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352B1 -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52B1
KR101912352B1 KR1020160155824A KR20160155824A KR101912352B1 KR 101912352 B1 KR101912352 B1 KR 101912352B1 KR 1020160155824 A KR1020160155824 A KR 1020160155824A KR 20160155824 A KR20160155824 A KR 20160155824A KR 101912352 B1 KR101912352 B1 KR 10191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sheave
threaded portion
test
ro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325A (ko
Inventor
유동훈
김재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60155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dead weight, e.g. pendulum; generated by springs t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2Inspecting the exterior surface of cylindrical bodies or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시브와, 상기 제1시브 하부에 설치된 제2시브와, 상기 제2시브 하부에 수직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장치부;와, 상기 로드장치부 하부에 마련된 웨이트와, 상기 제1시브, 제2시브, 로드장치부에 연결설치되는 와이어로프 및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를 당기거나 해제하는 작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시브 및 로드장치부에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고, 상기 외이어로프를 당기거나 해제하는 작동장치부를 마련하고, 상기 작동장치부의 작동에 따라 로드장치부가 수직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다양한 와이어로프의 인장강도를 체크하여, 와이어로프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내구성 시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 시험의 운전비용을 최소화함은 물론, 안전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Testing apparatus for wire rope durability}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를 인장강도를 체크하여 내구성 시험하는데 있어서, 작동장치부의 작동에 따라, 제1시브와 제2시브 및 로드장치부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로드장치부를 수직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함으로 웨이트를 들어올려 와이어로프의 인장강도를 체크하는 작동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시험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 와이어 로프는 기계, 건설, 선박, 어업, 광업, 교량, 공중 케이블을 비롯한 엘리베이터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상기 와이어 로프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일반적인 와이어 로프(R)는 안쪽에 위치하는 코어 또는 중심의 외측으로 다수의 외층 스트랜드가 꼬여져 있는 구조이다. 이때, 각 외층 스트랜드는 한 가닥의 심선을 중심으로 여러 가닥의 단위 소선이 소정의 피치로 연선되어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로프의 인장력이나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는 와이어 로프 슬링이나 글로멧 등의 시험편용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등록특허 제918251호 "대용량 인장시험기"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 로프의 인장에 따른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해, 다수개의 연결프레임이 결합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측면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제1시브와, 상기 제1시브 하부에 설치되는 제2시브와, 상기 제2시브 하부에 설치되는 로드장치부와, 상기 로드장치부 하부에 마련되는 웨이트와, 상기 제1시브, 제2시브, 로드장치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 및,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를 가압하여 와이어로프의 인장강도를 체크하여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해 구비된 작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장치부의 작동에 따라, 로드장치부가 수직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여 웨이트를 들어올려 와이어로프의 인장강도를 체크하는 작동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와이어로프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시브와, 상기 제1시브 하부에 설치된 제2시브와, 상기 제2시브 하부에 수직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장치부;와, 상기 로드장치부 하부에 마련된 웨이트와, 상기 제1시브, 제2시브, 로드장치부에 연결설치되는 와이어로프 및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를 당기거나 해제하는 작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장치부는 본체프레임에 일측에 설치되는, 레일이 일측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고정설치되는 안내시브와, 상기 이동체 저면으로 형성되는 다수개 고정공이 수직배열형성된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장치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중앙이 연결되고, 일단이 본체프레임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일단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내면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된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에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중앙을 기점으로, 일측방향으로,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된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1조절부와, 타측방향으로,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3부재와, 상기 제3부재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된 제4부재 및 상기 제3부재와 제4부재의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2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시브 및 로드장치부에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고, 상기 외이어로프를 당기거나 해제하는 작동장치부를 마련하고, 상기 작동장치부의 작동에 따라 로드장치부가 수직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다양한 와이어로프의 인장강도를 체크하여, 와이어로프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내구성 시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 시험의 운전비용을 최소화함은 물론, 안전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시브, 제2시브, 및 로드장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작동과정 1을 나타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작동과정 2를 나타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 및 회동부재에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길이조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시브(20)와, 상기 제1시브(20) 하부에 설치된 제2시브(30)와, 상기 제2시브(30) 하부에 수직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장치부(40);와, 상기 로드장치부(40) 하부에 마련된 웨이트(50)와, 상기 제1시브(20), 제2시브(30), 로드장치부(40)에 연결설치되는 와이어로프(60) 및 상기 와이어로프(60)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60)를 당기거나 해제하는 작동장치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본체프레임(10), 제1시브(20), 제2시브(30), 로드장치부(40), 웨이트(50), 와이어로프(60), 작동장치부(7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다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에 직교되는 형태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상부로 연결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시브(20)는 본체프레임(10)의 측면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로프(60)를 안내하는 바퀴로 구성된다.
상기 제2시브(30)는 본체프레임(10)의 측면프레임에 고정설치되되, 제1시브(20) 하부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시브(20)의 바퀴 안내되는 와이어로프(60)에 텐션을 부여하여, 로드장치부(40)의 안내시브(43)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로드장치부(40)는 제2시브(30) 하측으로 구비되되, 본체프레임(10)의 측면 프레임에 수직으로 레일(41a)이 형성된 고정판(41)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41a)을 따라 수직상하로 안내되는 이동체(42)와, 상기 이동체(42) 고정설치되되, 각각의 시브(20)(30)와 상호 대응하게 마련되는 안내시브(43)와, 상기 이동체(42) 저면으로, 고정핀(45)을 삽입하여, 웨이트(50)를 들어올리기 위해 구비된 다수개의 고정공(44a)이 수직으로 배열형성된 지지축(44)이 연결형성된다.
상기 웨이트(50)는 판 형태로, 측면 중앙으로 고정핀(45)이 삽입되기 위해 고정공이 형성되고, 그 기능은 와이어로프(60)의 인장력을 테스트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와이어로프(60)는 몇 개의 철사를 꼬아서 1줄의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다시 6가닥의 스트랜드를 1줄의 마(摩)로프를 중심으로 꼬아서 만든 줄로서,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작동장치부(70)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에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72)와, 상기 회전체(72) 일단으로, 일단부가 축설되는 작동부재(73)와, 상기 작동부재(73) 타단부가 중앙에 연결되고, 일단이 본체프레임(10)에 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74)와, 상기 회동부재(74) 타단에 연결설치되어, 와이어로프(6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75)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73)는 내면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1부재(73-1)와, 상기 제1부재(73-1)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되되, 제1부재(73-1)의 나사부와 상호 대칭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제2부재(73-2) 및 상기 제1부재(73-1)와 제2부재(73-2)에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73-3)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재(73-3)를 회전하여, 각각의 부재(73-1)(73-2)의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는 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웨이트(50)의 중량에 따라, 작동부재(73)의 길이를 조절하여, 보다 정밀하게 와이어로프(60) 인장강도를 테스트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74)는 중앙을 기점으로, 일측방향으로,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부재(74-1)와, 상기 제1부재(74-1)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된 제2부재(74-2) 및 상기 제1부재(74-1)와 제2부재(74-2)의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74-3)를 더 포함하는 제1조절부(74a)와, 타측방향으로,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3부재(74-4)와, 상기 제3부재(74-4)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된 제4부재(74-5) 및 상기 제3부재(74-4)와 제4부재(74-5)의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74-6)를 더 포함하는 제2조절부(74b)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재(74-3)(74-6) 중, 하나 또는 동시에 두 개를 각각 회전하여, 각각의 부재의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는 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웨이트(50)의 중량에 따라, 회동부재(74)의 길이를 조절하여, 보다 정밀하게 와이어로프(60) 인장강도를 테스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따른 시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중량의 웨이트(50)를 로드장치부(40)의 지지축(44)에 고정핀(45)으로 고정설치한 다음, 작동장치부(70)의 구동모터(71)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71)의 작동과 연동하여, 회전체(72)가 회전작용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체(72)에 연결된 작동부재(73)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작동하게 되며, 상기 작동부재(73)에 연결된 회동부재(74)가 본체프레임(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작용과 동시에, 회동부재(74)의 단부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60)를 잡고 있던 연결부재(75)가, 회동부재(74)의 작동과 연동하여, 와이어로프(60)를 당기거나 해제하는 작용과 함께, 상기 와이어로프(60)에 연결된 로드장치부(40)의 안내시브(43)가 상하이동작용하게 되며, 상기 작용과 동시에, 고정판(41)에 형성된 레일(41a)을 따라 로드장치부(40)의 이동체(42)가 수직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을 반복하여, 와이어로프(60)의 인장력을 테스트함으로써, 와이어로프(60)의 내구성을 시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작동부재(73) 및 회동부재(74)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로프(60) 인장강도를 테스트 하는데 있어서, 웨이트(50)의 작용에 따라 작동부재(73)와 회동부재(74)의 길이를 조절하여, 보다 정밀하게 와이어로프(60) 인장 테스트를 할 수 있는 큰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프레임
20: 제1시브
30: 제2시브
40: 로드장치부
41: 고정판
41a: 레일
42: 이동체
43: 안내시브
44: 지지축
50: 웨이트
60: 와이어로프
70: 작동장치부
71: 구동모터
72: 회전체
73: 작동부재
73-1,74-1: 제1부재
73-2,74-2: 제2부재
73-3,74-3,74-6: 길이조절부재
74-4: 제3부재
74-5: 제4부재
74a: 제1조절부
74b: 제2조절부
74: 회동부재
75: 연결부재

Claims (5)

  1.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시브(20)와, 상기 제1시브(20) 하부에 설치된 제2시브(30)와, 상기 제2시브(30) 하부에 수직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장치부(40);와,
    상기 로드장치부(40) 하부에 마련된 웨이트(50)와, 상기 제1시브(20), 제2시브(30), 로드장치부(40)에 연결설치되는 와이어로프(60) 및
    상기 와이어로프(60)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60)를 당기거나 해제하는 작동장치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장치부(40)는 본체프레임(10)에 일측에 설치되는, 레일(41a)이 일측면 형성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레일(41a)을 따라 안내되는 이동체(42)와, 상기 이동체(42)에 고정설치되는 안내시브(43)와, 상기 이동체(42) 저면으로 형성되는 다수개 고정공(44a)이 수직배열형성된 지지축(44)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장치부(70)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72)와, 상기 회전체(72)에 연결되는 작동부재(73)와, 상기 작동부재(73)에 중앙이 연결되고, 일단이 본체프레임(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74)와, 상기 회동부재(74) 일단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6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73)는 내면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1부재(73-1)와, 상기 제1부재(73-1)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된 제2부재(73-2) 및 상기 제1부재(73-1)와 제2부재(73-2)에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7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74)는 중앙을 기점으로, 일측방향으로,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부재(74-1)와, 상기 제1부재(74-1)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된 제2부재(74-2) 및 상기 제1부재(74-1)와 제2부재(74-2)의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74-3)를 더 포함하는 제1조절부(74a)와, 타측방향으로,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3부재(74-4)와, 상기 제3부재(74-4)와 상호 대응하게 나사부가 형성된 제4부재(74-5) 및 상기 제3부재(74-4)와 제4부재(74-5)의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조절부재(74-6)를 더 포함하는 제2조절부(74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KR1020160155824A 2016-11-22 2016-11-22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KR10191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24A KR101912352B1 (ko) 2016-11-22 2016-11-22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24A KR101912352B1 (ko) 2016-11-22 2016-11-22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325A KR20180057325A (ko) 2018-05-30
KR101912352B1 true KR101912352B1 (ko) 2018-10-26

Family

ID=6229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824A KR101912352B1 (ko) 2016-11-22 2016-11-22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3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26A (ko) * 2018-03-05 2019-09-17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해양용 로프의 가속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
KR2024003245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시험 시스템
KR2024003244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 시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6311A (zh) * 2018-12-27 2019-08-20 江苏科技大学 一种锚机载荷试验台
CN109855857B (zh) * 2019-03-28 2023-12-15 青岛英派斯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钢索耐久性能测试机
CN110261086B (zh) * 2019-06-27 2021-06-11 广州黄船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锚机基座的强度测试方法
CN113155633B (zh) * 2021-05-21 2023-11-14 赣州广建玻纤有限公司 一种捻纱生产用韧性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188A (ja) * 1998-09-30 2000-04-11 Mitsuboshi Belting Ltd 摩擦係数測定装置
KR200183939Y1 (ko) * 1999-12-08 2000-06-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어 텐션대차 이탈방지 장치
US20030052695A1 (en) 2001-09-17 2003-03-20 Rory Smith Apparatus for testing aramid fiber elevator cabl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629A (ja) * 1984-02-27 1985-09-13 Nippon Sheet Glass Co Ltd ケ−ブルのねじり曲げ試験装置
KR100315665B1 (ko) * 1998-12-26 2002-02-19 정생규 와이어벤딩시험기
KR100377373B1 (ko) * 2000-06-30 2003-03-26 고려제강 주식회사 와이어의 복합 피로 시험기
JP2002157927A (ja) * 2000-11-21 2002-05-3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の屈曲試験装置
KR100918251B1 (ko) 2009-05-06 2009-09-28 (주)고려기업 대용량 인장 시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188A (ja) * 1998-09-30 2000-04-11 Mitsuboshi Belting Ltd 摩擦係数測定装置
KR200183939Y1 (ko) * 1999-12-08 2000-06-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어 텐션대차 이탈방지 장치
US20030052695A1 (en) 2001-09-17 2003-03-20 Rory Smith Apparatus for testing aramid fiber elevator cabl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혜은 외, 작은 활차가 적용된 비행조종계통의 케이블 내구성 시험을 통한 피로 수명 비교, 한국항공우주공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한국항공우주공학회, 2013.11, pp892-89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26A (ko) * 2018-03-05 2019-09-17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해양용 로프의 가속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
KR102023333B1 (ko) 2018-03-05 2019-09-20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해양용 로프의 가속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
KR2024003245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시험 시스템
KR2024003244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 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325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352B1 (ko) 와이어로프 내구성 시험장치
EP1446352B1 (de) Aufzugssystem
TWI308902B (en) Elevator(?@)
AU2017286449B2 (en) Hoisting arrangement of rope hoist
KR101636194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KR20180048784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06513962A (ja) エレベータのシーブ
JP585913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ベルト
CN201746270U (zh) 一种起重机起升机构
KR100870389B1 (ko) 승강기 장치
KR1010168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045958B2 (ja) 免震吊上装置
CN1833981B (zh) 电梯装置
KR101470517B1 (ko) 타워 작업용 곤도라
JPWO200408087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4507348A (ja) エレベータの懸吊装置および/または駆動装置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CN101378983B (zh) 电梯设备
JP2001287877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交換方法とその装置
DE2844187A1 (de) Sicherheitshubwerk fuer mehrstraengige seilaufhaengungen
JP6641477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把持装置
JP6684473B2 (ja) 複数の釣合い錘を備えるエレベータ
EP1586525B1 (en) Elevator equipment
JP6426237B1 (ja)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引回し方法
CN100554121C (zh) 无机械室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