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763B1 - 액추에이터, 플로우 밸브, 배기 가스 터보 차저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플로우 밸브, 배기 가스 터보 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763B1
KR101909763B1 KR1020137021053A KR20137021053A KR101909763B1 KR 101909763 B1 KR101909763 B1 KR 101909763B1 KR 1020137021053 A KR1020137021053 A KR 1020137021053A KR 20137021053 A KR20137021053 A KR 20137021053A KR 101909763 B1 KR101909763 B1 KR 101909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actuator
bearing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056A (ko
Inventor
미햐엘 보이얼레
마르틴 슐레착
미? 베라넥
페트르 스타리
라이너 슈바인푸르트
미햐엘 나우
로베르트 토르노
홀거 크네쉬
헬무트 슈나이더
랄프 디크만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4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02B37/183Arrangements of bypass valves or actuators therefor
    • F02B37/186Arrangements of actuators or linkage for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02M26/54Rotary actuators, e.g. step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7Pintles; Spindles; Springs; Bearings; Sealings; Connections to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pin and s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ercharger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배기 가스 터보 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의 조절 부재를 작동하기 위한 강제 가이드식 커넥팅 로드(11)와, 전동기(3)와, 전동기(3)를 통해 구동 가능한 기어 유닛(4)을 구비한 액추에이터(1)에 관한 것이며, 기어 유닛은 편심 베어링(10)을 구비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 측 톱니 부재(7)를 포함하고, 편심 베어링은 구동을 위해 커넥팅 로드(11)와 상호 작동 연결된다. 이 경우, 커넥팅 로드(11)는 베어링(10)과 직접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배기 가스 터보 차저를 위한 플로우 밸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를 위한 배기 가스 터보 차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추에이터, 플로우 밸브, 배기 가스 터보 차저{ACTUATOR, FLOW VALVE, TURBOCHARGER}
본 발명은 특히 배기 가스 터보 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용 조절 부재를 작동하기 위한 강제 가이드식 커넥팅 로드와, 전동기와, 전동기를 통해 구동 가능한 기어 유닛을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며, 기어 유닛은 편심 베어링을 구비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 측 톱니 부재를 포함하고, 편심 베어링은 구동을 위해 커넥팅 로드와 상호 작동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구비한, 특히 배기 가스 터보 차저를 위한 플로우 밸브에 관한 것이며, 이때 액추에이터는 밸브 부재와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작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플로우 밸브, 특히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를 구비한, 특히 자동차를 위한 배기 가스 터보 차저에 관한 것이다.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액추에이터와, 플로우 밸브와, 배기 가스 터보 차저는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최근의 내연 기관에서는 소위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를 구비한 터보 차저가 사용되며, 이때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는 배기 가스 터보 차저의 과급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배기 가스 흐름 내에 제공된다. 상기 유형의 플로우 밸브를 작동하기 위해, 대개 전동기와 1단 내지 3단 변속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독일 공개 공보 DE 10 2007 054 769 A1호에는 양방향 제어 요소를 위한 액추에이터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기어 유닛을 통해 커넥팅 로드를 구동하는 전동기를 포함한다. 이 경우, 기어 유닛과 커넥팅 로드 사이의 상호 작동 연결은 토글 레버를 통해 구현되고, 이러한 토글 레버는 커넥팅 로드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 측 톱니 부재와 관절식으로 연결하므로, 커넥팅 로드는 톱니 부재의 운동에 따라, 축방향 연장부를 따른 순전히 선형인 운동을 실행한다. 이 경우, 제어의 왜곡을 야기할 수 있는 서보 모터와 커넥팅 로드 사이 유격이 단점이다. 또한 토글 레버의 메커니즘을 통해, 높은 마찰력에 의해 효율이 감소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커넥팅 로드와 전동기 사이의 전체 유격이 감소하고 액추에이터의 효율이 전체적으로 상승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톱니 부재의 베어링에 커넥팅 로드가 직접 연결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이로 인해, 통상 제공되는 토글 레버가 생략되고, 따라서 베어링이 생략되므로, 전체 유격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액추에이터의 효율이 상승하기도 한다. 톱니 부재에 커넥팅 로드가 직접 커플링 연결됨으로써, 예를 들어 배기 가스 터보 차저의 플로우 밸브와 같은 조절될 부재를 정확하고 신뢰 가능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구조 및 제조가 선행 기술보다 더 간단해진다.
액추에이터를 본 발명에 따라 형성함으로써, 커넥팅 로드는 더 이상 양방향으로만, 즉 선형으로만 안내되지는 않는다. 대신, 선형 운동은 선회 운동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 액추에이터는 전동기 및 기어 유닛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내부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하우징으로부터 커넥팅 로드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지지를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위치한 구성 요소들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이 기어 유닛의 톱니 부재 및/또는 톱니 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고려 가능하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 이러한 수단은 톱니 부재의 운동에 상응하게 커넥팅 로드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 내 개구와, 이러한 개구를 둘러싸며 제어 요소에 접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한다. 벨로우즈는 바람직하게 오염물 또는 습기가 하우징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및 커넥팅 로드와 기밀하게 연결된다. 벨로우즈가 탄성 변형 가능함으로써, 커넥팅 로드 측 단부는 벨로우즈가 커넥팅 로드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일 없이 커넥팅 로드와 함께 운동한다. 하우징 내부에서는 톱니 부재와 연결되고 하우징 외부에서는 조절 부재와 연결되도록 커넥팅 로드가 관통하여 안내되는 하우징 내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톱니 부재의 편심 배치된 베어링의 편향에 상응하게 커넥팅 로드의 측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장공형 윤곽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이러한 장공의 폭은 실질적으로 커넥팅 로드의 폭에 상응하므로, 이 커넥팅 로드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선회 운동에 수직으로 하우징으로부터 안내된다.
바람직하게, 커넥팅 로드에서 톱니 부재에 할당된 단부는 일측에서 톱니 부재에서 베어링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톱니 부재는 바람직하게 단부면에 저널을 포함하고, 이러한 저널은 커넥팅 로드의 예를 들어 보어와 같은 저널 수용부와 상호 작용한다. 물론, 커넥팅 로드에 저널을 제공하고 톱니 부재에 보어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 가능하므로, 커넥팅 로드의 저널은 톱니 부재의 보어에 삽입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톱니 부재에 할당된 단부는 포크 형태로 형성되고, 톱니 부재를 양측에서 둘러쌈으로써 톱니 부재의 양측에서 베어링과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톱니 부재는 양측에서, 즉 양 단부면에서 각각 하나의 베어링 저널을 포함하고, 이러한 베어링 저널은 바람직하게 톱니 부재의 선회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경우, 베어링 저널들은 서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향되고, 바람직하게는 톱니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양측면 베어링을 형성하기 위해 톱니 부재의 관통구 내로 베어링 핀을 삽입하는 것도 고려 가능하다. 커넥팅 로드의 한 단부가 포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단부는 톱니 부재를 둘러싸므로, 양 단부면에서 각각의 베어링 저널 또는 베어링 저널 섹션과 맞물릴 수 있게 되거나 맞물린다. 이러한 양측 커플링 연결을 통해 커넥팅 로드의 안내가 개선되도록 보장되고, 톱니 부재의 부하가 더욱 양호하도록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톱니 부재에는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샤프트가 할당된다. 이러한 샤프트는 바람직하게 톱니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샤프트는 액추에이터의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샤프트는 바람직하게 회전 불가능하게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톱니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샤프트에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커넥팅 로드는 샤프트를 적어도 영역별로 수용하기 위한 윤곽 또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조절될 부재의 방향으로 볼 때 베어링이 적어도 작동 위치에서 톱니 부재의 샤프트 뒤에 배치됨으로써 커넥팅 로드의 작동 경로는 확대된다. 이를 위해, 커넥팅 로드는 바람직하게는 영역별로 호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 단부 위치에서 샤프트를 스쳐 안내되고, 톱니 부재는 180°를 초과하는 각도만큼 선회 가능하다. 이로 인해, 커넥팅 로드를 위한 가능한 가장 큰 작동 경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샤프트는 크랭크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이러한 크랭크형 샤프트의 한 섹션은 편심 베어링을 형성하는 저널에 의해 형성된다. 크랭크 샤프트 형태의 형성을 통해,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팅 로드의 윤곽 또는 리세스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커넥팅 로드는 크랭크 샤프트 형태를 통해 톱니 부재에 완전히 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넥팅 로드는 연결봉과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이 경우, 톱니 부재의 크랭크 샤프트 형태의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다부품형으로 형성되지만, 일체형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밸브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커넥팅 로드는 플로우 밸브의 밸브 부재 및 톱니 부재와 각각 직접 연결되므로, 효율 손실이 적으면서 단지 유격이 작은 직접적인 힘 전달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가스 터보 차저는 상술한 바와 같은 플로우 밸브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성을 통해 작동중 밸브 부재의 정확한 조절이 항상 얻어진다.
하기에 본 발명은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바람직한 액추에이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바람직한 액추에이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바람직한 액추에이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1)가 도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는 도 1a에는 사시도로, 도 1b에는 단면도로, 도 1c에는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는 전동기(3) 또는 기어 유닛(4)이 내부에 보유되어 있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기어 유닛(4)은 입력 측 톱니 바퀴(5)를 포함하고, 이러한 입력 측 톱니 바퀴는 전동기(3)의 출력 샤프트 상에 배치되어 제1 중간 톱니 바퀴(6)와 맞물린다. 제1 중간 톱니 바퀴(6)는 입력 측 톱니 바퀴(5)보다 훨씬 더 많은 톱니 수와, 훨씬 더 큰 반경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1 기어 단계가 제공된다. 제1 중간 톱니 바퀴(6)는 도 1a에 따른 도면에서 제1 중간 톱니 바퀴(6) 아래에 동일한 샤프트 상에 배치된 제2 중간 톱니 바퀴와 연결된다. 제2 중간 톱니 바퀴는 제1 중간 톱니 바퀴에 비해 더 작은 직경과 더 적은 톱니 수를 가지므로, 도 1a에 따른 도면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도 2a에는 도면 부호 "22"로 표시된다. 이는 제1 중간 톱니 바퀴(6)에 의해 덮인다. 이로 인해, 제2 기어 단계가 형성된다. 제2 중간 톱니 바퀴(22)는 출력 측 톱니 부재(7)와 맞물린다. 지금까지 설명한 톱니 바퀴와는 달리, 톱니 부재(7)는 톱니 바퀴로서 형성되는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V형태를 갖는 톱니 세그먼트로서 형성되며, 이러한 톱니 세그먼트는 하우징(2) 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톱니 부재(7)의 선회축(8)은 특히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서 벗어나게, 특히 실질적으로 V형태를 갖는 톱니 부재(7)의 예각으로 배치된다. 톱니 부재(7)는 외부 둘레 섹션을 따라 톱니(9)를 포함하고, 이러한 톱니는 제2 중간 톱니 바퀴(22)와 맞물린다.
톱니 부재(7)는 선회축(8)으로부터 편심 배치되어 베어링(10)을 포함하고, 이러한 베어링에서는 커넥팅 로드(11)가 톱니 부재(7)와 연결된다. 커넥팅 로드(11)는 하우징(2)의 벽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안내되어 톱니 부재(7) 반대편의 단부에서, 작동할 조절 부재, 특히 작동 가능한 플로우 밸브의 밸브 부재와 연결된다.
베어링(10)에서 톱니 부재(7)는 수용 보어(12)를 포함하고, 이러한 수용 보어에는 커넥팅 로드(11)와 고정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커넥팅 로드(11)의 메인 종축에 수직으로 배향된 베어링 저널(13)이 삽입된다. 베어링 저널(13)은 회전 가능하게 수용 보어(12) 내에 보유된다. 이 경우, 베어링 저널(13)은 바람직하게 회전 불가능하게 커넥팅 로드(11)의 수용부(14) 내에 보유된다. 커넥팅 로드(11) 방향으로의 단면 확대부를 통해 베어링 저널(13)은 톱니 부재(7)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하며, 톱니 부재(7)는 수용 보어(12)의 영역에서 원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도 1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원환형 돌출부 상에는 베어링 저널(13)의 축방향 스토퍼가 접한다.
톱니 부재(7)의 선회축(8)은 샤프트(15)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샤프트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베어링 저널(13)의 축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하우징(2) 내에 지지된다. 이 경우, 샤프트(15)는 톱니 부재(7)의 양측에서 하우징(2) 내에 그리고/또는 샤프트(15)를 수용하는 톱니 부재의 베어링 보어(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1)에서 톱니 부재(7)를 향한 단부(17)는 베어링 저널(13)이 내부 지지된 대략 신장 모양의 섹션(18)을 포함한다. 이 경우, 베어링 저널(13)과, 커넥팅 로드(11)와, 샤프트(15)는 샤프트(15)가 커넥팅 로드(11)의 중요 부분과 베어링 저널(13) 사이에 배치되므로, 커넥팅 로드(11)로부터 볼 때 베어링 저널(13) 또는 베어링(10)이 샤프트(15) 뒤에서 톱니 부재(7)에 접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이 경우, 섹션(18)은 장공 형태로 형성된 리세스(19)를 포함하고, 도 1b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리세스를 통해 샤프트(15)가 관통하여 연장한다. 이 경우, 리세스(19)의 종방향 연장부는 톱니 부재(7)가 기어 유닛(4)을 통해 구동되어 선회축(8)을 중심으로 선회할 때 커넥팅 로드(11)는 리세스(19)에 의해 샤프트(15)를 중심으로 함께 선회하도록 호 형태로 형성된다. 선행 기술의 공지된 액추에이터와는 달리, 커넥팅 로드(11)는 선형 운동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톱니 부재(7)에 대한 직접 연결을 통해 베어링(10)에서 측방향으로 선회하거나 편향되기도 한다. 리세스(19)를 통해서는 적어도 도시된 작동 위치에서 베어링(10)이 샤프트(15) 뒤에 위치할지라도 상기 선회 및 편향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커넥팅 로드(11)를 위해 특히 큰 작동 경로를 가능하게 한다.
커넥팅 로드(11)의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2)은 실행 범위 내에 개구를 포함하며, 이러한 개구는 바람직하게 커넥팅 로드(11)의 측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20)는 일측 단부에서는 하우징(2)의 개구를 둘러싸고 다른 단부에서는 커넥팅 로드(11)를 둘러싼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벨로우즈(20)는 커넥팅 로드(11) 및 하우징(2)과 기밀하게 연결되므로, 하우징(2)의 개구를 통해서 오염물 또는 습기가 하우징 내부에 도달할 수 없지만, 커넥팅 로드(11)의 선회 가능성 또는 운동 가능성은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2)은 이를 위해 개구의 영역에 하우징 외벽에서 돌출된 접합관(21)을 포함하고, 이러한 접합관을 통해, 탄성 변형 가능한 벨로우즈(20)의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된다.
대체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예를 들어 상술한 밸브 부재와 같은 조정할 조절 부재에 대한 전동기(3)의 특히 유격이 없으면서 이로 인해 직접적인 연결이 보장되므로, 이러한 밸브 부재는 항상 매우 정확하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액추에이터(1)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높은 효율을 갖는데, 이는 커넥팅 로드(11)의 작동을 위해 종래의 액추에이터에 비해 대체로 더 낮은 마찰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액추에이터(1)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부재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되므로, 상술한 설명이 참조된다. 하기에는 실질적으로 차이점들만이 언급될 것이다. 도 2a에는 사시도로, 도 2b에는 단면도로, 도 2c에는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해, 도 2a에서 벨로우즈(20)는 도시되지 않는다.
커넥팅 로드(11)가 일측에서 톱니 부재(7)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라서는 톱니 부재(7)에 커넥팅 로드(11)가 양측에서 연결됨으로써 액추에이터(1)의 더 높은 안정성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로드(11)의 단부(17)는 포크 형태로 형성되어 톱니 부재(7)를 양측에서 둘러싼다.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0)은 베어링 핀(23)으로서 형성되어 커넥팅 로드(11)의 포크형 단부(17)의 양 레그부를 통해 그리고 톱니 부재(7)를 통해 연장되는 베어링 저널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핀(23)은 톱니 부재(7) 내에서 볼 조인트(2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톱니 부재(7)에 대한 피스톤 로드의 경사 위치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비틀림 또는 끼임이 방지된다. 상기 유형의 볼 조인트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명백하게 설명되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단부(17)는 리세스(19)를 갖지 않고, 호 형태, 특히 후크 형태의 윤곽(25)을 가지므로, 커넥팅 로드(11)의 단부(17)는 샤프트(15)를 둘러싸며 안내되고, 도시된 작동 위치에서 샤프트(15)의 뒤에서 베어링(10)에 작용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액추에이터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부재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되므로, 상술한 설명이 재차 참조된다. 하기에서는 실질적으로 차이점들이 언급될 것이다. 이 경우, 도 3a에는 톱니 부재(7) 및 커넥팅 로드(11)가 사시도로 도시된 반면, 도 3b 및 도 3c에는 단면도(도 3b) 및 평면도(도 3c)로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1)와 상술한 실시예들과의 중요 차이점은 톱니 부재(7)를 지지하는 샤프트(15)가 크랭크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이러한 샤프트의 한 섹션은 베어링(10)을 규정하는 저널(26)을 통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톱니 부재(7)는 톱니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베어링 저널(26)을 포함하며, 이러한 베어링 저널은 선회축(8)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샤프트(15)는 복수의 섹션들로 분할되고, 이때 제1 섹션(27)은 톱니 부재(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베어링 저널(26)에 반대로 가르키도록 배향된다. 제2 섹션은 베어링 저널(28)에 의해 형성되며, 제3 섹션(29)은 재차 섹션(27)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연장된다. 이를 위해, 재차 레버 부재(33)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10)을 선회축(8)에 대해 편심 배치함으로써, 샤프트(15)의 크랭크 샤프트 형태의 연장부가 얻어진다. 이로 인해, 커넥팅 로드(11)의 단부(17)를 특별히 성형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므로, 바람직하게 커넥팅 로드(11)의 단부(17)는 베어링 저널(26)을 위한 수용부(14)만을 포함하고, 그외에는 곧게(길게 뻗도록) 형성된다. 샤프트(15)가 크랭크 샤프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특히 비용면에서 유리하면서 무엇보다도 콤팩트한 액추에이터(1)가 제공된다.
도 4에는 전체를 조망하기 위해 액추에이터(1)의 기본 구조가 간소화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계통도는 샤프트(15)의 회전 운동과 이에 따라 커넥팅 로드(11)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30)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샤프트(15)에서 센서(30)를 향한 단부에는 영구 자석(31)이 제공되고, 이러한 영구 자석의 자기장은 센서(30)에 의해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를 초과하는 자석, 특히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자석이, 샤프트(15) 상에 배치된 디스크(32)의 둘레에 걸쳐 배치되므로, 센서(30)는 샤프트(15) 및 커넥팅 로드(11)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외 통상적인 토글 레버를 생략함으로써,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들은, 특히 감소된 유격에 의해 더욱 정확하고 더욱 신뢰 가능해진다.

Claims (10)

  1. 조절 부재를 작동하기 위한 강제 가이드식 커넥팅 로드(11)와, 전동기(3)와, 전동기(3)를 통해 구동 가능한 기어 유닛(4)을 구비한 액추에이터(1)이며, 기어 유닛은 편심 베어링(10)을 구비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 측 톱니 부재(7)를 포함하고, 편심 베어링은 구동을 위해 커넥팅 로드(11)와 상호 작동 연결되는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11)는 베어링(10)과 직접 연결되고,
    커넥팅 로드(11)에서 톱니 부재(7)에 할당된 단부는 일측에서 톱니 부재(7)에서 베어링(1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전동기 및 기어 유닛(4)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내부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2)으로서, 하우징으로부터 커넥팅 로드(11)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하우징(2) 내에, 커넥팅 로드(11)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둘러싸며 제어 요소에 접하는 벨로우즈(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11)에서 톱니 부재(7)에 할당된 단부는 포크 형태로 형성되고, 톱니 부재(7)를 양측에서 둘러쌈으로써 톱니 부재(7)의 양측에서 베어링(1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톱니 부재(7)에는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샤프트(15)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11)는 샤프트(15)를 적어도 영역별로 수용하기 위한 윤곽 또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8. 제6항에 있어서, 샤프트(15)는 크랭크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크랭크 샤프트 형 샤프트(15)의 한 섹션은 편심 베어링(10)을 형성하는 저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9. 액추에이터(1)를 통해 작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구비한 플로우 밸브이며, 이때 액추에이터는 밸브 부재와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11)를 포함하는 플로우 밸브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액추에이터(1)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밸브.
  10. 하나 이상의 작동 가능한 플로우 밸브를 구비한 배기 가스 터보 차저에 있어서,
    제9항에 따른 플로우 밸브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터보 차저.
KR1020137021053A 2011-02-14 2011-12-29 액추에이터, 플로우 밸브, 배기 가스 터보 차저 KR101909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4018.8 2011-02-14
DE102011004018A DE102011004018A1 (de) 2011-02-14 2011-02-14 Stellantrieb, Strömungsventil, Abgasturbolader
PCT/EP2011/074259 WO2012110166A1 (de) 2011-02-14 2011-12-29 Stellantrieb, strömungsventil, abgasturbola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056A KR20140043056A (ko) 2014-04-08
KR101909763B1 true KR101909763B1 (ko) 2018-10-18

Family

ID=4544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053A KR101909763B1 (ko) 2011-02-14 2011-12-29 액추에이터, 플로우 밸브, 배기 가스 터보 차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76020B1 (ko)
JP (1) JP5809294B2 (ko)
KR (1) KR101909763B1 (ko)
CN (1) CN103348112B (ko)
DE (1) DE102011004018A1 (ko)
WO (1) WO2012110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7153B1 (fr) * 2012-10-24 2016-09-16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Dispositif d'actionnement d'un ou plusieurs organes mobiles, notamment pour turbocompresseur de vehicule automobile
CN104454140B (zh) * 2014-10-21 2016-08-24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燃气机用电控增压器废气旁通控制器
JP6351845B2 (ja) * 2014-11-03 2018-07-04 コンチ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ヴ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Continental Automotive GmbH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10284055B2 (en) 2015-09-01 2019-05-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ctuator and method of adjusting actuator
DE102015224467B4 (de) 2015-12-07 2019-10-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
DE102015224470A1 (de) * 2015-12-07 2017-06-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
CN113280180B (zh) * 2021-05-25 2022-12-13 郝工自控阀门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气动执行器内部传动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2195B1 (en) 2000-02-18 2002-05-07 Borgwarner Inc.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n integrated valve position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007U (ja) * 1984-06-29 1986-01-2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液圧シリンダの連結装置
JPH0688769A (ja) * 1992-09-08 1994-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車エンジンスロットル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H0663834U (ja) * 1993-02-15 1994-09-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ターボチャージャのウエストゲート開閉装置
DE4334370C1 (de) * 1993-10-08 1994-09-01 Daimler Benz Ag Abgasventil einer Brennkraftmaschine
KR200224291Y1 (ko) * 1999-04-30 2001-05-15 정인화 다방향 스위치
DE10125094A1 (de) * 2001-05-23 2002-11-28 Siemens Ag Abgasrückführeinrichtung
JP3860993B2 (ja) * 2001-11-09 2006-1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タービンのアクチュエータ装置
DE10327868A1 (de) * 2003-06-18 2005-01-05 Siemens Ag Stellantrieb zur reversiblen Bewegung einer Ventilklappe eines Ventils
JP2009516134A (ja) * 2005-11-14 2009-04-16 ボーグワーナ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体化された駆動機構を備えたアクチュエータ
DE102007054769A1 (de) * 2007-11-16 2009-05-20 Bosch Mahle Turbo Systems Gmbh & Co. Kg Stellantrieb für bidirektionales Stellglied
DE102007061996A1 (de) * 2007-12-21 2009-06-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llantrieb zur Betätigung einer Ventilklappe in einem Ventilsitz
JP4941534B2 (ja) * 2009-10-15 2012-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ウエストゲートバルブ制御装置
DE102009056251B4 (de) * 2009-12-01 2014-01-09 Pierburg Gmbh Ventilvor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2195B1 (en) 2000-02-18 2002-05-07 Borgwarner Inc.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n integrated valve position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04018A1 (de) 2012-08-16
KR20140043056A (ko) 2014-04-08
JP5809294B2 (ja) 2015-11-10
CN103348112A (zh) 2013-10-09
JP2014509362A (ja) 2014-04-17
WO2012110166A1 (de) 2012-08-23
EP2676020A1 (de) 2013-12-25
CN103348112B (zh) 2016-11-09
EP2676020B1 (de)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763B1 (ko) 액추에이터, 플로우 밸브, 배기 가스 터보 차저
JP4882912B2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
JP5830531B2 (ja) 駆動装置、排ガス再循環弁及び排ガスターボ過給機
JP6069320B2 (ja) 排気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ーの駆動力伝達装置
WO2016203734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US8230683B2 (en) Turbocharger including variable geometry turbine with improved guide element and operating fork
JP5265565B2 (ja) ローラーミル
JP2008025839A (ja) 真空バルブ
US20160146098A1 (en) Device For Actuating The Wastegate Flap Of An Exhaust Gas Turbocharger
JP3957757B2 (ja) 駆動機械の出力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装置
JP2010265923A (ja) バルブ装置
JP2007002670A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US20090013946A1 (en) Variable valve lift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92971B1 (ko) 액추에이터
KR101903895B1 (ko)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JP2006017031A (ja) バルブリフト制御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KR102076645B1 (ko)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제어 장치
JP5115643B2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
JP4816532B2 (ja) エンジンの動弁機構
US20120222507A1 (en) Positioning device for converting a rotary motion into a linear motion
US20220042729A1 (en) Electric expansion valve
US6662779B2 (en) Support structure of valve shaft for butterfly valve
KR200293800Y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밸브
JP5115644B2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
JP2010223208A (ja) 排気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