 외기의 수분 또는 국물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불어버리거나 탈리가 되어 국물 맛을 변질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컷팅된 면이 상기 찬물에 의해 코팅이 됨으로써 면 자체에 수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수축에 의해 면이 좀더 조밀한 페이스트가 유지되도록 하여 시간경과에 의해서도 탄성을 더욱 배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제조된 한라봉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제조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라봉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제조방법은, 보말 100중량부에 대해 참기름 10 내지 20중량부, 모자반 20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하여 볶는 단계(S110); 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S110단계에서 볶아진 재료 10 내지 20중량부, 배 0.5 내지 2중량부, 사과 0.5 내지 2중량부, 파뿌리 0.5 내지 2중량부, 다시마 0.5 내지 2중량부, 밴댕이 0.5 내지 2중량부, 멸치 0.5 내지 2중량부, 황태머리 0.5 내지 2중량부, 황태피 0.5 내지 2중량부, 대파 0.5 내지 2중량부, 무우 0.5 내지 2중량부, 양파 0.5 내지 2중량부를 혼합, 끓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S120); 상기에서 제조된 한라봉면발을 상기 S120단계에서 제조된 육수에 넣어 끓이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선 보말 100중량부에 대해 참기름 10 내지 20중량부, 모자반 20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하여 볶는 단계(S110)를 갖는다. 보말 및 모자반을 참기름에 볶아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S110단계 전에 물 100중량부에 대해 보말 40 내지 80중량부, 비파잎 10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고 끓여 훈증과정을 거친 보말을 제조하는 단계(S109)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상기 S109단계에서는 보말을 세척하여 준비한 후, 끓는 물이 수용된 찜통에서 일정시간을 훈증하도록 하는 것인데 여기서 끓는 물로 비파잎차가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 예로 찜통에 물과 비파잎을 넣어 비파잎의 향이 배어 나올 때까지 끓인 후, 끓기 시작한 찜통에 세척된 보말을 넣어 훈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비파잎에는 진해, 거담, 청폐, 이수 등의 효능이 있어서 폐열 해소, 기관지염, 구역, 애기 딸꾹질, 부종 등에 그 잎을 달여 마시기도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보말의 훈증 과정에서 일반적인 물 대신 비파잎을 끓인 물을 사용함으로써, 비파잎의 약리적인 유효성분이 상기 보말에 가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보말의 식감을 연화시키고 보말 특유의 쓴맛을 제거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되는 칼국수는 한라봉면발 자체의 단맛과 보말 등이 첨가된 단백한 맛의 육수가 어우러져 그 식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며 보말은 가공되어 그 기본 적인 맛이 유지되면서도 연화되고 쓴맛이 제어되어 식감을 더욱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한라봉면발을 이용한 비빔면 제조방법은, 고추장 100중량부에 대해 고춧가루 10 내지 20중량부, 참기름 1 내지 5중량부, 식초 1 내지 3중량부, 통깨 1 내지 5중량부, 콩나물 1 내지 5중량부, 상추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제조하는 단계(S210); 상기에서 제조된 한라봉면발을 상기 S210단계에서 제조된 양념장에 혼합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빔면 제조방법은 우선 고추장 100중량부에 대해 고춧가루 10 내지 20중량부, 참기름 1 내지 5중량부, 식초 1 내지 3중량부, 통깨 1 내지 5중량부, 콩나물 1 내지 5중량부, 상추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제조하는 단계(S210)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면발 자체에 한라봉의 맛이 배이도록 하여 단맛이 부과됨에 따라 상기 양념장에는 설탕이 첨가되지 않거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비빔면에서 설탕사용에 따른 거부감, 식감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보말을 세척하여 준비한 후, 물 100중량부에 대해 보말 40 내지 80중량부, 비파잎 10 내지 20중량부 혼합하고 끓여 제조되는 비파잎차로 훈증 과정을 거친 보말을 제조하는 단계(S109);
    훈증 과정을 거친 보말 100중량부에 대해 참기름 10 내지 20중량부, 모자반 20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하여 볶는 단계(S110);
    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S110단계에서 볶아진 재료 10 내지 20중량부, 배 0.5 내지 2중량부, 사과 0.5 내지 2중량부, 파뿌리 0.5 내지 2중량부, 다시마 0.5 내지 2중량부, 밴댕이 0.5 내지 2중량부, 멸치 0.5 내지 2중량부, 황태머리 0.5 내지 2중량부, 황태피 0.5 내지 2중량부, 대파 0.5 내지 2중량부, 무우 0.5 내지 2중량부, 양파 0.5 내지 2중량부를 혼합, 끓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S120); 및
    한라봉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S11)와,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한라봉분말 10 내지 20중량부, 한라봉발효액 3 내지 10중량부, 치자분말 1 내지 5중량부, 소금 0.5 내지 1중량부, 율피분말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면재료를 혼합,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S12)와,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S13) 및 숙성된 반죽으로 면을 제조하는 단계(S14);를 제조된 한라봉면발을 상기 S120단계에서 제조된 육수에 넣어 끓이는 단계(S130)를 통해 제조되는 한라봉면발을 상기 S120단계에서 제조된 육수에 넣어 끓이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라봉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60031593A 2016-03-16 2016-03-16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 KR101913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93A KR101913647B1 (ko) 2016-03-16 2016-03-16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93A KR101913647B1 (ko) 2016-03-16 2016-03-16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810A KR20170107810A (ko) 2017-09-26
KR101913647B1 true KR101913647B1 (ko) 2018-10-31

Family

ID=6003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593A KR101913647B1 (ko) 2016-03-16 2016-03-16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86B1 (ko) * 2018-09-21 2020-08-03 주식회사 세영씨엔티 땅콩 국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2850B1 (ko) * 2019-01-29 2019-12-04 장나겸 감귤즙을 함유한 면의 제조 방법
KR102616795B1 (ko) * 2023-07-14 2023-12-21 주식회사 한상푸드 밴댕이를 첨가한 보말국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810A (ko)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150B1 (ko) 저염 고추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217744A (zh) 紫薯果肉酱及其生产工艺
KR101913647B1 (ko) 한라봉 면발 제조방법, 한라봉 면발을 이용한 칼국수 및 비빔면
KR101445736B1 (ko) 발효양념장분말 김치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양념장분말 김치소
KR20160050290A (ko) 연 고추장 제조방법
KR101903453B1 (ko) 제품 고사리육개장 제조방법
JP4279244B2 (ja) 粉砕紫蘇の葉及びジェノバソースの製造方法
KR101824120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팥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9694B1 (ko) 숯불향이 가미된 데리야끼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338B1 (ko) 마늘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168B1 (ko) 쑥 페스트리의 제조방법
JP3051121B1 (ja) とうがらしソ―スの製造方法
KR20220132156A (ko) 볶음용 양념 제조 방법
JP6253182B2 (ja) トマト含有調味料
JP5043053B2 (ja) 卵焼き用加工液卵及び卵焼き
KR19990084011A (ko) 무우잼과 이를 이용한 저칼로리 와사비(고추냉이) 드레싱제조방법
KR100943070B1 (ko) 양파효소액을 이용한 인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306792B1 (ko) 제빵용 와사비 소스 제조방법
JP4712764B2 (ja) 卵加工食品及び卵加工食品用の品質保持材
KR100589963B1 (ko) 겔상김치 제조방법
KR102263782B1 (ko) 매콤발효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5214A (ko) 저염식 된장의 제조방법
JP6647781B2 (ja) ハーブ含有食品
KR20160039102A (ko) 고구마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649274B1 (ko) 전골용 양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