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365B1 -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365B1
KR101910365B1 KR1020167023557A KR20167023557A KR101910365B1 KR 101910365 B1 KR101910365 B1 KR 101910365B1 KR 1020167023557 A KR1020167023557 A KR 1020167023557A KR 20167023557 A KR20167023557 A KR 20167023557A KR 101910365 B1 KR101910365 B1 KR 10191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wing
housing
pe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283A (ko
Inventor
볼프강 베렌스
토마스 비어브라우어
슈테판 슈라이너
Original Assignee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filed Critical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1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1Strikers having multiple positions for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for raising wings before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또는 도어의 고정 프레임(1) 방향으로 적어도 리프팅 되고 이동 가능한, 주행 레일(16)을 구비하는 윙(2)을 위한 피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윙(2)의 피팅장치 홈(20)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 윙 빔(23)에 작동로드(7)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7)는 조작핸들(5)에 의해 상기 윙(2)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구동로드(8)를 구비하며, 이러한 동작이 코너변환부재(9)를 통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 장착되는 이동체(10)에 전달되며, 상기 피팅장치에 잠금장치(21)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21)는 피팅장치홈(20) 내부에서 하우징(26)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24)를 통하여 작동로드(7)와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24)는 작동로드(7)에 구비되는 구동로드(8)를 작동시켜서 움직이며, 잠금장치(21)의 하우징(26) 내에 구비된 회전축(28)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선회록킹(29)을 상기 가이드 부재(24)의 드라이버 가이드(27)를 통해 조절하여 하우징(26) 내부에서 감추어진 상태로 작동하게 되는 개방위치로부터 윙(2)이 잠금위치의 자유로운 조작영역(30)으로 하강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환하며, 상기 선회록킹(29)의 자유 단부(46)는 잠금위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1)에 고정되는 록킹결합부(22)에 형성되는 패그(32)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록킹결합부(22)는 상기 선회록킹(29)을 집어 넣을 수 있게끔 절단면(63)이 구비되는, 프레임(1)에 거의 면에 밀착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록킹플레이트(62)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록킹(29)의 자유 단부(46)가 상기 패그(32)와 상기 록킹플레이트(62)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64)에 개입함으로써 틈새 개방위치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FITTING FOR AN AT LEAST LIFTABLE, BUT PREFERABLY ALSO SLIDABLE WINDOW OR DOOR LEAF}
본 발명은 피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팅 될 수 있는 윙은 리프팅 된 다음에 추가로 그 위치가 바뀌게 되고, 특히 측면으로 밀어지게 된다. 그럼으로써 이런 종류의 윙은 예컨대 어느 하나의 도어에 있어서 통과구의 형성을 허락하는 것이다. 이렇게 닫힌 상태에서 윙은 고정된 프레임과 가능한 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이런 목적으로 윙은 하강상태에서 고정된 프레임의 상응하는 반대 밀착 면에 위치하게 되는 실링 스트립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 내지 하부의 끝 부분에서뿐만 아니라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문기둥(Laengsholmen)에서도 그러한 실링 스트립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윙이 들어올려 상태에 있게 되면 상부 실링 내지 하부 실링이 자유롭게 되기는 하나, 측면의 실링이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상태의 윙이 다시 하강하게 된다면 실링 등의 마찰력이 하강운동에 방해 작용을 하게 된다. 경량이며 높은 형태의 윙인 경우, 이런 마찰력은 하강운동을 저해하기 때문에 윙이 하강하지 않거나 최소한 완전히 하강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 밖에도 하강운동의 말미에서는 가로질러 배치된 실링들에 힘이 가해져서 눌리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독일 공개공보 DE 29 920 094 U1에 윙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본질적으로 리프팅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 및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슬라이딩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윙에는 작동장치를 이용하여 윙을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동로드를 포함하는 작동로드가 구비되어 있다. 이 피팅장치는 작동로드와 연동하며 구동로드 절단면 상에 배치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데, 이 절단면은 작동로드의 구동로드에 대향하여 움직이며, 구동로드 절단면에 록킹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록킹부재는 닫힘 위치에서 록킹결합부와 체결되고, 록킹결합부의 모서리와 연접하며, 록킹결합부는 하나의 가이드레일에 직접 배치되어 있다.
윙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키는 가운데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일실시 예에 록킹결합부와 체결되는, 동시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잠금이 체결되는 하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강제적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잠금 작용을 수행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기반하여, 이러한 변형된 형태의 피팅장치에는 윙을 슬라이딩하는 힘에 대항하여 안정적이게 하고 침입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잠금 메커니즘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렇듯 추가적인 부품을 요구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진 이러한 실시 예는 많은 부품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비용이 증가하고 조립이 까다롭게 되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피팅장치가 또한 PCT 공개공보 WO 2009/116843 A2에 개시되어 있다. 주지의 이 장치는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작핸들을 터치하게 되면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윙은 열리기 위하여 인근에 위치하는 윙 또는 고정영역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할 수 있는 윙을 다시 프레임에 맞대어 닫기 위하여 조작핸들에는 선회록킹이 구비되며, 상기 선회록킹은 프레임 쪽으로 윙이 닫히는 과정에서 윙이 방향을 잡으면서 회전하는 위치에 들어서게 되고, 프레임에 장착된 록킹결합부와 맞물리게 된다.
주지의 이런 피팅장치에서 오로지 관건이 되는 것은 슬라이딩 될 수는 있으나, 리프팅 될 수 없는 윈도우 또는 도어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는 하강장치는 구현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서, 잠금장치를 생산하는데 공정이 많아지며, 따라서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그 밖에도 잠금장치는 열린 상태에서 윙에 돌출하는 형태로 사람 눈에 뜨이게 되는데, 이는 시각적으로 좋지 못하고, 도어를 열다가 또는 청소하다가 다칠 가능성도 내포한다.
그 밖에도, 독일 공개공보 DE 3345174 C2에 리프팅/슬라이딩이 가능한 윙이 구비된 윈도우 또는 도어에 사용될 수 있는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닫히는 방향 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동로드에 임의의 높이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닫힘 과정 중에 들려진 상태에서 매달려 있게 되는 윙을 강제로 하강시키는 동작 이외에도 동시에 윙이 닫힌 상태에서 잠겨지게 한다. 윙의 정지(Anschlag, End stop)는 오로지 작동로드와 링크 체결하게 되는 록킹부재의 록킹 핑거(Locking finger)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링크 체결에는 슬라이딩 윙에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부재 역할을 담당하는 캠 서피스(cam surfaces)가 부속되어 있으며, 윙의 정지에 대응하게 되는 돌기(Gegenanschlag)는 프레임에 형성되는 록킹 리세스(Locking recess)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주지의 장치로부터 어떠한 추가적인 틈새 통풍장치도 구현되어 있지 않다.
더 나아가서 한국 공개공보 KR 200397177 Y1에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윙을 위한 피칭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조작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윙에 구비되는, 회동할 수 있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작동로드는 윙이 창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위치 또는 잠겨지는 위치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며, 잠금위치에 머물러있게 되는 회동할 수 있는 록킹부재는 창틀에 구비되는 록킹 키퍼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팅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윙을 열린 위치에서 개선된 침입방지 효과를 수반하는 닫힘 위치로 전환시키는 등의 윈도우 또는 도어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프레임에 대하여 윙이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틈새 통풍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장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고 정밀한 방식으로 좁은 공간에서 조립되고 조정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윙에 형성되는 작동로드를 구비하여 조작핸들을 수단으로 삼아 윙을 하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동로드를 포함하여 윙이 프레임에 밀착되는 잠금이 가능하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된 피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팅장치는, 적어도 리프팅 되고 이동 가능한, 주행 레일을 구비하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가 제안된다. 이 경우 윙의 피팅장치 홈 안에 위치하는 수직 윙 빔에 작동로드가 구비되며, 이 작동로드는 조작핸들을 이용하여 상기 윙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동로드를 구비하며, 이러한 움직임이 코너변환(Eckumlenkung) 장치를 경유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 연동하는 이동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팅장치에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피팅장치홈 내부에서 하우징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를 통하여 작동로드와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작동로드에 구비되는 구동로드를 작동시켜서 움직이고, 잠금장치의 하우징 내에 구비된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선회록킹을 가이드 부재의 드라이버 가이드를 통해 조절하여 하우징 내부에서 감추어진 상태로 작동하게 되는 개방위치로부터 윙이 잠금위치의 자유로운 조작영역으로 하강하도록 방향을 전환하면 선회록킹의 자유 단부는 잠금위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에 고정되는 록킹결합부에 형성되는 패그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록킹결합부는 상기 선회록킹을 집어넣을 수 있게끔 절단면이 구비되는 록킹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플레이트는 프레임에 거의 모든 면에 밀착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선회록킹의 자유 단부가 상기 패그와 상기 록킹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개입함으로써 틈새 개방위치를 형성하게 된다.
잠금장치의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좌우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하우징 외피로 이루어지며, 최소한 하나의 하우징 외피의 장측 벽면에 가이드 부재를 위한 가이드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이드 부재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더 이상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가이드 부재의 인상운동이 완벽할 수 있는 정도로 그리고 선회록킹의 인상운동이 거의 완전하게 하우징 내에서 은폐된 채로 편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래 목적한 바의 원활한 운동과정을 저해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장치의 수명이 늘어나게 된다.
조립하는 과정에서 형태와 결합을 단순/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우징 외피는 바람직하게는 리벳 접합 방식을 통하여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결합한다. 효율적이며 간단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런 수단은 작동로드에 형태가 서로 맞물리게끔 또는/내지 상호 단단히 결합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잠금장치가 작동로드에 용이하게 조립되는 구성을 통하여 필요한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잠금장치가 작동로드에 부착될 수 있다.
잠금장치에 구비되는 각종 움직이는 부품들이 콤팩트하고, 원활하고, 거의 백래시 없이 조정되기 위해서, 하우징 외피를 형성하는 벽면들, 그러므로 장측의 벽면 또한 하우징 외피 사이에서 내부 간격을 형성하며, 이때 이 간격은 운동 가능하게끔 연동한 조립상태에 있는 가이드 부재와 선회록킹 각각의 재료적 굵기에 따라서 정하여 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더 이상 추가적인, 간격을 형성하는 부품들이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부재는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작동로드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기 때문에 잠금장치의 동작장치가 작동로드에 용이하고도 강력하게 연동하게 되며, 드라이버는 작동로드의 구동로드의 절단면과 형상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연동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피팅장치에 따르면, 선회록킹에 회전축 양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하우징 외피에 형성되는 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패그가 구비된다는 사실은 본질적으로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 밖에도 홈을 용이하게 만듦으로써 선회록킹의 회전축이 정확하게 정해지는데, 이는 선회록킹이 록킹결합부로 회전됨으로써 개방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변환하게 될 때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그 이유는 조립요령을 지키는 가운데 잠금장치의 재조정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잠금위치에 도달하는 데 있어서, 특히 틈새 개방위치에 도달하는 데 있어서 나타나게 되는 특별히 효과적인 특징은 선회록킹에 가이드 부재 방향 쪽에 드라이버 가이드에 의하여 수용되는 L자 형상의 연결부재를 구비한다는 것과, 선회록킹이 틈새위치 또는 잠금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L자 형상의 드라이버 가이드와 L자 형상의 연결부재가 서로 형상 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수동적인 힘이 가해지는 회전이 방해받게 된다는 점에 있다. 틈새 개방위치의 해제는 오로지 조작핸들을 경유하여 작동로드에 전달되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당한 목적으로 수동적으로 잠금장치를 열려는 시도는 선회록킹과 록킹결합부의 형상 끼움 결합방식으로 인하여 실패로 돌아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선회록킹의 자유 단부는 갈고리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윙이 프레임 방향으로 닫히는 잠금 위치로 넘어갈 때 윙에게 힘을 가하며 동시에 윙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경을 그리는 형태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또한, 실링 스트립을 통하여 윙이 밀착적인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데, 그리고 윙이 자체의 중량으로도 하강하지 않는 상황에서조차도 윙을 하강시키는 데 효과를 발휘한다. 그 밖에도 프레임에 가해지는 윙의 압력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윙의 강제하강 운동도 가능해 지는 것이다.
또한, 잠금장치의 하우징을 가급적 작은 규모로 제공하기 위하여 - 이는 작동로드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수반한다 - 선회록킹의 자유 끝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의 형태로 또는 최소한 반경을 그리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로써 하우징을 얇은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선회록킹을 위한 록킹결합부의 체결깊이를 줄일 수 있다. 윈도우 또는 도어의 구체적인 사용 환경에 따라서, 잠금장치와 록킹결합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윙 또는 프레임에 절삭홈(Milling groove; Ausfraesungen)이 사소한 재료공정 작업을 거쳐서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선회록킹이 닫힘 위치에서 패그와 맞물리게 되는 체결 및 선회록킹이 패그와 록킹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틈새 개방위치의 선회록킹의 체결은 각각 록킹플레이트를 통하여 은폐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침입방지효과가 향상되며, 이는 또한 미관상으로도 효과가 있다. 이렇게 은폐된 방식으로 작동하는 잠금장치의 메카니즘은 침입자에게 어떠한 도구의 사용도 불허하게 한다. 설령 틈새 개방위치로 윙이 열려 있다 하더라도 록킹플레이트는 프레임에 밀착 배치되며, 선회록킹은 록킹 물림장치와 은폐되어 물리게 됨으로써 침입 방지효과가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각이 형성된 밴드재료(Bandmaterial)로 만들어지는 록킹결합부는 제작이 용이하고 따라서 비용도 절감된다. 기초 플레이트에 대하여 90도로 형성되는, U자 형상의 플레이트는 패그를 수용하며, 패그를 리벳 결합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일체형의 구조로 인하여 록킹결합부는 높은 견고성을 가지게 되며, 부하가 발생 시, 예컨대 침입 시 발생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선회록킹이 마찰 없이 그리고 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록킹결합부에 구비되는 패그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은 플레이트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활차가 패그에 구비되기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선회록킹은 적어도 록킹결합부와 체결되는 영역에서는 그 외부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때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선회록킹의 재료적 강도에 따라서 정해진다.
예컨대 윈도우 또는 도어를 제작하거나 또는 피팅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잠재하고 있는 제작상의 부정확성을 해소하기 목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조절장치가 록킹결합부에 구비되는 것이 제안되는데, 이런 조절장치는 윙을 프레임 방향으로 힘을 가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단계 없는 사후 조절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프레임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록킹결합부는 조절장치를 수단으로 하여 윙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항하여 수평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다. 조절장치의 조작을 통하여 고정플레이트와 록킹결합부의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침입에 대항하는 수준 높은 저항력을 유지하고 아울러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조절장치는 고정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나사골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록킹결합부의 기본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나선축으로 이루어지며, 나선축은 고정 플레이트 각각의 양단에 나선축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기본 플레이트에 동심원적으로 형성되는 천공을 주도적으로 수용하는 가이드 패그를 포함하며, 나선축에 형성되는 공구 물림장치를 통하여 고정플레이트와 록킹결합부 사이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잠금장치가 피팅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독립하여 윈도우 또는 도어의 작동 로드에 조립된다는 사실은 기능, 조립 및 비용의 측면에서 장점으로 부각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가속력 및 침입 방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윈도우 또는 도어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서 잠금장치는 피팅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작동로드에 복수개로도 설치될 수 있다.
그 밖의 효과적인 실시 예들은 아래의 첨부 도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건물의 내부에서 바라본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는 리프팅-슬라이딩 윙이 닫히는 측면의 말단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윙의 전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잠금 상태의 록킹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하우징이 열린 상태의 잠금장치와 잠금 상태의 록킹결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선회록킹이 가이드 부재와 상호 움직일 수 있도록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록킹결합부와 선회록킹이 잠금 위치로 체결된 상태의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록킹결합부와 더불어 틈새 통풍위치에 위치하는 선회록킹을 구비하는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록킹결합부와 선회록킹이 틈새 통풍위치로 체결된 상태의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록킹결합부와 선회록킹이 틈새 통풍위치로 체결된 상태의 잠금장치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가능한 변형 실시 예에 따라서, 선회록킹과 또 다른 하나의 작동로드에 구비되는 록킹결합부가 틈새 통풍위치로 체결된 상태에 있는, 하나의 구성단위를 형성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작동로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상응하여 수행되는 변형 실시 예 리스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예의 피팅장치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1)에 있어서 화살표(3)가 지시하는 의미로 윙(2)이 리프팅 될 수 있으며, 이어서 화살표 방향(4)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데, 이때 화살표(4)는 열리는 방향을 상징한다. 리프팅은 주지하다시피 손잡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작핸들(5)을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조작핸들은 화살표(6)가 지시하는 의미에서 회전운동하기 위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운동은 피팅장치 홈(20)에 구비되는, 이미 알려진 구성방식의 작동로드(7)를 통하여 구동로드(8)에 전달된다. 작동로드(7)는 마찬가지로 주지된 방식으로 하부 코너전환 부재(9)를 통하여 선단의 이동체(10)에 연동한다. 연결로드(11)는 도시하지 않은 두 번째 이동체로 연결된다.
도 1은 고정 프레임(1)을 구비하는 윈도우 또는 도어를 도시하고, 그 밖에도 움직일 수 있는 윙(2)이 구비된 윈도우 또는 도어를 도시한다. 조작핸들(5)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구동로드(8)는 화살표(12)가 지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이동체(10)에 있어서 하부의 윙 단부에 대하여 화살표(13)의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가능케 한다. 예컨대 접합판(Laschen) 또는 인상캠(Hubnocken)을 구비하고, 이동체(10)과 윙 하부 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주지의 슬라이딩 장치는 이동체(10) 내지 고정 프레임(1)에 대항하여 윙(2)을 화살표(3)의 방향으로 동시에 리프팅 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윙(2)은 그 하부 끝 부분에서 예를 들면 하부 가로 빔에 삽입되는 2 개의 실링 스트립(14, 15)을 통하여 고정 프레임(1)에 대하여 구획되며, 상기 실링 스트립(14, 15)은 가이드레일(16)에 형성되는 수평적인 형태의 다리에 밀착 설치된다. 상부 실링 스트립(17, 18)은 하강된 상태의 윙(2)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레일(19)에 속하는 프로필 끝 부분에 눌리는 힘을 받는 구조로 배치된다. 상응하는 실링 스트립이 또한 윙(2)의 수직 빔에 구비된다. 윙(2)이 제일 먼저 리프팅이 되면, 따라서 자신의 평면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면 비록 하부와 상부의 실링 스트립(14, 15, 17, 18)이 해방되기는 하지만, 수직 빔에 구비되는 실링 스트립은 여전히 장력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윙(2)의 상승뿐만 아니라 하강 역시 윙 평면 내부에서 일어나는 순수한 상승-하강운동에 있어서는 이에 상응하는 강력한 마찰력과 결부가 된다. 이때 마찰력은 높고 좁은 형상의 가벼운 윙이 하강행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자체의 중량으로 스스로 하강하지 못할 정도로 강력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좁고 가벼운 윙의 경우 윙(2)을 리프팅하고 그에 상응하게 하강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가능한 상승운동의 해제에 대항하고 그와 동시에 도 11에 열거한 모든 실시 예들이 동시적으로 벌어지는 강제적인 하강 과정에서 수준 높은 침입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21)가 닫히는 측면에 구비되는 윙(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부착되고, 각각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라서 이에 맞게 준비되는 록킹결합부(22)가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팅장치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이미 위에서 언급했으며 일반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음과 같은 부품들이다. 즉, 닫히는 방향 쪽에 있는 수직 윙 빔(23)에 마련되는 구동로드(8)를 구비하는 작동로드(7), 록킹결합부(22) 및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와 선회록킹(29) 자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21)가 그것들이다. 작동로드(7)는 바람직하게 구동로드(8)의 하부의 끝 부분에 절단면(43)을 포함하고, 절단면은 잠금장치(21)에 형성되는 드라이버에 형상이 상합(相合)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써 인상 운동력이 잠금장치(21)에 전달된다.
도 2에 따르면, 피팅장치는 잠금장치(21)를 포함하고, 잠금장치는 하우징(26)을 수단으로 피팅장치 홈(20)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로드(7)에 고정되고, 가이드 부재(24)를 통하여 작동로드(7)와 연동이 된다. 가이드부재(24)는 작동로드(7)에 구비되는 구동로드(8)를 작동시켜 움직이게 되고, 가이드 부재(24)는 드라이버 가이드(27)에 의하여 조절이 되고, 잠금장치(21)의 하우징(26)에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선회록킹(29)을 작동로드(7)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26) 내부에서 감추어진 상태로 작동하게 되는 개방위치로부터 윙(2)이 잠금위치의 자유로운 조작영역(30)으로 하강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환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록킹(29)의 자유 단부(46)는 잠금위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1)에 고정되는 록킹결합부(22)에 형성되는 패그(32)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록킹결합부(22)는 상기 선회록킹(29)을 집어 넣을 수 있게끔 절단면(63)이 구비되는 록킹플레이트(62)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62)는 프레임(1)에 거의 모든 면에 밀착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선회록킹(29)의 자유 단부(46)가 상기 패그(32)와 상기 록킹플레이트(62)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64)에 개입함으로써 틈새 개방위치를 형성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62)는, 도 5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71)를 통하여 고정플레이트(55)와 체결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62)가 고정 프레임(1)에 직접 고정되는 방식도 역시 가능하다.
잠금장치(21)의 하우징(26)은 도 3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하우징 외피(35, 36)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 외피(35, 36)의 장축의 벽면(37)은 하우징 외피(35, 36)의 장축의 개구부(38) 방면으로 상기 장축의 벽면(37)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브릿지(39)와 함께 최소한 하우징 외피의 평면(40) 상에 상기 가이드 부재(24)를 위한 가이드가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는 가이드 부재(24)를 유도하기 위한 어떤 다른 부재도 필요치 않으며, 그 길이는 가이드 부재(24)의 리프팅 운동이 완전할 정도로 그리고 선회록킹(29)의 리프팅 운동이 하우징(26) 내부에서 거의 완벽하게 은폐된 상태로 수용될 정도의 길이로 정해진다.
하우징 외피(35, 36)는 리벳 접합방식을 통하여 일체를 이루는 형태로 하우징(26)과 결합한다. 이런 목적으로 하우징 외피(35, 36)는 도 3에 따라 돌출하는 리벳 패그(58)와 관통공(59)을 포함한다. 하우징(26)에 형성되는 고정 수단(56)은 작동로드(7)에 형태가 상접하도록 또는/및 상호 간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수단(56)은 돌출 형상을 지니는데, 이러한 돌출부재를 통하여 잠금장치(21)는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임핀(Spannstifte)을 이용하여, 도 9 및 도 10에 따른 커프스 프로필(Stulpprofil)(25)에 고정되고, 예컨대 리벳을 통하여 고정된다. 잠금장치(21)는 작동로드(7)에 간단한 형태로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의 잠금장치(21)가 작동로드(7)에 장착된다.
잠금장치(21)의 하우징(26)에 있어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와 선회록킹(29)이 거의 백래시(backlash) 없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은 하우징 외피(35, 36)를 포함하는, 장측에 형성된 벽(37)과 넓게 둘러싸고 있는 벽면들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하우징 외피(35, 36) 사이에 내부 간격(41)이 형성됨으로써 생겨나고, 내부 간격(41)은 움직임과 연동하는 장착상태에서 가이드 부재(24)와 선회록킹(29)의 재질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러한 형태를 통하여 더 이상의 간격을 형성하는 부품들은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잠금장치(21)의 운동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에 하우징(26)의 개구부(38)에 작동로드(7)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드라이버(42)를 통하여 작동로드(7)와 연결되고, 드라이버(42)는 작동로드(7)에 구비되는 구동로드(8)의 절단면(43)과 형상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연동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이때 드라이버(42)는 횡단면 상의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밴드 재료로 만들어진 가이드 부재(24)가 드라이버(42)의 형상을 이미 결정 짓기 때문이다. 하지만 또 다른 여러 가지 형상의 드라이버도 가능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시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선회록킹(29)의 회전축(28)에 돌출 형성되는 패그(44)가 구비되고, 눈에 보이지 않는 반대편에 구비되는 패그 역시 돌출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틈새 개방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선회록킹(29)은 패그(32)를 통하여 록킹결합부(22)와 완전하게 형상 끼움 방식으로 연결된다. 선회록킹(29)는 가이드 부재(24) 방향 쪽에 드라이버 가이드(27)에 의하여 수용될 수 있는 L자 형상의 연결부재(45)를 구비하며, 선회록킹(29)이 잠금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L자 형상의 드라이버 가이드(27)와 역시 L자 형상의 연결부재(45)가 서로 형상 끼움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수동적인 힘을 가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게 된다. 그렇게 됨으로써 윙(2)은 프레임(1)을 향해 잠금위치를 차지하게 되고, 틈새 개방위치는 확실하게 유지된다. 잠금위치 또는 틈새 개방위치의 해제는 오로지 조작핸들(5)을 경유하여 작동로드(7)에 전달되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당한 목적으로 수동적으로 잠금장치(21)를 열려고 하는 시도는 선회록킹(29)과 록킹결합부(22)의 형상 끼움 결합방식으로 인하여 실패로 돌아간다.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록킹(29)의 자유 단부(46)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반경을 그리는 형태로 움직인다. 이러한 단순한 형상 구현을 통하여 윙(2)이 프레임(1) 방향으로 닫히는 잠금 위치로 넘어가는 가운데 윙은 힘을 받게 되며 동시에 지지가 된다. 그 밖에도 원형을 그리는 자유 단부(46)의 궤적으로 인하여 배치되어 있는 실링 스트립의 마찰력 때문에 윙(2)이 자체의 중량으로도 하강하지 않는 상황에서조차도 가해지는 압력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통제되는 강제하강 운동도 가능해 지는 것이다.
도 8에 파선으로 도시된 선회록킹(29)의 윤곽이 보여 주는 바와 같이, 하우징(26)과 잠금장치(21)를 가급적 작은 규모로 제공하기 위하여 선회록킹(29)의 자유 끝 부분(46, 47)은 바람직하게는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원형의 형태로 또는 최소한 반경을 그리는 형태로 구성된다. 좁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메커니즘으로 인해 하우징(26)은 더욱더 얇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회록킹(29)의 형태를 감안하여 록킹결합부(22)의 체결 깊이를 줄일 수도 있다. 윈도우 또는 도어의 구체적인 사용 환경에 따라서, 잠금장치(21)와 록킹결합부(22)를 수용하기 위한 의도로 절삭홈(Milling grove, Ausfraesungen)이 윙(2) 또는 프레임(1)에 간단히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침입으로부터 안전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수려한 이런 잠금장치(21)의 효과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록킹(29)이 닫힘 위치에서 패그(32)와 맞물리게 되는 체결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록킹(29)이 패그(29)와 록킹플레이트(6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틈새 개방위치에 있어서의 선회록킹(62)의 체결은 록킹플레이트(62)를 통하여 은폐된 형태로 구성된다는 점에 기인한다. 록킹플레이트(62)의 재질은 저항강도 규범에 상응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이미 설치되어 있는 록킹플레이트(62)의 교환이나 추가 장착은 착탈을 가능케 하는 고정 수단을 통하여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록킹결합부(22)는 금속제 밴드재료(Bandmaterial)로 만들어지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이 형성된 플레이트(49, 50)가 기초 플레이트(48) 상에서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돌출된다. 플레이트(49, 50)는 기초 플레이트(48)에 대하여 U자 형상을 취하며, 각각의 자유 단부에 구비되는 천공을 통하여 패그(32)를 수용하며, 패그(32)는 서로 간에 힘이 가해지는 결합 방식, 바람직하게는 리벳 결합방식으로 플레이트(49, 50)와 결합한다. 이러한 일체형의 구조로 인하여 록킹결합부(22)는 매우 견고하며, 무리 없이 하중에 예컨대 침입 시 발생하는 부하에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선회록킹(29)이 마찰 없이 그리고 소음을 일으키지 않고 록킹결합부(22)에 구비되는 패그(32)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은 이 패그(32)에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9, 5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활차(51)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상기 활차(51)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 밖에도, 선회록킹(29)은 적어도 록킹결합부(22)와 체결되는 영역에서는 그 외부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는 형태를 가진다. 플레이트(49, 50) 사이의 간격(52)은 바람직하게는 선회록킹(29)의 재료강도에 따라서 정해지고, 록킹결합부(22)와의 마찰 없는 체결을 가능케 한다.
예컨대 윈도우 또는 도어를 제작하거나 또는 피팅장치를 조립하는 가운데 잠재하고 있는 제작상의 부정확성을 해소하기 목적으로 높이뿐만 아니라 압력의 단계별 조절을 가능케 하는 단순한 형태의 조절장치(65)가 록킹결합부(22)에 구비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도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윙빔(23)를 향하는 면에 록킹결합부(22)와 프레임(1)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5)는 조절장치(65)를 수단으로 하여 윙(2)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항해 수평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다. 조절장치(65)의 조작을 통하여 고정플레이트(55)와 록킹결합부(22)의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장치(65)는 고정 플레이트(55)에 구비되는, 나사골(67)을 수단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록킹결합부(22)의 기본 플레이트(48)와 결합하는 나선축(66)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플레이트(55) 각각의 양단에 나선축(66)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기본 플레이트(48)에 동심원을 그리며 형성되는 천공(69)을 주도적으로 수용하는 가이드 패그(68)를 포함하며, 나선축(66)에 형성되는 공구 물림장치(70)를 통하여 고정플레이트(55)와 록킹결합부(22) 사이의 간격을 단계 없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실시 예들은 작동로드(7)를 수단으로 하는 윈도우 및 도어의 또 다른 가능한 조립 예를 보여주는데, 윈도우 또는 도어는 리프팅 되고, 곧이어서 화살표(61)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 가능한 두 개의 윙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와 구별된다. 이때, 화살표 방향(61)은 윈도우 또는 도어의 개방 위치를 상징한다. 리프팅과 슬라이딩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손잡이 형상을 지닌 조작핸들(5)과 작동로드(7) 및 도 1에 관하여 앞서 기술한 그 밖의 다른 피팅장치 부품들을 통해서 수행된다. 도 9와 도 10은 최소한 하나의 잠금장치(21)를 구비하는 제1작동로드(7)와 그 반대편에 위치하여 연동하는 구조를 이루는, 최소한 하나의 록킹결합부(22)를 구비하는 또 다른 작동로드(7)를 나타낸다. 도 9와 도 10은 도 11에 따른 가능한 변형 실시 예들 중 최소한 하나의, 잠금장치(21)로 인해 은폐된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프레임 2.윙
3.리프팅 방향 4.열림 방향
5.조작핸들 6.회전운동
7.작동로드 8.구동로드
9.코너변환부재 10.이동체
11.연결로드 12.슬라이딩 방향
13.슬라이딩 방향 14.실링 스트립
15.실링 스트립 16.이동레일
17.실링 스트립 18.실링 스트립
19.가이드 레일 20.피팅장치 홈
21.잠금장치 22.록킹결합부
23.수직 윙 빔 24.가이드 부재
25.커프스 프로필 26.하우징
27.드라이버 가이드 28.회전축
29.선회록킹 30.자유 조작영역
32.패그
35.하우징 외피 36.하우징 외피
37.벽면 38.개구부
39.브릿지 40.평면
41.간격 42.드라이버(Driver)
43.절단면 44.패그
45.연결부재 46.단부
47.단부 48.기초 플레이트
49.플레이트 50.플레이트
51.활차 52.간격
55.고정 플레이트 56.고정수단
57.외부 모서리 58.리벳 패그
59.관통공 61.화살표
62.록킹플레이트 63.절단면
64.간격 65.조절장치
66.나선축 67.나사골
68.가이드패그 69.천공
70.공구물림장치 71.고정나사

Claims (14)

  1. 윈도우 또는 도어의 고정 프레임(1) 방향으로 적어도 리프팅 되고 이동 가능한, 주행 레일(16)을 구비하는 윙(2)을 위한 피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윙(2)의 피팅장치 홈(20)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 윙 빔(23)에 작동로드(7)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7)는 조작핸들(5)에 의해 상기 윙(2)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구동로드(8)를 구비하며, 이러한 동작이 코너변환부재(9)를 통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 장착되는 이동체(10)에 전달되는 피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팅장치에 잠금장치(21)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21)는 피팅장치홈(20) 내부에서 하우징(26)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24)를 통하여 작동로드(7)와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24)는 작동로드(7)에 구비되는 구동로드(8)를 작동시켜서 움직이고,
    잠금장치(21)의 하우징(26) 내에 구비된 회전축(28)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선회록킹(29)을 상기 가이드 부재(24)의 드라이버 가이드(27)를 통해 조절하여 하우징(26) 내부에서 감추어진 상태로 작동하게 되는 개방위치로부터 윙(2)이 잠금위치의 자유로운 조작영역(30)으로 하강하도록 방향을 전환하면, 상기 선회록킹(29)의 자유 단부(46)는 잠금위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1)에 고정되는 록킹결합부(22)에 형성되는 패그(32)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록킹결합부(22)는 상기 선회록킹(29)을 집어넣을 수 있게끔 절단면(63)이 구비되고, 프레임(1)에 거의 모든 면에 밀착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록킹플레이트(62)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록킹(29)의 자유 단부(46)가 상기 패그(32)와 상기 록킹플레이트(62)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64)에 개입함으로써 틈새 개방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21)의 하우징(26)은 좌우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하우징 외피(35, 36)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 외피(35, 36)의 장축의 벽면(37)은 하우징 외피(35, 36)의 장축의 개구부(38) 방면으로 상기 장축의 벽면(37)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브릿지(39)와 함께 최소한 하우징 외피의 평면(40) 상에 상기 가이드 부재(24)를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피(35, 36)에 리벳 접합방식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작동로드(7)에 형태가 상접하도록 또는/내지 상호 단단히 결합하게끔 고정수단(5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37)은 상기 하우징 외피(35, 36)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간격(41)을 형성하며, 이때 내부 간격(41)은 거의 백래시 없이 연동하는 조립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24)와 상기 선회록킹(29) 각각의 재료의 강도에 따라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24)는 하우징(26)의 개구부(38)로부터 작동로드(7)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작동로드(7)의 구동로드(8)의 절단면(43)과 형상이 상합하도록 연동하는 드라이버(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록킹(29)은 회전축(28)의 양면에 돌출되는, 상기 하우징 외피(35,36)에 형성되는 연결부재(45)를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패그(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록킹(29)은 가이드부재(24) 쪽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L자 형상의 연결부재(45)를 포함하고, 연결부재(45)는 드라이버 가이드(27)에 의하여 수용되고, 선회록킹(29)이 종결되는 잠금 위치에서 있게 될 때 L자 형상의 드라이버 가이드(27)와 L자 형상의 연결부재(45)가 서로 상접하게 됨으로써 수동적인 힘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록킹(29)의 자유 단부(46)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반경을 그리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46)는 상기 윙(2)이 프레임(1) 방향으로 닫히는 잠금 위치로 넘어갈 때 윙에 힘을 가하며 동시에 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록킹(29)의 자유로운 끝 부분(46, 47)은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록킹(29)이 닫힘 위치에서 상기 패그(32)와 맞물리게 되는 체결 및 상기 선회록킹(29)이 상기 패그(32)와 상기 록킹플레이트(6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틈새 개방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선회록킹(29)의 체결은 각각 록킹플레이트(62)를 통하여 은폐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결합부(22)는 각이 형성되는 밴드재료 (Bandmaterial)로 이루어지고, 기본 플레이트(48)와 90도 각도를 형성하며 돌출하는 U 자 형상의 플레이트(49, 50)는 패그(32)를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며, 리벳 결합방식으로 패그(32)와 단단히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그(32)는 활차(51)를 포함하며, 상기 활차(51)는 상기 플레이트(49, 5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49, 50)의 간격(52)은 선회록킹(29) 재료의 강도에 따라서 정해지고, 선회록킹(29)의 외부 모서리면(57)은 적어도 록킹결합부(22)의 영역에서는 곡면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결합부(22)와 상기 프레임(1)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5)는 조절장치(65)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윙(2)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항하여 수평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며, 상기 조절장치(65)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55)와 상기 록킹결합부(22)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65)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55)에 구비되는, 나사골(67)을 수단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록킹결합부(22)의 기본 플레이트(48)와 결합하는 나선축(66)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플레이트(55) 각각의 양단에 상기 나선축(66)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기본 플레이트(48)에 동심원을 그리며 형성되는 천공(69)을 주도적으로 수용하는 가이드 패그(68)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축(66)에 형성되는 공구 물림장치(70)를 통하여 고정플레이트(55)와 록킹결합부(22) 사이의 간격을 단계 없이 조절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장치.
KR1020167023557A 2014-02-03 2015-01-23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KR101910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4000876.0 2014-02-03
DE202014000876.0U DE202014000876U1 (de) 2014-02-03 2014-02-03 Beschlag eines zumindest hebbaren, vorzugsweise aber auch verschiebbaren Flügels von Fenstern oder Türen
PCT/EP2015/051318 WO2015113900A1 (de) 2014-02-03 2015-01-23 Beschlag eines zumindest hebbaren, vorzugsweise aber auch verschiebbaren flügels von fenstern oder tü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283A KR20160118283A (ko) 2016-10-11
KR101910365B1 true KR101910365B1 (ko) 2018-10-22

Family

ID=5239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557A KR101910365B1 (ko) 2014-02-03 2015-01-23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102759B1 (ko)
KR (1) KR101910365B1 (ko)
CN (1) CN105849345B (ko)
DE (1) DE202014000876U1 (ko)
HU (1) HUE038754T2 (ko)
RU (1) RU2662696C2 (ko)
SI (1) SI3102759T1 (ko)
TR (1) TR201808789T4 (ko)
WO (1) WO2015113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002366U1 (de) * 2016-04-15 2016-05-13 Siegenia-Aubi Kg Beschlag zweier zumindest hebbarer und verschiebbarer Flügel von Fenstern oder Türen
DE202018103048U1 (de) 2018-05-30 2019-09-03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Schloss
MY195538A (en) * 2018-10-05 2023-01-31 Daikin Res & Development Malaysia Sdn Bhd A Housing With Hinged Access Panel
DE102019204065A1 (de) * 2019-03-25 2020-10-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Klappenelement, Verriegelungsanordnung und Kraftfahrzeug
DE102019117867A1 (de) * 2019-07-02 2021-01-07 Maco Technologie Gmbh Verschluss mit einem verstärkten gehäuse für ein fenster, eine tür oder dergleichen
CN113027247B (zh) * 2019-12-24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门锁及家用器具
FR3141481A1 (fr) * 2022-10-26 2024-05-03 Ferco Système de verrouillage pour une menuiserie coulissan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20094U1 (de) 1999-11-15 2000-02-10 Siegenia Frank Kg Beschlag eines zumindest behebbaren, vorzugsweise aber auch bewegbaren Flügels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5174A1 (de) 1983-02-08 1984-08-16 Siegenia-Frank Kg, 5900 Siegen Stellvorrichtung fuer schiebefluegel von fenstern, tueren od. dgl.
DE3343774A1 (de) * 1983-12-03 1985-06-13 Siegenia-Frank Kg, 5900 Siegen Stellvorrichtung fuer schiebefluegel von fenstern, tueren od. dgl.
CN2052421U (zh) * 1989-05-12 1990-02-07 沈阳市红旗机械厂 防撬锁
GB2332700A (en) * 1997-10-11 1999-06-30 Avocet Hardware Plc A device for fastening an openable window or door member to a frame
DE19931718A1 (de) * 1999-07-08 2001-01-11 Winkhaus Fa August Treibstangenbeschlag-System und Stulpeneinsatzkörper hierfür
EP1297233B1 (en) * 2000-06-13 2005-10-26 VKR Holding A/S System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GB2421541B (en) * 2004-12-24 2009-09-23 Securistyle Ltd An espagnolette lock mechanism with additional security pin
KR200397177Y1 (ko) * 2005-05-03 2005-09-30 안건형 창호의 자동록킹 장치
DE102006000403A1 (de) * 2006-08-18 2008-02-21 Siegenia-Aubi Kg Verriegelungsvorrichtung
JP5345158B2 (ja) 2008-03-21 2013-11-20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建具用デジタル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20094U1 (de) 1999-11-15 2000-02-10 Siegenia Frank Kg Beschlag eines zumindest behebbaren, vorzugsweise aber auch bewegbaren Flügels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283A (ko) 2016-10-11
TR201808789T4 (tr) 2018-07-23
CN105849345A (zh) 2016-08-10
RU2662696C2 (ru) 2018-07-26
EP3102759A1 (de) 2016-12-14
RU2016122909A (ru) 2017-12-12
WO2015113900A1 (de) 2015-08-06
HUE038754T2 (hu) 2018-11-28
RU2016122909A3 (ko) 2018-05-22
SI3102759T1 (sl) 2018-10-30
CN105849345B (zh) 2019-06-11
DE202014000876U1 (de) 2015-05-05
EP3102759B1 (de)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365B1 (ko)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AU2017260678A1 (en) Seal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KR20190002648A (ko) 실링 장치
KR102147697B1 (ko)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KR101774469B1 (ko)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102042312B1 (ko)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0808885B1 (ko)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EP1970514A2 (en) A sliding door or window
JP7446655B2 (ja) 換気機能及び水平密着機能を有する建具組立体
KR102096759B1 (ko)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JP4881700B2 (ja) 内倒し窓の傾斜角度調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内倒し窓
KR20110002241U (ko) 비상 자동문 잠금장치
EP2307652A1 (en) Screening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a tilt device
JP6587914B2 (ja) 建具
KR101552218B1 (ko) 열림각도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경첩
KR2019000296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JP6251140B2 (ja) 施錠装置
EP2113623A2 (en) Bottom-hung window unit
JP6995004B2 (ja) 辷り出し窓
EP4006277A1 (en) Device for constraining the opening of doors or windows
JP5269821B2 (ja) 蝶番
JP3784647B2 (ja) 平行突き出し窓
JP5013537B2 (ja) 建物用スライドドア
KR200401658Y1 (ko) 도어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