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633B1 -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 - Google Patents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633B1
KR101908633B1 KR1020180039641A KR20180039641A KR101908633B1 KR 101908633 B1 KR101908633 B1 KR 101908633B1 KR 1020180039641 A KR1020180039641 A KR 1020180039641A KR 20180039641 A KR20180039641 A KR 20180039641A KR 101908633 B1 KR101908633 B1 KR 10190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oint
heavy object
laser
lift
overhead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호
Original Assignee
신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호 filed Critical 신주호
Priority to KR102018003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헤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블거더, 리프트, 트롤리 대차, 지지대에 건물 내부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빔이 조시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가근접표시용 레이저포인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오버헤드 크레인의 주행동작과 터닝부의 회전동작시 각각의 레이저 포인트들이 조사되는 빔이 건물의 실내벽면, 실내바닥면에 조사되게 하여 비교적 어두운 실내에서도 중량물 위치이동에 따른 크레인의 위치파악이 빠르고, 대상위치까지 가 접근표시가 이루어져 기타 다른 시설물과 중량물의 위치된 직각도, 평행도, 중량물의 회전각도까지 섬세하게 중량물이 위치할 지점까지 표시되는 빔을 가이드라인으로 삼아 근접시킨 다음, 중량물을 정확히 대상물에 위치시키거나 조합하는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물 이동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의 정확한 지점의 정지, 조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을 다루는 안전성 확보와 함께 많은 작업자들의 인력투입이 필요 없고,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오버헤드 크레인을 조정하여 안전하게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은 그만큼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중량물 이동에 따른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 using laser point}
본 발명은 오버헤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고 중량물을 작업하는 더블거더 타입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에 있어, 크레인의 이동위치는 물론, 작업위치를 임의 선정에 따른 크레인의 이동과 정밀한 작업위치 선정을 크레인이 시설된 건물 실내 측 벽면 및 바닥면으로부터 크레인 및 중량물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여 고 중량물을 이동, 회전, 근접시키는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시켜 고 중량물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면서 인력 투입을 최소화 및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천정 크레인은 일정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을 인력이 아닌 동력으로서 달아 올리거나, 원하는 위치로 이송, 운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상기 중량물과 크레인 사이에서 상기 중량물의 권상(끌어올림)을 위해 걸어주는 역할을 하는 후크(hook)와, 상기 후크에 걸린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권상장치, 크레인 전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주행장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중량물을 이송시키는 횡행장치 및 크레인 전체를 조작하기 위한 운전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크레인으로서 중량물에 대한 이동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주행, 횡행, 권상 및 권하 이송형태의 운동과 더불어, 작업특성에 따라 일정 각도만큼의 회전운동이 필요하다. 즉, 초기위치에서 작업위치로 이동된 중량물을 작업자의 의도나 작업조건에 맞는 방향으로 위치시켜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요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오버헤드 크레인의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은 최근에는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작업위치까지 크레인을 이동시켜 중량물을 이동시키거나, 대상으로 하는 기계장치에 장착하기 전까지 조정이 이루어지며, 중량물의 방향전환을 위해서는 적정 각도로 회전시켜 위치시켜주는 등의 고도의 정밀조작성을 필요로 한다.
통상적인 오버헤드 크레인의 경우, 상기와 같이 중량물의 회전운동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정중량, 통상 수십 톤(ton)의 중량물의 일부분을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후크에 연결된 와이어로프가 꼬여지도록 외력을 가하여야 한다.
이때, 외력을 가하는 초기에는 상기 중량물이 매우 느린 속도로 회전되지만, 점차 가속되어 상기 중량물의 회전속도는 점차 빨라지게 되고, 작업에 접합한 위치형태로 이르렀을 때에는 외력을 가했던 초기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중량물의 역회전을 방지해야만 한다. 즉, 관성력에 의해 계속 회전하려고 하는 상기 중량물을 작업자의 인위적인 인력으로서 작업에 적합한 형태로 유지시켜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중량물이 가진 관성력은 인위적인 회전시에 발생하는 가속도와 자중에 비례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인력으로서 상기 중량물을 제어하는 것은 상당한 부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물이 매달려 있는 와이어로프에는 일정장력이 걸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일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꼬임 변형이 곤란함은 물론, 꼬여진 상기 와이어로프는 다시 펴지려는 복원력이 발생되는 바, 이러한 복원력을 상쇄시켜 중량물의 작업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자의 인력이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오버헤드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 이동 및 작업위치까지의 위치선정은 리모트 콘트롤러를 조작하는 작업자와 다수의 인원이 작업위치에서 수작업으로 중량물의 작업(연결 및 결합 혹은 분리 등)을 수행함에 있어, 인력이 많이 필요하고 고도의 크레인 정밀 조작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중량물에 대한 주행, 횡행, 권상, 권하 이동과 더불어, 원하는 각도의 회전이동을 인력이 아닌 동력으로서 전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작업이 신속하여 작업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가능장치가 탑재된 오버헤드 크레인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오버헤드 크레인에 대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5037호(명칭: 회전가능한 오버헤드 크레인, 공개일자: 1998년 06월 25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공개특허 제10-2015-0014187호(명칭: 크레인용 트롤리 회전장치, 공개일자: 2015년 02월 06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2'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2의 구성에 대해 임의적인 명칭으로 기재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더블 거더의 전후주행, 더블거더 상부에 왕복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트롤리 대차, 트롤리 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터닝부 및 터닝부 구동수단, 터닝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를 통한 중량물을 걸어 권상 및 권하시키는 와이어 호이스트부가 구비된 것으로, 중량물의 전후 좌우 이동과 함께 회전기능을 부여하여 많은 인원이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중량물의 정확한 작업위치 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안전성과 효율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싱글거더, 더블거터 타입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조작을 함에 있어, 각 구성부가 고중량체로 이루어져 구동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원하는 지점까지 분할 동작으로 오버헤드 크레인의 거더 위치 및 중량물의 터닝조작은 조작한 만큼 콘트롤러의 버튼을 눌러 조정하지만, 크레인은 고 중량체인 만큼 중량체 관성에 의해 위치를 요구하는 정 위치에서 벗어나 중량물을 대상위치에 최대한 근접 위치시키려는 조작은 특히 숙련된 경험자가 아닌 이상 그 조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건물 실내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오버헤드 크레인은 실내 밝기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역광일 경우, 크레인조작에 따른 중량물의 작업위치까지의 위치이동 및 중량물의 방향 설정에는 더욱 어려움이 따른다.
대부분 오버헤드 크레인을 조작하는 작업자는 크레인의 움직임과, 중량물의 이동을 직접 바라보는 시야 확보를 위해 일정거리에서 콘트롤하고, 타 작업자들에 의해 소리전달 위치 조정에 의존하여 콘트롤러를 조작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눈대중과 소리 전달에 의존한 작업은 얘기치 않은 안전사고에 항상 노출되어 있고 작업자들의 안전확보가 미흡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고 중량물을 작업하는 더블거더 타입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에 있어, 크레인의 이동위치는 물론, 작업위치를 임의 선정에 따른 크레인의 이동과 정밀한 작업위치 선정을 크레인이 시설된 건물 실내 측 벽면 및 바닥면으로부터 크레인 및 중량물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여 고 중량물을 이동, 회전, 근접시키는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시켜 고 중량물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면서 인력 투입을 최소화 및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양측 벽면에 구축된 크레인 거더의 상부에 전후 주행을 위한 새들 및 새들 상부에 양단이 안치되어 전후 주행하는 더블거더와, 상기 더블거더 상부에 횡으로 왕복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트롤리 대차, 트롤리 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터닝부 및 터닝부 구동수단과, 상기 터닝부 하부측에 마련된 지지대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와이어 호이스트와, 제1와이어 호이스트 및 제2와이어 호이스트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량물을 걸어 중량물과 함께 승강하는 리프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오버헤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더블거더의 양측 저부에 구비되어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평으로 선형(線形)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벽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1레이저포인트 및 건물 실내바닥면에 수직으로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선형 또는 점선 형으로 빔을 표시하는 제2레이저포인트와, 상기 리프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평으로 선형(線形)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벽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3레이저포인트와, 상기 리프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실제 작업위치에 중량물이 가 접근되었을 때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평으로 선형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벽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와, 상기 리프트의 양측 저부에 구비되어 실제 작업위치에 중량물이 가 접근되었을 때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직으로 선형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바닥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와, 상기 리프트의 양측 저부에 구비되어 리프트의 회전각도 차이를 식별하기 위해 건물 실내바닥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4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되어 중량물 및 크레인의 위치선정에 따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롤리 대차의 저부 양측에 제5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되고, 회전하는 터닝부의 지지대 양측 저부에 제6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더블거더의 저부에는 레일 및 랙기어부가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랙기어부에는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온이 회전축상에 구비된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롤러부재가 레일에 안내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 측에는 상기 제2레이저포인트와 결합되어 더블거더의 저부로부터 제2레이저포인트를 요구하는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 내지 제4레이저포인트와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는 수직이나 수평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틸트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는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 내지 제4레이저포인트에서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빔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은, 더블거더, 리프트, 트롤리 대차, 지지대에 건물 내부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빔이 조시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가근접표시용 레이저포인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오버헤드 크레인의 주행동작과 터닝부의 회전동작시 각각의 레이저 포인트들로부터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건물의 실내벽면, 실내바닥면에 조사되게 하여 비교적 어두운 실내에서도 중량물 위치이동에 따른 크레인의 위치파악이 빠르고, 대상위치까지 가 접근표시가 이루어져 기타 다른 시설물과 중량물의 위치된 직각도, 평행도, 중량물의 회전각도까지 섬세하게 중량물이 위치할 지점까지 표시되는 빔을 가이드라인으로 삼아 근접시킨 다음, 중량물을 정확히 대상물에 위치시키거나 조합하는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물 이동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의 정확한 지점의 정지, 조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을 다루는 안전성 확보와 함께 많은 작업자들의 인력투입이 필요 없고,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오버헤드 크레인을 조정하여 안전하게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고, 중량물 이동에 따른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더블거더에 제1 및 제2레이저포인트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3은 도 2에서 제2레이저포인트 설치상태를 보여 주는 가-가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의 터닝부에 제5 및 제6레이저포인트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가 하강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2에서 리프트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저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거더의 이동에 따라 더블거더와 리프트측의 레이저포인트로부터 실내벽면에 빔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거더로부터 왕복 이동하는 트롤리 대차 및 지지대측 레이저포인트에서 실내바닥면에 조사된 빔의 상태를 도시한 바닥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저면에 구비된 레이저포인트로부터 조사된 빔의 상태를 도시한 바닥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내 양측 벽면에 구축된 크레인 거더(1)의 상부에 전후 주행을 위한 새들 및 새들(2) 상부에 양단이 안치되어 전후 주행하는 더블거더(3)와, 상기 더블거더 상부에 횡으로 왕복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트롤리 대차(4)와, 트롤리 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터닝부(5) 및 터닝부 구동수단(6)과, 상기 터닝부 하부측에 마련된 지지대(7)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와이어 호이스트(H1) 및 제2와이어 호이스트(H2)와, 제1와이어 호이스트 및 제2와이어 호이스트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량물을 걸어 중량물과 함께 승강하는 리프트(8)로 이루어진 통상의 오버헤드 크레인(10)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10)은,
상기 더블거더(3)의 양측 저부에는 건물 실내벽면(W)에 빔을 조사하는 제1레이저포인트(L1) 및 건물 실내바닥면(F)에 빔을 조사하는 제2레이저포인트(L2)가 구비된다.
중량물을 매달기 위한 상기 리프트(8)는 하부에 중량물을 걸기 위한 슬링 및 훅이 구비된 직사각 형태의 구조물로서 주로 사용하는 중량물에 대해 가로 및 세로의 크기는 각기 다르다.
상기 리프트(8)의 양측에는 건물 실내벽면(W)에 빔을 조사하는 제3레이저포인트(L3)가 구비되고, 제3레이저포인트(L3)의 양측에는 실제 작업위치에 중량물 가 접근시 건물 실내벽면(W)에 빔을 표시하는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8)의 양측 저부에는 트롤리 대차(4)의 주행에 따라 실제 작업위치에 중량물이가 접근되었을 때 건물 실내바닥면(F)에 빔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8)의 양측 저부에 리프트의 회전각도 차이를 식별하기 위해 건물 실내바닥면(F)에 빔을 조사하는 제4레이저포인트(L4)가 구비되어 중량물 및 크레인의 위치선정에 따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더블거더(3)의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부에는 레일(3-1) 및 랙기어부(3-2)가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랙기어부(3-2)에는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온(21)이 회전축상에 구비된 구동모터(20) 및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롤러부재(22)가 레일(3-1)에 안내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 측에는 상기 제2레이저포인트(L2)와 결합되어 더블거더(3)의 저부로부터 제2레이저포인트를 요구하는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 내지 제4레이저포인트(L1~L4)와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는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선형(線形)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벽면(W)이나 실내바닥면(F)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즉, 빔은 단일 점(Point) 방식이 아닌 라인(Line) 형태로써, 레이저포인트의 선단에 구비되는 렌즈타입에 의해 선형으로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레이저에 마련되는 렌즈는 그 종류에 따라 최종 빛으로 조사되는 빔의 형태가 점, 선, 그리드(Grid)와 같은 다양한 패턴으로 표시되는 모양이 각기 다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선형으로 빔이 조사될 수 있는 렌즈를 채택한 것이다.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는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 내지 제4레이저포인트(L1~L4)에서 표시되는 빔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빔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레이저포인트 내지 제4레이저포인트(L1~L4)는 적색 빔으로 표시되고,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는 녹색 빔으로 표시되어 상호 색상에 따른 구분이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선형으로 표시되는 빔이 굵거나 얇은 형태로 표시하여도 좋다.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 내지 제4레이저포인트(L1~L4)와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는 수직이나 수평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틸트조정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틸트 조정은 각각의 레이저포인트들이 고정되는 브라켓으로부터 일정각도 수동으로 각각 레이저포인트를 각도 조정하여 놓거나, 혹은 전동식으로 각도 무선 콘트롤러를 통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 대차(4)의 저부 양측에 제5레이저포인트(L5)가 구비되고, 회전하는 터닝부(5)의 지지대(7) 양측 저부에는 제6레이저포인트(L6)가 구비되어 실내바닥면에 표시되는 빔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5레이저포인트(L5)와 제6레이저포인트(L6)에서 상호 조사되어 표시된 빔의 각도차이로서 터닝부(5)의 회전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리프트를 사용하지 않고 중량물을 제1 및 제2와이어 호이스트에 매달기 이전 더블거더로부터 이동되는 트롤리 대차의 위치를 실내바닥면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레이저 포인트 내지 제6레이저포인트(L1~L6)와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는 미도시된 무선 콘트롤러에 모두 표시되어 온/오프 조작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오버헤드 크레인의 주행제어와 각각의 레이저포인트의 제어가 이루어지며, 각각의 레이저포인트에서 조사되는 빔은 적어도 5M 전후 정도의 길이를 갖는 선형으로 표시되며, 오버헤드 크레인 주행시 필요로 하는 레이저포인트를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A는 중량물을 나타내며, 부호 B는 중량물이 위치되어 조합되는 대상물을 예시하여 나타내기로 한다.
이하, 소문자 부호 a는 제1레이저포인트에서 조사된 빔을 나타내고, 부호 b는 제2레이저포인트, 부호 c는 제3레이저포인트, 부호 d는 제4레이저포인트, 부호 e는 제5레이저포인트, 부호 f는 제6레이저포인트, 부호 aa는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 부호 bb는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에서 각각 조사된 빔을 지시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면상에 상기 빔 a, b는 굵은 실선, 빔 c는 굵은 파선, 빔 d는 가는 파선, 빔 e는 굵은 이점쇄선, 빔 f는 가는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빔 aa 및 빔 bb는 굵은 일점쇄선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오버헤드 크레인의 작업위치 조정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10)의 주행, 트롤리 대차(4)의 설정된 이동, 터닝부(5)의 회전, 리프트(8)를 통한 중량물(A)을 매다는 과정은 기존과 동일하며, 더블거더(3), 리프트(8), 트롤리 대차(4), 지지대(7)에 구비된 각각의 레이저포인트에서 표시되는 빔의 유무에 따라 중량물을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 혹은 중량물(A)을 조합하기 위한 대상물(B) 위치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리프트(8)를 통한 중량물(A)은 슬링과 훅을 이용하여 그 하부에 매달리고, 지지대(7)에 구비된 제1와이어 호이스트(H1), 제2와이어호이스트(H2)에 의해 와이어를 권선시켜 중량물을 충분히 들어올린다.
이와 같은 중량물의 상승이후 트롤리 대차(4)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터닝부 (5)및 터닝부구동수단(6)에 의해 중량물(A)을 요구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최대한 대상물이 위치한 지점까지 이동시켜 근접되도록 한다.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10)은 시설된 건물 실내 벽면(W) 측에 더블거더(3)의 주행을 위한 크레인 거더(1)의 상부로부터 새들(2, '엔드트럭'이라고도 함)에 그 양측이 안착되어 전방 또는 후방향으로 주행을 한다.
상기와 같이 주행하는 더블거더(3)의 하부에 마련된 제1레이저포인트(L1)에서 표시되는 빔(a)은 실내벽면(W)을, 상기 제2레이저포인트(L2)에서 표시되는 빔(b)은 건물의 실내바닥면(F)에 조사되어 식별 가능색상으로 표시된다.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L1)에서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a)은 실내벽면(W)에 수직으로 표시되고, 제2레이저포인트(L2)에서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b)은 실내바닥면(F)에 상기 더블거더(3)와 평행하게 표시되며, 이때의 빔 형태는 일직선상의 선형으로 표시된다.
즉,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L1), 제2레이저포인트(L2)는 빔은 건물 실내벽면과 바닥면에 표시되어 더블거더의 주행에 따라 조사된 빔 또한 중량물(A)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대상물(B) 위치로 무선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오버헤드 크레인을 조정한다. 이때 작업자는 전반적인 오버헤드 크레인을 주시하면서 실내벽면과 실내바닥면에 표시되는 상기 빔의 표시는 시야에 쉽게 확보되기 때문에, 더블거더(3)의 주행거리와 그 이동하는 속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 어느 위치까지 주행하고 있음을 체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속도나 이동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이저포인트(L2)는 더블거더(3)의 하부로부터 마련된 레일(3-1)과 랙기어부(3-2)를 따라 그 위치를 제2레이저포인트에서 표시되는 빔이 중량물이 가려지지 않는 범위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2레이저포인트(L2)에서 조사된 빔(b)은 상호 평행하는 11자 형태로 실내바닥면에 조사되며, 중량물의 크기를 감안한 제2레이저포인트들을 틸트 조정해 놓음으로써 상호 빔(b)의 간격은 대상물 위치의 전후 측에 해당하는 실내바닥면(F)에 조사되어 표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더블거더(3)의 전반적인 주행에 있어, 리프트(8)의 양측에 구비된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를 무선 콘트롤러에서 점등시키는 조작을 하면, 이때 조사되는 빔(aa)은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L1)에서 조사되어 표시된 빔(a)과 간격을 두고 실내벽면(W)에 표시된다.
이 또한 더블거더(3)의 주행에 따라 동시에 상기 빔(a, aa)이 움직이게 되고 더블거더가 주행한 만큼 요구하는 대상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리프트를 하강하는 동작시 그 양측에 구비된 제3레이저포인트(L3)를 점등시키면, 제3레이저포인트(L3)에서 조사되는 빔(c)은 실내벽면에서 하강하는 상태로 상기 빔은 수평으로 표시되어 어느 정도 리프트가 하강하는 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시에 조사된 빔(a,aa, c)의 움직임에 있어,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에서 조사된 빔(aa)이 대상물(B) 위치에 표시된 시점에서는 일차적으로 더블거더(3), 트롤리 대차(4)의 주행을 콘트롤러를 통해 정지시켜 준다.
즉,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에서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aa)은 대상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중량물의 크기(가로, 세로, 두께)를 감안하여 중량물(a)이 대상물 위치에 정확히 도달하기 이전 작업자는 빔의 위치를 보고 상기 더블거더의 주행을 정지시점을 파악하여 더블거더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중량물이 대상물에 부딪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더블거더(3)의 주행에 있어, 제2레이저포인트(L2)에서 조사된 빔(c)은 실내바닥면(F)을 동시에 조사하고, 이와 동시에 리프트(8)의 저부에 구비된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에서 조사된 빔(bb)은 상기 트롤리 대차(4)가 더블거더(3)로부터 주행하여 중량물(A)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대상물 위치에 근접시 트롤리 대차(4)의 주행을 정지시점을 파악하여 트롤리 대차와 함께 중량물의 횡방향 이동을 제한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상술한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에서 조사되는 빔(aa, bb)은 실질적으로 중량물(A)이 정확히 위치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에서 조사된 빔 중 어느 하나의 빔이 대상물에 도달하였을 때 그 빔을 기준으로 중량물과의 거리를 둠으로써, 실제 대상물(B)에 중량물이 부딪히지 않게 근접시켜 줄수 있으며, 이때 작업자는 더블거더 또는 트롤리 대차의 주행을 즉각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상물로부터 중량물의 근접위치는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1)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L-2)에서 조사되는 빔(aa, bb)이 중량물의 전후 좌우 기준으로 300~500mm 정도까지 근접한 위치에 조사되도록 틸트 조정하여 놓음으로써, 실제 대상물(B) 위치에 빔이 일치되더라도 상기와 같은 여유있는 나머지 조정거리를 확보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부터는 정밀조정으로 최대한 대상물 위치에 중량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8)에 매달린 중량물(A)의 위치를 반전 혹은 요구하는 각도로 터닝시키기 위해서는 트롤리 대차(4)상의 터닝부(5), 터닝부 구동수단(6)의 가동에 의해 지지대(7), 리프트(8)를 천천히 회전시켜 준다.
이때 리프트(8)의 저부에 구비된 제4레이저포인트(L4)를 점등시키면, 조사되는 빔(d)은 실내바닥면(F)에 표시되고, 여기서 표시되는 빔(d)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으로 표시되며, 리프트(8)의 회전된 각도만큼 상기 더블거더(3)측 제2레이저포인트(L2)에서 조사되는 빔(b)과 겹쳐져 표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리프트의 회전이 90도 각도로 회전되었을 경우, 리프트 양측에 구비된 제3레이저포인트는 더블거더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빔을 건물 실내벽면에 조사하게 됨으로써, 현재 중량물의 회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겹쳐진 빔의 표시를 가늠할 수 있으며 중량물(A)의 회전된 각도를 참고하여 이때부터는 미세 조정으로 중량물을 대상물 위치에 정확히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중량물을 걸기 이전 오버헤드 크레인(10)의 트롤리 대차(4) 현위치, 터닝부(5)측 지지대(7)의 회전된 상태에서 조사된 빔(e, f)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트롤리 대차(4)의 저부에 마련된 제5레이저포인트(L5)에서 도시된 빔(e)과 지지대(7)에서 조사된 빔(f)은 중량물(A)을 지지대(7)에 걸지 않고 대상물 위치까지 중량물을 매달기 위해 이동되어 온 상태에서 지지대(7)의 위치를 정확히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7)의 위치를 세팅함으로써 바로 제1와이어 호이스트(H1), 제2와이어 호이스트(H2)에 중량물을 수직상태에서 걸어 안전하게 중량물을 상승시켜 이동함으로써 상수란 바와 같이 대상물 위치로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포인트들은 건물의 실내벽면, 바닥면에 마치 각각 선형의 빔이 교차되거나 또는 그 거리차이를 두고 조사되어 폭이 다른 그리드(grid) 형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오버헤드 크레인의 주행과 더불어 중량물의 이동, 근접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하게 정밀 조정할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크레인 거더 2: 새들
3: 더블거더 3-1: 레일
3-2: 랙기어부 4: 트롤리 대차
5: 터닝부 6: 터닝부 구동수단
7: 지지대 8: 리프트
10: 오버헤드 크레인 20: 구동모터
21: 피니온 22: 가이드롤러부재
H1: 제1와이어 호이스트 H2: 제2와이어 호이스트
L1: 제1레이저포인트 L2: 제2레이저포인트
L3: 제3레이저포인트 L4: 제4레이저포인트
L5: 제5레이저포인트 L6: 제6레이저포인트
L-1: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
L-2: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
W: 실내벽면 F: 실내바닥면
a~f: 빔

Claims (6)

  1. 실내 양측 벽면에 구축된 크레인 거더의 상부에 전후 주행을 위한 새들 및 새들 상부에 양단이 안치되어 전후 주행하는 더블거더와, 상기 더블거더 상부에 횡으로 왕복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트롤리 대차, 트롤리 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터닝부 및 터닝부 구동수단과, 상기 터닝부 하부측에 마련된 지지대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와이어 호이스트와, 제1와이어 호이스트 및 제2와이어 호이스트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량물을 걸어 중량물과 함께 승강하는 리프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오버헤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더블거더의 양측 저부에 구비되어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평으로 선형(線形)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벽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1레이저포인트 및 건물 실내바닥면에 수직으로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선형 또는 점선 형으로 빔을 표시하는 제2레이저포인트와,
    상기 리프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평으로 선형(線形)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벽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3레이저포인트와,
    상기 리프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실제 작업위치에 중량물이 가 접근되었을 때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평으로 선형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벽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와,
    상기 리프트의 양측 저부에 구비되어 실제 작업위치에 중량물이 가 접근되었을 때 조사되어 표시되는 빔이 수직으로 선형 또는 점선 형으로 건물 실내바닥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와,
    상기 리프트의 양측 저부에 구비되어 리프트의 회전각도 차이를 식별하기 위해 건물 실내바닥면에 빔을 표시하는 제4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되어 중량물 및 크레인의 위치선정에 따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롤리 대차의 저부 양측에 제5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되고, 회전하는 터닝부의 지지대 양측 저부에 제6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더블거더의 저부에는 레일 및 랙기어부가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랙기어부에는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온이 회전축상에 구비된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롤러부재가 레일에 안내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 측에는 상기 제2레이저포인트와 결합되어 더블거더의 저부로부터 제2레이저포인트를 요구하는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 내지 제4레이저포인트와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는 수직이나 수평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틸트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 및 제2가접근표시용 레이저포인트는 상기 제1레이저포인트 내지 제4레이저포인트에서 표시되는 빔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빔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9641A 2018-04-05 2018-04-05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 KR10190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641A KR101908633B1 (ko) 2018-04-05 2018-04-05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641A KR101908633B1 (ko) 2018-04-05 2018-04-05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633B1 true KR101908633B1 (ko) 2018-10-16

Family

ID=6413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641A KR101908633B1 (ko) 2018-04-05 2018-04-05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6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680A (ja) * 1992-10-22 1994-05-17 Shinwa Giken:Kk クレーンの旋回テーブル用ブレーキ装置
KR101018877B1 (ko) * 2008-06-04 2011-03-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크레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5281A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의 위치 제어 시스템
KR20140122488A (ko) * 2013-04-10 2014-10-20 형제기계공업 주식회사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680A (ja) * 1992-10-22 1994-05-17 Shinwa Giken:Kk クレーンの旋回テーブル用ブレーキ装置
KR101018877B1 (ko) * 2008-06-04 2011-03-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크레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5281A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의 위치 제어 시스템
KR20140122488A (ko) * 2013-04-10 2014-10-20 형제기계공업 주식회사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6242B2 (en) Crane trolley and hoist position homing and velocity synchronization
CN105110189A (zh) 自动平衡吊具及其使用方法
KR20120079635A (ko) 호이스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03302B2 (en) Work gondola apparatus and work vehicle provided with same
KR101908634B1 (ko)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의 작업위치 조정방법
CN205076703U (zh) 自动平衡吊具
KR101908633B1 (ko)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
EP2927177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crane
KR20140075281A (ko) 크레인의 위치 제어 시스템
JP7182955B2 (ja) 荷役装置及び荷役装置の運転方法
JP7119371B2 (ja) クレーン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H1179659A (ja) クレーンの半自動運転方法
KR102366998B1 (ko)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CN204268204U (zh) 一种起重机的照明装置及起重机
JP2577122B2 (ja) ケーブルクレーン
KR20100097863A (ko)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JP4481031B2 (ja) トロリクレーンとその振れ止め方法
JPH0114156B2 (ko)
CN219363044U (zh) 一种双梁多吊装小车龙门吊
RU61271U1 (ru) Мостовой кран
JP2017019630A (ja) 移動式クレーンの動作切替装置
JP3039851B2 (ja) 建材取付装置
JP4257589B2 (ja) 物品移載装置
JP2006273481A (ja) 作業車
JPH0881180A (ja) 水平移動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