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759B1 -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6759B1 KR102096759B1 KR1020180038491A KR20180038491A KR102096759B1 KR 102096759 B1 KR102096759 B1 KR 102096759B1 KR 1020180038491 A KR1020180038491 A KR 1020180038491A KR 20180038491 A KR20180038491 A KR 20180038491A KR 102096759 B1 KR102096759 B1 KR 102096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rame
- fixed
- door frame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틀과 문짝 사이에 발생하는 4면의 간격을 폐쇄하여 기밀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특히 문틀과 문짝을 연결하는 경첩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게 구성시켜 손가락 골절 등의 부상으로부터 보호하며 또한, 하부 문틀이 없는 경우에 설치되는 하부폐쇄수단의 승강력을 높이는 동시에 마찰소음을 최소로 줄여 도어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부를 제외한 " "형상으로 형성된 문틀과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짝으로 이루어진 도어에 있어서,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되어, 일측경첩편은 상기 문틀에 고정되고, 타측경첩편은 문짝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경첩편과 타측경첩편의 외부 중앙 또는 일측을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문틀과 문짝의 양측과 상부측에 이격된 부분을 폐쇄하는 동시에 끼워진 손가락을 보호하도록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이 문틀과 고정되고, 상기 문틀과 문짝의 양측 중 경첩이 설치된 일측은 경첩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과 고정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문짝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문짝 폐쇄시 바닥과 이격된 간격을 폐쇄시키도록 구비된 하부개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문짝이 문틀에 닫혔을 때, 그 문틀과 문짝의 4면 사이에 원활한 개폐를 위해 발생하는 간격을 폐쇄시켜 기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부주위로 끼워진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 건물이나 대형 건물 등의 현관문에는 내부가 보이는 강화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철재 또는 목재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는 문틀의 일측에 상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문짝으로 구비되고,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는 문짝이 하나인 일문형 또는 한쌍이 양쪽에서 열리도록 하는 양문형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도어 중 강화유리 및 철재로 구성된 도어의 구성은 상,하 일부분에 보편적으로 사각패널 형태로 제조되며, 일측에 힌지축을 연결하고 문짝의 테두리면이 문틀의 하부와 상부 그리고 측면에 부딪혀 파손되지 않도록 소폭의 틈새를 유지한 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 일반도어는 일측이 문틀과 경첩으로 결속되어 경첩을 중심으로 문짝이 회전한다.
이렇게 도어가 소폭의 틈새를 갖도록 설치되면, 외부의 공기나 먼지, 소음 등이 그 틈새를 통해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공기를 변화시키고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강화유리 도어의 각 파이프에 접합된 플로어 힌지 암부분 때문에 강화유리 도어의 하부 바닥과의 틈새를 막을 차폐장치를 설치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도록 종래 선행기술로 특허 제1588239호(명칭: 도어 차폐장치)가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일문형 또는 양문형으로 개폐되도록 문틀과 문짝으로 이루어지고, 문짝이 강화유리 또는 철재나 목재로 형성되는 도어에 있어서, 문짝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중앙이 개구된 받침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도록 하는 상부폐쇄부재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받아 수평운동과 수직운동을 통해 하부 틈새를 폐쇄하도록 하는 하부차폐수단 및 상기 문틀의 측면에 설치되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도록 하는 측면폐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인 도어 차폐장치의 측면폐쇄부재는 문틀에서 문짝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첩과 그 경첩의 두께에 간섭되어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 있었다.
즉, 선행기술은 경첩구조가 아닌 회전축으로 구성되어 경첩이 설치된 도어에는 설치가 곤란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짝이 닫혔을 때, 경첩이 설치된 일측은 회전반경이 작아 손잡이가 위치한 타측보다 빠르게 닫히게 되어 어린이와 같이 사고능력이 낮은 노약자가 부주위로 틈새에 손가락이 끼워져 절골되는 큰 부상을 당하였으며 이러한 도어의 안전사고 중 현재 경첩부분의 사고가 전체 사고의 90%로가 발생하는데 선행기술은 측면폐쇄부재가 그 틈새의 폐쇄가 불가능하여 해결할 수 없었다.
또한, 하부 틈새를 하부차폐수단에 구성된 경사를 이용하여 승강시켰지만 그 경사면이 슬라이드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하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큰 이동력이 필요하였으며, 더불어 그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음은 사용자들의 신경을 거슬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문틀과 문짝 사이에 발생하는 4면의 간격을 폐쇄하여 기밀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특히 문틀과 문짝을 연결하는 경첩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게 구성시켜 손가락 골절 등의 부상으로부터 보호하며 또한, 하부 문틀이 없는 경우에 설치되는 하부폐쇄수단의 승강력을 높이는 동시에 마찰소음을 최소로 줄여 도어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하부를 제외한 " "형상으로 형성된 문틀과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짝으로 이루어진 도어에 있어서,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되어, 일측경첩편은 상기 문틀에 고정되고, 타측경첩편은 문짝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경첩편과 타측경첩편의 외부 중앙 또는 일측을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문틀과 문짝의 양측과 상부측에 이격된 부분을 폐쇄하는 동시에 끼워진 손가락을 보호하도록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이 문틀과 고정되고, 상기 문틀과 문짝의 양측 중 경첩이 설치된 일측은 경첩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과 고정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문짝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문짝 폐쇄시 바닥과 이격된 간격을 폐쇄시키도록 구비된 하부개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문틀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문틀과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짝으로 이루어진 도어에 있어서,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되어, 일측경첩편은 상기 문틀에 고정되고, 타측경첩편은 문짝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경첩편과 타측경첩편의 외부 중앙 또는 일측을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문틀과 문짝의 양측과 상,하부측에 이격된 부분을 폐쇄하는 동시에 끼워진 손가락을 보호하도록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이 문틀과 고정되고, 상기 문틀과 문짝의 양측 중 경첩이 설치된 일측은 경첩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과 고정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와 대응하는 문틀에는 그 끼움돌부의 외경보다 비교적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끼움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문틀 부분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그 돌출된 부분은 고정되는 탄성부재 속으로 내장되어 문짝이 닫혔을 때 지지하여 보강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개폐수단은 상기 문짝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된 분할면으로 상부수용부와 하부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면에는 캠작동구멍이 형성되어 그 캠작동구멍과 대응하는 상부수용부의 상면을 관통시켜 형성되는 스프링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용부는 하부가 개방되어 양측 내면에 각각 돌출된 오므림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상부수용부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며,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된 측면개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장공으로 형성된 스프링장공이 형성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블록 선단에 고정되되, 문틀에 고정된 문틀자석과 같은 극으로 배치되어 척력으로 밀어내는 문짝자석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측면개방부가 위치한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양측면과 편심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개방된 측면개방부로 노출된 부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면이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작동캠과, 상기 스프링구멍 상부에 상단이 걸려지도록 삽입되어 하단은 캠작동구멍 및 스프링장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승강스프링과, 상기 하부수용부로 삽입되고, 전,후방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 양측은 내부로 절곡된 걸림턱에 의해 레일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승강스프링의 하단이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레일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어 승강프레임의 하강시 문짝과 바닥의 간격을 폐쇄하는 하부폐쇄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또는, 상기 상부수용부의 전방부분 내부에는 중앙이 관통된 스프링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면에는 캠작동구멍이 형성되어 그 캠작동구멍과 대응하는 상부수용부의 상면을 관통시켜 형성되는 스프링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용부는 하부가 개방되어 양측 내면에 각각 돌출된 오므림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상부수용부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은 폐쇄되어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후방 및 하부는 개방되며,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된 측면개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장공으로 형성된 스프링장공이 형성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스프링받이부의 전면에 말단이 접촉되는 래치스프링에 삽입되어 스프링받이부를 관통한 후, 이동프레임의 볼트구멍과 결합되는 래치스틱 선단에 상기 래치스프링의 선단과 말단이 접촉되고,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문틀과 곡면부분이 맞닿으면 래치스프링을 압축하며 눌려 이동프레임을 밀어내는 래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전하후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하는 승강프레임의 상면에는 동일 형상으로 접촉되어 제1경사면을 따라 승강하는 제2경사면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첩을 "ㄷ"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내부에 탄성부재를 수용할 수 있어 부주의로 손가락이 끼워진 경우에도 절곡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와 문틀을 끼움돌부와 끼움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더불어 끼움돌부가 끼움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틀과 탄성부재에 고정되는 스토퍼를 구성하여 탄성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그러함으로써, 문짝이 닫힐 때 스토퍼에 걸려 지지되어 탄성부재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문틀과 문짝의 3면 또는 4면을 탄성부재로 폐쇄시키고, 하부에 문틀이 없는 도어의 경우에는 하부에 척력으로 밀어내는 자석을 이용하거나 또는 문틀과 접촉 후 밀어내는 래치에 의해 이동력을 제공받은 이동프레임이 승강작동캠을 편심회전시켜 승강프레임을 하강시킴으로써, 마찰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더 구성되는 제1,2경사면에 가해지는 힘이 승강작동캠과 분산시켜 적은 이동력으로도 하부폐쇄부재를 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ㄷ"형 경첩으로 (a)는 힌지가 외부 중앙에 설치된 사시도이고, (b)는 힌지가 외부 일측에 설치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홈과 끼움돌부이 형성된 문틀과 탄성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로써, (a)는 볼트형이고, (b)는 핀형상이며, (c)는 "ㄷ"형으로 절곡된 절곡형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하부폐쇄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 부분을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 고정프레임과 승강프레임 부분을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 하부폐쇄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례 하부폐쇄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경사면이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 부분을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동캠과 제1,2경사면이 승강프레임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ㄷ"형 경첩으로 (a)는 힌지가 외부 중앙에 설치된 사시도이고, (b)는 힌지가 외부 일측에 설치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홈과 끼움돌부이 형성된 문틀과 탄성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로써, (a)는 볼트형이고, (b)는 핀형상이며, (c)는 "ㄷ"형으로 절곡된 절곡형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하부폐쇄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 부분을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 고정프레임과 승강프레임 부분을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 하부폐쇄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례 하부폐쇄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경사면이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 부분을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동캠과 제1,2경사면이 승강프레임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1)는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크게, 문틀(100)과 그 문틀(100)에 설치되는 문짝(200)과 그 문짝(200)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첩(300)과 상기 문틀(100)과 문짝(200)에서 하부를 제외한 3면의 간격을 폐쇄하는 탄성부재(400)와, 하부를 승강구조로 폐쇄하는 하부개폐수단(500a)(500b)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탄성부재(400)는 문틀(100)과 문짝(200)의 4면의 간격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문틀(100)은 건물 개구부에 양측면 및 상부측에 설치되어 하부에는 문턱이 없는 " "형상으로 3면에 문틀(100)이 형성되거나, 또는 4면에 문틀(100)이 설치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3면에 문틀(100)이 형성된 구조는 대체로 건물 현관문에 많이 적용되고, 현재에는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하면서도 발이 문턱에 걸리지 않도록 방문에도 적용하고 있으며, 4면에 문틀(100)이 형성된 구조는 기존방식으로 설계된 도어(1)에 적용하기 위해서 2가지 실시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틀(100)의 평단면 형상을 문짝이 닫혔을 때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ㄱ"형상 또는 돌출된 "ㅓ"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틀(100)에 문짝(200)을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문틀(100)과 문짝(200) 일측면 경첩(300)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경첩(300)은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후술할 탄성부재(400)가 삽입되어 경첩(300)이 위치한 문틀(100)과 문짝(200)의 간격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첩(300)은 문틀(100)에 일측경첩편(310)이 고정되고, 문짝(200)에 타측경첩편(320)이 고정되며, 상기 일측경첩편(310)과 타측경첩편(32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330)는 일측경첩편(310)과 타측경첩편(320)을 "┓,┛"형상으로 각각 형성한 후 상,하로 절곡된 단부에 설치 즉, 외부 중앙에 설치시켜 전체 형상을 "ㄷ"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일측경첩편(310)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타측경첩편(320)은 "-"형상으로 형성한 후, 그 맞닿는 일측에 힌지(330)를 설치시켜 "ㄷ"형상을 이룰 수 도 있다.
이렇게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첩(300)에 힌지(330)가 중앙에 배치된 경우 절곡된 길이로 문짝(200)의 회전반경이 크고, 힌지(330)가 일측에 배치된 경우가 회전반경이 짧아 문짝(200)이 문틀(100)에서 바로 벗어나게 되는 것으로써, 시공되는 건물의 도어(1) 회전조건에 맞춰 작업자가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문틀(100)에 문짝(200)이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하여 원활히 개폐되기 위해서 4면에 발생하는 간격을 폐쇄하면서도 부주의로 끼워진 손가락을 자체탄성력으로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문틀(100)의 절곡 또는 돌출된 2면에 후면이 고정되도록 "ㄱ"형상으로 형성되고, 화재시 열에 타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내열 및 준불연성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0)와 문틀(100)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직결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400)의 "ㄱ"의 외부 1면 또는 절곡된 전체 2면에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끼움돌부(41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문틀(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끼움돌부(410)가 끼워지도록 끼움홈(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410)의 외경은 끼움홈(110)의 내경보다 비교적 크게 형성시켜 억지끼워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410)가 형성된 탄성부재(400) 중 경첩(30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00)는 그 돌출된 끼움돌부(410)에 의해 일측경첩편(310)의 내면과 밀착되지 않고 들떠 고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탄성부재(400)에 형성된 끼움돌부(410)에서 일측경첩편(310)과 대응하는 부분의 끼움돌부(410)를 제거시켜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첩수용부(42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첩수용부(420)에 일측경첩편(310)의 내면이 밀착되고, 일측경첩편(310)의 외면은 문틀(100) 내면과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더불의 문틀(100)과 문짝(200)에서 안전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경첩(300)부분의 틈새를 경첩수용부가 형성된 탄성부재(400)를 설치하여 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00)의 형상은 도면상 "ㄱ"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외에 원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400) 내부에는 문짝(200)이 닫혔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높이는 동시에 닫히는 문짝을 지지하도록 하는 스토퍼(430)가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430)는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문짝(200)을 지지하도록 문틀(100)에서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볼트로 고정되거나 또는, 바닥면이 문틀(100)에 볼트로 고정되고, 그 바닥면에서 외부로 핀이 돌출되거나 또는, 양측이 바닥에 볼트로 고정되고 그 내측단부가 돌출된 후 마주하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ㄷ"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개폐수단(500a)(500b)은 하부에 문턱이 없는 " "형상으로 형성된 문틀(100)의 하부를 문짝(200)이 닫히면 자동으로 폐쇄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2가지 실시례를 제공한다.
먼저 제1실시례의 하부개폐수단(500a)은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10과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51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 상부에 삽입되는 이동프레임(520)과, 상기 이동프레임(520) 일단 고정되는 문짝자석(531)과, 상기 이동프레임(520)에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작동캠(540)과, 고정프레임(510)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승강스프링(55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 하부에 삽입되어 상면이 승강스프링(550)이 고정되는 승강프레임(560)과, 상기 승강프레임(560) 하부 고정되는 하부폐쇄부재(57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10)은 문짝(200) 하부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분할면(511)으로 2분할 하여 상부수용부(512)와 하부수용부(513)로 구분되며, 상기 분할면(511)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부수용부(512)(513)가 연통하는 캠작동구멍(514)이 형성되고, 상기 캠작동구멍(514)과 대응하는 상부수용부(512)의 상면을 관통하는 스프링구멍(515)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수용부(513)의 하부 양측 내벽면에는 내부로 돌출형성되는 오므림부(516)로 구성된다.
상기 오므림부(516)는 후술할 하부폐쇄부재(570)가 하강할 때 공간을 줄이도록 양측을 중앙으로 오므려 밀폐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520)은 고정프레임(510)의 상층에 형성된 상부수용부(512)로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되는 것으로써, 전,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양측면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 "형상으로 절개된 측면개방부(521)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개방부(521)가 형성된 동일한 위치의 상면에는 길게 형성되는 스프링장공(5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장공(522)은 이동프레임(520)이 이동하면 고정프레임(510)에 걸려진 승강스프링(550)은 제자리에서 인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짝자석(531)은 문틀(100)에 고정된 문틀자석(120)과 같은 극으로 설치되어 척력으로 상기 이동프레임(520)을 전,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이동프레임(520)의 개방된 일단에 삽입된 고정블록(532)을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블록(532)의 선단에 자석고정볼트(533)를 이용하여 문짝자석(531)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문짝자석(531)이 척력으로 후진되면 고정블록(532)과 고정된 이동프레임(520)이 함께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작동캠(540)은 회전중심에서 어느 한 부분이 더 곡면으로 돌출된 캠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프레임(520)이 후진할 때 돌출부분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술할 승강프레임(560)을 눌러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520)에서 측면개방부(521)가 형성된 부분의 내부와 편심축(541)으로 배치되고, 절개된 측면개방부(521)로 노출된 승방작동캠(540)의 양측면과 고정프레임(510)의 양측면을 관통 설치되어 승각작동캠(54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54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작동캠(540)은 이동프레임(520)이 문짝자석(531)의 척력으로 후진하면 고정프레임(510)과 설치된 회전축(542)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편심축(541)에 의해 승강작동캠()의 돌출된 부분이 하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캠작동구멍(514)으로 노출되는 후술할 승강프레임(560)의 상면을 눌러 하강시키고 이때, 승강프레임(560) 상면에 하단이 고정된 승강스프링(550)은 인장되어 늘어난다.
이후, 상기 문짝(200)이 열려 척력이 소멸되면 승강스프링(550)이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면 상승하는 승강프레임(560)이 승강작동캠(54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프레임(520)이 전진하여 최초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편심축(541)은 수평이동 하고 승각작동캠(540)은 회전하기 편심축(541)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활한 수평이동과 회전가능하도록 편심축(541)이 설치되는 승각작동캠(540)의 구멍은 장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560)은 고정프레임(510)의 하부수용부(513)로 삽입되어 상면에 전술한 승강스프링(550)의 하단이 고정되는 것으로써, 전,후방 및 하부가 개방된 " "형상에서 양측면 하단을 내측으로 절곡한 양측 걸림턱 중앙이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하는 레일(56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폐쇄부재(570)는 승강프레임(560)의 레일(561)에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승강작동캠(540)의 회전으로 승강프레임(560)과 함께 하강하여 문짝(200)과 바닥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폐쇄부재(570)의 하부는 강도를 줄이면서도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연질로 이루어져 여러가닥의 빗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제2실시례의 하부개폐수단(500b)은 첨부된 도면 도 11과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51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 상부에 삽입되는 이동프레임(520)과, 상기 이동프레임(520) 일단 설치되는 래치(534)와, 상기 이동프레임(520)에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작동캠(540)과, 고정프레임(510)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승강스프링(55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 하부에 삽입되어 상면이 승강스프링(550)이 고정는 승강프레임(560)과, 상기 승강프레임(560) 하부 고정되는 하부폐쇄부재(5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작동캠(540), 승강스프링(550), 승강프레임(560) 및 하부폐쇄부재(570)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례의 하부개폐수단(500a)과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구성이 다른 고정프레임(510)과, 이동프레임(520) 그리고 래치(534)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510)은 문짝(200) 하부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방부분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중앙이 관통된 스프링받이부(517)가 구성되며,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분할면(511)으로 2분할 하여 상부수용부()512와 하부수용부(513)로 구분되고, 상기 분할면(511)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부수용부(512)(513)가 연통하는 캠작동구멍(514)이 형성되며, 상기 캠자동구멍(514)과 대응하는 상부수용부(512)의 상면을 관통하는 스프링구멍(51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용부(513)의 하부 양측 내벽면에는 내부로 돌출형성되는 오므림부(51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520)은 고정프레임(510)의 상층에 형성된 상부수용부(512)로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되는 것으로써, 전방은 폐쇄되어 중앙에 볼트구멍(523)이 형성고 후방 및 하부는 개방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양측면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 "형상으로 절개된 측면개방부(521)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개방부(521)가 형성된 동일한 위치의 상면에는 길게 형성되는 스프링장공(5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래치(534)는 문틀(100)과 맞닿으면 눌려져 이동프레임(520)을 후진시키는 것으로써, 래치(534)의 후면에 중앙에 돌출된 래치스틱(535)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받이부(517)를 관통하되, 상기 래치스틱(535)이 삽입되어 선단이 래치(534)의 후면과 접촉되고, 후단은 스프링받이부(517)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래치스프링(536)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받이(517)를 관통한 래치스틱(535)의 후단은 이동프레임(520) 전방에 형성된 볼트구멍(523)에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문짝(200)을 닫을 때 문틀(100)과 맞닿은 래치(534)가 후방으로 밀려짐으로써, 래치스틱(535)과 고정된 이동프레임(520)도 함께 후진하여 승강작동캠(540)을 회전시켜 제1실시례와 작동이 동일하게 하부폐쇄부재(570)를 하강시켜 문짝(100)과 바닥면의 틈새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2실시례의 하부개폐수단(500a)(500b)에는 첨부된 도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하부폐쇄부재(570)가 하강에 필요한 큰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제1,2경사면(581)(582)이 구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581)은 이동프레임(520)의 양측면의 하단에는 전하후상 즉, 문짝자석(531) 또는 래치(534)가 위치하는 전방은 낮고 후방으로 갈수 록 높아지는 빗면으로 절개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경사면(582)은 제1경사면(58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승강프레임(560)의 상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560)은 승강작동캠(540)의 회전에 의한 누름과 더불어 상기 제1,2경사면(581)(582)의 진행으로 누르게 되어 보다 큰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2경사면(581)(582)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승강작동캠(540)이 이동력을 분산함으로써, 마찰소음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문틀(100)과 문짝(200)의 4면에서 발생하는 간격에 의한 틈새를 탄성부재(400) 또는 그 탄성부재(400)와 하부개폐수단(500a)(500b)을 이용하여 차폐시킴으로써, 기밀성을 높이고 더불어 부주의로 끼워진 손가락이 절곡되는 등의 큰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어: 1 문틀: 100
끼움홈: 110 문틀자석: 120
문짝: 200 경첩: 300
일측경첩편: 310 타측경첩편: 320
힌지:330 탄성부재: 400
끼움돌부: 410 경첩수용부: 420
스토퍼: 430 하부개폐수단: 500a,500b
고정프레임: 510 분할면: 511
상부수용부: 512 하부수용부: 513
캠작동구멍: 514 스프링구멍: 515
오므림부: 516 스프링받이부: 517
이동프레임: 520 측면개방부: 521
스프링장공: 522 볼트구멍: 523
문짝자석: 531 고정블록: 532
자석고정볼트: 533 래치: 534
래치스틱: 535 래치스프링: 536
승강작동캠: 540 편심축: 541
회전축: 542 승강스프링: 550
승강프레임: 560 레일: 561
하부폐쇄부재: 570 제1,2경사면: 581,582
끼움홈: 110 문틀자석: 120
문짝: 200 경첩: 300
일측경첩편: 310 타측경첩편: 320
힌지:330 탄성부재: 400
끼움돌부: 410 경첩수용부: 420
스토퍼: 430 하부개폐수단: 500a,500b
고정프레임: 510 분할면: 511
상부수용부: 512 하부수용부: 513
캠작동구멍: 514 스프링구멍: 515
오므림부: 516 스프링받이부: 517
이동프레임: 520 측면개방부: 521
스프링장공: 522 볼트구멍: 523
문짝자석: 531 고정블록: 532
자석고정볼트: 533 래치: 534
래치스틱: 535 래치스프링: 536
승강작동캠: 540 편심축: 541
회전축: 542 승강스프링: 550
승강프레임: 560 레일: 561
하부폐쇄부재: 570 제1,2경사면: 581,582
Claims (7)
- 하부를 제외한 " "형상으로 형성된 문틀(100)과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짝(200)으로 이루어진 도어(1)에 있어서,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되어, 일측경첩편(310)은 상기 문틀(100)에 고정되고, 타측경첩편(320)은 문짝(200)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경첩편(310)과 타측경첩편(320)의 외부 중앙 또는 일측을 힌지(330)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첩(300);
상기 문틀(100)과 문짝(200)의 양측과 상부측에 이격된 부분을 폐쇄하는 동시에 끼워진 손가락을 보호하도록 외면이 문틀(100)과 고정되고, 상기 문틀(100)과 문짝(200)의 양측 중 경첩(300)이 설치된 일측은 경첩(30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100)과 고정되는 탄성부재(400);
상기 탄성부재(400)가 위치하는 문틀(100) 부분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그 돌출된 부분은 탄성부재(400) 속에 내장되어 문짝(100)이 닫혔을 때 지지하여 보강하도록 하는 스토퍼(430);
상기 문짝(200)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문짝(200) 폐쇄시 바닥면과 이격된 간격을 폐쇄시키도록 구비된 하부개폐수단(500a)(500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문틀(100)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문틀(100)과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짝(200)으로 이루어진 도어(1)에 있어서,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되어, 일측경첩편(310)은 상기 문틀(100)에 고정되고, 타측경첩편(320)은 문짝(200)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경첩편(310)과 타측경첩편(320)의 외부 중앙 또는 일측을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첩(300);
상기 문틀(100)과 문짝(200)의 양측과 상,하부측에 이격된 부분을 폐쇄하는 동시에 끼워진 손가락을 보호하도록 외면이 문틀(100)과 고정되고, 상기 문틀(100)과 문짝(200)의 양측 중 경첩(300)이 설치된 일측은 경첩(30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100)과 고정되는 탄성부재(400);
상기 탄성부재(400)가 위치하는 문틀(100) 부분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그 돌출된 부분은 탄성부재(400) 속에 내장되어 문짝(100)이 닫혔을 때 지지하여 보강하도록 하는 스토퍼(4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0)의 외면에는 끼움돌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410)와 대응하는 문틀(100)에는 그 끼움돌부(410)의 외경보다 비교적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끼움홈(11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폐수단(500a)은 상기 문짝(200)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된 분할면(511)으로 상부수용부(512)와 하부수용부(513)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면(511)에는 캠작동구멍(514)이 형성되어 그 캠작동구멍(514)과 대응하는 상부수용부(512)의 상면을 관통시켜 형성되는 스프링구멍(51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용부(513)는 하부가 개방되어 양측 내면에 각각 돌출된 오므림부(516)가 형성된 고정프레임(510)과,
상기 상부수용부(512)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며,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된 측면개방부(521)가 형성되고, 상부에 장공으로 형성된 스프링장공(522)이 형성된 이동프레임(520)과,
상기 이동프레임(520)의 일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블록(532) 선단에 고정되되, 문틀(100)에 고정된 문틀자석(120)과 같은 극으로 배치되어 척력으로 밀어내는 문짝자석(531)과,
상기 이동프레임(520)의 측면개방부(521)가 위치한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520) 양측면과 편심축(541)으로 설치되며, 상기 개방된 측면개방부(521)로 노출된 부분과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양측면이 회전축(542)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작동캠(540)과,
상기 스프링구멍(515) 상부에 상단이 걸려지도록 삽입되어 하단은 캠작동구멍(514) 및 스프링장공(522)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승강스프링(550)과,
상기 하부수용부(513)로 삽입되고, 전,후방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양측은 내부로 절곡된 걸림턱에 의해 레일(561)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승강스프링(550)의 하단이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프레임(560)과,
상기 레일(561)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어 승강프레임(560)의 하강시 문짝(200)과 바닥면의 간격을 폐쇄하는 하부폐쇄부재(5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폐수단(500b)은 상기 문짝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된 분할면(511)으로 상부수용부(512)와 하부수용부(51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부(512)의 전방부분 내부에는 중앙이 관통된 스프링받이부(517)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면(511)에는 캠작동구멍(514)이 형성되어 그 캠작동구멍(514)과 대응하는 상부수용부(512)의 상면을 관통시켜 형성되는 스프링구멍(51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용부(513)는 하부가 개방되어 양측 내면에 각각 돌출된 오므림부(516)가 형성된 고정프레임(510)과,
상기 상부수용부(512)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은 폐쇄되어 볼트구멍(523)이 형성되고, 후방 및 하부는 개방되며,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된 측면개방부(521)가 형성되고, 상부에 장공으로 형성된 스프링장공(522)이 형성된 이동프레임(520)과,
상기 스프링받이부(517)의 전면에 말단이 접촉되는 래치스프링(536)에 삽입되어 스프링받이부(517)를 관통한 후, 이동프레임(520)의 볼트구멍(523)과 결합되는 래치스틱(535) 선단에 상기 래치스프링(536)의 선단과 말단이 접촉되고,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문틀(100)과 곡면부분이 맞닿으면 래치스프링(536)을 압축하며 눌려 이동프레임(520)을 밀어내는 래치(534)와,
상기 이동프레임(520)의 측면개방부(521)가 위치한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520) 양측면과 편심축(541)으로 설치되며, 상기 개방된 측면개방부(521)로 노출된 부분과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양측면이 회전축(542)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작동캠(540)과,
상기 스프링구멍(515) 상부에 상단이 걸려지도록 삽입되어 하단은 캠작동구멍(514) 및 스프링장공(522)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승강스프링(550)과,
상기 하부수용부(513)로 삽입되고, 전,후방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양측은 내부로 절곡된 걸림턱에 의해 레일(561)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승강스프링(550)의 하단이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프레임(560)과,
상기 레일(561)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어 승강프레임(560)의 하강시 문짝(200)과 바닥면의 간격을 폐쇄하는 하부폐쇄부재(5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520)의 양측면에는 전하후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581)과, 상기 제1경사면(581)과 대응하는 승강프레임(560)의 상면에는 동일 형상으로 접촉되어 제1경사면(581)을 따라 승강하는 제2경사면(58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8491A KR102096759B1 (ko) | 2018-04-03 | 2018-04-03 |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PCT/KR2018/010467 WO2019194375A1 (ko) | 2018-04-03 | 2018-09-07 |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8491A KR102096759B1 (ko) | 2018-04-03 | 2018-04-03 |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5601A KR20190115601A (ko) | 2019-10-14 |
KR102096759B1 true KR102096759B1 (ko) | 2020-04-03 |
Family
ID=6810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8491A KR102096759B1 (ko) | 2018-04-03 | 2018-04-03 |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6759B1 (ko) |
WO (1) | WO20191943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7660B1 (ko) * | 2020-09-16 | 2021-05-27 | 배태현 |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CN114991645A (zh) * | 2022-07-01 | 2022-09-02 | 福建省铭时门业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隔音及防水功能的电子安全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204Y1 (ko) * | 2002-10-18 | 2003-01-30 | 박주휘 | 출입문의 바닥 및 문틀 틈새 차폐장치 |
KR100777929B1 (ko) * | 2006-01-28 | 2007-11-21 | 옥은호 | 튜브형 방풍 문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4173A (ja) * | 1996-08-09 | 1998-02-24 | Goal Co Ltd | 扉の指詰め防止装置 |
JPH10121838A (ja) * | 1996-10-22 | 1998-05-12 | Sanwa Shutter Corp | ドアユニット |
KR200428755Y1 (ko) * | 2006-07-18 | 2006-10-16 | 김은석 | 도어 안전장치 |
KR101499387B1 (ko) * | 2014-03-11 | 2015-03-18 |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 도어 틈새 밀폐장치 |
KR20160106301A (ko) * | 2015-03-02 | 2016-09-12 | 김종림 | 방화문 시스템 |
-
2018
- 2018-04-03 KR KR1020180038491A patent/KR1020967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07 WO PCT/KR2018/010467 patent/WO201919437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204Y1 (ko) * | 2002-10-18 | 2003-01-30 | 박주휘 | 출입문의 바닥 및 문틀 틈새 차폐장치 |
KR100777929B1 (ko) * | 2006-01-28 | 2007-11-21 | 옥은호 | 튜브형 방풍 문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5601A (ko) | 2019-10-14 |
WO2019194375A1 (ko) | 2019-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6759B1 (ko) |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
KR101169607B1 (ko) | 안전문 | |
JP2015040470A (ja) | 回転可能な摺動窓 | |
KR101916627B1 (ko) | 복합 시스템 창호 | |
KR101270318B1 (ko) | 개폐문시스템 | |
KR102427615B1 (ko) | 터치-레버식 리프트 슬라이딩장치 | |
CA2406973A1 (en) | Window system with locking device | |
JP6882935B2 (ja) | ロック装置、開閉装置及び建具 | |
KR101319557B1 (ko) | 자동문의 비상개방장치 | |
KR20210041760A (ko) | 자동 방화문 장치 | |
EP2307652A1 (en) | Screening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a tilt device | |
JP3714227B2 (ja) | 扉開閉装置 | |
KR100897518B1 (ko) | 미닫이 창문 | |
KR100561053B1 (ko) | 도어용 경첩 | |
CA2481975C (en) | Moulded basement hopper window | |
KR20100133213A (ko) |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 |
CN204343872U (zh) | 一种四向开平开窗联动装置 | |
KR101115424B1 (ko) |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 |
KR200457681Y1 (ko) | 회전접이식 안전방충망 | |
KR101829937B1 (ko) |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 |
JP7219622B2 (ja) | オーバーヘッドドアの解錠装置 | |
KR102155135B1 (ko) | 손 끼임 방지용 리프트 슬라이딩 장치 | |
CN115653467B (zh) | 一种通风耐热防火门 | |
KR100402558B1 (ko) | 행잉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 |
CN217400765U (zh) | 一种活动式防火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